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091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091B1
KR100372091B1 KR10-2000-0043236A KR20000043236A KR100372091B1 KR 100372091 B1 KR100372091 B1 KR 100372091B1 KR 20000043236 A KR20000043236 A KR 20000043236A KR 100372091 B1 KR100372091 B1 KR 100372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onsonants
vowel
hangul
cl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780A (ko
Inventor
박만규
박만서
Original Assignee
박만규
박만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만규, 박만서 filed Critical 박만규
Priority to KR10-2000-004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091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입력시스템의 키보드 조합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상의 한글입력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한글 자판배열을 '클릭', '더블클릭', '길게누름'의 3가지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1자소 1회 입력'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한글입력 시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Apparatus for inputting Korean Language for mobile phone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상의 한글입력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한글 자판배열을 쉽게 구성하고 입력방식을 단순화하므로써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한글입력 시간을 매우 단축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입력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입력방식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어왔다.
첫째는 자소의 해체 방식으로, 삼성의 '천지인'이나 LG정보통신의 '나랏글2000' 등이 이를 채용하고 있으며, 이 방식은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을 더 작은 기본 모양 단위로 해체하여 이들을 조합하여 표시하는 방식이다.
도 3 은 '천지인'의 키보드 조합을 나타낸 평면도로, '천지인'은 모든 모음을 천(·), 지(ㅡ), 인(ㅣ)의 조합으로 구성한 것이다.
예를 들어 모음 'ㅏ'는 'ㅣ'와 '·'의 조합으로, 'ㅑ'는 'ㅣ', '·' 및 '·'의 조합으로, 'ㅙ'는 '·', 'ㅡ', 'ㅣ', '·' 및 'ㅣ'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자음은 하나의 키에 2개씩 배열하여 클릭과 더블 클릭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는 연속해서 3번 클릭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랏글2000'(도면도시 생략)은 'ㄱ', 'ㄴ', 'ㄹ', 'ㅁ', 'ㅅ', 'ㅇ'을 기본자음하고, '덧쓰기' 기능에 의해 모든 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모음 'ㄷ'은 'ㄴ'과 '덧쓰기'의 조합으로, 'ㅈ'은 'ㅅ'과 '덧쓰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ㅋ', 'ㅌ', 'ㅊ, 'ㅍ'의 격음도 평음에 '덧쓰기'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ㄴ'에 '덧쓰기'를 조합하여 'ㄷ'을 만든뒤 다시 '덧쓰기'를 조합하여 'ㅌ'을 만들게 된다.
'ㅑ', 'ㅕ', 'ㅛ', 'ㅠ' 등의 중모음은 'ㅏ', 'ㅓ', 'ㅗ', 'ㅜ'에 '나란히' 기능을 조합하여 구성한다.
둘째는 좌표 방식으로, 현대전자의 '걸리버', SK텔레텍의 '스카이' 등의 이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 방식은 액정화면에 입력하려는 자모를 띄워 좌우 이동키로 커서를 움직여 선택하는 방식이다.
셋째는 연속누르기 방식으로, LG정보통신의 '사이언'구형 모델, 모토로라의 '스타택' 등이 이를 채용하고 있으며, 이 방식은 하나의 키에 2∼3개의 자음 및 모음을 배치해 키를 1∼5회 누르는 횟수에 따라 입력할 자음이나 모음이 표시되도록 한 방식이다.
