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225A -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225A
KR20050070225A KR1020030099465A KR20030099465A KR20050070225A KR 20050070225 A KR20050070225 A KR 20050070225A KR 1020030099465 A KR1020030099465 A KR 1020030099465A KR 20030099465 A KR20030099465 A KR 20030099465A KR 20050070225 A KR20050070225 A KR 20050070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polyester
polyester fiber
strength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1210B1 (ko
Inventor
정이운
심동석
신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30099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210B1/ko
Publication of KR2005007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8Stretching in two or more steps, with or without intermediate step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 D02J1/229Relax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 저수축의 특성을 갖는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요 방사 조건(압출기의 실린더 온도, 기어 펌프 온도, 방사 빔 온도, 후드 온도, 냉풍 속도) 및 권취 조건(연신비, 이완률)을 적정화 하여 폴리에스테르 섬유 3,500m/min의 고속으로 권취함을 특징으로 하고, 종래의 권취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발생하는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배향 증가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작업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절신 22-24%, 강도 7.8g/d이상, 건열수축률(190℃, 15분, 초하중 0.01g/d, 테스트라이트)이 3.0%이하인,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의 섬유로서 사용될 경우 외부 하중에 대한 높은 저항성과 수축률 및 높은 형태안전성을 나타낼 수 있어 이를 사용한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가 있다.

Description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A technical polyester fiber with high tenacity and low shrinka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방사 조건 및 권취 조건을 적정화 하여 고속으로 제조된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우수한 강력, 신장 탄성률, 치수안정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산업용 섬유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는 방사속도 증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방사시 방사속도가 증가하면 방사장력 증가에 의한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의 배향이 증가하고, 임계 방사속도 이상에서는 배향유도 결정화도 이루어지며, 방사속도 증가에 의한 이러한 미연신사의 구조변화는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의 잔여 연신성(Residual drawability)의 감소로 이어진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므로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원사 제조에 있어서는 연신공정 이전의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의 배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미연신사 배향이 증가하면 잔여 연신성이 감소하여 작업성 저하로 이어진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고유 점도 0.64 내지 0.66 정도의 저점도 칩을 사용하여 의류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고속방사로 제조할 때 수반되는 방사장력증가 문제를 개선하는 방법이 종래부터 다양한 방법으로 제안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고 특허 공보 제1992-0010260호(공고일: 1992.11.21)에서는 급유장치 상부에 공기 공급노즐 및 파이프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고, 동 공고 특허 공보 제 1997-0010696호(공고일: 1997.06.30)는 퀘엔칭 에어 유입 방지판 및 유입 방지 셔터를 설치하는 방법을, 동 공고 특허 공보 제1994-0023162호(공고일: 1997.12.24)는 급유 후 2단 가열 파이프를 설치하는 방법을 통하여 방사장력을 낮추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고 특허 공보 제1993-0005092호(공고일: 1993.06.15)와 동 공개 특허 공보 제1999-0049289호(공개일: 1999.07.05)등에서는 냉각 방법을 변형하기 위한 냉각실을 3개로 구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고, 또한 2단 냉각으로 상·하부 온도를 다르게 부여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나,이러한 방법들은 추가적인 설비 부담이 있어 경제적인 측면에서 상업적인 문제점이 있다.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고유 점도 0.8이상의 고점도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중합물 개질 또는 첨가제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고 특허 공보 제1993-0011336호(공고일: 1993,11.30), 동 공고 특허 공보 제1995-0002812호(공고일: 1995.03.27)등에서는 고유 점도 0.8이상의 폴리에스테를 칩에 1 내지 8wt%의 열방성 액정 고분자를 첨가하여 3000m/min 이상으로 방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며, 펜타에리트리톨, 트레멜리트산, 멜리트산을 측쇄제로 1 내지 10wt% 함유시켜 3,000내지 6,000m/min의 속도로 방사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중합물을 개질하거나 첨가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초하중 0.01g/d, 190℃, 15분의 조건을 기준으로 최종 연신사의 수축률이 3%이하로 요구되는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저수축사의 용도로서는 수축률이 높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선행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설비변경이나 중합물 개질 또는 첨가제 사용없이 방사, 권취조건을 적정화 함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하고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고강도, 저수축의 특성을 갖는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비 변경이나 중합물 개질 또는 첨가제 없이 작업성이 우수한 고강도, 저수축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칩을 용융 방사하고, 냉각 고화된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필라멘트사를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데트 롤러 이전에 통상적인 방사 유제를 부여(Kiss Roller 또는 Jet Oiler)한 다음 여섯 쌍의 고데트 롤러를 거치면서 연신 및 1차 열고정, 이완을 실시하고, 이어서 스트레치 공정을 거친 후 권취처리 한다.
