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287A -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287A
KR20050075287A KR1020050002923A KR20050002923A KR20050075287A KR 20050075287 A KR20050075287 A KR 20050075287A KR 1020050002923 A KR1020050002923 A KR 1020050002923A KR 20050002923 A KR20050002923 A KR 20050002923A KR 20050075287 A KR20050075287 A KR 20050075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ed
data
correctly
window siz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9527B1 (ko
Inventor
야마모토가쓰야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50075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in which mode-switching is based on a statistical approa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Details of sliding window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04L1/1838Buffer management for semi-reliable protocols, e.g. for less sensitive applications such as streaming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에러 정정 복호 결과에 따라 재전송 요구를 행하여,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복호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계 정보를 취득하고, 그 통계 정보로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에 따라, 소정 레이어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단위의 수인 윈도 사이즈의 변경 요구를 송신처에 송신하고, 예를 들면 통신 환경이 나쁜 경우에, 작은 윈도 사이즈로 처리 가능하도록 하여, 데이터의 재전송과 수신 데이터의 파기가 반복되는 사태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고속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무선 전송 시스템으로, 전파 환경이 나쁜 상황에서의 데이터 전송 효율을 개선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UNIT}
본 발명은 재전송 제어를 행하는 무선 전송 처리에 적용하여 바람직한 전송 방법 및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화 통신 등에 적용되는 무선 전송의 에러 제어 방법으로서는, 채널 부호화(에러 정정 부호화)와 자동 재전송 요구(ARQ: Automatic Repeat Request)가 있다. 패킷 전송에서는, 에러가 없는 전송을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ARQ에 의한 에러 제어가 필요하다. 또, 전파로(傳播路) 상태에 따라 최적의 변조 방식, 부호화 방식을 선택하여 스루풋(throughput)의 향상을 도모하는 적용형 변조 복조·에러 정정의 적용에 있어서, 측정 오차, 제어 지연 등에 기인한 패킷 에러를 피할 수 없기 때문에, 비특허 문헌인 다치카와 게이지저, 「W-CDMA 이동 통신 방식」마루젠 출판, 헤이세이 13년 6월 25일, p48∼50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에러 정정 기능을 내장한 HARQ[하이브리드(hybrid) ARQ]라고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이 HARQ는 종래부터 있는 무선 프로토콜 등의 상위 레이어에서 제공되고 있던 ARQ에 의한 재전송 기술을 물리층에서 실시하고, 다시 에러 정정 기능과 조합하여 실행하는 재전송 방법이다. 이에 따라, 물리층으로부터 상위 레이어에 공급되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위 레이어의 재전송 기술인 ARQ에서는, 수신에 실패한 데이터는 파기되고, 재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기다린다고 하는 동작이 일반적이지만, HARQ에서는 수신에 실패한 데이터를 에러 정정기의 복호 전 데이터로서 유지하고, 재전송 데이터와 합성하여 복호한다. 수신에 실패한 데이터와 재전송 데이터를 합성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나타내는 우도(尤度)(likelihood)를 향상시킬 수 있어, 복호에 성공할 가능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HARQ를 적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HARQ를 적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면 W-CDMA를 적용한 시스템인 유니버설 이동 전화 통신 시스템(UMTS 시스템)으로, 고속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는 하이 스피드·다운링크·패킷·액세스(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이하 HSDPA라고 함) 방식에의 적용이 제안되어 있다.
HSDPA 방식에서는, HARQ 기능에 의해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이하 PDU라고 함)는 PDU의 헤더 정보에 포함되는 송신 시퀀스 번호(Sequence Number: 이하 TSN이라고 함)의 순서로 정렬하여,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에 전송한다. 상위 레이어에 전송하기까지의 HARQ 처리, TSN 정렬 기능은 MAC(Media Access Control) 레이어에서 실현된다. 또, MAC 레이어에서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는 MAC-PDU라고 한다. MAC-PDU에는, HSDPA 방식에 관한 부분의 MAC-hs PDU와, HSDPA 방식이 도입되기 전부터 UMTS 시스템에 존재하는 데이터 전송 개별 채널(DCH)용의 MAC-d PDU가 있으며, MAC-hs PDU는 복수 개의 MAC-d PDU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이 HSDPA 방식에서의 레이어 구조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실선은 데이터의 흐름이며, 파선은 제어 정보의 흐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HARQ 기능에 관한 레이어인 MAC 레이어의 상위 레이어에는, 라디오 링크 컨트롤(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함) 레이어(1)가 있고, MAC 레이어로서, MAC-d 레이어(2)와, MAC-c/sh 레이어(3)와, MAC-hs 레이어(4)가 준비되어 있다. 또, 각 MAC 레이어의 아래에는, 트랜스포트 채널 레이어(5)가 준비되어 있다.
트랜스포트 채널 레이어(5)는 물리 채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과, 물리 채널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MAC-hs 레이어(4)는 HSDPA 방식에서의 MAC-hs PDU를 차례로 MAC-d 레이어(2)에 전송한다. MAC-c/sh 레이어(3)에서는, 공통ㆍ공유 채널로 수신한 데이터를 MAC-d 레이어(2)에 전송한다. MAC-d 레이어(2)는 RLC 레이어(1)에 MAC-d PDU를 전송한다. 각 MAC 레이어는 도 5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RLC 레이어(1)와 제어 정보의 교환도 한다. 그리고, MAC-c/sh 레이어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처리와 직접 관계가 없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도 6은 이 HSDPA 방식에서의 각각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의 관계, 즉 MAC-hs PDU와, MAC-d PDU와, RLC PDU와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되는 데이터는 도 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데이터량 단위로 데이터 세그먼트로 분할되고, 각 데이터 세그먼트에 RLC(라디오 링크 컨트롤) 헤더가 부가된다. RLC 헤더 부분에는, RLC PDU(RLC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를 차례로 정렬하는 SN(시퀀스 번호)값이 포함되어 있다. 이 RLC 헤더가 부가된 데이터는 RLC PDU로서, MAC-d 레이어에 보내지고, 도 6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 헤더가 부가된다.
이 MAC 헤더가 부가된 데이터는 MAC-d PDU(MAC-d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로서, MAC-hs 레이어에 보내지고, 도 6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단위마다 MAC-hs 헤더가 부가되고, 도 6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hs PDU(MAC-hs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되어, 하위의 레이어(트랜스포트 채널 레이어)에 보내지고 송신 처리된다. 수신 시에는, 도 6 (a)로부터 도 6 (e)에의 흐름과는 역방향의 처리가 행해지며, 트랜스포트 채널 레이어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각 프로토콜에서의 데이터 단위가 판별되어, 도 6 (a)에 나타낸 데이터가 추출된다.