상기한 종래의 방식들은 한글 한글자를 표시하는데 소요되는 평균 키입력 횟수가 대단히 많아(특히, 경자음과 복모음 입력시) 한글 문자를 표시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또한 불편함이 많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클릭', '더블클릭', '길게누름'의 3가지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1자소 1회 입력'을 실현할 수 있어 입력방식이 최대한 간편하고 입력 속도 및 시간이 빠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입력시스템의 키보드 조합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키보드 조합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키보드 조합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종래의 '천지인'의 키보드 조합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 1 한글입력키 2, 2' : 제 2 한글입력키
3 : 제 3 한글입력키 4, 4' : 제 4 한글입력키
5 : 제 5 한글입력키 6 : 제 6 한글입력키
7 : 제 7 한글입력키 8 : 제 9 한글입력키
9 : 제 9 한글입력키 10 : 제 10 한글입력키
9 : 제 9 한글입력키 10 : 제 10 한글입력키
11' : 제 11 한글입력키 12' : 제 12 한글입력키
20 : 지우기키 30 : 띄우기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각각이 하나 혹은 복수의 자음과, 모음이 동일 자판에 표기된 다수의 키와, 상기 키의 누름을 순차적으로 인식하여 해당 한글코드를 출력하는 한글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가 적어도 'ㅎ', 'ㅋ'이 표기된 키 각각에 'ㅓ'와 'ㅣ' 중의 하나가 같이 표기되고, 이들 키 각각이 'ㅗ'와 'ㅜ'가 배치된 키와 이격된 상이한 키에 배치되어 표기되며, 상기 한글처리부가하나의 음절을 초성, 중성, 종성의 순서로 인식하되, 한번 클릭과 더블클릭에 의해 표기된 복수개의 자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초성 입력 단계와, 한번 클릭과 더블클릭에 의해 표기된 모음 또는 그와 관련 모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중성 입력단계와, 한번 클릭과 더블클릭에 의해 표기된 복수개의 자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종성 입력 단계를 처리하되, 상기 초성 입력 단계, 중성 입력 단계, 종성 입력 단계의 각각에서 마지막 키 누름을 길게 할 경우 음절을 완성하여 그 음절에 해당하는 한글 코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유리한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클릭과 더블클릭에 의해 복수의 자음 또는 복수의 모음을 구별 입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한글이 'ㅗ'와 'ㅜ' 다음에 종성으로 'ㅎ'과 'ㅋ'이 오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ㅎ'과 'ㅋ'에 'ㅗ'와 'ㅜ' 다음에 복모음을 형성하기 위하여 연이어 입력되는 'ㅣ'와 'ㅓ'를 동일한 키에 포함시켜 복모음을 위해 입력되는 키가 종성 자음과 혼동되지 않도록 처리하였다.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는 상기 다수의 키가 동일키에 표기된 복수의 자음이 평소리와 된소리의 관계에 있고, 동일키에 의해 인식되는 복수의 모음이 기본모음과 중모음의 관계에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키들을 기억하기 쉽게 된다.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도 1 은 본 발명의 한글입력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의 키보드 조합을 나타낸 평면도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키보드 조합은 자음 'ㄱ', 경자음 'ㄲ'과 복모음 'ㅙ'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한글입력키(1)와; 자음 'ㄴ', 'ㄹ'과 모음 'ㅗ'와 중모음 'ㅛ'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한글입력키(2)와; 자음 'ㅍ', 'ㅌ'와 복모음 'ㅘ'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한글입력키(3)와; 자음 'ㅎ', 'ㅁ'과 모음 'ㅓ'와 중모음 'ㅕ'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4 한글입력키(4)와; 자음 'ㅂ', 경자음 'ㅃ'과 모음 'ㅡ'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5 한글입력키(5)와; 자음 'ㅅ', 경자음 'ㅆ'과 모음 'ㅏ'와 중모음 'ㅑ'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6 한글입력키(6)와; 자음 'ㅇ'과 모음 'ㅔ' 및 중모음 'ㅖ'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7 한글입력키(7)와; 자음 'ㅈ', 경자음 'ㅉ'과 모음 'ㅜ'와 중모음 'ㅠ'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8 한글입력키(8)와; 자음 'ㄷ', 경자음 'ㄸ'과 모음 'ㅐ'와 중모음 'ㅒ'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9 한글입력키(9)와; 자음 'ㅋ', 'ㅊ'과 모음 'ㅣ'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10 한글입력키(10)와; 복모음 'ㅞ'가 배치되어 있는 *키(11)와; 한칸을 띄우기 위한 띄우기키(20)와 자소 하나를 지우기 위한 지우기키(30)로 구성된다.
한글은 음절 문자이다. 즉, 한글은 영어 등과는 달리 자소를 음절단위로 묶어서 표현하는 언어체계이다.
한 음절은 '초성+중성' 또는 '초성+중성+종성'으로 이루어진다. 한글은 초성, 종성은 항상 자음이 쓰이며, 중성은 항상 모음이 쓰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초성에는 항상 자음이, 중성에는 항상 모음이, 종성에는 항상 자음이 오는 특성 때문에 한글입력시스템에서는 동일한 키에 자음과 모음을 배치해도 글자의 조합시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복모음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다.
