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251A - Par를 이용한 송수신기의 성능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Par를 이용한 송수신기의 성능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251A
KR20050071251A KR1020030102283A KR20030102283A KR20050071251A KR 20050071251 A KR20050071251 A KR 20050071251A KR 1020030102283 A KR1020030102283 A KR 1020030102283A KR 20030102283 A KR20030102283 A KR 20030102283A KR 20050071251 A KR20050071251 A KR 20050071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par
signal
peak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2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기
신현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2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1251A/ko
Publication of KR20050071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25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LC기능과 AGC기능을 갖는 고주파 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신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증폭하는 자동전력크기(ALC)회로와; 수신신호의 피크값과 RMS((Root-Mean-Square)값을 검출하는 기저대역 처리부와; ALC (Automatic Level Control)회로의 제어전압을 이용하여 수신신호의 초기 전력크기을 측정한 다음 수신신호의 PAR(Peak to Average ratio)값 특성에 따라 전력크기 오프셋을 구하여 수신신호의 최종 전력크기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PAR를 이용한 송수신기의 성능개선 방법{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 USING PAR IN TRANSMITTER AND RECEIVER}
본 발명은 ALC기능과 AGC기능을 갖는 송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PAR(Peak to Average ratio)변화가 큰 CDMA신호의 전력크기를 측정할 때, 피크검출 성능 및 이득제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송수신기의 성능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의 최종단은 고주파(RF)송수신기로 구현된다. RF송수신기에서 송신기는 기저대역(base band) 신호를 변조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RF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고, 수신기는 RF신호를 기저대역 신호 및 디지털 신호로 차례로 변환한 다음 복조하여 모뎀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신기는 단말에서 보내는 미약한 신호를 왜곡없이 증폭한 다음 일정한 크기의 신호로 만들어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로 인가하며,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송신기는 기저대역의 신호를 왜곡없이 일정한 이득을 갖도록 증폭하여 안테나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신기는 자동전력레벨제어(ALC : Automatic Level Control)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송신기는 자동이득제어(AGC : Automatic Gain Control)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기는 빠른 응답특성을 가져야 하므로 아날로그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송신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비교 느리게 디지털 방식으로 제어되고 있다. 최근에는 송수신의 처리방식이 디지털방식으로 전환되는 추세에 있어 그에 따라 송수신기의 여러 성능들이 개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신신호의 전력크기(레벨)은 ALC회로내의 가변이득증폭기 (VGA : Variable Gain Amplifier)의 제어전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VGA의 제어전압은 수신신호의 크기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현재 제어되고 있는 전압값과 특정 제어전압값을 비교하여 수신신호의 전력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도 1은 ALC 및 AGC기능을 갖는 일반적인 송수신기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송신부는 무선 처리부(11), 전력레벨제어(Automatic Level Control: ALC)회로(12), 기저대역처리부(14) 및 제어부(18)를 포함한다.
ALC회로(12)는 제어전압(Cv)에 따라 수신 RF신호의 이득을 가변하는 가변이득 증폭기(VGA)(12a)와, VGA(12a)의 출력신호(수신신호)의 피크값을 검출하는 피크(Peak) 전력검출기(12b)와, 기준전압과 피크 전력검출기 (12b)의 검출전압을 비교하여 제어전압(Vc)을 생성하는 적분기(12c)로 구성된다.
먼저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RF신호는 송신부의 듀플렉스(10)을 통하여 무선 처리부(11)로 입력되고, 무선 처리부(11)는 수신 RF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여 중간주파수(IF)신호로 변환한다.
ALC회로(12)는 IF신호의 전력레벨을 제어하여 ADC(13)의 입력단에 항상 일정한 레벨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ADC(13)의 신호변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양자화 잡음을 최대한 줄여인다. 즉, ALC회로(70)의 VGA(12a)는 제어전압(Cv)에 따라 RF신호의 이득을 가변시킨다. 이때, 피크 전력검출기(12b)는 VGA(12a)의 출력신호의 피크값을 검출하여 적분기(12c)로 출력하고, 적분기(12c)는 기준전압과 피크전력 검출기(12b)의 검출전압을 비교하여 VGA(12a)의 제어전압 (Vc)을 생성한다.