그런데, 실제의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페이딩(fading)이나 멀티패스 간섭 등에 의한 전파 전파(電派傳播) 환경의 변화·열화에 의한 데이터 전송 에러가 항상 발생하고 있다. 그 결과, 수신측의 단말기에서는, MAC-hs 레이어나 RLC 레이어의 수신부에서, TSN(송신 시퀀스 번호), SN의 결락(缺落) PDU가 발생하여, 재전송된 PDU를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버퍼링하게 된다.
HSDPA 방식에서는, 이 버퍼링은 MAC-hs 레이어에서는 TSN값과 타이머로 관리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MAC-hs 레이어에서는 규정 TSN 윈도 내의 MAC-hs PDU를 수신하고, TSN값이 순번대로 수신되어 있으면, MAC-d 레이어에 인도한다. TSN 윈도 내에서 TSN값이 결락되어 있는 MAC-hs PDU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 시퀀스 번호의 데이터 단위가 결락된 상태에서 수신한 MAC-hs PDU에 대하여, T1 타이머를 기동한다.
이 T1 타이머는 MAC-hs 레이어가 관리하는 고유의 타이머이며, 타이머값은 예를 들면 10ms에서 400ms까지의 값을 UMTS 시스템측에서 설정하여, 단말기에 지시한다. T1 타이머가 액티브한 규정 시간까지는 결락되어 있는 TSN값의 MAC-hs PDU가 수신되는 것을 기다리지만, T1 타이머가 규정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면, MAC-hs 레이어에서는, 결락된 TSN값의 MAC-hs PDU의 수신을 마감하고, 버퍼에 남아 있는 MAC-hs PDU를 MAC-d에 인도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한편, RLC(라디오 링크 컨트롤) 레이어에서는, RLC 헤더의 SN(시퀀스 번호) 값과, 재전송 타이머와, 재전송 회수 상한 카운트로 관리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RLC 레이어에서는, 규정 SN 윈도 내의 RLC PDU를 수신하고, SN값의 번호순으로 수신되어 있으면, 상위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인도한다. SN 윈도는, 예를 들면 1에서 4095까지의 값을 UMTS 시스템측에서 설정하여, 단말기에 지시한다. 수신 단말기의 RLC 레이어에서는, 결락된 SN값의 RLC PDU를 검출하면, 송신측에 컨트롤 PDU를 사용하여 재전송 요구를 지시한다. 송신측의 RLC 레이어에서는, 재전송 요구를 받아들이면, 결락 SN값으로서 지시된 PDU의 재전송을 실행한다. 이 수신측 단말기에서의 재전송 요구 또는 송신측에서의 재전송이, 규정된 회수의 실행으로 성공하지 못한 경우에는, RLC 레이어에서는 버퍼에 축적된 수신 데이터를 파기하는 규정으로 되어 있다. 이 결과, 전파 환경이 열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버퍼 관리의 악순환에 빠져, RLC 레이어의 버퍼에서 데이터 축적과 데이터 파기가 반복되는 상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이 문제의 발생 상태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7 (a)∼(e)는 데이터의 수신측인 단말기에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7 (f)∼(j)는 데이터의 송신측인 기지국에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 가로축은 시간축이며, 각 물리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이하 TTI라고 함)은 UMTS 시스템으로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HSDPA 관련 물리 채널에서는 2ms, 개별 채널(이하 DCH라고 함)에서는 10ms, 20ms, 40ms, 80ms로 되어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기지국에의 송신인 업링크(uplink)의 DCH TTI를 10ms로 하고 있다. 각 물리 채널의 TTI 경계는 시스템으로 결정된 오프셋만큼 시간차가 설정되어 있다. RLC 레이어에서의 SN(시퀀스 번호)의 윈도는, 예를 들면 실제의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값으로서 2047이 있으며, 매우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도 7 (g) 및(h)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측 RLC 레이어에서는, SN 윈도 내의 SN값를 가지는 송신 RLC PDU를 차례차례 송신 MAC-hs 레이어에 보내, MAC-hs PDU로서 처리하고, 도 7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2ms 간격의 송신 채널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여 송신한다. 이 채널 내에 배치하는 위치(간격)는 송신 상대의 단말기마다 정해져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단말기 측에서는 도 7 (c)에 나타낸 2ms 간격의 수신 채널의 소정 위치에서 수신된다. 이 때, 도 7에 ×표를 부여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측에서 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신(복호)할 수 없었다고 한다. 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면, 도 7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채널로, 수신 부정 정보(NACK)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또, 수신 채널에서의 데이터 송신을 개시시키면, T1 타이머가 기동된다.
그리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NACK 데이터는 도 7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의 물리 수신 채널로 수신된다. 이 NACK 데이터가 기지국에서 수신 되면, 동일 시퀀스 번호(SN)의 MAC-hs PDU가 도 7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처의 단말기에 할당된 타이밍으로 재전송된다.
이 때, 이 재전송된 MAC-hs PDU 대해서도, 도 7에 ×표를 부여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측에서 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신(복호)할 수 없었다고 하면, 전회와 마찬가지로 NACK 데이터가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송신되지만, 여기에서는 도 7에 ×표를 부여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이 NACK 데이터의 업링크에서의 전송이 에러로 되어, 기지국에서 NACK 데이터를 판별할 수 없었다고 한다. 이 경우, 기지국에서는 MAC-hs PDU는 재전송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로 되면, 도 7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동한 T1 타이머가 카운트를 종료하는 동안까지, 대상이 되는 시퀀스 번호(SN)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며, 도 7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때 수신 버퍼에 축적된 MAC-hs PDU를 RLC 레이어에 보낸다. RLC 레이어에서는, 도 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된 PDU 중에 결락이 있기 때문에, 도 7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의 송신 채널로 재전송 요구를 포함하는 컨트롤 PDU를 송신한다.
기지국측에서는, 도 7 (j)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재전송 요구를 포함하는 컨트롤 PDU를 수신하면, 도 7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RLC 레이어에서 RLC PDU의 재전송 처리가 행해지고, 도 7(h)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hs 레이어에서 MAC-hs PDU가 생성되어, 도 7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MAC-hs PDU가 송신 채널로 송신된다.