복모음의 경우에는 종성에 쓰이는 자음이 상당히 한정적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이 종성으로 쓰이지 않는 자음이 배치된 키상에 같이 모음을 배치함으로써 복모음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한글입력 동작에 대해 설명해 본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에 의해 한글입력상태가 되면 제 1 단계 입력상태가 된다.
제 1 단계 입력상태에서는 키입력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모듈된 프로그램에 의해 항상 자음으로 인식된다.
즉, 제 1 한글입력키(1)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ㄱ', 더블클릭하면 'ㄲ'으로, 제 2 한글입력키(2)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ㄴ', 더블클릭하면 'ㄹ'으로, 제 3 한글입력키(3)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ㅍ', 더블클릭하면 'ㅌ'으로, 제 4 한글입력키(4)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ㅎ', 더블클릭하면 'ㅁ'으로, 제 5 한글입력키(5)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ㅂ', 더블클릭하면 'ㅃ'으로, 제 6 한글입력키(6)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ㅅ', 더블클릭하면 'ㅆ'으로, 제 7 한글입력키(7)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 더블클릭 모두 'ㅇ'으로, 제 8 한글입력키(8)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ㅈ', 더블클릭하면 'ㅉ'으로, 제 9 한글입력키(9)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ㄷ', 더블클릭하면 'ㄸ'으로, 제 10 한글입력키(10)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ㅋ', 더블클릭하면 'ㅊ'으로 인식된다.
한 자소의 입력이 끝나면 1단계 입력을 종결하고, 2단계 입력 준비상태로 전환한다.
제 2 단계 입력상태에서는 키입력이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모듈된 프로그램에 의해 항상 모음으로 인식된다.
즉, 제 1 한글입력키(1)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 더블클릭 모두 'ㅙ'로, 제 2 한글입력키(2)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ㅗ', 더블클릭하면 'ㅛ'로, 제 3 한글입력키(3)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 더블클릭 모두 'ㅘ'로, 제 4 한글입력키(4)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ㅓ', 더블클릭하면 'ㅕ'로, 제 5 한글입력키(5)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 더블클릭 모두 'ㅡ'로, 제 6 한글입력키(6)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ㅏ', 더블클릭하면 'ㅑ'로, 제 7 한글입력키(7)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ㅔ', 더블클릭하면 'ㅖ'로, 제 8 한글입력키(8)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ㅜ', 더블클릭하면 'ㅠ'로, 제 9 한글입력키(9)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ㅐ', 더블클릭하면 'ㅒ'로, 제 10 한글입력키(10)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 더블클릭 모두 'ㅣ'로, 제 11 한글입력키(11)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 더블클릭 모두 'ㅞ'로 인식된다.
한 자소의 입력이 끝나면 3단계 입력 준비상태로 전환한다.
단,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복모음을 형성한 뒤 3단계 입력 준비상태로 전환한다.
'ㅗ' 입력후 제 10 한글입력키(10)를 클릭하면 모음 'ㅣ'로 인식되어 복모음 'ㅚ'가 만들어진다.
'ㅜ' 입력후 제 4 한글입력키(4)를 클릭하면 모음 'ㅓ', 제 10 한글입력키(10)을 클릭하면 모음 'ㅣ'로 인식되어 각각 복모음 'ㅝ'와 'ㅟ'가 만들어진다.
'ㅡ' 입력후 제 10 한글입력키(10)를 클릭하면 모음 'ㅣ'로 인식되어 복모음 'ㅢ'가 만들어진다.
받침이 없는 글자의 경우 제 2 단계입력에서 키조합이 종결되고, 받침이 있을 경우에는 제 3 단계 입력상태가 된다.
제 3 단계 입력상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모듈된 프로그램에 의해 항상 자음으로 인식된다.
