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584A -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584A
KR20050072584A KR1020040000933A KR20040000933A KR20050072584A KR 20050072584 A KR20050072584 A KR 20050072584A KR 1020040000933 A KR1020040000933 A KR 1020040000933A KR 20040000933 A KR20040000933 A KR 20040000933A KR 20050072584 A KR20050072584 A KR 20050072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mpoo composition
weight
group
chloride
shampo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1499B1 (ko
Inventor
전현욱
박현석
랑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40000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4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7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4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anio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세정계면활성제, 양이온성 폴리머, 말단 작용기가 치환된 아민화 실리콘(Bis(C13-15 Alkoxy) PG Amodimethicone) 및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아민화 실리콘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포함하고 있어, 젖은 상태에서와 마른 상태에서의 모발 컨디셔닝 효과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 {Shampoo Composition Improved in Conditioning Effect and Stability}
본 발명은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아민화 실리콘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포함하고 있어, 컨디션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물리적, 화학적, 환경적인 다양한 손상 요인에 의하여 손상됨으로써 거칠음이 증가하고, 윤기를 잃어 부드러움과 유연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서 마찰력이 증가하여 빗질 등에 의한 손질이 어려워지고, 모발이 잘리거나 끝이 갈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세정시 혹은 세정 후 모발의 부드러움을 개선하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키기 위한 세정제 또는 화장품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가 있었다.
최근에는 모발 세정제인 샴푸에 다양한 컨디셔닝 성분이나 모발보호 성분을 첨가하여 모발의 부드러움을 개선하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키고자 하였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16976호는 수불용성 비휘발성의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아미노 실리콘, 아모디메치콘,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 등의 실리콘 화합물 및 이들의 유도체들을 게재하고 있다. 이 중 아미노 실리콘, 아모디메치콘, 트리메틸실릴아모디메티콘 등의 아민화 실리콘의 경우 모발과의 친화성이 우수하여 모발이 젖어있는 상태와 마른 후의 유연감, 윤기, 매끄러움, 모발손상방지, 손상의 회복 등의 샴푸 기능을 향상시키지만, 샴푸 제조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미셀의 배열을 변형시켜 점도를 저하시키며, 결국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 및 고온에서의 안정성을 불량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디셔닝 효과 및 점도 상승으로 인해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정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 특히 화학식 2의 아민화 실리콘 및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Q-Si(OSiM2)n-(OSiM1R'1)m-O-SiQ
상기 식에서,
Q는 OH, C1-16의 알킬기 또는 C1-16의 알콕시기이고,
M1 및 M2는 수소, 페닐, OH 또는 C1-8의 알킬기이며,
m 및 n은 정수이면서 (m+n)이 1 내지 8,000이고,
R'는 CqH2qD 이며, 여기서 q는 2 내지 8의 정수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곁사슬로 구성된 알킬기; D는 -N(R")-CH2-CH2-N(R")2, -N(R") 2, -N+(R")3A-, -N+H(R")2A -, -N+H2(R")A- 및 -N(R")-CH2-CH2-N+ R"H2A-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여기서, R"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페닐, 벤질, CH2CH(OH)CH2OH 또는 포화 1 가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라디칼, A- 는 유기 또는 무기 음이온이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m 및 n 은 정수이면서, (m+n) 이 1 내지 8,000이다.
상기 아민화 실리콘은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세정계면활성제는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세정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및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및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베타인,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코코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 및 사코시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5중량%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천연 양이온성 폴리머, 합성 양이온성 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천연 양이온성 폴리머는 셀룰로오스(폴리쿼터늄 10);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성 구아; 및 이들의 혼합물;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합성 양이온성 폴리머는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산-디메틸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미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및 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은 4급 암모늄 화합물로 알킬의 탄소수가 16 내지 22인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이며,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샴푸 조성물은 펄화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샴푸 조성물은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펄화제 0.1 내지 5.0중량%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펄화제는 에틸렌글리콜모노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및 올리고머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샴푸 조성물은 방부제, 점증제, 점도조정제, pH조정제, 향료, 염료 및 컨디셔닝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샴푸로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면서 컨디셔닝 효과와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샴푸 조성물이 말단 작용기가 치환된 아민화 실리콘(Bis(C13-15 Alkoxy) PG Amodimethicone)과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세정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아민화 실리콘 및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샴푸 본래의 기능인 세정을 위한 성분으로서 세정계면활성제를 채택한다.
