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081A - Scm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Scm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081A
KR20050078081A KR1020040006192A KR20040006192A KR20050078081A KR 20050078081 A KR20050078081 A KR 20050078081A KR 1020040006192 A KR1020040006192 A KR 1020040006192A KR 20040006192 A KR20040006192 A KR 20040006192A KR 20050078081 A KR20050078081 A KR 20050078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m
cosmetic composition
skin moisturizing
skin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식
유영경
이상길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40006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8081A/ko
Publication of KR20050078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08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4Recessed bases
    • F21V21/041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 F21V21/042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 F21V21/044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 F21V21/045Moun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lse ceiling panels or partition walls made of plates using clamping means, e.g. for clamping with panel or wall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e.g. spring tongues being tensioned by translation of parts, e.g. by pushing or pul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코실트레할로스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타치 가수분해물을 피부 보습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SCM (Smart Control Moisturizer)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보습제에 비하여 현저하게 향상된 보습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자극 등 부작용이 거의 없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대습도의 변화와 무관하게 수분보유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상대습도의 변화와 무관한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SCM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for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SCM}
본 발명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SCM (Smart Control Moisturizer) 성분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대 습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피부의 보습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상대 습도에 아주 민감하며 통상적으로 상대 습도가 40-70%일 때 쾌적한 느낌을 갖는다. 상대 습도는 공기 1 m3 내에 함유된 수증기량과 같은 온도에서 포화 수증기량의 비를 %로 나타낸 값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여름철에는 습도가 높아 아주 습하며, 겨울철에는 상대 습도가 낮아 대기가 매우 건조하다. 사람의 피부 또한 계절의 변화 및 습도의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는데, 고온/다습하여 상대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불쾌감이 증가하고, 건조한 겨울철에는 상대 습도가 낮아 입술이나 피부 또한 건조해져 갈라지거나 때로는 호흡의 곤란을 느끼기도 한다. 이는 상대 습도가 높을 때는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해 끈적이게 되고, 반대로 상대 습도가 낮으면 피부의 수분이 증발해 건조해 지는 것이다. 특히, 상대 습도가 낮을 때 피부의 건조함은 당김,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여러 가지 화장료 조성물들은 피부의 건조함을 극복하기 위해 오일, 당, 폴리올 등 다양한 보습제를 이용하여 피부의 건조함을 개선하고자 노력해 왔다. 예컨대, 피부 구성성분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등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피부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을 억제하거나 피부 표면에서 수분과 결합하는 능력이 강한 당, 폴리올 등을 이용해 피부 수분 보유 능력을 강화해 피부의 보습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대습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그 효과를 오랫동안 지속시키기 어렵고, 상대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는 오히려 불쾌감을 주어 상대 습도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었다.
발명자들은 상대습도의 변화와 무관하게 수분보유력을 발휘하여 상대습도의 변화와 무관한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나타낼 수 있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특정의 당 (sugar) 성분들의 조성이 상기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 습도의 변화에 관계없이 지속적인 보습력을 부여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글리코실트레할로스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타치 가수분해물을 피부 보습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SCM (Smart Control Moisturizer)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사용된 용어 "SCM"은 Smart Control Moisturizer의 약자로서, 상대습도의 변화와 무관하게 피부 보습력을 지속시켜줄 수 있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술한 피부 보습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기의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SCM 및 SCM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상대습도에 따른 중량변화를 측정한 결과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보습제인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및 솔비톨과 비교했을 때 SCM 및 SCM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상대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수분을 적게 흡수하고, 상대습도가 낮을 경우에는 종래의 보습제보다 수분을 적게 뺏기는 특징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SCM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얇은 보호막을 형성하여 피부에서 수분의 증발을 억제하고, SCM에 함유된 피부 보습 유효성분들이 상대습도의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수분 보유 능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피부에 지속적인 보습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SCM은 피부 보습 유효성분으로서 갈락토아라비난, 콘작만난 및 라피노오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1종의 당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SCM은 유효성분으로서 글리코실트레할로스,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타치 가수분해물, 갈락토아라비난, 콘작만난 및 라피노오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SCM에 이용되는 보습 유효성분인 당은 SCM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글리코실트레할로스는,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실트레할로스, 말토실트레할로스 및 말토트리오실트레할로스의 혼합물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말토실트레할로스는 글리코실트레할로스 전체의 약 50%를 차지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타치 가수분해물 (hydrogenated starch hydrolysate)은 종래에 감미제로 이용되는 물질로서, 바람직하게는 솔비톨, 말톨, 말토트리톨, 말토테트라이톨 및 말토펜타이톨이 혼합된 당 알코올의 혼합물이다.