본 발명은 폴리머의 고상 중합된 고유 점도 0.8 내지 0.85의 폴리에스테르 칩을 용융시켜 압출기 실린더 온도를 290 내지 390℃로 하고, 방사 빔 온도를 295 내지 315℃, 후드 온도를 350 내지 380℃, 냉풍 속도는 0.6m/s 내지 1.0m/s이며, 냉풍온도는 25℃인 조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물성인 고 강도, 저수축의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고 복굴절률 2.2 ×10-3이하이며,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를 다단 고데트 롤러에서 연신비 5.25 내지 5.35, 이완률 9.0% 내지 9.5, 권취 속도를 3,500m/min으로 하고 건열수축률(190℃×15분, 초하중 0.01g/d, 테스트라이트) 3.0%이하의 물성을 갖는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직접 방사 연신 공정으로 고강도 및 저수축의 성질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3,500m/min의 권취 속도로 제조하기 위하여 적정 점도의 폴리에스테르 고상 중합 칩을 사용하여 용융 방사한 다음, 와인더에 권취하기까지 여러 쌍의 고데트 롤러를 거치며 연신-열고정-이완-권취의 과정을 거치는 방법이다. 이 때 권취 속도 증가에 따른 방사장력 증가에 의한 잔여 연신성 감소 문제를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 기어 펌프 온도, 방사 빔 온도, 후드 온도, 냉풍 속도를 위 기재와 같은 조건으로 조절하여 적정 방사조건을 결정함으로써 해결하였고, 다단 고데트 롤러상에서 연신비 5.25 내지 5.35 및 이완률 9.0 내지 9.5%이내에서 유지하여 작업성이 우수하면서도 고강도 저수축 특성을 가지는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3,500m/min의 권취 속도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수득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방사 구금을 통하여 나오는 폴리에스테르 용융물은 첫 번째 고데트 롤러 이전에는 냉각된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상태이다. 이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는 첫 번째 고데트 롤러와 네 번째 롤러 사이에서 연신되며, 네 번째 고데트 롤러에서 1차 열고정 과정을 거친 후 네 번째 고데트 롤러와 다섯 번째 고데트 롤러사이에서 이완 공정, 그리고 다섯 번째 고데트 롤러와 여섯 번째 고데트 롤러사이에서 스트레치 과정을 거친 후 최종 권취된다. 여기서, 각각의 고유 점도가 0.80 내지 0.85인 고상 중합 폴리에스테르 칩을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고, 연신비와 이완률의 변화를 달리하여 저수축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고장력을 유지할 수있는 원사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는 290 내지 310℃가 바람직하며, 실린더 온도가 290℃ 미만인 경우, 방사 장력 증가에 따른 복굴절률이 증가하여 최종 연사의 외관 핀사를 발생시키고, 실린더 온도가 3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용융물의 열분해에 의해 외관이 불량해진다.
방사 빔 온도는 295 내지 315℃가 바람직하다. 빔 온도가 295℃ 미만인 경우, 방사 장력 증가에 따른 복굴절률이 증가하여 최종 연신사의 외관 핀사를 발생시키고, 빔 온도 31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상열매의 압력이 높아져서 안정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후드 온도는 350 내지 380℃가 바람직하다. 후드 온도가 350℃ 미만인 경우, 방사장력 증가에 따른 복굴절률이 증가하여 최종 연신사의 외관 핀사를 발생시키고, 후드 온도가 3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노즐면에서 용융상 필라멘트의 곡사현상이 심하며, 최종연신사의 외관 불량으로 이어진다.
냉풍 속도는 0.6 내지 1.0m/s가 바람직하다. 냉풍 속도가 0.6m/s 미만인 경우, 고화점이 방사 라인 하부로 옮겨짐에 따른 방사장력의 영향을 받는 유효 길이가 증가하여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 복굴절률이 증가하고, 잔여 연신성 감소에 기인하는 핀사가 발생하고, 1.0m/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융상 필라멘트의 흔들림이 심하여 최종 연신사의 루프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복굴절률이 2.2 ×10-3이하인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를 다단 고데트 롤러에 통과시켜 연신비 5.25 내지 5.35 및 이완률 9 내지 9.5%로 한 다음 권취속도를 3,500m/min으로 하여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연속식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좀 더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의 범주나 범위를 국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폴리머의 고유 점도:
페놀/1,1,2,2-테트라클로로 에탄의 6:4 혼합 용매로 0.4% 폴리에스테르/용매 용액을 만들어 캐논사의 Auto Visc II 자동점도계로 표준 모세관을 통과하는 순수 용매의 유동시간에 대한 폴리에스테르/용매 용액의 유동시간을 측정한 후 아래의 빌메이어 근사식으로 계산하였다.