상기 세정계면활성제는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 미만에서는 세정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세정력이 과도하여 모발에 거친 느낌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세정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로는 베타인, 아미도 프로필 베타인, 코코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 사코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발의 스타일을 가다듬고 오래 유지시키기는 컨디셔닝 기능(정발 기능)을 위한 성분으로서 양이온성 폴리머를 채택한다.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에서는 컨디셔닝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양이온성 폴리머가 모발과 두피에 과도하게 흡착하여 눅눅한 느낌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는 천연 양이온성 폴리머, 합성 양이온성 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양이온성 폴리머로는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성 구아, 셀룰로스(폴리쿼터늄-1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양이온성 폴리머로는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PVP-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산-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미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샴푸의 컨디셔닝 효과를 보다 향상시기기 위한 성분으로서 아민화 실리콘을 채택한다.
상기 아민화 실리콘은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1 내지 3차 아민 또는 1개의 4 차 암모늄기를 함유하는 실리콘이다.
[화학식 1]
Q-Si(OSiM2)n-(OSiM1R'1)m-O-SiQ
상기 식에서,
Q는 OH, C1-16의 알킬기 또는 C1-16의 알콕시기이고,
M1 및 M2는 수소, 페닐, OH 또는 C1-8의 알킬기이며,
m 및 n은 정수이면서 (m+n)이 1 내지 8,000이고,
R'는 CqH2qD 이며, 여기서 q는 2 내지 8의 정수를 갖는 곧은 사슬 또는 곁사슬로 구성된 알킬기; D는 -N(R")-CH2-CH2-N(R")2, -N(R") 2, -N+(R")3A-, -N+H(R")2A -, -N+H2(R")A- 및 -N(R")-CH2-CH2-N+ R"H2A-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여기서, R"는 동일 또는 상이하고, 수소, 페닐, 벤질, CH2CH(OH)CH2OH 또는 메틸 라디칼 등의 C1-20 알킬 라디칼과 같은 포화 1가 탄화수소를 함유하는 라디칼, A- 는 할라이드 이온으로부터 선택된 4차 아미노기의 1가 라디칼 등의 유기 또는 무기 음이온이다.
특히, 하기 화학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 주쇄의 양 말단기가 C13-15 알콕시기로 치환되고 아미노 실리콘의 특성을 나타내는 이미노기의 수소가 CH2CH(OH)CH2OH로 치환된 아민화 실리콘(Bis(C13-15 Alkoxy) PG Amodimethicone)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합물은 다우코닝사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DC2-8500 컨디셔닝제로서 25℃에서 약 5 내지 2,000,000센티스톡의 평균 점도를 가진다.
[화학식 2]
상기의 아민화 실리콘은 주쇄가 실록산 결합 Si-O으로 이루어진 디메치콘 또는 그 유도체의 유체 및 검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민화 실리콘은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컨디셔닝 효과가 발휘되지 못하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형 형성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중량%이다.
본 발명은 샴푸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기기 위한 성분으로서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몬늄을 채택한다. 일반적인 샴푸는 제품화 되었을 때로부터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안정성이 저하된다. 이러한 안정성은 샴푸 조성물에 점도를 증가시키는 성분을 함유하게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몬늄가 점도를 높이는 성분으로서 최종적으로는 샴푸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상기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몬늄은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중량% 미만에서는 -5 내지 25oC의 저온 내지 상온 에서의 점도 향상을 미약하게 하여 안정성을 유지하지 못하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온에서의 안정성 유지가 어렵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이다.
또한, 상기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몬늄은 4급 암모늄 화합물로 알킬의 탄소수가 16 내지 22인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말단 작용기가 치환된 아민화 실리콘(Bis(C13-15 Alkoxy) PG Amodimethicone)은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지만 샴푸의 점도를 떨어뜨려 안정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도를 상승시키는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샴푸의 외관에 진주 금속 광택을 부여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펄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펄화제는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펄화제 0.1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에서는 펄감이 나타나지 않으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헹굼시 매우 거칠고 마른 후에도 모발이 건조한 느낌을 준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중량%이다.
