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146A - 단축한자입력코드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축한자입력코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146A
KR20050076146A KR1020040003967A KR20040003967A KR20050076146A KR 20050076146 A KR20050076146 A KR 20050076146A KR 1020040003967 A KR1020040003967 A KR 1020040003967A KR 20040003967 A KR20040003967 A KR 20040003967A KR 20050076146 A KR20050076146 A KR 20050076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chinese
characters
chinese charact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선
Original Assignee
김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선 filed Critical 김용선
Priority to KR1020040003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6146A/ko
Publication of KR20050076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14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휴대폰, 리모컨 등 정보통신기기들의 한자입력을 사용하기 쉽도록 된 키보드와 별도의 디스플레이창에 입력하는 과정에 따라 미리 완성되어지는 과정의 순차적인 한자를 디스플레이부에 보여줌으로 사용자가 키보드 자판의 입력과 디스플레이부에 별도의 창으로 나타나는 예상한자의 부분으로 조합된 부분획순진행 자형들이 미리 별도의 창에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의 선택을 획순에 따라 반복하여 쉽게 한자의 입력을 이울 수 있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한자입력코드시스템

Description

단축한자입력코드시스템{the reduction Chinese character code system}
컴퓨터나 휴대폰 등에 있어서 한자의 입력은 디지털시대에 걸맞는 발전을 이루지 못하였다, 컴퓨터와 휴대폰 등 정보통신 기기의 발달에 맞는 한글과 같은 속도와 간편함이 한자에서는 제공되지 못하여 부득이 먼저 발음대로 영어 알파벳으로 입력하고 그에 해당하는 한자를 검색하여 변환하는 원시적인 방법이 거의 대부분 지금까지의 정보통신기기 한자 입력방법이며 기본 자형을 만들어 키보드에 대응 위치 시킬때에도 한자의 생성이 어려워 글자의 수는 많고 자판의 키보드는 한정된 어려움이 많으며 키보드 자판의 수가 적은 휴대폰에 있어서는 그 불편함이 심각하여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불편을 크게 발전시키고자 본 발명 단축한자입력코드시스템은 각 한자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기본 자형을 최소한의 수로 간편하게 구성, 컴퓨터 또는 휴대폰 등 각 통신기기들의 입력부 키보드 자판에 대응시키고 사용자가 이 키보드 자판을 이용 한자를 입력시입력되는 기본 문자기호에따라 시스템 하드 중앙처리부에 입력된 예상한자가 획순에 의거 디스플레이화면의 별도의 창에 나타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는 획순에 따라 입력시마다 별도의 창에 예상한자의 부분으로 조합된 부분획순진행 자형들이 나타나도록 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한자의 입력의 번거로움에서 벗어나고 키보드 선택의 간편함으로 어려운 한자 입력방법을 단순화 시킬수 있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이울 수 있도록 된 단축한자입력코드시스템
본 발명의 구성은 컴퓨터, 휴대폰, 리모컨 등 정보통신기기들의 한자입력을 사용하기 쉽도록 된 수단과 방법의 제공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한자입력코드시스템으로 한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된 자형이 구성된 키보드 자판의 입력부와, 입력된 자판의 문자를 처리하는 컴퓨터시스템 중앙처리부와 이 중앙처리부에서 받은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며, 입력부에 있어서 휴대폰 또는 컴퓨터의 키보드 등 한자를 입력하는 키보드에 있어서 한자의 기본이 되는 자형을 도 1과 같은 기본 자형을 자판에 구성 배치하되 키보드의 자판의 구성 형편에 맞게 구성 배치한다, 즉 자판의 키보드가 휴대폰과 같은 10개정도의 한정된 자판이라면 도 2와 같이 구성하고 그 이상의 키보드라면 도 1, 도 3의 내용을 키보드의 수효에 맞게 적절히 배치 구성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편리하고 빠른 한자의 입력의 수단을 제공함에 있어서 중앙처리시스템에는 한자의 획순에 의한 부분 완성 자형들을 갖추고, 즉 모든 한자들은 획순에 의하여 한자의 글자를 완성하여 만들어지는데 이 만들어지는 부분들이 시스템 중앙처리부에 기록되어 저장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키보드 자판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과정에 따라 미리 완성되어지는 과정의 순차적인 한자를 디스플레이부에 보여줌으로 사용자가 키보드 자판의 입력과 디스플레이부에 별도의 창으로 나타나는 예상한자의 부분으로 조합된 