따라서, ALC회로(12)에서 일정하게 출력되는 수신 RF신호는 ADC(13)에서 디지털 RF신호로 변환되고, 기저대역처리부(14)는 ADC(13)에서 출력된 디지털 RF신호를 복조 및 필터링하여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한 다음 모뎀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8)는 적분기(12b)에서 출력되는 제어전압(vc)을 이용하여 수신신호의 전력레벨(크기)를 측정한다. 즉, 제어부(81)는 수신신호의 크기에 따른 VGA(30)의 제어전압(Vc)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적분기에서 출력되는(측정된) 제어전압(Vc)에 해당되는 수신신호의 크기(RSSI)를 계산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수신 RF신호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처리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16)는 적분기(12b)에서 출력되는 현재의 VGA(12a)의 제어전압(Vc)값을 측정한다(S10). 현재의 제어전압(Vc)값이 측정되면 제어부(18)는 기 저장된 수신신호의 크기별 VGA의 제어전압값들을 리드한다(S11). 제어부(18)는 리드한 제어 전압값들중에서 오차범위내에서 현재의 제어전압값과 동일한(가장 유사한) 제어전압값을 선택한 다음 선택한 제어전압값이 가리키는 수신신호의 크기를 출력한다(S12,S13).
그리고, 도 1의 송수신기에서 송신부는 기저대역(처리부(14), DAC(15), 무선 처리부(11) 및 자동이득제어(Automatic Gain Control: AGC)회로(17)를 포함한다.
AGC회로(17)는 무선 처리부(16)에서 출력된 송신 RF를 제어부(18)의 이득제어 전압에 따라 감쇄시키는 가변감쇄기(17a)와, 감쇄된 송신 RF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로 출력하는 RF증폭기(17b)와, 안테나로 출력되는 RF신호를 분기하는 커플러(Coupler)(17c)와, 커플러(17c)에서 분기된 송신 RF신호(송신신호)의 피크값을 검출하는 피크 전력검출기(17d)로 구성된다.
먼저, 기저대역처리부(14)는 모뎀에서 전달된 신호를 변조 및 PSF(Pulse Shaping Filter) 처리하여 기저대역신호를 출력하고, RMS 검출기(14a)는 기저대역 신호의 RMS(Root-Mean-Square: 실효치)값을 검출한다.
베이스밴드신호는 DAC(15)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후 무선처리부(16)에 의해 RF신호로 변환된다. AGC회로(17)의 가변감쇄기(17a)는 제어부(18)의 이득 제어전압에 따라 RF신호를 감쇄시키며, 감쇄된 RF신호는 RF증폭기(17b)에서 증폭된 후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된다. 이때, 커플러(17c)는 안테나로 출력되는 송신 RF신호를 분기하여 피크전력 검출기(17d)로 출력하고, 피크전력 검출기(17d)는 송신 RF신호의 전력크기를 검출하여 제어부(18)로 인가한다.
따라서, 제어부(18)는 피크전력 검출기(12b)에서 검출된 송신 RF신호의 크기에 에 따라 송신 RF신호(송신신호)의 이득을 제어한다.
도 3은 종래의 송신 RF신호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처리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 RF신호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18)는 먼저 시스템(모뎀)으로부터 송신기의 목표 이득값을 수신한다(S20). 제어부(18)는 피크전력검출기(17d)에서 검출된 피크값과 RMS검출기(14a)에서 검출한 RMS값을 이용하여 송신기의 실제 이득값을 구한 다음 구한 이득값과 목표 이득값과의 차이가 오차범위내인지 체크한다(S21,S22).
만약, 두 이득값의 차이가 오차범위내에 존재하면 제어부(18)는 일정 시간을 대기한 다음 과정(S22) 이후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S23), 두 이득값의 차이가 오차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 가변 감쇄기(17a)로 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23). 즉, 제어부(18)는 현재 이득값과 목표 이득값과의 차이가 오차범위이내로 줄어들 때까지 가변감쇄기(17a)에 새로운 이득 제어값을 제공하여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CDMA신호는 채널수와 종류에 따라 PAR(Peak to Average ratio)값이 크게 달라진다. 이때, PAR은 어떤 신호의 피크값과 RMS값의 비를 의미한다. 그런데, 종래의 수신기의 ALC회로에서 사용되는 피크전력검출기와 송신기의 AGC회로에서 사용되는 피크전력검출기는 같은 평균전력을 갖지만 PAR이 다른 CDMA신호(채널신호)에 대하여 측정오차를 검출한다. 즉 종래의 피크 전력 검출기는 신호의 RMS값을 측정하기보다는 피크값을 측정하기 때문에 CDMA신호의 종류에 따라 수신기에서 수신신호의 크기를 측정할 때 및 송신기에서 송신신호의 이득을 제어할 때 오차가 발생된다.