그 후, 이 때 보낸 PDU 대해서도, 단말기측에서 정확하게 수신(복호)할 수 없으면 기지국의 RLC 레이어에서 재전송 처리가 반복되게 되어, 단말기측에서도 RLC 레이어에서 버퍼에 축적된 데이터를 파기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의 예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도 7 (i)에 사선을 부여하여 나타낸 1개의 MAC-hs PDU의 재전송 실패시의 처리가 반복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실제로는 동시에 복수 개의 MAC-hs PDU로 각각 재전송 처리가 병행하여 실행된다.
이와 같이 MAC-hs PDU의 재전송 반복이나, 업링크에서의 NACK 전송에 실패하면, 차례차례 T1 타이머가 기동하고, 자주 그 기동한 타이머가 카운트를 완료하여, 단말기의 MAC-hs 레이어에 버퍼되어 있는 수신 MAC-hs PDU는 TSN(송신 시퀀스 번호)이 불연속인 채로, MAC-d 레이어 및 RLC 레이어에 인도하여 버리게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RLC 레이어에서 설정되어 있는 버퍼(SN 윈도)는 비교적 큰 용량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UMTS 시스템에서는 2047개의 PDU를 취급하도록 SN 윈도를 설정하고 있다. 이 SN 윈도 내에서 시퀀스 번호(SN)의 결락이 차례차례 발생하면, RLC 재전송 요구 대상 PDU도 동일하게 현저하게 증대된다. 전파 환경이 열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RLC 재전송을 행해도, RLC 규정 시간 내에서 SN의 결락이 해결되지 않은 채로 될 확률이 높아진다. 또, 1개의 시퀀스 번호의 결락을 해결할 수 없으면 그 시퀀스 번호 이후의 이미 정확하게 수신되어 있는 시퀀스 번호의 RLC 데이터를 파기하게 되어, 데이터 전송 효율이 현저하게 열화되게 된다. 즉 전파 환경이 열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악순환에 빠져 RLC 버퍼 내에 데이터 축적과 데이터 파기를 반복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 결과, 고속 데이터 전송을 특징으로 하는 HSDPA 서비스를 실현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 종류의 무선 전송 시스템으로, 전파 환경이 나쁜 상황에서의 데이터 전송 효율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에러 정정 복호 결과에 따라 재전송 요구를 행하여,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복호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계 정보를 취득하고, 그 통계 정보로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에 따라, 소정 레이어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단위의 수인 윈도 사이즈의 변경 요구를 송신처에 송신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그 때의 전파 환경에 따라, 소정 레이어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단위의 수인 윈도 사이즈가 변화되고, 예를 들면 수신측의 버퍼에 축적되는 데이터량을 적정한 데이터량으로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HARQ(하이브리드 ARQ)를 HSDPA(하이스피드ㆍ다운링크ㆍ패킷ㆍ액세스) 방식에 적용한 구성을 설명한다.
HSDPA 방식에 대해서는 이미 배경 기술로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지만, 도 5에 나타낸 레이어 구조로 되어, RLC(라디오 링크 컨트롤) 레이어(1) 아래에, MAC-d 레이어(2)와, MAC-c/sh 레이어(3)와, MAC-hs 레이어(4가) 존재하고, 다시 각 MAC 레이어(2, 3, 4)의 아래에 트랜스포트 채널 레이어(5)가 존재하여, 물리 통신 채널로 송수신이 실행되는 구조로 하고 있다. 각 레이어에서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 대해서도, 이미 설명한 도 6의 구성이 적용된다.
HSDPA 방식은 무선 전화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휴대 전화기 단말기에의 고속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에 적용되는 시스템이며, 먼저, 휴대 전화기 단말기의 구성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예의 휴대 전화기 단말기는 안테나(11)가 RF(고주파) 처리부(12)에 접속하고 있으며, RF 처리부(12)에서 소정 주파수대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동시에, 송신 신호를 소정 주파수대로 무선 송신한다. 무선 접속 방식으로서는, W-CDMA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을 기본으로 한 무선 접속이 실행된다. RF 처리부(12)에는 통신 처리부(13)가 접속하고 있으며, 수신한 신호의 복조, 복조된 데이터의 처리 등이 실행되는 동시에, 송신하는 데이터의 처리, 송신용의 변조 등이 실행된다. 이 통신 처리부(13)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레이어 구조 중의 RLC 레이어에서의 처리나 각 MAC 레이어에서의 처리 등이 실행되며, 각각의 레이어에서의 처리에 필요한 버퍼 메모리(13a)를 가진다. 그리고, 도 1에서는 버퍼 메모리(13a)으로서 1개의 메모리로 나타내고 있지만, 각 레이어마다 복수 개의 메모리를 준비해도 된다. 또는 1개의 메모리의 기억 영역을 분할하여, 각 레이어의 메모리로서 사용해도 된다.
통신 처리부(13)에서 얻어진 수신 데이터나 제어 데이터는 이 단말기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인 제어부(14)에 공급되고, 축적시킬 필요가 있는 수신 데이터에 대해서는, 메모리(15)에 기억된다. 또, 수신한 통화용의 음성 데이터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은 음성계의 회로에 공급하여 출력시킨다. 메모리(15)에 기억된 송신할 데이터에 대해서는, 제어부(14)의 제어로 통신 처리부(13)에 보내져 송신 처리가 실행된다. 제어부(14)에는 표시부(16)가 접속되어 있고, 수신한 데이터에 따른 표시 등이 실행된다. 또한, 단말기에 배치된 키(17)의 조작 정보가 제어부(14)에 공급되어, 키 조작에 따른 동작이 실행된다.
제어부(14)는 무선 통신에 직접 관계한 가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통신 제어에 부수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복호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계 정보를 취득하는 통계 정보 취득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가지며, 취득한 통계 정보에 따라, 윈도 사이즈의 변경 요구를 통신 제어 처리로서 실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통계 정보와 윈도 사이즈의 변경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 전화기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서 행해지는 HSDPA 방식의 고속 다운링크 데이터 전송의 처리예를 도 2의 플로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RLC 레이어(1)에서는, 이 레이어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단위의 수인 윈도 사이즈는 통상시에는 2047개로 설정되어 있다. 2047개분의 시퀀스 번호(SN)의 데이터는 하나의 단위로서 취급되어, 버퍼에 축적되는 동시에 그 축적된 데이터는 상위 레이어에 수수(授受)된다.
본 예에서는, 이 2047개의 윈도 사이즈는 통신 상황에 의해 변경된다. 구체적으로는, 1024개로 변경할 수 있다. 이 윈도 사이즈의 가변(可變) 설정을 위해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복호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계 정보를 취득한다. 이 통계 정보로서는 ACK 신호 또는 NACK 신호의 발생 개수(발생률)가 이용된다.