즉, 제 1 한글입력키(1)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ㄱ', 더블클릭하면 'ㄲ'으로, 제 2 한글입력키(2)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ㄴ', 더블클릭하면 'ㄹ'으로, 제 3 한글입력키(3)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ㅍ', 더블클릭하면 'ㅌ'으로, 제 4 한글입력키(4)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ㅎ', 더블클릭하면 'ㅁ'으로, 제 5 한글입력키(5)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ㅂ', 더블클릭하면 'ㅃ'으로, 제 6 한글입력키(6)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ㅅ', 더블클릭하면 'ㅆ'으로, 제 7 한글입력키(7)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 더블클릭 모두 'ㅇ'으로, 제 8 한글입력키(8)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 더블클릭 모두 'ㅈ'으로, 제 9 한글입력키(9)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 더블클릭 모두 'ㄷ'으로, 제 10 한글입력키(10)의 경우에는 한번 클릭하면 'ㅋ', 더블클릭하면 'ㅊ'으로 인식된다.
한 자소의 입력이 끝나면 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음절을 종결하여 1단계입력 준비상태로 전환한다.
'ㄱ' 입력 후 'ㅅ'이 입력되면, 'ㄳ'을 형성하고 음절을 종결하여 1단계입력 준비상태로 전환한다.
'ㄴ' 입력 후 'ㅈ', 'ㅎ'이 입력되면, 각각 'ㄵ', 'ㄶ'을 형성하고 음절을 종결하여 1단계입력 준비상태로 전환한다.
'ㄹ' 입력 후 'ㄱ', 'ㅁ', 'ㅂ', 'ㅅ', 'ㅌ', 'ㅍ', 'ㅎ'가 입력되면, 각각 'ㄺ', 'ㄻ', 'ㄼ', 'ㄽ', 'ㄾ', 'ㄿ', 'ㅀ'을 형성하고 음절을 종결하여 1단계입력 준비상태로 전환한다.
'ㅂ' 입력 후 'ㅅ'이 입력되면, 'ㅄ'을 형성하고 음절을 종결하여 1단계입력 준비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제 3 단계 입력상태에서 'ㄳ', 'ㄵ', 'ㄶ', 'ㄺ', 'ㄻ', 'ㄼ', 'ㄽ', 'ㄾ', 'ㄿ', 'ㅀ', 'ㅄ'의 경우 두 자음을 연속하여 누르는 방식 대신, 첫 자음과 둘째 자음 사이에 [결합]키(또는 '*'키)를 눌러서 글자를 조합할 수 도 있다. 이 경우 '*'키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결합키(도면도시 생략)를 설정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항상 적용되는 규칙을 가지고 있다. 이 규칙들은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의 프로그램 모듈에 의해 구현된다.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모듈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첫째는 자음 'ㄱ', 'ㄷ', 'ㅂ', 'ㅅ', 'ㅈ'이 배치된 키를 더블클릭하면 각각 경자음 'ㄲ', 'ㄸ', 'ㅃ', 'ㅆ', 'ㅉ'이 입력된다.
둘째는 모음 'ㅏ', 'ㅓ', 'ㅗ', 'ㅜ', 'ㅐ', 'ㅔ'가 배치된 키를 더블 클릭하면 각각 중모음 'ㅑ', 'ㅕ', 'ㅛ', 'ㅠ', 'ㅒ', 'ㅖ'가 입력된다.
셋째는 상기한 각 단계에서 어떤 키든지 길게, 즉 일정시간(예컨대 0.3~0.5초) 이상 누르고 있으면 그 음절을 종료하고 다시 제 1 단계 입력상태로 전환한다.
네째는 상기한 각 단계에서 자소 입력 후 띄우기키(30) 클릭시에는 음절 종결이 이루어지고 제 1 단계 입력상태로 전환한다.
다섯째는 1단계 입력상태(즉 최초 한글 입력상태나 음절 종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띄우기키(30) 클릭시에는 한 칸을 띄운다.
여섯째는 더블클릭시 두번째 클릭을 길게하면 음절종결되어 제 1 단계 입력상태로 전환한다.
일곱째는 지우기키(20) 클릭시에는 직전에 입력된 자소를 지운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제 4 한글입력키(4)에 'ㅎ'과 'ㅓ'를, 제 10 한글입력키(10)에 'ㅋ'과 'ㅣ'을 각각 같이 배열함으로써 복모음의 입력을 최대한 간편하게 한 것에 기술적 요부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하려고 하는 자소가 배당되어 있는 키를 누를때 자음과 모음 사이의 선택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자음과 모음사이의 변환시 키를 더 누른다거나 하는 등의 불필요한 작업들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글입력과정을 이하 설명해 본다.