특히, 피크전력검출기의 측정오차는 온도에 의해 발생하는데, 송신기의 AGC는 제어부가 피크전력 검출기의 온도특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온도에 따른 오차를 보상을 수행할 수 있지만, 수신기의 ALC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수행되며 특히 제어부의 제어를 받지 않기 때문에 피크전력 검출기의 온도 특성이 보상되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수신기의 ALC회로의 출력신호의 전력 크기는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PAR변화가 큰 CDMA신호의 전력크기를 측정할 때 피크 전력검출기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AR을 이용하여 RF 피크전력 검출기에 의한 송신기에서의 수신신호의 크기(RSSI)측정과 송신기에서의 이득제어오차를 보상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변화에 의한 ALC회로의 출력변화를 보상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주파 송수신기는 수신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증폭하는 자동전력크기 (ALC)회로와; 수신신호의 피크값과 RMS((Root-Mean-Square)값을 검출하는 기저대역 처리부와; ALC(Automatic Level Control)회로의 제어전압을 이용하여 수신신호의 초기 전력크기을 측정한 다음 수신신호의 PAR(Peak to Average ratio)값 특성에 따라 전력크기 오프셋을 구하여 수신신호의 최종 전력크기를 측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수신신호의 피크값 및 RMS값을 이용하여 제1PAR값을 계산하고, 제1PAR값과 오차범위내에서 동일한 제2PAR값을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제2PAR값이 가리키는 수신신호의 전력크기 오프셋을 구하여 온도에 의한 ALC회로의 출력변화를 보상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수신신호의 전력크기와 전력크기 오프셋을 가산하여 수신신호의 최종 전력크기를 측정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ALC회로는 제어전압에 따라 수신 RF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가변이득증폭기(VGA)와; 상기 VGA의 출력신호의 피크값을 검출하는 피크 전력검출기와; 제어부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기준전압을 가변하는 가변전위 발생기와; 상기 기준전압과 피크값을 비교하여 VGA의 제어전압을 발생하는 적분기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적분기에서 발생되는 제어전압을 근거로 VGA의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가변전위발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수신기의 전력크기 측정방법은 ALC(Automatic Level Control)회로에서 수신신호를 증폭하는 단계와; 증폭된 수신신호의 피크값과 RMS(Root-Mean-Square)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피크값과 RMS값을 이용하여 PAR(Peak to Average ratio)을 계산하는 단계와; ALC회로의 제어전압을 근거로 수신신호의 초기 전력크기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PAR값특성에 따라 크기 오프셋을 구하는 단계와; 초기 전력크기와 오프셋을 가산하여 수신신호의 최종 전력크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력크기 측정방법은 산출된 최종 전력크기에 따라 ALC회로의 이득을 제어하여 온도변호에 따른 ALC회로의 출력변화를 보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프셋을 구하는 단계는 수신신호의 피크값 및 RMS값을 이용하여 제1PAR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제1PAR값과 오차범위내에서 동일한 제2PAR값을 메모리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제2PAR값이 가리키는 수신신호의 크기 오프셋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주파 송수신기는 송신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자동이득제어(AGC)회로와; 기저대역 송신신호의 피크값과 RMS((Root-Mean-Square)값을 검출하는 기저대역 처리부와; 검출된 피크값과 RMS값을 이용하여 송신신호의 크기 오프셋을 계산한 다음 현재 송신기의 이득값과 크기 오프셋의 가산값으로 AGC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송신신호의 피크값 및 RMS값을 이용하여 제1PAR(Peak to Average ratio)값을 계산하고, 제1PAR값과 오차범위내에서 동일한 제2PAR값을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제2PAR값이 가리키는 송신신호의 크기 오프셋을 구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송신기의 이득제어방법은 AGC(Automatic Gain Control)회로에서 송신신호를 증폭하는 단계와; 기저대역 송신신호의 피크값과 RMS((Root-Mean-Square)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피크값과 RMS값을 이용하여 송신기의 현재 이득값 및 PAR(Peak to Average ratio)을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PAR값특성에 따라 크기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와; 현재의 이득값과 크기 오프셋을 가산하여 송신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크기 오프셋을 계산단계는 송신신호의 피크값과 RMS값을 이용하여 제1PAR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제1PAR값과 오차범위내에서 동일한 제2PAR값을 메모리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제2PAR값이 가리키는 송신신호의 크기 오프셋을 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ALC기능과 AGC기능을 갖는 송수신기에서 적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수신신호 전력크기(RSSI) 측정과 송신기의 자동이득제어(AGC)기능 및 온도에 따른 수신기의 ALC기능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에서 수신기는 ALC회로(22)내에 가변전위발생기(Potentiometer)(22d)를 추가로 포함하고, 또한 기저대역 처리부 (24)내에 수신 기저대역신호의 피크값과 RMS값을 각각 검출하는 피크검출기(24a) 및 RMS검출기(24a)를 추가로 포함한다. 가변전위발생기(22d)는 제어부(28)에 의해 제어되어, 온도에 따라 ALC회로(22)의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적분기 (22b)의 기준전압을 가변한다.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에서 송신기는 기저대역 처리부(24)내에 송신 기저대역신호의 피크값과 RMS값을 각각 검출하는 피크검출기(24c) 및 RMS검출기(24d)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다른 블록의 구성은 번호만 다를 뿐 도 1의 송수신기와 동일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RF신호의 전력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처리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28)는 적분기(22b)에서 출력되는 VGA(22a) 의 제어전압(Vc)값을 측정하고(S30), 기저대역 처리부(24)내의 피크검출기(24a) 및 RMS검출기(24b)로부터 수신 기저대역신호의 피크값과 RMS값을 이용하여 PAR을 계산한다(S31).