1개의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에러 정정 복호 결과에 따라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다고 판단된 경우에, 통신 상대인 기지국측에, 수신 실패를 나타내는 응답 신호로서의 NACK 신호를 반송한다.
이 가장 가까이의 NACK 신호가 발생되는 비율을 제어부(14)에 구성되는 통계 정보 취득 수단으로 판단한다. 도 2의 플로 차트는 이 NACK 신호 발생률의 판단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이하 도 2에 따라 처리를 설명하면, 자기 단말기용의 데이터 수신 채널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판단하고, 통계 대상 구간 내의 가장 오래된 수신 데이터의 응답이 ACK 신호인가, 또는 NACK 신호인가 판단한다(스텝 S11). 가장 오래된 데이터가 NACK 신호인 경우에는, NACK 신호의 수인 N_NACK의 값을 1개 감산한다(스텝 S12).
그리고 다음에, 최신 수신 데이터의 응답이 ACK 신호인가, 또는 NACK 신호인가 판단한다(스텝 S13). 가장 오래된 데이터가 NACK 신호인 경우에는, NACK 신호의 수인 N_NACK의 값을 1개 가산한다(스텝 S14).
그 후, N_NACK의 값이, 미리 설정된 윈도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임계값(NACK_WIN_DOWN)를 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5), 이 임계값을 넘은 경우에, 윈도 사이즈 감소 컨트롤 데이터가 포함되는 PDU를, 업링크로 기지국에 대해서 송신시킨다(스텝 S16). 또, N_NACK의 값이 미리 설정된 윈도 사이즈를 늘리기 위한 임계값(NACK_WIN_UP)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7), 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윈도 사이즈 확대 컨트롤 데이터가 포함되는 PDU를, 업링크로 기지국에 대해서 송신시킨다(스텝 S18).
단말기로부터의 윈도 사이즈 감소 컨트롤 데이터를 수신한 기지국에서는, 예를 들면, RLC 레이어에서의 윈도 사이즈를, SN(시퀀스 번호)으로 2047개분의 사이즈로부터 1024개분의 사이즈로 변경시킨다. 또, 윈도 사이즈 확대 컨트롤 데이터를 수신한 기지국에서는, 예를 들면, RLC 레이어에서의 윈도 사이즈를, SN으로 1024개분의 사이즈로부터 2047개분의 사이즈로 변경시킨다. 또, 단말기 내에서도 윈도 사이즈 감소(또는 확대) 컨트롤 데이터의 송신으로, 단말기 내의 RLC 레이어에서의 윈도 사이즈를 동일하게 변경시키고, 수신한 데이터를 RLC 레이어에서의 버퍼에 축적시켜 처리시키는 데이터량을 변화시킨다.
그리고, 도 2의 플로 차트에서는, NACK 데이터의 수로부터 제어를 행하는 예로 했지만, ACK 데이터의 수로부터 동일한 제어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ACK 데이터와 NACK 데이터의 어느 한쪽이 출력되므로, ACK가 발해지는 수와 NACK가 발해지는 수는 역(逆)의 관계에 있어, 동일 제어 처리가 가능하다. 또, 윈도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임계값(NACK_WIN_DOWN)과, 윈도 사이즈를 늘리기 위한 임계값(NACK_WIN_UP)의 대소는〔NACK_WIN_DOWN〕>〔NACK_WIN_UP〕이 된다.
이와같이 하여, NACK의 발생률 또는 AKC의 발생률에 따라, RLC 레이어에서 취급되는 윈도 사이즈가 가변 설정되게 된다. NACK(ACK)의 발생률은 N_NACK의 값 또는 N_ACK의 값과, 통계 대상 구간이 정해짐으로써 산출된다. 구체적으로는, 통계 대상 구간=HS-SCCH 정보로부터 자기 단말기용으로 할당된 가장 가까이의 HS-DSCH TTI 총수를 N개로 한다. TTI는 물리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이며, 여기에서는 N개 내의 ACK수를 ACK율로 한다. 또, N개 내의 NACK수를 NACK율로 한다. 전파 전파 환경이 나쁜 경우에는, ACK율이 내리고, NACK율이 오른다. 전파 전파 환경이 양호한 경우에는 역이다.
도 2의 플로 차트에 나타낸 NACK율의 계산은, 예를 들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자기 단말기용의 HS-DSCH TTI 데이터 검출마다, HARQ(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의 통계 정보를 계속해서 취득·갱신하여, NACK율(또는 ACK율)을 계산한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데이터 전송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a)∼(e)는 데이터의 수신측인 단말기에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3 (f)∼(j)는 데이터의 송신측인 기지국에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3의 상태는 종래예로서 도 7에 나타낸 상태와 동일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의 본 예에서의 대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가로축은 시간축이며, 각 물리 채널의 송신 시간 간격(TTI)은, 예를 들면, HSDPA 관련 물리 채널에서는 2ms, 개별 채널(DCH)에서는 10ms, 20ms, 40ms, 80ms로 되어 있다. 각 물리 채널의 TTI 경계는 시스템으로 정해진 오프셋만큼 시간차가 설정되어 있다. RLC 레이어에서의 SN(시퀀스 번호)의 윈도는 송신측[도 3 (g)에 나타낸 기지국에서의 상태]과 수신측[도 3 (a)에 나타낸 단말국에서의 상태]의 쌍방에서, 초기 상태에서는 2047로 설정하고 있다.
통신이 개시되면, 도 3 (g) 및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측 RLC 레이어에서는, SN 윈도 내의 SN값을 가지는 송신 RLC PDU를 차례차례 송신 MAC-hs 레이어에 보내, MAC-hs PDU로서 처리하고, 도 3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2ms 간격의 송신 채널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여 송신한다. 이 채널 내에 배치하는 위치(간격)는 송신 상대의 단말기마다 정해져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단말기측에서는 도 3 (c)에 나타낸 2ms 간격의 수신 채널의 소정 위치에서 수신된다. 이 때, 도 3에 ×표를 부여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측에서 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신(복호)할 수 없었다고 한다. 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면 도 3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채널로, 수신 부정 정보(NACK)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또, 수신 채널에서의 데이터 수신을 개시하면, T1 타이머가 기동된다.
그리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NACK 데이터는 도 3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의 물리 수신 채널로 수신된다. 이 NACK 데이터가 기지국에서 수신 되면, 동일 시퀀스 번호(SN)의 MAC-hs PDU가 도 3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처의 단말기에 할당된 타이밍으로 재전송된다.