상기 글리코실트레할로스의 함량은 SCM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8 중량%이 바람직하고,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타치 가수분해물의 함량은 SCM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5 중량%가 바람직하며, 갈락토아라비난의 함량은 SCM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3 중량%이 바람직하고, 콘작만난의 함량은 SCM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8 중량%가 바람직하며, 라피노오스의 함량은 SCM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20 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SCM은 다양한 제형 (예: 에멀젼, 리포좀, 현탁액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에멀젼 제형을 갖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노에멀젼 제형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나노에멀젼"은 통상적인 에멀젼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평균 입자 지름이 1-200 nm인 에멀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나노에멀젼의 평균 입자 지름은 50-150 nm이다. 상기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이 150 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 즉 수분보유력 개선, 피부 보습 개선 및 보습의 지속성 개선이 미약하다.
본 발명의 SCM이 에멀젼 제형을 갖는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은 레시친, 증점제, 폴리올 및 오일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SCM에 이용되는 폴리올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칠프로판디올, 이소프렌글리콜 및 펜틸렌글리콜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리콜이다. 그 사용량은 SCM 총 중량에 대하여 10-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이다.
본 발명의 SCM의 제조에 이용되는 오일은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물유, 식물유, 에스터오일, 하이드로카본계오일 및 실리콘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스터오일이 사용된다. 오일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SCM 총 중량에 대하여 1-2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2-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SCM의 제조에 이용되는 또 다른 성분인 인지질은 양쪽 친화성 지질로 이용된 것으로서, 천연 인지질 (예:난황 레시친 또는 대두 레시친, 스핑고마이엘린) 및 합성 인지질(예: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수첨 레시친)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레시친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시친은 대두 또는 난황에서 추출한 천연 유래의 불포화 레시친 또는 포화 레시친이다. 통상적으로 천연 유래의 레시친은 포스파티딜콜린의 양이 23-95%, 그리고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의 양이 20% 이하이다. 본 발명의 SCM의 제조에 있어서, 레시친의 사용량은 총 중량에 대하여 0.5-2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8 중량% 이다.
본 발명의 SCM의 제조에 이용되는 점증제는 당업계에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폴리사카라이드 등의 점증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사카라이드가 사용된다. 그 사용량은 SCM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이다.
본 발명의 SCM의 제조에 이용되는 보존제 또한 당업계에 사용하는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SCM의 총 중량에 대하여 0.5-5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이다.
본 발명의 SCM의 제조에 이용되는 정제수는 일반적으로 탈이온화된 증류수이며, 그 사용량은 SCM 총 중량에 대하여 30-70 중량%이다.
나노에멀젼 제형을 갖는 SCM의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적용하여 제조된다.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의한 SCM의 제조는 소망하는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조건(예: 압력, 횟수 등)으로 실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0-1200 bar 압력하에서 1-5회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통과하도록하여 SCM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SCM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우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와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실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SCM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보유력이 우수하고, 이에 피부 보습 효과가 각별하며, 보습 효과의 지속성도 우수하다. 또한, 사용감도 우수하여, 사용자의 관능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각별한 효과는 상대습도의 변화와 무관하게 수분보유력을 발휘하여, 상대습도의 변화와 무관한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SCM의 제조
성 분 함량 (중량%)
SCM-1 SCM-2 SCM-3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라피노오스 10.0 3.0 1.0
콘작만난 3.0 10.0 3.0
갈락토아라비난 1.0 1.0 10.0
글리코실트레할로스/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타치 가수분해물 10.0 10.0 10.0
잔탄검 1.0 1.0 1.0
카라키난 1.0 1.0 1.0
B 옥틸도데실락테이트 5.0 5.0 5.0
글리세린 20.0 20.0 20.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수소첨가 레시틴 3.0 3.0 3.0
상기 표 1에서, 글리코실트레할로스/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타치 가수분해물은 글리코실트레할로스 47 중량%,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타치 가수분해물 27 중량%, 물 26 중량%가 함유된 혼합물이다. SCM은 상기 표 1의 조성으로 A상에 B상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습윤시킨 후 70-80℃까지 가열 혼합하였다. 이 용액을 600-1000 bar의 조건으로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2-4회 통과시킨 후 냉각하여 50-150 nm 입자 (수중유형 에멀젼) 크기의 반투명한 SCM을 얻었다.