현재의 제어전압(Vc)값과 PAR이 측정되면 제어부(28)는 저장된 수신신호의 크기별 제어 데이터와 PAR데이타별 수신신호 크기 오프셋을 메모리로부터 리드한다(S32,S33). 제어부(28)는 리드한 제어 데이터 및 PAR데이터중에서 현재 제어전압값 및 PAR값과 오차범위내에서 동일한(가장 유사한) 제어 데이터 및 PAR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체크한다(S34,S35).
체크결과, 만약 현재 제어전압값 및 PAR값과 오차범위내에서 동일한 제어 데이터 및 PAR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가변전위발생기(22d)를 제어하여 적분기 (22b)의 기준전압을 변경한다(S36). 즉, 가변전위발생기(22d)는 제어부(28)의 제어에 따라 온도변화에 의해 변화되는 ALC회로(22)의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적분기(22b)의 기준전압을 가변한다.
이후, 상기와 과정(S30-S35)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현재 제어전압값 및 PAR값과 가장 유사한 제어 데이터 및 PAR데이터가 구해지면, 제어부(28)는 구한 제어 데이터 및 PAR데이터가 가리키는 기 저장된 수신신호 크기 및 수신신호 크기 오프셋(보상값)을 구한다(S33,S37). 따라서, 제어부(28)는 구해진 수신신호 크기에 오프셋을 더하여 온도변화가 보상된 수신신호 전력크기(RSSI)를 측정함으로써 수신신호의 ALC기능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8)에 의해 온도변화에 의한 ALC(22a)의 출력변화가 보상되기 때문에 피크전력 검출기 (22c)는 더욱 정확하게 피크전력을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RF신호의 이득제어를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송신신호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28)는 시스템(모뎀)으로부터 송신기의 목표 이득값을 수신한다(S50).
제어부(28)는 기저대역 처리부(24)의 피크 전력검출기(24c)와 RMS검출기 (24d)로부터 수신 기저대역신호의 피크값과 RMS값을 입력받아 기저대역신호의 PAR을 계산한다(S31). 이때, PAR값은 피크값과 RMS값의 비를 의미한다(S51). 또한, 제어부(28)는 피크전력 검출기(27d)에서 검출한 송신 RF신호의 피크값과 RMS검출기(24d)에서 검출한 RMS값을 이용하여 송신기의 이득값을 계산한다(S52).
일단 기저대역신호의 PAR과 송신기의 이득값이 계산되면, 제어부(28)는 기 저장된 PAR데이터에 대한 송신신호 크기 오프셋을 메모리로부터 리드한 다음 저장된 PAR 데이터중에서 상기 계산한 PAR값과 오차 범위내에서 동일한 PAR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체크한다(S53,S54).
체크결과, 만약 현재 PAR값과 오차범위내에서 동일한 PAR데이터가 존재하면, 제어부(28)는 해당 PAR 데이터가 가리키는 송신신호의 크기 오프셋을 선택한다(S55). 송신신호의 크기 옵프셋이 구해지면 제어부(28)는 해당 크기 오프셋을 과정(S542)에서 계산한 송신기의 이득값과 가산하여 현재의 이득값을 발생한 다음(S56) 현재 이득값과 목표 이득값과의 차이가 오차범위에 있는지 체크한다(S57).
