KR20050078861A -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861A
KR20050078861A KR1020040006936A KR20040006936A KR20050078861A KR 20050078861 A KR20050078861 A KR 20050078861A KR 1020040006936 A KR1020040006936 A KR 1020040006936A KR 20040006936 A KR20040006936 A KR 20040006936A KR 20050078861 A KR20050078861 A KR 20050078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force
spool
housing
shock absorber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40006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8861A/ko
Publication of KR20050078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8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장착되는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쇠력의 가변을 위해 외부관의 일측면에 장착되되, 하우징에 내장된 스풀로드의 중공 내측에 스풀이 직선이동하여 그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스풀로드의 상하부측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여 감쇠력을 변화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풀로드의 선단부에는 플러그가 나사식으로 중공 내측에 끼워져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스풀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된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하우징의 벽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렌치를 상기 플러그의 후단에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검사홀과, 상기 검사홀을 개폐시키도록 끼워지거나 빼내지는 폐쇄부재와, 상기 스풀로드의 선단부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간에 상기 검사홀보다 큰 직경의 빈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불량율을 감소시켜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정확한 감쇠력 특성을 갖는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SOLENOID VALVE ASSEMBLY OF THE DAMPING FORCE ADJUSTABLE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장착되는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 검사용 지그의 사용없이 하우징 결합상태에서 아이피 성능검사를 실시할 수 있고 최종 제작된 후에도 감쇠력 특성을 수정할 수 있는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에 장착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방진 완충장치로서, 그 내부에는 오일 및/또는 가스가 충진되어 있다.
이러한 쇽업소버에는 노면 및 주행상태 등에 따라 승차감이나 조종안정성의 향상을 위해 감쇠력 특성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가 있는데, 이것은 종래 쇽업소버의 외부관 일측면에 감쇠력 가변을 위한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가 구비된 것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에 대한 단면도이다.
쇽업소버(1)는 동축의 내부관(10)과 외부관(20)을 포함하는 이중관으로, 내부관(10)과 외부관(20)의 사이에는 저장실(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관(10)의 내부에는 피스톤로드(30)의 하단에 너트(31)로 고정 장착되는 피스톤(32)이 상하로 습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관(10)의 내부를 상부의 인장챔버(3)와 하부의 압축챔버(4)로 구획시킨다. 피스톤로드(30)의 상단측은 내부관(10)과 외부관(20)의 상단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며, 압축챔버(4)와 저장실(11)을 분리시키는 바디밸브(40)는 내부관(10)의 하단에 설치되고, 내부관(10)내에는 유압유체인 오일이 수용되고, 저장실(11)에는 오일 및 가스가 수용된다.
또한, 피스톤(32)에는 인장챔버(3)와 압축챔버(4)가 연통되도록 압축유로(32a)와 인장유로(32b)가 형성되며, 바디밸브(40)에는 압축챔버(4)와 저장실(11)이 연통되도록 압축유로(42a)와 인장유로(42b)가 형성된다.
내부관(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통로부재(50)가 또한 마련되어 내부관(10)과 통로부재(50) 사이에 고리형상의 유체통로(52, 53)가 상, 하 및 중간 모두 3개의 실링부재(55)에 의해 형성되며, 유체통로(52, 53)는 내부관(1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구비된 연통홀(상부측 미도시, 54)을 통해 각각 인장챔버(3) 및 압축챔버(4)와 연통된다.
나아가, 외부관(20)의 일측면에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60)가 장착되며,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60)는 거의 폐쇄된 하우징(61)에 형성된 3개의 연결포트, 즉 인장 오일포트(62), 압축 오일포트(63) 및 공급 오일포트(64)를 통해 유체통로(52, 53) 및 저장실(11)과 연통된다.
도 2는 종래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60)는 하우징(61)내에 끼워지는 2개의 밸브체(70, 71)와 이 밸브체(70, 71)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의 고정부재(72, 73)를 포함하며, 밸브체(70, 71)와 고정부재(72, 73)는 너트(74)에 의해 하나의 유닛(unit)으로 연결되고, 그들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원통형의 스풀로드(80)가 위치되며, 밸브체(70, 71)는 하우징(61)의 내부를 연결포트(62, 63, 64)와 각각 연통된 3개의 유체챔버(62a, 63a, 64a)로 분할시킨다. 그리고, 스풀로드(80)에는 인장 밸브체(70)와 압축 오일포트(63) 및 압축 밸브체(71)와 공급 오일포트(64)를 연통시키는 유로(80a, 80b)가 상하부측에 각각 형성된다.