여기에서, 이 재전송된 MAC-hs PDU 대해서도, 도 3에 ×표를 부여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측에서 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신(복호)할 수 없었다고 하면, 전회와 마찬가지로 NACK 데이터가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 송신되지만, 여기에서는 도 3에 ×표를 부여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이 NACK 데이터의 업링크에서의 전송 대해서도 에러로 되어, 기지국에서 NACK 데이터를 판별할 수 없었다고 한다. 이 경우, 기지국에서는 MAC-hs PDU는 재전송 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3에서는 1개의 SN(시퀀스 번호)의 PDU에 대하여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와 같은 통신 환경의 열악시에는 복수 개의 SN의 PDU에 대하여, 각각의 NACK 데이터가 발행되게 된다.
이와 같이 NACK 데이터의 발행이 반복되면, NACK율이 임계값(NACK_WIN_DOWN)보다 커져, 도 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측의 RLC 레이어에서의 PDU를 취급하는 윈도 사이즈가 SN의 2047개분으로부터 1024개분으로 변경된다. 또, 단말기 측에서의 변경과 동시에, 도 3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의 송신 채널로 윈도 사이즈 감소 요구를 포함하는 컨트롤 PDU를 송신한다. 이 컨트롤 PDU를 도 3 (j)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한 기지국에서는, 도 3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측의 RLC 레이어에서의 PDU를 취급하는 윈도 사이즈가 SN의 2047개분으로부터 1024개분으로 변경된다.
그 후, 도 3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동한 T1 타이머가 카운트를 종료하는 동안까지, 대상이 되는 시퀀스 번호(SN)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으며, 도 3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때 수신 버퍼에 축적된 MAC-hs PDU를 RLC 레이어에 보낸다. RLC 레이어에서는, 도 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된 PDU 중에 결락이 있기 때문에, 도 3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의 송신 채널로 재전송 요구를 포함하는 컨트롤 PDU를 송신한다.
기지국 측에서는, 도 3 (j)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재전송 요구를 포함하는 컨트롤 PDU를 수신하면, 도 3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RLC 레이어에서 작은 윈도 사이즈로 RLC PDU의 재전송 처리가 행해지고, 도 3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hs 레이어에서 MAC-hs PDU가 생성되어, 도 3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MAC-hs PDU가 송신 채널로 송신된다.
이 상태에서 송신된 PDU가 도 3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었다고 하면, 도 3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ACK 신호가 송신된다.
다음에, 이와같이 하여 감소된 윈도 사이즈를 확대할 때의 상태의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a)∼(e)는 데이터의 수신측인 단말기에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4 (f)∼(j)는 데이터의 송신측인 기지국에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4의 (a)∼(j)는 도 3의 (a)∼(j)에 대응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최초의 상태(좌단의 상태)에서는 RLC 레이어에서의 윈도 사이즈는 1024로 축소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통신이 행해지면, 도 4 (g) 및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측 RLC 레이어에서는, SN 윈도 내의 SN값을 가지는 송신 RLC PDU를 차례차례 송신 MAC-hs 레이어에 보내, MAC-hs PDU로서 처리하고, 도 4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2ms 간격의 송신 물리 채널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여 송신하고, 단말기 측에서는 도 4 (c)에 나타낸 2ms 간격의 수신 물리 채널의 소정 위치에서 수신된다.
여기에서 전파 전파 환경이 양호한 상태로 변화되어, 수신측에서 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신(복호)할 수 있었다고 한다. 정확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었던 상태가 되면, 도 4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채널로 수신 확인 정보(ACK)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또, 수신 채널에서의 데이터 수신을 개시하면, T1 타이머가 기동된다.
그리고,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ACK 데이터는 도 4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의 수신 채널로 수신된다. 이 ACK 데이터가 기지국에서 수신 되면, 도 4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시퀀스 번호(SN)의 MAC-hs PDU가 송신처의 단말기에 할당된 타이밍으로 차례차례 송신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계속되면, NACK율이 임계값(NACK_WIN_UP)보다 작아져, 도 4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측의 RLC 레이어에서의 PDU를 취급하는 윈도 사이즈가 SN의 1024개분으로부터 2047개분으로 변경된다. 또, 단말기 측에서의 변경과 동시에, 도 4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의 송신 채널로 윈도 사이즈 확대 요구를 포함하는 컨트롤 PDU를 송신한다. 이 컨트롤 PDU를 도 4 (j)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한 기지국에서는, 도 4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측의 RLC 레이어에서의 PDU를 취급하는 윈도 사이즈가 SN의 1024개분으로부터 2047개분으로 변경된다.
그 후, 도 4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동한 T1 타이머가 카운트를 종료하면, 도 4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때 수신 버퍼에 축적된 MAC-hs PDU를 RLC 레이어로 보낸다. RLC 레이어에서는, 도 4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된 PDU 중에 결락이 있는 경우에, 도 4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에의 송신 채널로 재전송 요구를 포함하는 컨트롤 PDU를 송신한다.
기지국측에서는, 도 4 (j)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재전송 요구를 포함하는 컨트롤 PDU를 수신하면, 도 4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RLC 레이어에서 큰 윈도 사이즈로 RLC PDU의 재전송 처리가 행해지고, 도 4 (h)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hs 레이어에서 MAC-hs PDU가 생성되고, 도 4 (i)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MAC-hs PDU가 송신 채널로 송신된다. 이 상태에서 송신된 PDU가 도 4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확하게 수신할 수 있었다고 하면, 도 4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ACK 신호가 송신된다.
이와 같이 하여, 그 때의 전파 전파 환경의 악화에 의해, RLC 레이어의 버퍼를 일시적으로 반감시켜, 재전송 대상이 될 수 있는 PDU수를 줄이고, 무선 전파 환경의 개선으로 원래로 되돌아가도록 함으로써, 데이터의 전송 효율이 개선된다.
즉, 무선 전파 환경이 악화된 상태에서는, 기지국의 RLC 레이어에서는 윈도 사이즈가 반감되므로, 새로운 RLC 데이터의 기지국 MAC-hs 레이어에의 송출 요구가 억제된다. 그 결과, RLC 레이어에서 재전송할 때의 시간적 자원인 파기 타이머나 재전송 회수를 한정된 PDU수에서의 PDU 최소 처리에 전념시킬 수 있다. 따라서, PDU 재전송의 성공율이 향상되고, RLC 레이어의 버퍼 파기율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전송 효율이 개선된다.