제조예 2: 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본 발명의 SCM의 상대습도에 따른 보습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당 알코올 및 다당류를 함유하는 조성물 (제조예 1의 SCM-1, SCM-2 및 SCM-3) 및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보습제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솔비톨)와의 상대습도에 따른 보습 효과를 측정 비교하였다. 본 발명의 SCM을 포함하는 조성물 (실시예) 및 포함하지 않은 조성물 (비교실시예)을 다음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 1 비교실시예 1 비교실시예 2 비교실시예 3 비교실시예 4
A SCM-1 5.0 - - - -
글리세린 - 5.0 - - -
1,3-부틸렌글리콜 - - 5.0 - -
솔비톨 - - - 5.0 -
EDTA-2Na 0.02 0.02 0.02 0.02 0.0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B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2.0 2.0 2.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마이크로크리스탈린 0.7 0.7 0.7 0.7 0.7
스쿠알란 5.0 5.0 5.0 5.0 5.0
유동파라핀 3.0 3.0 3.0 3.0 3.0
트리옥타노인 5.0 5.0 5.0 5.0 5.0
폴리솔베이트 1.2 1.2 1.2 1.2 1.2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2 0.2 0.2 0.2 0.2
사이클로메치콘 3.0 3.0 3.0 3.0 3.0
BHT 0.05 0.05 0.05 0.05 0.05
향,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시예 2: SCM의 수보유력 (Water Holding) 평가
본 발명의 SCM-1, 2 및 3과 비교실시예 1, 2 및 3에 대하여 일정한 온도 (22℃)에 대하여 건조한 조건 (20%)과 습한 조건 (80%) 하에서의 수보유력을 측정하였다. SCM-1, 2 및 3 및 비교실시예 1, 2 및 3을 페트리 디쉬에 각 20 g을 정량한 뒤 건조한 조건과 습한 조건에 상기 물질들을 놓아두고 하루에 2회 (오전(10시), 오후(3시)) 무게를 정밀 저울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4 및 5에 나타나 있다.
건조한 조건 (습도: 20%)
구분 1일-오전 1일-오후 2일-오전 2일-오후 3일-오전 3일-오후 4일-오전 4일-오후
SCM-1 20.0037 19.2167 18.7114 18.0255 17.3619 16.9022 16.2225 15.9246
SCM-2 20.0025 19.2161 18.7102 18.1072 17.1304 16.6322 15.9864 15.7327
SCM-3 20.0010 19.2092 18.6600 18.1003 17.0926 16.5733 15.8834 15.5263
비교예1 20.0007 19.1135 18.2365 17.6851 17.0358 16.2468 15.6235 14.9654
비교예2 20.0019 19.0134 18.1302 17.3254 16.5971 16.0348 15.3954 14.3120
비교예3 20.0011 18.9654 18.0023 17.3265 16.1136 15.8964 14.9675 14.0012
습한 조건 (습도: 80%)
구분 1일-오전 1일-오후 2일-오전 2일-오후 3일-오전 3일-오후 4일-오전 4일-오후
SCM-1 19.9930 21.2047 21.2436 22.1363 22.3558 23.1800 23.3154 23.9538
SCM-2 20.0010 21.2052 21.2537 22.2103 22.4351 23.3107 23.4635 24.2038
SCM-3 19.9921 21.2063 21.2543 22.2132 22.4402 23.3221 23.4712 23.3124
비교예1 20.0031 22.0571 23.2576 24.2152 24.9743 25.3966 25.9819 26.5297
비교예2 19.9989 22.5655 22.9596 24.4009 24.5913 25.4641 25.4999 26.4975
비교예3 20.0009 21.8615 22.6854 23.5675 24.1364 24.9324 25.2357 25.9971
상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SCM-1, 2 및 3은 건조한 상태(습도 20%)에서도 다른 비교실시예 1, 2 및 3에 사용된 일반적으로 보습 효과가 좋은 다른 보습제에 비해 외부로의 수분 증발량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4에 나타난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SCM-1, 2 및 3이 비교실시예 1, 2 및 3에 비해 습도가 높은 상태에서도 외부로부터 수분을 많이 흡수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SCM-1, 2 및 3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상대습도에 따른 중량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보습제에 비해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본 발명의 제형예에서는 효과가 가장 우수한 SCM-1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SCM은 겨울철과 같은 건조하고 습도가 낮은 상태에서 피부가 쉽게 건조해 지지 않도록 피부에 일정한 수분을 유지해 줄 수 있으며, 여름철처럼 습도가 높은 계절에도 끈적임 없이 피부의 보습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2: SCM의 보습 효과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1, 2, 3 및 4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 보습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성인 남녀 100 명을 무작위로 20 명씩 5개 그룹 (A, B, C, D 및 E)으로 나눈 후, A 그룹에는 실시예 2의 에센스를, B, C ,D 및 E 그룹에는 각각 비교실시예 4, 비교실시예 5, 비교실시예 6 및 비교실시예 7의 에센스를 각각 1일 2회씩 8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보습 효과는 실사용 시험 종료 후의 개선 효과를 Corneometer CM 820 (Corage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나 있다.