또한, 상기 펄화제는 에틸렌글리콜모노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및 올리고머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온에서 고체 상태인 펄화제는 용융된 후 음이온성 계면활성화제 또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혼합되어 액체 상태로 샴푸 조성물에 투입되거나, 용융된 후 통상의 냉각 결정화 방법을 통하여 얻은 결정 상태로 샴푸 조성물에 투입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샴푸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방부제, 점증제, 점도조정제, pH조정제, 향료, 염료, 컨디셔닝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는 이를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이다. 방부제의 예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의 혼합물(상품명: Kathon CG, 제조회사: 미국 롬앤하스사)을 들 수 있다. 점증제와 점도 조정제로는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염화나트륨, 염화암모늄, 프로필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pH조정제로는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염료로는 수용성 타르색소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컨디셔닝제로는 동식물성 추출물, 단백질 및 단백질 변형체, 고급지방산(Fatty Acid)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 샴푸의 제조
[실시예 1]
펄 조성물을 미리 준비하였는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30% 농도의 라우릴황산암모늄 50중량%,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 5중량%, 펄화제로서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10중량% 및 증류수 35중량%를 혼합하여 75℃까지 가온한 후, 5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45℃까지 냉각하여 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은 함량으로 세정계면활성제로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와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세정계면활성제로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양이온성 폴리머로서 폴리쿼터늄-10을 물에 분산 용해시킨 후, 70℃까지 가온하여 염화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인 디세틸디모늄 클로라이드를 첨가한 후 용해시키고, 40℃까지 교반 냉각시킨 후 디메치콘과 아민화 실리콘을 가하여 30분 동안 교반시켰다. 교반시킨 후 미리 준비한 펄 조성물, 색소, 방부제, 향료, 염화나트륨, 구연산을 첨가하여 30분 동안 교반시켜 샴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
하기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아민화실리콘과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의 양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샴푸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샴푸의 점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샴푸를 25oC로 설정된 인큐베이터에 24시간 이상 동안 방치하여 내용물의 온도가 25oC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후, 브룩필드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 LVT model, Spindle #3, 6rpm or 12rpm)을 사용하여 점도를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제시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점도 (25 oC) ps 63 80 31 48 54 22
상기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아민화 실리콘 0.5중량%와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 0.5중량% 및 2중량%을 동시에 첨가하여 제조된 실시예 1 및 2의 샴푸는 아민화 실리콘 0.5중량%만을 첨가한 비교예 1에 비하여 점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0.5중량%로 첨가한 실시예 1에 비하여 2중량%로 첨가한 실시예 2의 점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민화 실리콘 2중량%와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 0.5중량% 및 2중량%을 동시에 첨가하여 제조된 실시예 3 및 4의 샴푸는 아민화 실리콘 2중량%만을 첨가한 비교예 2에 비하여 점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0.5중량%로 첨가한 실시예 3에 비하여 2중량%로 첨가한 실시예 4의 점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민화 실리콘을 2중량%로 사용한 실시예 3, 4 및 비교예 2는 아민화 실리콘을 0.5중량%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기타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수행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비하여 점도가 더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아민화 실리콘의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샴푸의 점도가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샴푸의 안정성 평가
시간에 따른 제품의 안정성을 단기간에 확인하기 위해서는 가혹조건인 50℃에서의 안정성 시험이 필요하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샴푸를 가혹조건인 50℃의 항온기에 넣고, 하단부에 분리된 투명층이 육안으로 보이기 시작하는 시점을 안정성 일수로 하여 안정성을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제시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안정성 일수 40 56 20 28 32 15
상기 표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아민화 실리콘 0.5중량%와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 0.5중량%, 2중량%을 동시에 첨가하여 제조된 실시예 1 및 2의 샴푸는 아민화 실리콘 0.5중량%만을 첨가한 비교예 1에 비하여 안정성 일수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0.5중량%로 첨가한 실시예 1에 비하여 2중량%로 첨가한 실시예 2의 안정성 일수가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민화 실리콘 2중량%와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 0.5중량%, 2중량%을 동시에 첨가하여 제조된 실시예 3 및 4의 샴푸는 아민화 실리콘 2중량%만을 첨가한 비교예 2에 비하여 안정성 일수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0.5중량%로 첨가한 실시예 3에 비하여 2중량%로 첨가한 실시예 4의 안정도 일수가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민화 실리콘을 2중량%로 사용한 실시예 3, 4 및 비교예 2는 아민화 실리콘을 0.5중량%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기타 조건을 동일하게 하여 수행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에 비하여 안정성 일수가 더 낮게 나타난다. 따라서, 아민화 실리콘의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샴푸의 안정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샴푸의 컨디셔닝 평가
두발 제품에 대한 관능 평가 경험이 풍부한 여성 100명에게 통상의 샴푸 사용방법으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샴푸로 세발하게 한 후 타올 건조 직후의 젖은 상태 및 자연건조 후 마른 상태의 감촉을 평가하게 하였다. 평가 방법은 모발 감촉이 매우 나쁜 경우 1점, 모발 감촉이 나쁜 경우 2점, 모발 감촉이 보통인 경우 3점, 모발 감촉이 좋은 경우 4점, 모발 감촉이 매우 좋은 경우 5점을 부여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제시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젖은상태 모발감촉 2.7 3.1 3.5 3.8 2.5 3.2
마른상태 모발감촉 3.1 3.4 4.0 4.2 2.9 3.6
