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988A -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988A
KR20050075988A KR1020040003746A KR20040003746A KR20050075988A KR 20050075988 A KR20050075988 A KR 20050075988A KR 1020040003746 A KR1020040003746 A KR 1020040003746A KR 20040003746 A KR20040003746 A KR 20040003746A KR 20050075988 A KR20050075988 A KR 20050075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torage device
window
key storag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병욱
Original Assignee
남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병욱 filed Critical 남병욱
Priority to KR1020040003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5988A/ko
Publication of KR20050075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28Bifocal lenses; Multifocal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038Production of contact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투명 재질의 창의 내부에 열쇠를 배치하고, 비상시 창을 깨어 열쇠를 꺼낼 경우, 각각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기 위한,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비상시 투명 재질의 창을 파손하여, 상기 창 내부에 배치된 열쇠를 이탈하도록 하기 위한,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정격 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변환 수단; 상기 창의 파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감지 수단; 상기 열쇠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2감지 수단; 상기 제 1감지 수단이 감지선의 절단을 감지한 경우, 경보 수단이 작동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제 1릴레이 수단; 상기 제 2감지 수단이 상기 열쇠의 이탈을 감지한 경우, 상기 경보 수단이 작동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제 2릴레이 수단; 및 상기 제 1릴레이 수단과 상기 제 2릴레이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칭에 따라,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경보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비상문 열쇠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Apparatus for Keeping Keys for Emergency}
본 발명은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내부에 열쇠를 고정하고, 이를 비상구 등의 주위에 장착하여, 비상시 열쇠를 꺼낼 경우 경보를 울리도록 하여 사고를 알리기 위한,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주상복합 상가 등 많은 주거인구를 가지는 초고층 건물의 경우, 비상구를 구비하며, 해당 비상구는 옥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은 비상구로 사용되고 있는 옥상문은,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잠궈두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화제 또는 그 밖의 문제로 인하여 옥상으로 대피해야 할 경우 문이 잠겨 있어, 뜻밖의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쇠 보관함을 비상구 옆에 두는 경우가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누군가가 실수로 열쇠를 사용하고 가지고 갈 경우에는, 위의 문제점이 또다시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투명 재질의 창의 내부에 열쇠를 배치하고, 비상시 창을 깨어 열쇠를 꺼낼 경우, 각각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기 위한,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상시 투명 재질의 창을 파손하여, 상기 창 내부에 배치된 열쇠를 이탈하도록 하기 위한,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정격 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변환 수단; 상기 창의 파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감지 수단; 상기 열쇠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2감지 수단; 상기 제 1감지 수단이 감지선의 절단을 감지한 경우, 경보 수단이 작동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제 1릴레이 수단; 상기 제 2감지 수단이 상기 열쇠의 이탈을 감지한 경우, 상기 경보 수단이 작동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제 2릴레이 수단; 및 상기 제 1릴레이 수단과 상기 제 2릴레이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칭에 따라,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경보 수단을 포함하는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일실시예 외관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쇠 보관 장치의 외관은, 투명재질의 창(110), 청각 경보부(120) 및 시각 경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창(110)은 그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재질은 유리 또는 아크릴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창(110)에는 비상시 창(110)의 파손을 감지부(도시되지 않음)가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선(도시되지 않음)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감지선은 창(110)의 좌에서 우로, 또는 상하로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창의 파손시 함께 파손되어야 하므로 인장강도가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창(110)의 파손을 상기 감지부가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선을 부착하는 이외에도 충격파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도시되지 않음)를 부착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는, 사용자가 비상시 상기 창(110)을 파손하는 경우에, 해당 충격파를 검출하여 상기 감지부가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비상시 상기 창(110)을 파괴하여, 상기 창(110)의 내부에 비치되어 있는 열쇠를 꺼내면, 우선 상기 창(11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감지선이 파손되면서 이를 감지하여 경보가 울리도록 하며, 또한, 고정된 열쇠가 이탈하는 것을 감지하여 경보가 울리게 된다.