특히 본 예에서는, 단말기 내에서 통계 정보로서 나타나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ACK율)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NACK율)은 가장 가까이의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의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수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수에 따라 표현하도록 했으므로, 최신의 전파 전파 환경에 따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가장 가까이의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의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수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수는 자국 앞으로 할당된 패킷의 시간 간격수에 따라 표현하도록 했으므로, 정확하고도 간단하게 ACK율 또는 NACK율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 전파 전파 환경이 양호한 상태로 되돌아가면, 원래의 윈도 사이즈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전파 전파 환경이 양호한 상태에서는, 본래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고속성이 손상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W-CDMA 방식을 적용한 무선 전화 통신 시스템인 UMTS 시스템의 HSDPA 방식의 전송에 적용하여, HARQ 기술로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에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경우의 예로 했지만, 그 밖의 방식의 무선 데이터 전송에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기본적으로 HARQ 기술을 사용하여,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에러 정정 복호 결과에 따라 재전송 요구를 행하여, 전송을 행하는 전송 방식이면, 무선 전화 통신 이외의 각종 방식의 무선 데이터 통신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윈도 사이즈의 변경으로서, 통상시의 2047개분으로부터 1024개분으로 약 반감시키도록 했지만, 각각의 윈도 사이즈는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이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와 같이 2 단계로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때의 전파 전파 환경 등의 상황에 따라, 보다 복수 단계에서 윈도 사이즈를 변화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 때의 전파 환경에 따라, 소정 레이어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단위의 수인 윈도 사이즈가 변화되고, 예를 들면 수신측의 버퍼에 축적되는 데이터량을, 적정한 데이터량으로 컨트롤할 수 있게 되어, 수신측의 버퍼에서 수신 데이터가 파기되는 사태의 발생을 극력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예를 들면, 윈도 사이즈의 변경 요구로서,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이 규정된 값 이상,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이 규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 라디오 링크 컨트롤 레이어(RLC 레이어)의 프로토콜로 윈도 사이즈를 작게 하는 변경 요구를 행함으로써, 전파 환경이 나쁜 경우에 수신측의 RLC 레이어의 버퍼에 축적되는 데이터량이 적게 되어, 적은 데이터량 단위로 처리가 행해지게 되며, 재전송의 반복과 수신 데이터가 갖추어지지 않은 것에 의한 데이터 파기의 반복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데이터 전송 효율의 열화가 방지되어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윈도 사이즈의 변경 요구로서,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이 규정된 값 이하,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이 규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라디오 링크 컨트롤 레이어의 프로토콜로 윈도 사이즈를 크게 하는 변경 요구를 행함으로써, 전파 환경이 양호한 상태에서는, 수신측의 RLC 레이어의 버퍼에 축적되는 데이터량이 커져, 비교적 큰 데이터량 단위로 고속 전송 처리에 적합한 효율이 양호한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통계 정보로 나타나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은 가장 가까이의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의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수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수에 따라 표현함으로써, 최신의 수신 상황에 따라 윈도 사이즈를 적정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이 경우에 가장 가까이의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의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수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수는 자국 앞으로 할당된 수신 타이밍의 시간 간격수에 따라 표현함으로써, 그 국에서 수신하는 타이밍마다의 상태로서 판단되어, 보다 정확한 최신 수신 상황의 판단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단말기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NACK율 계산과 컨트롤 PDU 송신 트리거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예(윈도 감소시의 처리예)를 나타낸 타이밍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전송예(윈도 확대시의 처리예)를 나타낸 타이밍 도면이다.
도 5는 UMTS 단말기에 있어서의 레이어 구조 일부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MAC-hs PDU, MAC-d PDU, RLC PDU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전파 환경이 나쁜 경우의 데이터 전송예를 나타낸 타이밍 도면이다.

Claims (10)

  1.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에러 정정 복호 결과에 따라 재전송 요구를 행하여, 전송을 행하는 전송 방법에 있어서,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복호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통계 정보로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에 따라, 소정 레이어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단위의 수(數)인 윈도 사이즈의 변경 요구를 송신처(送信元)에 송신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 사이즈의 변경 요구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이 규정된 값 이상,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이 규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 라디오 링크 컨트롤 레이어의 프로토콜로 윈도 사이즈를 작게 하는 변경 요구인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 사이즈의 변경 요구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이 규정된 값 이하,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이 규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라디오 링크 컨트롤 레이어의 프로토콜로 윈도 사이즈를 크게 하는 변경 요구인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로 나타나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은 가장 가까이의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의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수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수에 따라 표현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가까이의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의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수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수는 자국(自局) 앞으로 할당된 패킷의 시간 간격수에 따라 표현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수신한 데이터 패킷의 에러 정정 복호 결과에 따라 재전송 요구를 행하여, 송신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수신한 데이터 패킷을 복호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통계 정보를 취득하는 통계 정보 취득 수단과,
    상기 통계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한 통계 정보로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에 따라, 소정 레이어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단위의 수인 윈도 사이즈의 변경 요구를 송신처에 송신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전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윈도 사이즈의 변경 요구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이 규정된 값 이상,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이 규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 라디오 링크 컨트롤 레이어의 프로토콜로 윈도 사이즈를 작게 하는 변경 요구인 데이터 전송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윈도 사이즈의 변경 요구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이 규정된 값 이하,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이 규정된 값 이상인 경우에, 라디오 링크 컨트롤 레이어의 프로토콜로 윈도 사이즈를 크게 하는 변경 요구인 데이터 전송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통계 정보로 나타나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비율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비율은 가장 가까이의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의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수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수에 따라 표현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정보 취득 수단에 의해 판단되는 가장 가까이의 일정 시간 간격 내에서의 정확하게 복호할 수 있었던 수 또는 정확하게 복호할 수 없었던 수는 자국 앞으로 할당된 패킷의 시간 간격수에 따라 표현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KR20050002923A 2004-01-15 2005-01-12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1095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8420A JP4417733B2 (ja) 2004-01-15 2004-01-15 伝送方法及び装置