만약 두 이득값의 차이가 오차범위내에 존재하면 제어부(28)는 일정 시간을 대기한 다음 과정(S51) 이후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고(S23), 두 이득값의 차이가 오차범위내에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가변 감쇄기(27a)로 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58). 즉, 제어부(28)는 현재 이득값과 목표 이득값의 차가 오차범위이내로 줄어들 때까지 가변 감쇄기(27a)로 새로운 이득 제어값을 출력하여 자동이득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제어부(28)는 PAR에 따라 송신 RF신호의 이득을 제어함으로써 피크전력검출기(27d)의 검출성능 및 AGC기능이 더욱 정확하게 수행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RF단에서 사용되는 피크전력검출기는 신호의 피크값을 측정하기 때문에 수신신호의 PAR특성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지는데, 본 발명은 제어부와 기저대역의 디지털 전력검출기를 이용하여 RF 피크전력 검출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신신호의 전력 크기 측정(RSSI)과 송신신호의 자동이득제어(AGC)기능을 더욱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기에 가변전위발생기를 구비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ALC회로의 출력변화를 보상할 수 있다.
도 1은 ALC 및 AGC기능을 갖는 일반적인 송수신기 블록도
도 2는 종래 수신 RF신호의 크기(RSSI)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처리 흐름도
도 3은 종래의 송신 RF신호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처리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기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RF신호의 전력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처리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RF신호의 이득제어를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듀플렉서 21 : 수신 IF/RF처리부
22 : ALC회로 23 : ADC
24 : 기저대역 처리부 25 : DAC
26 : 송신 IF/RF처리부 27 : AGC회로
28 : 제어부

Claims (12)

  1. 수신신호를 일정한 레벨로 증폭하는 자동전력크기(ALC)회로와;
    수신신호의 피크값과 RMS((Root-Mean-Square)값을 검출하는 기저대역 처리부와;
    ALC(Automatic Level Control)회로의 제어전압을 이용하여 수신신호의 초기 전력크기을 측정한 다음 수신신호의 PAR(Peak to Average ratio)값 특성에 따라 전력크기 오프셋을 구하여 수신신호의 최종 전력크기를 측정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주파 송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신호의 피크값 및 RMS값을 이용하여 제1PAR값을 계산하고, 제1PAR값과 오차범위내에서 동일한 제2PAR값을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제2PAR값이 가리키는 수신신호의 전력크기 오프셋을 구하여 온도에 의한 ALC회로의 출력변화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주파 송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수신신호의 전력크기와 전력크기 오프셋을 가산하여 수신신호의 최종 전력크기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주파 송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LC회로는
    제어전압에 따라 수신 RF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가변이득증폭기(VGA)와;
    상기 VGA의 출력신호의 피크값을 검출하는 피크 전력검출기와;
    제어부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기준전압을 가변하는 가변전위 발생기와;
    상기 기준전압과 피크값을 비교하여 VGA의 제어전압을 발생하는 적분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주파 송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분기에서 발생되는 제어전압을 근거로 VGA의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가변전위발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주파 송수신기.
  6. ALC(Automatic Level Control)회로에서 수신신호를 증폭하는 단계와;
    증폭된 수신신호의 피크값과 RMS(Root-Mean-Square)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피크값과 RMS값을 이용하여 PAR(Peak to Average ratio)을 계산하는 단계와;
    ALC회로의 제어전압을 근거로 수신신호의 초기 전력크기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PAR값특성에 따라 크기 오프셋을 구하는 단계와;
    초기 전력크기와 오프셋을 가산하여 수신신호의 최종 전력크기를 산출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수신기의 전력크기 측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최종 전력크기에 따라 ALC회로의 이득을 제어하여 온도변호에 따른 ALC회로의 출력변화를 보상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수신기의 전력크기 측정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을 구하는 단계는
    수신신호의 피크값 및 RMS값을 이용하여 제1PAR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제1PAR값과 오차범위내에서 동일한 제2PAR값을 메모리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제2PAR값이 가리키는 수신신호의 크기 오프셋을 구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수신기의 전력크기 측정방법.
  9. 송신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자동이득제어(AGC)회로와;
    기저대역 송신신호의 피크값과 RMS((Root-Mean-Square)값을 검출하는 기저대역 처리부와;
    검출된 피크값과 RMS값을 이용하여 송신신호의 크기 오프셋을 계산한 다음 현재 송신기의 이득값과 크기 오프셋의 가산값으로 AGC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주파 송수신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송신신호의 피크값 및 RMS값을 이용하여 제1PAR(Peak to Average ratio)값을 계산하고, 제1PAR값과 오차범위내에서 동일한 제2PAR값을 메모리에서 검색하여, 제2PAR값이 가리키는 송신신호의 크기 오프셋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고주파 송수신기.