이를 위하여, 열쇠는 자석센서 등의 감지부를 통하여 하우징(Housing)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와 같다.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열쇠가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에서, 열쇠는 상기 창(110)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내부에 배치되며, 열쇠를 하우징 내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자석센서(210, 220)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자석센서(210, 220)의 재질인 자석은 비전도체이므로, 자석의 표면을 금속 전도체로 코팅하거나 금속 전도체를 접촉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센서(210, 220)는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열쇠가 두 센서의 연결을 담당하게 되는데, 평상시에 열쇠가 상기 자석센서(210, 220)에 접속되도록 배치하여 두고, 비상시에 사용자가 열쇠를 꺼내면 두개의 상기 자석센서(210, 220)가 단선되어 이를 감지하고, 경보가 울리게 된다.
한편, 열쇠가 전도체가 아닌 경우(예를 들어, 신주 재질인 경우 등)를 대비하여, 투명 재질의 비닐 등으로 열쇠집을 만들고, 뒷부분에 전도체 막대를 붙여 연결고리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는, 변환부(310) 릴레이부1(320), 릴레이부2(330), 감지부1(340), 감지부2(350) 및 경보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환부(310)는, 입력되는 220 V의 전압을 낮은 볼트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직류 또는 교류 중 어느 것으로 변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감지부1(340)은 상기 창(110)의 후면에 배치되는 감지선의 절단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선이 절단된 경우에는 상기 릴레이부1(320)이 상기 경보부(360)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상기 릴레이부1(320)은 상기 감지부1(340)이 상기 감지선의 절단 여부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경보부(360)가 울릴 수 있도록 스위칭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감지부1(340)은 상기 감지선의 절단 여부를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창(110)의 파손 여부를 충격파를 통하여 감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릴레이부1(320)은, 상기 감지부1(340)이 충격파를 감지한 경우에, 상기 경보부(360)가 울릴 수 있도록 스위칭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2(350)는 상기 창(110) 내부에 배치된 열쇠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여, 열쇠가 상기 자석센서(210, 220)에서 이탈된 경우에는 상기 릴레이부2(330)가 상기 경보부(360)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감지부2(350)가 열쇠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방식은 상기 도 2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상기 릴레이부2(330)는 상기 감지부2(350)가 열쇠의 이탈을 감지한 경우에, 상기 경보부(360)가 울릴 수 있도록 스위칭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경보부(360)는 상기 릴레이부1(320) 및 상기 릴레이부2(330)의 스위칭에 따라, 비상시, 즉 감지선이 절단되거나(혹은 창이 파손되거나), 열쇠가 이탈된 경우 경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경보부(360)는 상기 도 1과 같이, 시각적 또는 청각적 경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등의 비상시에 옥상문이 잠겨져 있는 경우에도, 손쉽게 열쇠를 확보할 수 있어, 인명피해 등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설치되는 곳은, 고층 빌딩의 옥상 비상구를 연상할 수 있으므로, 비상시 사용자들이 상기 창(110)을 파손하고 열쇠를 꺼내어도 빌딩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관리실에서는 상기 경보부(360)가 발생하는 경보음을 듣기에는 한계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제 2실시예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는, 변환부(310) 릴레이부1(320), 릴레이부2(330), 감지부1(340), 감지부2(350), 경보부(360)와 RF부(410) 및 전송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환부(310) 릴레이부1(320), 릴레이부2(330), 감지부1(340), 감지부2(350) 및 경보부(360)의 동작과 기능은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RF부(410)는 상기 경보부(360)가 상기 릴레이부1(320) 및 릴레이부2(330)에 의해 경보를 발생한 경우, 해당 신호를 무선 송출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전송부(420)는 상기 RF부(410)가 변환한 무선 신호를 경비실 등의 관리 센터(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제 3실시예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는, 변환부(310) 릴레이부1(320), 릴레이부2(330), 감지부1(340), 감지부2(350), 경보부(360)와 SMS(Short Message Service)생성부(510) 및 SMS전송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환부(310) 릴레이부1(320), 릴레이부2(330), 감지부1(340), 감지부2(350) 및 경보부(360)의 동작과 기능은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위하여, 상기 SMS전송부(520)는 사전에 관리 센터의 운용자 기타 비상시 이를 알리기 위한 책임자의 이동 단말의 전화번호를 미리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SMS생성부(510)는, 상기 경보부(360)가 상기 릴레이부1(320) 및 릴레이부2(330)에 의해 경보를 발생한 경우,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SMS전송부(520)는 사전에 등록된 운용자의 이동 단말로 해당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 및 제 3실시예로써, 고층 빌딩에서 옥상의 비상문과 멀리 떨어진 관리 센터 및 운용자도 비상시 해당 경보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 그에 따른 대응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비상시에, 특히 화재가 발생한 경우는, 정전이 함께 수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변환부(310)가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사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열쇠 