비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90)(이하, '액츄에이터'라 칭함)는 하우징(61)의 개구부측에 부착되며, 액츄에이터(90)의 작동로드(92)는 스풀로드(80)내로 삽입된다. 스풀로드(80)의 중공 내측에는 스풀(82)이 액츄에이터(90)에 의해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풀로드(80)의 선단부에는 나사식으로 플러그(84)가 맞물려 삽입된다. 스풀(82)은 플러그(84)와의 사이에 마련된 압축스프링(86)과 액츄에이터(90)의 작동로드(92) 후단부를 가압하는 압축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스풀(82)에는 스풀로드(80)에 형성된 유로(80a, 80b)를 점차적으로 개폐시키는 반원형상의 에지(82a)가 형성된다.
덧붙여, 도면부호 95는 액츄에이터(90)측에 고정되어 하우징(61)을 장착하거나 분리시키기 위한 체결너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1)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피스톤로드(30)의 압축시에는 압축챔버(4)의 오일이 피스톤(32)의 압축유로(32a)를 통해 인장챔버(3)로 이동됨과 동시에 바디밸브(40)의 압축유로(42a)를 통해 저장실(11)로 이동되면서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인장시에는 인장챔버(3)의 오일이 피스톤(32)의 인장유로(32b)를 통해 압축챔버(4)로 이동됨과 동시에 저장실(11)의 오일이 바디밸브(40)의 인장유로(42b)를 통해 압축챔버(4)로 이동되면서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감쇠력의 가변은 외부관(20)의 일측면에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60)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인장 행정시에는 액츄에이터(90)가 스풀(82)을 이동시켜 스풀로드(80)의 상부측 유로(80a)를 개방시키게 되고, 인장챔버(3) 내부의 오일이 상부측의 유체통로(52)를 통과하여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60)의 하우징(61)에 형성된 인장 오일포트(62)를 통해 유입된 후, 스풀(82)에 의해 개방된 상부측 유로(80a)를 지나 하우징(61)의 압축 오일포트(63)를 통해 하부측의 유체통로(53)로 유입된 후, 압축챔버(4)로 분출되는 방식으로 감쇠력의 가변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압축 행정시에는 액츄에이터(90)가 스풀(82)을 이동시켜 스풀로드(80)의 하부측 유로(80b)를 개방시키게 되고, 압축챔버(4) 내부의 오일이 하부측의 유체통로(53)를 통과하여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60)의 하우징(61)에 형성된 압축 오일포트(63)를 통해 유입된 후, 스풀(82)에 의해 개방된 하부측 유로(80b)를 지나 하우징(61)의 공급 오일포트(64)를 통해 저장실(11)로 분출되는 방식으로 감쇠력의 가변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1)의 제작과정에서는 우선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60)를 제작한 후에 아이피(I-P ; 전류-압력) 성능검사를 통해 양품만 외부관(20)의 일측면에 장착하여 쇽업소버(1)로 최종 제작하게 된다.