(수학식 1)
--- (1)
( C는 농도(g/100ml)이다)
원사의 강력과 절신:
ASTM D885를 기준으로 250mm의 시료를 80회/미터로 가연한 다음, 300mm/분의 속도로 인장 시험하여 측정하였다. 측정한 원사의 강력을 원사 9,000m의 무게로 나눈 값을 원사의 강도로 결정하였다.
최대 연신비:
연신비를 연속적으로 증가시킬 때 사절이 일어나는 시점에서의 연신비로 정의하였다.
수축률:
테스트라이트에서 시료에 0.01g/d의 하중을 가하면서 190℃에서 15분 방치한 후의 길이차이의 백분률로 결정하였다.
외관:
권량 10kg 기준으로 권취 완료 후 선별에 적합한 조명아래에서 육안 판정한 결과이다.
연신비, 연신비 백분률, 이완률 및 Silk Factor는 아래 식 (2), (3), (4), (5)로 정의되어 진다.
연신비 = --- (2)
연신비 백분율 = -- (3)
이완률 = ×100--- (4)
Silk Factor = 강도× --- (5)
실시 예 1
고유 점도 0.84인 폴리에스테르 고상 중합 칩을 이용하여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 290℃, 기어펌프 온도 330℃, 방사 빔 온도 310℃, 후드 온도 360℃의 조건하에서 용융상태의 필라멘트를 0.8m/s의 냉풍으로 냉각시켜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를 제조한 후, 권취속도 3500m/min에서 연신비 5.30, 이완률 9.0%로 하여 최종 연신사의 섬도 1,000데니어를 제조한다
표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최대 연신비 백분율(%)은 81.5로 연신되고, 수축률은 2.8이다.
실시 예 2 내지 6, 비교 예 1 내지 6
압출기의 실린더 온도, 기어펌프 온도, 방사 빔 온도, 후드 온도, 냉풍속도 및 연신비와 이완률을 다르게 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5 실시예6
실린더 온도(℃) 290 295 300 290 310 290
기어펌프 온도(℃) 330 330 330 380 330 330
빔 온도(℃) 310 300 295 305 300 315
후드 온도(℃) 360 370 360 380 380 350
냉풍속도(m/s) 0.8 1.0 0.7 0.9 1.0 0.6
미연신사 복굴절률(×103) 2.05 2.01 2.20 2.18 2.01 1.98
연신비 5.30 5.31 5.28 5.27 5.32 5.33
최대 연신비 6.5 6.6 6.4 6.4 6.6 6.6
연신비 백분률(%) 81.5 80.5 82.5 82.3 80.6 80.8
이완률(%) 9.0 9.2 9.1 9.3 9.4 9.4
강도(g/d) 7.82 7.85 7.80 7.81 7.88 7.84
절신(%) 22.0 21.8 22.3 22.1 21.7 21.6
Silk Factor 36.7 36.7 36.8 36.7 36.7 36.4
수축률(%) 2.8 2.9 2.7 2.8 3.0 2.9
외관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비교 예 1, 2의 경우에는 방사 온도가 너무 높게 설정되어 폴리에스테르 용융물의 열분해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원인에 의하여 외관이 불량하였고, 특히, 비교 예 2의 경우에는 방사 빔의 온도가 너무 높아 기상열매의 압력이 너무 높아 안전상의 문제도 있었다.
비교 예 3은 후드 온도가 너무 높아, 노즐면에서 용융상 필라멘트의 곡사현상이 심하였으며, 최종 연신사의 외관불량으로 이어졌다.
비교 예 4는 방사장력이 낮은 상태에서 냉풍의 속도가 너무 높아 용융상 필라멘트의 흔들림이 심하였고, 최종 연신사 외관 검사 결과 많은 루프가 발견되었다. 반면에, 비교 예 5의 경우에는 방사온도 대비, 냉풍의 절대량이 낮아 고화점이 방사라인 하부로 옮겨짐에 따른 방사장력의 영향을 받는 유효 길이가 증가하여 미연신사 복굴절률이 증가하였고, 잔여 연신성 감소에 기인하는 핀사가 발생하였다.