보관 장치는, 예비 전원 또는 충전부를 구비하여, 비상시에는 상기 릴레이부1(320)이 상기 변환부(310)에서 상기 예비 전원 또는 충전부로 스위칭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제 4실시예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는, 변환부(310) 릴레이부1(320), 릴레이부2(330), 감지부1(340), 감지부2(350), 경보부(360) 및 예비 전원부(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환부(310) 릴레이부1(320), 릴레이부2(330), 감지부1(340), 감지부2(350) 및 경보부(360)의 동작과 기능은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예비 전원부(610)는 비상시 상기 변환부(310)가 수신하는 정격 전압과는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상기 변환부(310)가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정격 전압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릴레이부1(320) 및 상기 릴레이부2(330)가 상기 변환부(310)로부터 상기 예비 전원부(610)로 스위칭하여, 상기 예비 전원부(610)로부터 전원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예비 전원부(610)는 정격 전압보다 저전압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예비 전원부(610)는 배터리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비상시 상기 변환부(310)로 인입되는 전원이 없어도 상기 예비 전원부(610)에서 제공하는 전원으로 본 발명의 열쇠 보관 장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제 5실시예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는, 변환부(310) 릴레이부1(320), 릴레이부2(330), 감지부1(340), 감지부2(350), 경보부(360) 및 충전부(7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환부(310) 릴레이부1(320), 릴레이부2(330), 감지부1(340), 감지부2(350) 및 경보부(360)의 동작과 기능은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충전부(710)는 상기 변환부(310)가 변환한 전압을 충전하는 기능을 담당하여, 비상시 상기 변환부(310)로 인입되는 전원이 없어도 상기 충전부(710)에서 제공하는 전원으로 본 발명의 열쇠 보관 장치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는, 상기 도 4 또는 상기 도 5의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화재 발생 등의 비상시에는, 사람들은 당황하게 되어, 본 발명의 열쇠 보관 장치가 비상구 옆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를 잘 찾지 못하고 우왕좌왕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8을 참조로 본 발명의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제 6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제 6실시예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는, 변환부(310) 릴레이부1(320), 릴레이부2(330), 감지부1(340), 감지부2(350), 경보부(360), 수신부(810) 및 음성 안내부(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환부(310) 릴레이부1(320), 릴레이부2(330), 감지부1(340), 감지부2(350) 및 경보부(360)의 동작과 기능은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신부(810)는 본 발명의 열쇠 보관 장치가 배치되는 건물에서 화재 경보 등 비상신호가 발생한 경우, 이를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물 등은 비상시 해당 신호를 발생하는 전송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 음성 안내부(820)는, 상기 수신부(810)가 비상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상구의 열쇠가 이 곳에 있다는 취지의 음성을 안내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열쇠를 꺼내십시오" 등의 멘트를 대피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들을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창(110)을 통하여 그 외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영상촬영부(예를 들어, 카메라 등)(도시되지 않음)를 배치하고, 해당 영상 촬영부로부터 전송되는 화면을 상기 관리센터에서 열람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 촬영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미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창(11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전등을 구비하여, 화재 기타 응급상황 발생시 빌딩의 전원이 나간 경우에도 사람들을 유도하도록 하여, 앞이 잘 보이지 않는 상황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상구가 잠겨 있는 경우에도 그 열쇠를 비상구 주변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투명 재질의 창의 내부에 열쇠를 배치하고, 비상시 창을 깨어 열쇠를 꺼낼 경우, 각각 경보음이 울리도록 함으로써 응급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층 빌딩에서 옥상의 비상문과 멀리 떨어진 관리 센터 및 운용자도 비상시 해당 경보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응급상황에 따른 대응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일실시예 외관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열쇠가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제 2실시예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제 3실시예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제 4실시예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의 제 5실시예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창 120, 130, 360 : 경보부
210, 220 : 자석센서 310 : 변환부
320, 330 : 릴레이부 340, 350 : 감지부
410 : RF부 420 : 전송부
510 : SMS생성부 520 : SMS전송부
610 : 예비 전원부 710 : 충전부
810 : 수신부 820 : 음성 안내부

Claims (9)

  1. 비상시 투명 재질의 창을 파손하여, 상기 창 내부에 배치된 열쇠를 이탈하도록 하기 위한,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정격 전압을 저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 1변환 수단;