  11. AGC(Automatic Gain Control)회로에서 송신신호를 증폭하는 단계와;
    기저대역 송신신호의 피크값과 RMS((Root-Mean-Square)값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피크값과 RMS값을 이용하여 송신기의 현재 이득값 및 PAR(Peak to Average ratio)을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된 PAR값특성에 따라 크기 오프셋을 계산하는 단계와;
    현재의 이득값과 크기 오프셋을 가산하여 송신신호의 이득을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송신기의 이득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 오프셋을 계산단계는
    송신신호의 피크값과 RMS값을 이용하여 제1PAR값을 계산하는 단계와;
    제1PAR값과 오차범위내에서 동일한 제2PAR값을 메모리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검색된 제2PAR값이 가리키는 송신신호의 크기 오프셋을 구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송신기의 이득제어방법.
KR1020030102283A 2003-12-31 2003-12-31 Par를 이용한 송수신기의 성능개선 방법 KR20050071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2283A KR20050071251A (ko) 2003-12-31 2003-12-31 Par를 이용한 송수신기의 성능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2283A KR20050071251A (ko) 2003-12-31 2003-12-31 Par를 이용한 송수신기의 성능개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251A true KR20050071251A (ko) 2005-07-07

Family

ID=3726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2283A KR20050071251A (ko) 2003-12-31 2003-12-31 Par를 이용한 송수신기의 성능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12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922A (ko) * 2007-08-24 2010-04-3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피기백 전송된 ack/nack 필드로 무선 블록을 신뢰성있게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4116068A1 (en) * 2013-01-25 2014-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in in communicaton system supproting beam forming sche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4922A (ko) * 2007-08-24 2010-04-30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피기백 전송된 ack/nack 필드로 무선 블록을 신뢰성있게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29823B1 (ko) * 2007-08-24 2012-03-27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피기백된 ack/nack 필드로 무선 블록을 신뢰성있게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8576732B2 (en) 2007-08-24 2013-11-0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y transmitting radio blocks with piggybacked ACK/NACK fields
US9344224B2 (en) 2007-08-24 2016-05-1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y transmitting radio blocks with piggybacked ACK/NACK fields
WO2014116068A1 (en) * 2013-01-25 2014-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in in communicaton system supproting beam forming scheme
US9270312B2 (en) 2013-01-25 2016-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gain in communicaton system supporting beam forming sche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2007C (en) Radio telephone using received signal strength in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US6166598A (en) Power amplifying circuit with supply adjust to control adjacent and alternate channel power
KR100810875B1 (ko) 무선 송신 전력 제어 회로 및 무선 송신 전력 제어 방법
US9344041B2 (en) Polar amplification transmitter distortion reduction
US7072632B2 (en) Fast signal detection process
KR1004140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파워 보상장치 및 방법
CN100542020C (zh) 自动增益控制设备及方法
CN102983922A (zh) 一种测量同频信号干扰的方法及接收机
KR20050032810A (ko) 자동 이득 제어 루프를 위한 온도 보상 장치
CN109951244B (zh) 一种应用于信道模拟器的功率测量及射频接收增益控制方法
EP2704321A1 (en) Adaptive stepped gain amplifier system and method
US20030006839A1 (en) Extended range power detector and amplifier and method
KR10192149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 장치 및 방법
JP3669497B2 (ja) 送信装置、及びその自動利得制御方法
KR20050071251A (ko) Par를 이용한 송수신기의 성능개선 방법
JP3197467B2 (ja) 送信出力制御装置
KR100651493B1 (ko) 수신기에서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US6611679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ceiving amplifier in a radio terminal
JP2004134917A (ja) 自動利得制御装置、無線受信装置及び自動利得制御方法
JP2018067030A (ja) Rfidリーダライタおよびrfidシステム
KR100438551B1 (ko) 기지국 수신기의 수신신호 세기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030048969A (ko) 기지국 송신기의 자동 이득 조절 회로 및 방법
KR100719417B1 (ko) 비동기 이동통신 기지국의 송출전력 자동 제어 장치 및방법
KR100606688B1 (ko)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전력 제어 장치
KR100973699B1 (ko) 주파수 도약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에서 수신신호의 자동이득 조절장치, 자동이득 조절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