예를 들어 '국'자를 압력하고자 할때는 제 1 한글입력버튼(1)을 한번 클릭하여 'ㄱ'을 입력하고, 제 8 한글입력버튼(8)을 한번 클릭하여 'ㅜ'를 입력하고, 제 1 한글입력버튼(1)을 한번 클릭하여 'ㄱ'을 입력하면 된다.
'값'자의 입력시 제 1 한글입력버튼(1)을 한번 클릭하여 'ㄱ'을 입력하고, 제 6 한글입력버튼(6)을 한번 클릭하여 'ㅏ'를 입력하고, 제 5 한글입력버튼(5)을 한번 클릭하여 'ㅂ'을 입력하고, 제 6 한글입력버튼(6)을 한번 클릭하여 'ㅅ'을 입력하면 된다.
위의 예시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에서 설명한 자음과 모음사이의 변환이 기타 불필요한 작업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을 잘 알 수 있다.
이하. 표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입력과정을 비교해 본다.
'예쁘다'의 입력과정
본 발명 천지인 나랏글2000
ㅇ (제 7 한글입력키 클릭)ㅖ (제 7 한글입력키 길게 더블클릭)ㅃ (제 5 한글입력키 더블클릭)ㅡ (제 5 한글입력키 길게 클릭)ㄷ (제 9 한글입력키 클릭)ㅏ (제 6 한글입력키 길게 클릭) ㅇ 키 클릭· 더블클릭ㅣ 키 클릭ㅣ 키 클릭ㅂ/ㅍ 키 세번 클릭ㅡ 키 클릭ㄷ/ㅌ 키 클릭ㅣ 키 클릭· 키 클릭 ㅇ 키 클릭'ㅏ/ㅓ' 키 더블 클릭나란히ㅡ/ㅣ 키 클릭ㅁ 키 클릭덧쓰기나란히ㅡ 키 클릭ㄴ 키 클릭덧쓰기ㅏ 키 클릭
'예쁘다'의 입력시 표 1 에 표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6번의 키입력, '천지인'의 경우 9번의 키입력, 나랏글2000의 경우 11번의 키입력 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본 발명의 키입력 과정은 종래에 비해 매우 단축된 것을 알 수 있다.
'죄와벌'의 입력과정
본 발명 천지인 나랏글2000
ㅈ (제 8 한글입력키 클릭)ㅗ (제 2 한글입력키 클릭)ㅣ (제 10 한글입력키 (길게) 클릭)ㅇ (제 7 한글입력키 클릭)ㅘ (제 3 한글입력키 (길게) 클릭)ㅂ (제 5 한글입력키 클릭)ㅓ (제 4 한글입력키 클릭)ㄹ (제 2 한글 입력키 (길게) 더블클릭) ㅈ/ㅊ 키 클릭· 키 클릭ㅡ 키 클릭ㅣ 키 클릭ㅇ 키 클릭· 키 클릭ㅡ 키 클릭ㅣ 키클릭· 키 클릭ㅂ/ㅍ 키 클릭· 키 클릭ㅣ 키 클릭ㄴ/ㄹ 키 더블클릭 ㅅ 키 클릭덧쓰기ㅗ/ㅜ 키 클릭ㅡ/ㅣ 키 클릭ㅇ 키 클릭ㅗ/ㅜ 키 클릭ㅏ/ㅓ 키 클릭ㅁ 키 클릭덧쓰기ㅏ/ㅓ 키 더블클릭ㄹ 키 클릭
'죄와벌'의 입력시 표 2 에 표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8번의 키입력, '천지인'의 경우 13번의 키입력, 나랏글2000의 경우 11번의 키입력 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역시 본 발명의 키입력 과정은 종래에 비해 매우 단축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키보드 조합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 1 과는 자음 'ㄴ'과 모음 'ㅗ'와 중모음 'ㅛ'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한글입력키(2')와; 자음 'ㅎ'과 모음 'ㅓ'와 중모음 'ㅕ'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4 한글입력키(4')와; 자음 'ㅁ'이 배치된 제 11 한글입력키(11')와; 자음 'ㄹ'이 배치된 제 12 한글입력키(12)를 구비한다는 점이 다르다.
도 2 의 실시예에서 제시한 키 조합 역시 도 1 의 실시예에서 제시한 키 조합의 키조작 및 적용 규칙을 그대로 따른다.