    상기 창의 파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감지 수단;
    상기 열쇠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2감지 수단;
    상기 제 1감지 수단이 감지선의 절단을 감지한 경우, 경보 수단이 작동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제 1릴레이 수단;
    상기 제 2감지 수단이 상기 열쇠의 이탈을 감지한 경우, 상기 경보 수단이 작동하도록 스위칭하기 위한 제 2릴레이 수단; 및
    상기 제 1릴레이 수단과 상기 제 2릴레이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스위칭에 따라,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경보 수단
    을 포함하는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수단이 경보를 발생한 경우, 해당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변환하기 위한 제 1변환 수단; 및
    상기 제 1변환 수단이 변환한 무선 신호를 관제센터로 전송하기 위한 제 1전송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수단이 경보를 발생한 경우,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기 위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생성 수단; 및
    생성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제 2전송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비상시 상기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에 예비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예비 전원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릴레이 수단 및 상기 제 2릴레이 수단이 비상 상황 발생시 상기 제 1변환 수단으로부터 상기 예비 전원부로 스위칭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변환 수단으로부터 수신한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충전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비상시, 비상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비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수단; 및
    상기 수신 수단으로부터 상기 비상신호를 수신한 경우, 비상구의 열쇠가 있음을 음성으로 안내하기 위한 음성 안내 수단
    을 포함하는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을 통하여 그 외부를 감시하기 위한 영상촬영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감지 수단의 상기 창의 파손 여부의 감지는,
    상기 창의 후면에 배치되는 감지선의 절단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감지 수단의 상기 창의 파손 여부의 감지는,
    상기 창의 파손시 충격파를 감지함으로써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KR1020040003746A 2004-01-19 2004-01-19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KR20050075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746A KR20050075988A (ko) 2004-01-19 2004-01-19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746A KR20050075988A (ko) 2004-01-19 2004-01-19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988A true KR20050075988A (ko) 2005-07-26

Family

ID=3726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746A KR20050075988A (ko) 2004-01-19 2004-01-19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59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08U (ko) 2015-09-16 2017-03-24 멀티지비에스 (주) 비상 열쇠함
KR20180080083A (ko) * 2017-01-03 2018-07-11 아이마이크로데이터 코포레이션 제거가능하게 현수되어 전자적으로 어드레싱가능한 객체 및 시스템을 위한 보안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08U (ko) 2015-09-16 2017-03-24 멀티지비에스 (주) 비상 열쇠함
KR20180080083A (ko) * 2017-01-03 2018-07-11 아이마이크로데이터 코포레이션 제거가능하게 현수되어 전자적으로 어드레싱가능한 객체 및 시스템을 위한 보안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5496B2 (en) Monitoring system
WO2017131320A1 (ko) 무선 재난 화재 감지 및 방범 예방을 겸용하기 위한 휴대 조명등을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시스템
JP2009218707A (ja) 警報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警報システム
JP2009236534A (ja) 地震警報システム、および地震警報機能を有した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KR102315704B1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154521B1 (ko) 유무선 화재 관리 시스템
KR20050075988A (ko) 비상용 열쇠 보관 장치
JP200624381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152279Y1 (ko) 경계 경보 장치
KR20100012093U (ko) 119 화재 알림 장치
JP2014021637A (ja) 報知システム及び報知方法
KR100273873B1 (ko) 다목적 경보장치
KR200463408Y1 (ko) 긴급 구조 알림 장치
KR101693215B1 (ko) 자가 설치 및 운용 가능한 무인경비시스템을 위한 통합센서관제장치 및 방법
JP3836274B2 (j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4070564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2406897B1 (ko) 피난유도부를 구비한 비상문 개폐장치용 로컬제어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00074038A (ko) 무인경비 및 경보 시스템겸 전화기
CN202268971U (zh) 可视对讲室内机
KR102324531B1 (ko) P형 복합식 수신기의 모니터링 장치
JP2017085492A (ja) 集合用インターホン住戸親機及び集合用インターホン装置
KR200186166Y1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EP3554067B1 (en) Camera apparatus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10191884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TW201921323A (zh) 報知系統、通信裝置及通信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