JPJP-P-2004-00008420 2004-0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287A true KR20050075287A (ko) 2005-07-20
KR101109527B1 KR101109527B1 (ko) 2012-01-31

Family

ID=3461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02923A KR101109527B1 (ko) 2004-01-15 2005-01-12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19976B2 (ko)
EP (1) EP1555775B1 (ko)
JP (1) JP4417733B2 (ko)
KR (1) KR101109527B1 (ko)
CN (1) CN16420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10B1 (ko) * 2005-11-30 2010-09-15 노키아 코포레이션 다중 arq 메커니즘들을 이용하는 재전송을 제공하는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6676B2 (en) * 2004-12-31 2011-07-26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manage communication rates in a wireless network
KR20070111492A (ko) * 2005-02-22 2007-11-2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방법, 중계국 장치 및 무선 수신 장치
US9031071B2 (en) 2005-08-26 2015-05-12 Alcatel Lucent Header elimination for real time internet applications
WO2007036046A1 (en) 2005-09-30 2007-04-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justing a data packet window size for data packet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070127467A1 (en) * 2005-12-01 2007-06-07 Via Telecom Co., Ltd. Segmentation and reassembly receiver operation
WO2007075474A1 (en) * 2005-12-22 2007-07-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security and automatic repeat request implemen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7181127A (ja) * 2005-12-28 2007-07-12 Ntt Docomo Inc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65628B1 (ko) 2006-01-05 2013-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자원 스케줄링 방법
KR101268200B1 (ko) 2006-01-05 2013-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방법
WO2007078171A2 (en) 2006-01-05 2007-07-1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19870B1 (ko) * 2006-01-05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KR100912784B1 (ko) 2006-01-05 2009-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송신 방법 및 데이터 재전송 방법
KR101211807B1 (ko) 2006-01-05 2012-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단말의 동기상태 관리방법
WO2007078165A1 (en) 2006-01-05 2007-07-12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KR20070080552A (ko) 2006-02-07 2007-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응답 정보 전송 방법
WO2007078156A2 (en) 2006-01-05 2007-07-12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203841B1 (ko) 2006-01-05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페이징 메시지 전송 및 수신 방법
CN105515736A (zh) 2006-01-05 2016-04-20 Lg电子株式会社 在移动通信系统中发送数据
KR101333918B1 (ko) * 2006-01-05 2013-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점-대-다 서비스 통신
KR101358469B1 (ko) 2006-02-07 2014-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network) 안에서 상향(uplink)및 하향(downlink) 대역폭(bandwidth)의선택 및 신호 방법
KR101216751B1 (ko) * 2006-02-07 2012-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식별자를 이용한 충돌 회피 방법
US8493854B2 (en) 2006-02-07 2013-07-2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voiding collision using identifier in mobile network
KR101387475B1 (ko) 2006-03-22 2014-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네트워크 엔터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처리 방법
JP2007280197A (ja) * 2006-04-10 2007-10-25 Toshiba Corp 通信媒体、通信媒体処理装置、及び通信媒体処理システム
JP4818803B2 (ja) * 2006-05-01 2011-11-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可変tti長制御に基づく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2007324700A (ja) * 2006-05-30 2007-12-13 Mitsubishi Electric Corp 伝送制御方法
WO2007148635A1 (ja) * 2006-06-20 2007-12-27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KR101369135B1 (ko) 2006-06-21 2014-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및 방송서비스의 품질보장 방법 및 그 단말
EP2618517B1 (en) 2006-06-21 2023-08-0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supporting data retransmiss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70121505A (ko) 2006-06-21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링크 재설정 방법
US8570956B2 (en) 2006-06-21 2013-10-2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mmunicating data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ing message separation and mobile terminal for use with the same
KR20070121513A (ko) 2006-06-21 2007-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향 접속 방법
US8954045B2 (en) * 2006-09-29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esources at a wireless device
CN101529780B (zh) * 2006-10-27 2015-05-27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高效利用通信网络中的无线电资源的方法和设备
US7899025B2 (en) * 2006-12-26 2011-03-01 Alcatel-Lucent Usa Inc. Header suppre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027328B2 (en) * 2006-12-26 2011-09-27 Alcatel Lucent Header compre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486352B1 (ko) 2007-06-18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상태 제어방법
KR101341515B1 (ko) 2007-06-18 2013-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반복 전송 정보 갱신 방법
WO2008156314A2 (en) 2007-06-20 2008-12-24 Lg Electronics Inc. Effective system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US20090006910A1 (en) * 2007-06-27 2009-01-01 Belal Hamzeh Selective hybrid arq
JP4447028B2 (ja) * 2007-08-10 2010-04-07 富士通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送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90253B1 (ko) 2007-08-10 201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정보 전송 및 수신 방법
KR101514841B1 (ko) 2007-08-10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효율적인 랜덤 액세스 재시도를 수행하는 방법
US8594030B2 (en) 2007-08-10 2013-11-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HARQ operation in dynamic radio resource allocation
WO2009022877A2 (en) 2007-08-14 2009-02-19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processing data block of specific protocol lay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61970B1 (ko) 2007-09-13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폴링 과정 수행 방법
KR100937432B1 (ko) 2007-09-13 2010-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KR101513033B1 (ko) 2007-09-18 2015-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계층 구조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한 방법
KR101591824B1 (ko) 2007-09-18 2016-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폴링 과정 수행 방법
KR101435844B1 (ko) 2007-09-18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블록 전송 방법
KR101396062B1 (ko) 2007-09-18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더 지시자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블록 전송방법
US8687565B2 (en) 2007-09-20 2014-04-0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ffectively transmitt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reques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RPI0816602A2 (pt) * 2007-09-28 2015-09-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método e aparelho de seleção de combinação de formatos de transporte aprimorada em comunicações sem fio.