SCM의 피부 보습 효과
구분 사용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사용 6주 후 사용 8주 후
실시예 1 62.2 67.6 71.6 74.3 78.9
비교실시예1 63.1 67.4 70.5 73.5 76.4
비교실시예2 63.7 66.9 69.7 72.5 75.7
비교실시예3 62.9 64.5 68.7 71.8 74.9
비교실시예4 62.8 63.2 64.2 65.6 66.1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1, 2 ,3 및 4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에 대하여 보습 효과를 측정한 결과 일반 다른 보습제를 함유한 화장료에 비하여 SCM을 함유한 화장료가 보습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SCM의 지속성 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1, 2 , 3 및 4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 보습 효과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상박에 2 x 2 cm의 크기에 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1, 2 , 3 및 4에 따라 제조된 에센스를 적용하였다. 적용 후 2시간 간격으로 8시간까지의 보습 지속성을 Corneometer CM 820 (Corage +Khazaka,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나 있다.
SCM의 지속성 효과 측정
구분 사용전 사용직후 2시간 후 4시간 후 6시간 후 8시간 후
실시예 1 51.2 84.7 75.4 64.2 60.3 57.8
비교실시예1 50.8 85.6 73.4 61.4 57.5 55.7
비교실시예2 51.3 83.4 72.2 60.3 56.6 54.3
비교실시예3 50.0 81.9 71.8 59.8 55.1 53.4
비교실시예4 51.1 75.9 69.9 56.1 53.6 52.1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1, 2, 3 및 4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에 대하여 보습 효과의 지속성을 8시간에 걸쳐 측정한 결과 일반 다른 보습제를 함유한 화장료에 비하여 SCM을 함유한 화장료가 보다 오랜 시간 보습력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SCM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성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사용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성인 남녀 20면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10명은 얼굴의 좌측에는 실시예 1를, 우측헤는 비교실시예 1을 도포하였고, 나머지 10명은 얼굴의 좌측에 비교실시예 1을, 우측에는 실시예 1을 도포한 후 도포할 때와 6시간 후의 사용성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설문 내용을 통해 측정하였다.
구분 끈적임 유연함 편안함
실시예 1 4.5 4.6 4.5
비교실시예 1 3.3 3.7 3.0
상기 표 7에서, 평가 점수는 아주 좋음(5점), 좋음(4점), 보통(3점), 나쁨(2점) 및 아주 나쁨(1점)이다.