단지, 차이점이라면 키가 2개(제 11 한글입력키, 제 12 한글입력키) 늘어난 대신 키입력 과정이 좀더 단축되는 차이만 있다.
즉, 도 1 의 제 2 한글 입력키(2)와 제 4 한글입력키(4)에서 'ㄹ'과 'ㅁ'을 입력하기 위해선 더블클릭을 해야하나, 도 2 의 경우에는 키가 도 1 에 비해 2개 늘어나는 단점은 있지만 'ㄹ'과 'ㅁ'을 입력할 때 각각 제 11 한글입력키(11)를 통해서는 한번의 클릭으로 'ㅁ'을 입력할 수 있고, 제 12 한글입력키(12)를 통해서는 한번의 클릭으로 'ㄹ'을 입력할 수 있어 키입력 과정이 도 1 실시예에 비해 좀더 단축된다.
본 발명 한글입력 시스템의 키보드 조합은 개인용 컴퓨터(PC)의 키보드 우측에 배열되어 있는 숫자판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이렇게 개인용 컴퓨터(PC)의 키보드에 적용할 경우 장애인용 키보드를 따로이 개발하지 않고도 장애인용 키보드를 대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구성 및 동작관계를 갖는 본 발명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입력방식이 간편하여 별도의 훈련과정이 필요없고 키입력 횟수가 적어 빠른 한글 입력을 실현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각각이 하나 혹은 복수의 자음과, 모음이 동일 자판에 표기된 다수의 키와,
    상기 키의 누름을 순차적으로 인식하여 해당 한글코드를 출력하는 한글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키가 적어도 'ㅎ', 'ㅋ'이 표기된 키 각각에 'ㅓ'와 'ㅣ' 중의 하나가 같이 표기되고, 이들 키 각각이 'ㅗ'와 'ㅜ'가 배치된 키와 이격된 상이한 키에 배치되어 표기되며,
    상기 한글처리부가 :
    하나의 음절을 초성, 중성, 종성의 순서로 인식하되,
    한번 클릭과 더블클릭에 의해 표기된 복수개의 자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초성 입력 단계와;
    한번 클릭과 더블클릭에 의해 표기된 모음 또는 그와 관련 모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중성 입력 단계와;
    한번 클릭과 더블클릭에 의해 표기된 복수개의 자음 중 하나를 선택하는 종성 입력 단계를 처리하되,
    상기 초성 입력 단계, 중성 입력 단계, 종성 입력 단계의 각각에서 마지막 키 누름을 길게 할 경우 음절을 완성하여 그 음절에 해당하는 한글 코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키가 동일키에 표기된 복수의 자음이 평소리와 된소리의 관계에 있고, 동일키에 의해 인식되는 복수의 모음이 기본모음과 중모음의 관계에 있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3. 제 1, 2,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키가
    자음 'ㄱ', 경자음 'ㄲ'과 복모음 'ㅙ'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한글입력키(1)와;
    자음 'ㄴ', 'ㄹ'과 모음 'ㅗ'와 중모음 'ㅛ'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한글입력키(2)와;
    자음 'ㅍ', 'ㅌ'과 복모음 'ㅘ'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한글입력키(3)와;
    자음 'ㅎ', 'ㅁ'과 모음 'ㅓ'와 중모음 'ㅕ'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4 한글입력키(4)와;
    자음 'ㅂ', 경자음 'ㅃ'과 모음 'ㅡ'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5 한글입력키(5)와;
    자음 'ㅅ', 경자음 'ㅆ'과 모음 'ㅏ'의 중모음 'ㅑ'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6 한글입력키(6)와;
    자음 'ㅇ'과 모음 'ㅔ'와 복모음 'ㅖ'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7 한글입력키(7)와;
    자음 'ㅈ', 경자음 'ㅉ'과 모음 'ㅜ'와 중모음 'ㅠ'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8 한글입력키(8)와;
    자음 'ㄷ', 경자음 'ㄸ'과 모음 'ㅐ'와 중모음 'ㅒ'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9 한글입력키(9)와;
    자음 'ㅋ', 'ㅊ'과 모음 'ㅣ'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10 한글입력키(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4. 제 1, 2,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키가
    자음 'ㄱ', 경자음 'ㄲ'과 복모음 'ㅙ'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한글입력키(1)와;
    자음 'ㄴ'과 모음 'ㅗ'와 중모음 'ㅛ'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한글입력키(2)와;
    자음 'ㅍ', 'ㅌ'과 복모음 'ㅘ'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한글입력키(3)와;
    자음 'ㅎ'과 모음 'ㅓ'와 중모음 'ㅕ'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4 한글입력키(4)와;
    자음 'ㅂ', 경자음 'ㅃ'과 모음 'ㅡ'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5 한글입력키(5)와;
    자음 'ㅅ', 경자음 'ㅆ'과 모음 'ㅏ'와 중모음 'ㅑ'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6 한글입력키(6)와;
    자음 'ㅇ'과 모음 'ㅔ'와 복모음 'ㅖ'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7 한글입력키(7)와;