부분획순진행 자형들이 미리 별도의 창에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의 선택을 획순에 따라 반복하여 쉽게 한자의 입력을 이울 수 있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선비 사(士)자를 입력하려고 한다면 사용자는 키보드 자판에서 3번의 획순에 의해서 한자를 완성하는데 사용자가 먼저 첫번째 획순인 한일(一)자를 키보드 자판에서 선택하여 쓰고 이어서 2번째 획순인 부수 뚫을 곤(ㅣ)을 쓸때 키보드에서 (ㅣ)에 해당되는 자판을 누르면 1번획과 2번획으로 이루어지는 예상 한자들의 부분으로 조합된 부분획순진행 자형들이 미리 별도의 창에 디스플레이 되어 나타나게 되고, 디스플레이된 부분획순 자형들중 선비 사(士)의 부분획순진행 자형인 열 십(十)자 자형을 사용자는 선택하게 되고 이어서 다시 3번째 획순인 한일(一)자 키보드 자판을 누르면 완성된 한자들과 부분획순 자형들이 역시 별도의 창에 나타나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번에는 지금까지 완성한 十자의 부분 자형에 一자형을 추가하여 만들 수 있는 한자의 부분진행 자형 및 완성돤 한자, 즉 선비 사(士), 흙 토(土), 등이 나타나며 이중에서 사용자는 선비 사(士)자를 선택하며 이어서 완료 키보드 자판, 앤터키나 쉬프트키 등 컴퓨터 중앙처리부에 프로그램된 완료키를 누름으로 더 이상의 진행 없이 글자의 완성이 이루어짐을 중앙처리부에 신호하여 목적한 한자 선비 사(士)자의 쓰기가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되도록 되어 한자 선비 사(士)자의 입력의 목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口라는 한자를 입력 표현하고 싶다면 어떻게 할것인가를 진행순서에 따라 설명한다면
1. 디스플레이 화면 문자 입력지점의 커서가 입력창에서 깜박인다.
2. 획순에 따라 ㅣ에 해당되는 키보드 자판을 누른다.
3. 시스템중앙부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ㅣ가 표현 입력되게 하여 화면에 ㅣ가 입력 표현된다.
4. 획순에 따라 ㄱ에 해당되는 키보드 자판을 누른다.
5. 시스템중앙부는 ㅣ와 ㄱ이 더하여저 만들어질 수 있는 한자들을 문자 입력지점의 부근의 별도의 창에 보여준다, 즉 ㅣ과 ㄱ으로 만들어지는 입력 예상 문자 자형들이 보여지게 되고 사용자는 口의 획순에 따라 해당되는 자형을 선택하게되고,
6. 시스템중앙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진행자형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현입력되게 하여 ㅣ가 표현되었던 자리는 변하여 口의 2번째 획순이 첨가된 부분완성자형이 표현되게 된다.
7. 다음 획순에 따라 ㅡ에 해당되는 키보드 자판을 누른다.
8. 시스템중앙부는 7번 순서에서 보여줬던 부분자형에 더하여 만들어질 예상문자 자형을 5번 순서처럼 문자입력지점의 별도의 창에 보여준다, 즉 입력예상 부분자형문자와 완성된 자형들이 보여지게 되고 사용자는 입력 표현하고자 했던 문자인 한자 口를 선택하게 된다.
9. 시스템중앙부는 선택된 한자를 입력지점에 표현하게 되고
10. 사용자는 글자의 입력이 완성되었음을 완료키를 누름으로 시스템중앙부에 알려준다.
상기 10항에서 처럼 완료키는 컴퓨터의 enter나 shift 키버튼 또는 휴대폰의 *, # 확인등의 키로서 문자완성의 구분을 짓도록 시스템중앙부에 프로그램된 키이며 완료키를 사용하여 연속되는 문자와 완성된문자의 구분을 시스템중앙부가 인식할 수 있도록 된키를 말하며 이와같이 본 발명의 수단은 한자의 획순에 의한 완성진행 부분 글자들이 시스템 중앙처리부에 저장되고 사용자의 획순에 의한 키보드 자판의 누름에 따라 이에 해당되는 예상 자형들을 디스플레이부에 나타내되 획순에 의한 순차적인 글자들을 보여주도록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부분 또는 완성된 글자들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현되어 사용자가 이루고자한 한자를 입력 표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판 표기에 관해서는 도 2에 표기된 문자외에 문자들은 자판의 키보드를 누를때 연관된 문자로 별도의 창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되거나 아예 도 1처럼 번호 하나의 자판에 여러개의 문자를 기입하여 쓰는 방법등이 있을 수 있도록 된 특징이 있다.
한자는 뜻글자로서 사용이 불편함은 이미 설명이 필요 없으며 그 사용의 필연성으로 빠르고 쉬운 방법이 요구되었으며 본 발명으로 이제 한자의 입력방법이 쉽고 편리하여 휴대폰, 컴퓨터, TV등 각종 정보통신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여 중국을 비롯 한국 일본 등 아시아권 국가들의 커뮤니케이션에 큰 발전을 이룰 수 있을것으로 사료됨.
도 1 : 도 1은 모든 한자를 표현할 수 있는 한자의 기본 자형이라 할 수 있는 한자로 구성 되어 있으며 10개의 숫자에 연관된 비슷한 자형끼리 대응 위치 시킨것이며 이 기본 자형으로 모든 한자를 표현되게 할 수 있음.
도 2 : 도 2는 휴대폰 자판에 위치시킨 자형의 도면이며 10개의 자판 키보드에 간단한 기본 자형들로 고정 위치시킨 도면임.
도 3 : 도 3은 컴퓨터 자판 키보드와 같은 10개 이상의 키보드 자판에 위치 시킬 수 있는 기본 자형들로서 도 1 또는 도 2 보다 자형이 더 많으나 보다 편리하게 한자를 타이핑 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되는 컴퓨터의 키보드 자판의 수효보다는 적으므로 무난히 키보드에 위치 시킬 수 있으며 키보드상 위치 장소는 키보드의 형편에 따라 또는 사용환경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도록 된 특징이 있다.