상기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아민화 실리콘 0.5중량%와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 0.5중량%, 2중량%을 동시에 첨가하여 제조된 실시예 1 및 2의 샴푸는 아민화 실리콘 0.5중량%만을 첨가한 비교예 1에 비하여 젖은 상태 및 마른 상태에서의 모발감촉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민화 실리콘 2중량%와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 0.5중량%, 2중량%을 동시에 첨가하여 제조된 실시예 3 및 4의 샴푸는 아민화 실리콘 2중량%만을 첨가한 비교예 2에 비하여 젖은 상태 및 마른 상태에서의 모발감촉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아민화 실리콘을 0.5중량%로 첨가한 실시예 1, 2에 비하여 2중량%로 첨가한 실시예 3, 4 젖은 상태 및 마른 상태에서의 모발감촉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라 아민화 실리콘과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동시에 첨가하여 제조된 샴푸는 아민화 실리콘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된 샴푸 보다 점도 상승으로 인한 안정성과 컨디셔닝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샴푸 조성물은 컨디셔닝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말단 작용기가 치환된 아민화 실리콘(Bis(C13-15 Alkoxy) PG Amodimethicone)과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함유하고 있어, 젖은 상태와 마른 상태에서의 모발 정발 효과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세정계면활성제 및 양이온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2의 아민화 실리콘 및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m 및 n 은 정수이면서, (m+n) 이 1 내지 8,000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화 실리콘이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이 4급 암모늄 화합물로 알킬의 탄소수가 16 내지 22인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디알킬디메틸암모늄이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폴리머가 천연 양이온성 폴리머, 합성 양이온성 폴리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데, 상기 천연 양이온성 폴리머가 셀룰로오스(폴리쿼터늄 10); 및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성 구아;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합성 양이온성 폴리머가 디메틸디알릴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폴리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아크릴산-디메틸디알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미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 클로라이드 코폴리머 및 트리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계면활성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며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중량% 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암모늄, 라우릴황산마그네슘, 라우릴황산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및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라우릴산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및 야자유지방산모노에탄올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베타인,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코코암포카르복시 글리시네이트 및 사코시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샴푸 조성물이 에틸렌글리콜모노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및 올리고머알킬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된 펄화제를 더 포함하며, 전체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펄화제 0.1 내지 5.0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KR1020040000933A 2004-01-07 2004-01-07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 KR101071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933A KR101071499B1 (ko) 2004-01-07 2004-01-07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933A KR101071499B1 (ko) 2004-01-07 2004-01-07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584A true KR20050072584A (ko) 2005-07-12
KR101071499B1 KR101071499B1 (ko) 2011-10-10

Family

ID=3726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933A KR101071499B1 (ko) 2004-01-07 2004-01-07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4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733B1 (ko) * 2005-12-13 2007-07-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두피케어용 샴푸 조성물
KR100770117B1 (ko) 2006-11-03 2007-10-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817690B1 (ko) 2006-11-02 2008-03-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101358918B1 (ko) * 2007-03-16 2014-0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KR101379127B1 (ko) * 2011-06-30 2014-04-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유연효과를 갖는 액체 세제의 잔향성 증가를 위한 향료 프리믹스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0989B2 (en) 1999-08-03 2003-04-01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Self-warming rinse out hair care composition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733B1 (ko) * 2005-12-13 2007-07-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두피케어용 샴푸 조성물
KR100817690B1 (ko) 2006-11-02 2008-03-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100770117B1 (ko) 2006-11-03 2007-10-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358918B1 (ko) * 2007-03-16 2014-02-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스타일링 샴푸 조성물
KR101379127B1 (ko) * 2011-06-30 2014-04-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섬유유연효과를 갖는 액체 세제의 잔향성 증가를 위한 향료 프리믹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1499B1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629A (ja) 透明なコンディショニング組成物
JPH10338899A (ja) 洗浄用化粧品組成物及びその使用
KR101494008B1 (ko) 컨디셔닝 효과가 향상된 비듬 방지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EP0729742B1 (en) Hai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amino-modified silicon polymer
KR101029656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071499B1 (ko) 컨디셔닝 효과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샴푸 조성물
KR100462249B1 (ko) 세정용 미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743813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TWI747826B (zh) 增強毛髮的蓬鬆感的毛髮清洗用組合物及其應用
KR100610470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WO2015075098A2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N106132392B (zh) 毛发清洗用组合物
KR100743829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291693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577785B1 (ko) 트랜스글루타미나제를 함유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0663593B1 (ko) 크림타입의 샴푸 조성물
KR100691094B1 (ko) 투명한 비수계 모발 컨디셔닝 조성물
KR102168929B1 (ko) 컨디셔닝 효과가 개선된 모발 세정용 조성물
KR100530899B1 (ko) 세정제 조성물
JP5698528B2 (ja) 毛髪化粧料
KR100522822B1 (ko)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101042734B1 (ko)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
KR100914352B1 (ko) 마른 후 사용감이 개선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KR20060007071A (ko)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KR20060112027A (ko) 투명 샴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