여기서, 아이피 성능검사는 입력 전류의 변화에 따른 압력(유압) 변화를 측정하여 감쇠력을 예측하는 것으로서, 입력 전류가 증대되면 액츄에이터(90)가 비례적으로 작동로드(92)를 밀어서 스풀(82)의 위치를 변화시켜 스풀(82)이 스풀로드(80)상의 유로(80a, 80b)를 막게 됨으로써 유체의 흐름이 막혀 감쇠력이 크게 발생되므로, 결국 전류 변화에 따른 압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이피 성능검사는 하우징(61)을 조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하우징(61)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지그(미도시)를 액츄에이터(90)측에 고정된 체결너트(95)를 통해 결합한 후, 유체를 지그의 포트들로 통과시킴과 동시에 지그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수공구인 렌치를 외부로부터 플러그(84)의 후단에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플러그(84)를 풀고 조여 이동시키면서 실시되는데, 플러그(84)를 이동시킨다는 것은 액츄에이터(90)의 입력 전류를 변화시키는 것과 동일한 작용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아이피 성능검사 후, 양품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지그 대신에 하우징(61)을 조립하고, 솔레노이드밸드 조립체(60)를 외부관(20)의 일측면에 장착하여 쇽업소버(1)로 최종 제작한 후, 최종적으로 감쇠력을 실제 측정하는데, 이때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이 최종 제작된 후에는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60)를 수정할 수 없어 결국 전체를 절단하여 파기처리하게 됨으로써 생산비용과 생산성의 면에서 비효율적인 점이 많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아이피 성능검사를 통해 감쇠력을 예측함으로 인해 실제 감쇠력이 안 나올 경우 다량의 불량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종 제작된 후에도 감쇠력 특성을 수정할 수 있는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감쇠력의 가변을 위해 외부관의 일측면에 장착되되, 하우징에 내장된 스풀로드의 중공 내측에 스풀이 직선이동하여 그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스풀로드의 상하부측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여 감쇠력을 변화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풀로드의 선단부에는 플러그가 나사식으로 중공 내측에 끼워져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스풀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된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하우징의 벽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렌치를 상기 플러그의 후단에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검사홀과, 상기 검사홀을 개폐시키도록 끼워지거나 빼내지는 폐쇄부재와, 상기 스풀로드의 선단부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간에 상기 검사홀보다 큰 직경의 빈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검사홀의 내주면과 상기 폐쇄부재의 외주면상에는 상호 치합되는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기하고, 그 상세설명은 생략함을 밝힌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용 지그의 별도 사용없이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60)의 조립 전후에 관계없이 언제든지 감쇠력 특성을 수정할 수 있는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플러그(84)에 대향하는 위치의 하우징(61)의 벽면을 관통하도록 검사홀(61a)이 마련되고, 이 검사홀(61a)에 끼워지거나 빼내져 검사홀(61a)을 개폐시키는 마개인 폐쇄부재(100)가 구비된다.
여기서, 검사홀(61a)의 내주면과 폐쇄부재(100)의 외주면상에는 상호 치합되는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폐쇄부재(100)의 결합시 외부측 측면상에는 폐쇄부재(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드라이버용 십자홈 등이 가공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61)을 조립한 후에도 언제든지 검사홀(61a)을 통해 외부로부터 렌치를 플러그(84)의 후단에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플러그(84)를 풀고 조여 이동시키면서 감쇠력 특성을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인장 오일포트(62)와 연통되는 가장 상부측에 형성된 유체챔버(62a)내에는 오일이 충진되고 흐르므로 검사시 검사홀(61a)을 통해 오일이 바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검사 진행을 위해 스풀로드(80)의 선단부 상면과 조립된 하우징(61)의 내측면간에는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102)가 구비되어, 검사홀(61a)보다 조금 큰 직경으로 오일이 유입되지 않는 내부 빈 공간부를 만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1)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60)에 하우징(61)을 대신하여 동일 형상의 지그를 먼저 결합하여 아이피 성능검사를 실시하고 양품인 경우에만 하우징(61)을 결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처음부터 하우징(61)을 결합한 후, 하우징(61)에 형성된 포트들(62, 63, 64)로 유체를 통과시킴과 동시에 하우징(61)의 검사홀(61a)을 통해 외부로부터 렌치를 플러그(84)의 후단에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플러그(84)를 풀고 조여 이동시키면서 아이피 성능검사를 실시하고, 양품인 경우 렌치를 빼내고 검사홀(61a)을 폐쇄부재(100)로 막은 후 해당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60)를 외부관(20)의 일측면에 장착하여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1)로 제작한다.
그리고, 쇽업소버(1)로 제작한 후에는 최종적으로 감쇠력을 실제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만약 감쇠력 특성이 불량하게 나타날 경우에는 하우징(61)의 검사홀(61a)로부터 폐쇄부재(100)를 빼내고 렌치를 다시 삽입하여 플러그(84)의 후단에 끼워 회전시킴으로써 그 감쇠력 특성을 수정하게 된다.