사용성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실시예 1이 비교실시예 1에 비해 끈적임이 적고, 피부의 유연효과 및 편안함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제형예로서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및 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제형예 1: 유연 화장수
성분 함량 (중량%)
SCM-1 0.5
글리세린 6.0
1,3-부틸렌글리콜 3.0
PEG 1500 1.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에탄올 10.0
옥틱도데세스-16 0.0
폴리솔베이트 20 0.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2: 수렴 화장수
성분 함량 (중량%)
SCM-1 0.5
글리세린 2.0
1,3-부틸렌글리콜 2.0
알란토인 0.2
DL-판테놀 0.2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3.0
에탄올 15.0
폴리솔베이트 20 0.3
위치하젤 추출물 2.0
구연산 미량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3: 영양 화장수
성분 함량(중량%)
SCM-1 1.0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SE 1.5
스테아릴 알코올 1.5
라놀린 1.5
폴리솔베이트 1.3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5
경화식물유 1.0
광물유 5.0
스쿠알란 3.0
트리옥타노인 2.0
디메치콘 0.8
초산 토코페롤 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2
글리세린 5.0
1,3-부틸렌글리콜 3.0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5.0
트리에탄올 아민 0.1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4: 영양 크림
성분 함량(중량%)
SCM-1 5.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0
세테아릴 알코올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0
스쿠알란 3.0
광물유 5.0
트리옥타노인 5.0
디메치콘 1.0
글리세린 5.0
베타인 3.0
트리에탄올아민 1.0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4.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5: 마사지 크림
성분 함량(중량%)
SCM-1 5.0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5
스테아릴 알코올 1.5
스테아린산 1.0
폴리솔베이트 60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6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레이트 5.0
스쿠알란 5.0
광물유 35.0
디메치콘 0.5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2
글리세린 6.0
트리에탄올아민 0.7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6: 에센스
성분 함량(중량%)
SCM-1 5.0
글리세린 10.0
베타인 5.0
PEG 1500 2.0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0.1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8.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16 0.4
에탄올 6.0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제형예 7: 팩
성분 함량(중량%)
SCM-1 5.0
폴리비닐 알코올 15.0
셀룰로오스 검 0.15
글리세린 3.0
PEG 1500 2.0
시이크데스트린 0.15
DL-판테놀 0.4
알란토인 0.1
글리시리진산 모노암모늄 0.3
니코틴아미드 0.5
에탄올 6.0
PEG 40 경화피마자유 0.3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SCM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종래의 보습제에 비하여 현저하게 향상된 보습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고 피부 자극 등 부작용이 거의 없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대습도의 변화와 무관하게 수분보유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상대습도의 변화와 무관한 우수한 피부 보습력을 나타낼 수 있다.

Claims (7)

  1. 글리코실트레할로스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타치 가수분해물을 피부 보습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SCM (Smart Control Moisturizer)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CM은 피부 보습 유효성분으로서 갈락토아라비난, 콘작만난 및 라피노오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1종의 당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보습 유효성분의 함량은 SCM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실트레할로스의 함량은 SCM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8 중량%이고,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스타치 가수분해물의 함량은 SCM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5-5 중량%이며, 갈락토아라비난의 함량은 SCM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3 중량%이고, 콘작만난의 함량은 SCM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8 중량%이며, 라피노오스의 함량은 SCM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CM은 레시친, 증점제, 폴리올 및 오일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SCM은 나노에멀젼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40006192A 2004-01-30 2004-01-30 Scm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78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92A KR20050078081A (ko) 2004-01-30 2004-01-30 Scm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92A KR20050078081A (ko) 2004-01-30 2004-01-30 Scm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081A true KR20050078081A (ko) 2005-08-04

Family

ID=37265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192A KR20050078081A (ko) 2004-01-30 2004-01-30 Scm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80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3855A (zh) * 2019-09-17 2019-12-31 配方化妆品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氨基酸洁面慕斯及其制备方法
CN114632024A (zh) * 2022-03-11 2022-06-17 毕杰辉 含氢化淀粉水解物的清爽保湿组合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3855A (zh) * 2019-09-17 2019-12-31 配方化妆品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氨基酸洁面慕斯及其制备方法
CN114632024A (zh) * 2022-03-11 2022-06-17 毕杰辉 含氢化淀粉水解物的清爽保湿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1624B2 (ja) オレアノール酸が捕集された化粧料用ナノリポソームの製造方法
CA2624356A1 (en) Skincare products
KR20180027375A (ko)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01399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65726A (ko) 한방 생약 추출물을 배합시킨 액정 유화 베이스를 포함하는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17430B1 (ko) 진달래꽃, 사과꽃 및 함박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 및 진정 화장용 조성물
KR20200060837A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하이드로겔 화장료 조성물
KR100545836B1 (ko) 세포간 지질 성분의 나노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7663B1 (ko) 말로우추출물, 알로에베라잎추출물, 참마뿌리추출물, 오크라열매 추출물, 아미노산 및 해수를 혼합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3B1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2010B1 (ko) Mqc를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4B1 (ko) 자일리틸폴리글루코사이드, 자일리탄 및 자일리톨 혼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25553B1 (ko) 아미노 레불리닉산을 배합시킨 액정 유화 베이스를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5383A (ko) 자가발포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70093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녹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54749B1 (ko) 유성성분을 함유한 안정화된 나노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투명 화장료 조성물
KR101155807B1 (ko)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605324B1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58628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소루쟁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0844B1 (ko) 아마씨 점액 또는 점액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134758A (ko) 올리고 펩타이드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피부진정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78081A (ko) Scm을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01341B1 (ko) 신규한 불투명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62137A (ko) 용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