Claims (3)

  1. 컴퓨터 및 통신 등의 한자입력 수단과 방법에 있어서 도 1과 같은 기본 문자를 한자의 입력 수단의 기초 형성 문자로 키보드에 표기, 한자표현의 수단과 방법으로 사용하도록 된 단축한자입력시스템
  2. 키보드로 한자를 입력시 디스플레이창에 별도의 창으로 획순에 따른 예상 한자들의 부분으로 완성된 부분획순진행 자형들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게 되어 이를 사용자의 선택으로 한자입력의 순차적 진행을 순차적으로 완성시켜 한자입력의 목적을 이루도록 시스템 중앙부에 프로그램 구성되어 설치되어 사용자의 키보드 입력으로 한자입력의 목적을 이루도록 된 단축한자입력시스템
  3. 컴퓨터를 비롯 휴대폰 및 리모컨 등의 한자입력 수단과 방법에 있어서 도 2와 같은 한정된 소형 자판의 경우 도 2에 구성된 기본 문자를 한자의 입력 수단의 기초 형성 문자로 키보드에 표기, 한자표현의 수단과 방법으로 사용하도록 된 단축한자입력시스템
KR1020040003967A 2004-01-19 2004-01-19 단축한자입력코드시스템 KR20050076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967A KR20050076146A (ko) 2004-01-19 2004-01-19 단축한자입력코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967A KR20050076146A (ko) 2004-01-19 2004-01-19 단축한자입력코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146A true KR20050076146A (ko) 2005-07-26

Family

ID=37264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967A KR20050076146A (ko) 2004-01-19 2004-01-19 단축한자입력코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614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444B1 (ko) * 2005-12-15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CN102893588A (zh) * 2010-02-23 2013-01-23 朴泰运 9键中文输入方法
WO2016085156A1 (ko) * 2014-11-24 2016-06-02 주식회사 베네디아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444B1 (ko) * 2005-12-15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한자 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CN102893588A (zh) * 2010-02-23 2013-01-23 朴泰运 9键中文输入方法
WO2016085156A1 (ko) * 2014-11-24 2016-06-02 주식회사 베네디아 한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10248220B2 (en) 2014-11-24 2019-04-02 Benede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inese character inp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4190B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KR20120006976A (ko) 데이타입력시스템
KR20090103450A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RU2400800C2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способ ввода путем расположения координат "x, y"
CA3036940A1 (en) Device with character input user interface
CN102566934A (zh) 触摸屏划屏自动筛选输入法
EP13552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1808774B1 (ko) 가상 키보드 구조, 가상 키패드 기반 문자 입력 방법, 이를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2422621B (zh)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KR20050076146A (ko) 단축한자입력코드시스템
CN105786383A (zh) 一种触摸屏的输入方法
KR20010059872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517029B1 (ko)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KR10066145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파벳 입력 시스템
KR100592154B1 (ko) 한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750634B1 (ko) 한자 입출력 장치
KR101921586B1 (ko)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KR100617311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958468B1 (ko) 한/영 문자 및 숫자 입력 방법
KR20200081718A (ko) 홀로그램 기반의 문자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KR100365017B1 (ko) 단축한글조합방법 및 장치
KR101987793B1 (ko) 올인원방식에 의한 정보통신기기의 문자 입력장치
KR100709309B1 (ko) 한글 자음 입력장치
KR200203795Y1 (ko) 단축한글조합 장치
KR1003720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