따라서, 아이피 성능검사에서는 합격하였으나 실제 감쇠력 측정과정에서 불량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도 간단히 감쇠력 특성을 수정할 수 있어 감쇠력 불량에 의해 파기처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절감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2차 수정을 통해 더욱 정확한 감쇠력 특성을 갖는 제품으로 제작할 수 있어 품질향상도 기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량율을 감소시켜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정확한 감쇠력 특성을 갖는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쇽업소버 3 : 인장챔버
4 : 압축챔버 10 : 내부관
11 : 저장실 20 : 외부관
30 : 피스톤로드 31 : 너트
32 : 피스톤 32a : 압축유로
32b : 인장유로 40 : 바디밸브
42a : 압축유로 42b : 인장유로
50 : 통로부재 52, 53 : 유체통로
54 : 연통홀 55 : 실링부재
60 :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61 : 하우징
61a : 검사홀 62 : 인장 오일포트
63 : 압축 오일포트 64 : 공급 오일포트
62a, 63a, 64a : 유체챔버 70 : 인장 밸브체
71 : 압축 밸브체 72, 73 : 고정부재
74 : 너트 80 : 스풀로드
80a, 80b : 유로 82 : 스풀
82a : 에지 84 : 플러그
86 : 압축스프링 90 : 비례 솔레노이드 액츄에이터
92 : 작동로드 95 : 체결너트
100 : 폐쇄부재 102 : 실링부재

Claims (2)

  1. 감쇠력의 가변을 위해 외부관의 일측면에 장착되되, 하우징에 내장된 스풀로드의 중공 내측에 스풀이 직선이동하여 그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스풀로드의 상하부측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여 감쇠력을 변화시키도록 구비되며, 상기 스풀로드의 선단부에는 플러그가 나사식으로 중공 내측에 끼워져 그 회전에 의해 상기 스풀의 위치를 변화시키도록 된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에 대향하는 위치의 상기 하우징의 벽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렌치를 상기 플러그의 후단에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검사홀과,
    상기 검사홀을 개폐시키도록 끼워지거나 빼내지는 폐쇄부재와,
    상기 스풀로드의 선단부 상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간에 상기 검사홀보다 큰 직경의 빈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홀의 내주면과 상기 폐쇄부재의 외주면상에는 상호 치합되는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KR1020040006936A 2004-02-03 2004-02-03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KR200500788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936A KR20050078861A (ko) 2004-02-03 2004-02-03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936A KR20050078861A (ko) 2004-02-03 2004-02-03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861A true KR20050078861A (ko) 2005-08-08

Family

ID=37265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936A KR20050078861A (ko) 2004-02-03 2004-02-03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88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376B1 (ko) * 2005-11-02 2007-12-11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솔레노이드 밸브
CN113474245A (zh) * 2019-03-04 2021-10-01 Kyb株式会社 缓冲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376B1 (ko) * 2005-11-02 2007-12-11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솔레노이드 밸브
CN113474245A (zh) * 2019-03-04 2021-10-01 Kyb株式会社 缓冲器
CN113474245B (zh) * 2019-03-04 2022-06-21 Kyb株式会社 缓冲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0048B2 (ja) デジタルバルブを備えたダンパー
KR910008161B1 (ko) 댐핑력이 조정가능한 유압 댐퍼
KR101639506B1 (ko) 완충기의 감쇠 밸브
US20070000743A1 (en) Adjustable damping force hydraulic shock absorber
US9915313B2 (en) Twin tube damper
JP2009085245A (ja) 油圧緩衝器の減衰力調整構造
JP5637884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KR20080094538A (ko) 유체압 완충기
CN110873144B (zh) 减震器
US9267568B2 (en) Shock absorber
CN108027006B (zh) 缓冲器
WO2013136911A1 (ja) 緩衝器の減衰バルブ
JP2006038098A (ja) 油圧緩衝器
US20190107170A1 (en) Shock absorber
US10533623B2 (en) Front fork
US6974001B2 (en) Temperature compensating gas spring
KR20050078861A (ko) 감쇠력 가변형 쇽업소버의 솔레노이드밸브 조립체
US6840357B2 (en) Hydraulic damping device
US20190120319A1 (en) Shock absorber and shock absorber manufacturing method
US7017720B2 (en) Front fork
JP2016125577A (ja) 圧力緩衝装置
US20060151270A1 (en) Hydraulic damping system for vehicle
KR20090049314A (ko) 유체봉입형 엔진 마운트
KR100558517B1 (ko) 감쇠력 조정식 쇽업소버의 플러그
WO2023181350A1 (ja) 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