    자음 'ㅈ', 경자음 'ㅉ'과 모음 'ㅜ'와 중모음 'ㅠ'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8 한글입력키(8)와;
    자음 'ㄷ', 경자음 'ㄸ'과 모음 'ㅐ'와 중모음 'ㅒ'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9 한글입력키(9)와;
    자음 'ㅋ', 'ㅊ'과 모음 'ㅣ'가 같은 키에 배치되어 있는 제 10 한글입력키(10)와;
    자음 'ㅁ'이 배치된 제 11 한글입력키(11')와;
    자음 'ㄹ'이 배치된 제 12 한글입력키(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KR10-2000-0043236A 2000-07-27 2000-07-27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100372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236A KR100372091B1 (ko) 2000-07-27 2000-07-27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236A KR100372091B1 (ko) 2000-07-27 2000-07-27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780A KR20020009780A (ko) 2002-02-02
KR100372091B1 true KR100372091B1 (ko) 2003-02-14

Family

ID=1968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236A KR100372091B1 (ko) 2000-07-27 2000-07-27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0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53173A1 (en) * 2003-11-26 2005-06-09 Wang-Don Choi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having character input apparatus
US20080287157A1 (en) * 2007-05-15 2008-11-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s and methods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6758A (ko) * 1999-04-22 1999-07-05 김학렬 통신기기및전산이용기기문자입력방법
KR20000042959A (ko) * 1998-12-28 2000-07-15 서평원 전화기 자판이 부착된 한글 입력장치 및 그방법
KR20000060607A (ko) * 1999-03-17 2000-10-16 허태호 한글 고유코드를 만들 수 있는 한글 입력용 전화기자판
KR20000060703A (ko) * 1999-03-18 2000-10-16 서평원 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959A (ko) * 1998-12-28 2000-07-15 서평원 전화기 자판이 부착된 한글 입력장치 및 그방법
KR20000060607A (ko) * 1999-03-17 2000-10-16 허태호 한글 고유코드를 만들 수 있는 한글 입력용 전화기자판
KR20000060703A (ko) * 1999-03-18 2000-10-16 서평원 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9990046758A (ko) * 1999-04-22 1999-07-05 김학렬 통신기기및전산이용기기문자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780A (ko) 200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8437A (en)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computer
US7095403B2 (en) User interface of a keypad entry system for character input
JPH1115584A (ja) キーボードによる文字入力方式および電子機器
KR100371381B1 (ko) 한글과 영어의 자소 해체와 재조합을 통한 문자인식모듈이내장된 문자입력장치
JP3344992B2 (ja) 携帯文字入力装置
EP135522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1003720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2001011319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입력시스템의 키보드 조합
KR100366806B1 (ko) 제한된 수의 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장치
US20040080435A1 (en) Data input system and method
KR100432267B1 (ko) 간편한 한글자판
KR200101002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163716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CN1353350A (zh) 音形结合鼠标输入法
KR20020012823A (ko) 1개의 문자전환 버튼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17311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383228B1 (ko) 한정된 수의 키를 사용하는 한글입력시스템
KR20010034982A (ko) 신규한 한글 입력방식 및 그를 이용한 장치
KR100454928B1 (ko) 한글입력장치및방법
WO2019156386A1 (ko) 한자 주소/관용어 생성 방법
CN118068968A (zh) 基于88键大键盘的汉语拼音双拼输入法
CN118068969A (zh) 基于88键大键盘的汉语拼音简拼或形码简拼输入法
KR20010069805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