TWI484783B (zh) 2007-09-28 2015-05-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產生無線鏈結控制協議資料單元方法及裝置
KR20090041323A (ko) 2007-10-23 2009-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블록 구성함에 있어서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KR101487557B1 (ko) 2007-10-23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통제어채널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US8416678B2 (en) 2007-10-29 2013-04-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airing an error depending on a radio bearer type
JP5238036B2 (ja) * 2007-11-01 2013-07-17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Hsdpaフロー制御におけるrlcウインドウサイズの制限
KR101163275B1 (ko) 2008-03-17 201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Pdcp 상태 보고 전송 방법
US8958411B2 (en) 2008-03-17 2015-02-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RLC data
JP5094593B2 (ja) 2008-06-27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
EP2955958A1 (en) 2009-04-24 2015-12-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radio link control protocol data unit for multi-carrier operation
WO2011001469A1 (ja) * 2009-07-01 2011-01-0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WO2011079448A1 (zh) * 2009-12-30 2011-07-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自动重传请求性能的方法及系统
CN102209087B (zh) * 2010-03-31 2014-07-09 国际商业机器公司 在具有存储网络的数据中心进行MapReduce数据传输的方法和系统
CN102237988B (zh) * 2010-04-26 2014-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协作中继网络中的数据传输方法、系统、中间节点和源节点
US9055464B2 (en) * 2011-07-07 2015-06-09 Optis Cellular Technology, Llc RLC Data transmission control based on UE memory capacity
JP2012054998A (ja) * 2011-10-27 2012-03-15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30093774A (ko) * 2011-12-29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Pdcp 패킷 전송 방법
CN103117776A (zh) * 2013-01-14 2013-05-22 广州市盛戈移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有源固定信息源和移动终端的无线数据传送方法
CN104601304B (zh) * 2013-10-30 2018-09-2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Ack/nack反馈信息的传输方法和装置以及接收方法和装置
CN104065591A (zh) * 2014-07-11 2014-09-24 广东睿江科技有限公司 报文分片发送方法及装置、分片报文还原方法及装置
WO2016146347A1 (en) * 2015-03-17 2016-09-22 Sony Corporation Tele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CN107637158A (zh) 2015-05-14 2018-01-2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管理竞争窗口的方法和装置
CN105223472B (zh) * 2015-10-16 2017-12-05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超高压输电公司检修试验中心 一种基于多源数据集合论的高压输电线路故障定位方法
KR102665409B1 (ko) * 2018-10-16 2024-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접속에서 데이터 분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9598918B (zh) * 2018-12-26 2020-06-02 宁波三星智能电气有限公司 一种电能表事件信息的传输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5638A (ja) * 1985-04-24 1986-10-31 Hitachi Ltd 衛星通信方式
US4970714A (en) * 1989-01-05 1990-1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Adaptive data link protocol
US5072297A (en) * 1990-03-27 1991-12-10 Nippon Hoso Kyokai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CM audio signals in combination with a video signal
JPH07123081A (ja) * 1993-10-28 199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伝送方法
GB9520445D0 (en) * 1995-10-06 1995-12-06 British Telecomm Convolutional codes
US5828672A (en) * 1997-04-30 1998-10-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stimation of radio channel bit error rate in a digital radio telecommunication network
EP1160989A4 (en) * 1999-03-01 2005-10-19 Fujitsu Ltd TURBO DECODING DEVICE
FI106498B (fi) * 1999-03-16 2001-02-1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siirtoikkunan valinnassa ja matkaviestin
JP2001094574A (ja) * 1999-09-24 2001-04-0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lanシステム
US6661998B1 (en) * 1999-12-23 2003-12-09 Denso Corporation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communication and signal acknowledgement
FI110831B (fi) * 1999-12-31 2003-03-31 Nokia Corp Menetelmä tiedonsiirron tehostamiseksi ja tiedonsiirtoprotokolla
US6757245B1 (en) * 2000-06-01 2004-06-2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communicating packet data in a network including a radio-link
EP1168702A1 (en) * 2000-06-30 2002-01-02 Motorola, Inc.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protocol
KR100339342B1 (ko) * 2000-07-01 2002-06-03 서평원 프로토콜 데이터의 수신 확인 방법
DE60100383T2 (de) * 2000-08-18 2004-05-19 Lucent Technologies Inc. Kanalgestützte Leistungsregelungsverfahren
US6798842B2 (en) * 2001-01-10 2004-09-28 Asustek Computer Inc. Retransmission range for a communications protocol
JP3485097B2 (ja) * 2001-03-13 2004-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における適応再送要求制御方式、及び適応再送要求制御装置
US20020147025A1 (en) * 2001-04-05 2002-10-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ystems and methods for base station signal transmission power control
AU2002316128A1 (en) * 2001-05-18 2002-12-03 Bytemobile, Inc.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for multiple connections within a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EP1263160A1 (en) * 2001-06-01 2002-1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transmitter for an efficient packet data transfer in a transmission protocol with repeat requests
DE10140114A1 (de) * 2001-08-16 2003-03-13 Infineon Technologie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Qualitätsprüfung von über einen Funkkanal übertragenen Datenpaketen
EP1286491B1 (en) * 2001-08-22 2004-06-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channel ARQ method and apparatus
SE0103506D0 (sv) * 2001-10-19 2001-10-19 Ericsson Telefon Ab L M HARQ stall avoidance
DE60236138D1 (de) * 2002-01-03 2010-06-10 Innovative Sonic Ltd Fenster-basierende Blockadevermeidung für ein drahtloses Hochgeschwindigkeits-Kommunikationssystem
JP3889286B2 (ja) * 2002-01-31 2007-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復号方法、復号装置及びディジタル伝送システム
JP3953343B2 (ja) * 2002-03-13 2007-08-08 祐二 尾家 無線パケット通信装置および無線パケット通信方法
DE60212571T2 (de) * 2002-04-23 2007-06-21 Lucent Technologies Inc. Anforderung zur automatischen Sendungswiederholung
EP1434380B1 (en) * 2002-12-27 2006-07-26 NTT DoCoMo, Inc.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US6859449B2 (en) * 2003-05-19 2005-02-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enhanced radio link control acknowledg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10B1 (ko) * 2005-11-30 2010-09-15 노키아 코포레이션 다중 arq 메커니즘들을 이용하는 재전송을 제공하는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04078A (ja) 2005-07-28
EP1555775A2 (en) 2005-07-20
KR101109527B1 (ko) 2012-01-31
US20050157696A1 (en) 2005-07-21
EP1555775A3 (en) 2008-01-23
US7619976B2 (en) 2009-11-17
CN1642067A (zh) 2005-07-20
JP4417733B2 (ja) 2010-02-17
EP1555775B1 (en)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527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EP1592161B1 (en) Re-transmission controlling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7870259B2 (en) Method and transmitter for an efficient packet data transfer in a transmission protocol with repeat requests
EP150982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gmenting physical layer arq in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US6907005B1 (en) Flexible ARQ for packet data transmission
EP2266238B1 (en) Soft buffer memory configu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835617B (zh) 移动台、移动通信系统和移动通信方法
EP1393489B1 (en) Method and receiver for improved data packet transfer in a transmission protocol with repeat requests
KR10028240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파 회선 프로토콜의 프레임 전송 방법
US20090196294A1 (en) Packet transmission via multiple link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3283596A (ja) 高速ダウンリンクパケット接続システムにおけるタイマーを利用した交錯状況回避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60352467A1 (en) Radio link control recovery based on medium access feedback
US20070274264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handling packet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10530538B2 (en)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method and system
Meyer et al. ARQ concept for the UMTS long-term evolution
WO2005029789A1 (en) Data flow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