비교예 6과 같이 전반적으로 방사온도를 낮춘 경우에는 방사장력 증가에 따른 복굴절률 증가를 보여, 최종 연신사의 외관 핀사를 발생시켰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5 비교예6
실린더 온도(℃) 330 290 295 290 290 280
기어펌프 온도(℃) 330 350 360 350 330 330
빔 온도(℃) 290 318 308 310 305 280
후드 온도(℃) 360 350 400 360 350 330
냉풍속도(m/s) 0.8 0.9 1.0 1.2 0.4 0.5
미연신사 복굴절률(×103) 1.80 1.92 2.01 2.04 2.68 3.31
연신비 5.4 5.35 5.33 5.3 5.25 5.20
최대 연신비 6.7 6.6 6.6 6.5 6.0 5.5
연신비 백분율(%) 80.6 81.1 80.8 81.5 87.5 94.5
이완률(%) 9.5 9.8 9.3 9.3 9.25 9.3
강도(g/d) 7.68 7.72 7.78 7.82 7.79 7.75
절신(%) 18.7 19.3 20.4 21.9 22.5 23.1
Silk Factor 33.2 33.9 35.1 36.6 37.0 37.2
수축률(%) 2.6 2.8 3.0 3.0 2.9 2.8
외관 핀사 핀사 핀사 루프 핀사 핀사
비교예 1, 2의 경우에는 방사 온도가 너무 높게 설정되어 폴리에스테르 용융물의 열분해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원인에 의하여 외관이 불량하였고, 특히, 비교 예 2의 경우에는 방사 빔의 온도가 너무 높아 기상열매의 압력이 너무 높아 안전상의 문제도 있었다.
비교 예 3은 후드 온도가 너무 높아, 노즐면에서 용융상 필라멘트의 곡사현상이 심하였으며, 최종 연신사의 외관불량으로 이어졌다.
비교 예 4는 방사장력이 낮은 상태에서 냉풍의 속도가 너무 높아 용융상 필라멘트의 흔들림이 심하였고, 최종 연신사 외관 검사 결과 많은 루프가 발견되었다. 반면에, 비교 예 5의 경우에는 방사온도 대비, 냉풍의 절대량이 낮아 고화점이 방사라인 하부로 옮겨짐에 따른 방사장력의 영향을 받는 유효 길이가 증가하여 미연신사 복굴절률이 증가하였고, 잔여 연신성 감소에 기인하는 핀사가 발생하였다.
비교 예 6과 같이 전반적으로 방사온도를 낮춘 경우에는 방사장력 증가에 따른 복굴절률 증가를 보여, 최종 연신사의 외관 핀사를 발생시켰다.
본 발명은 고유 점도가 0.8 내지 0.85인 폴리에스테르 고상 중합 칩을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고 냉각 고화시켜 생성된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를 통상적인 방사유제로 처리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결과처럼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에 여섯 쌍의 고데트 롤러를 이용하여 연신공정, 열고정 및 이완 공정을 거친 후 유제를 부여함으로써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강도 및 수축특성이 우수하여 제직 이후 타포린이나 트럭용 커버지 등 광범위한 산업용 섬유로서 사용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4)

  1. 고유 점도 0.8 내지 0.85인 폴리에스테르 칩을 방사하여 복굴절률이 2.2 ×10-3이하인 미연신사를 수득하는 단계로 제조되고,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를 다단 고데트 롤러에서 고정-이완-권취하는 단계로 하며 건열수축률이 3.0% 이하의 물성을 갖는 고강도, 저수축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한 방사조건이 다음의 물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저수축 폴리에스테르 섬유.
    실린더 온도: 290 내지 310℃
    방사 빔 온도: 295 내지 315℃
    후드 온도: 350 내지 380℃
    냉풍속도: 0.6 내지 1.0m/s
    냉풍온도: 25℃
  3. 제 1항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미연신사를 다단 고데트 롤러에서 고정-이완-권취조건이 다음의 물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저수축 폴리에스테르 섬유.
    연신비: 5.25 내지 5.35
    이완률: 9.0 내지 9.5%
    권취속도: 3,500m/min
  4. 제 1항에 의해 제조된 타포린이나 트럭용 커버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저수축 폴리에스테르 섬유.
KR1020030099465A 2003-12-30 2003-12-30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91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465A KR100591210B1 (ko) 2003-12-30 2003-12-30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465A KR100591210B1 (ko) 2003-12-30 2003-12-30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225A true KR20050070225A (ko) 2005-07-07
KR100591210B1 KR100591210B1 (ko) 2006-06-19

Family

ID=3726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465A KR100591210B1 (ko) 2003-12-30 2003-12-30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2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437A (ko) 2017-04-27 2018-11-06 주식회사 성현섬유 열기구용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62392B1 (ko) 2018-02-26 2019-03-26 주식회사 나경 낙하산용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KR20190102363A (ko) 2018-02-26 2019-09-04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낙하산용 고강도 세섬도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20200079746A (ko) 2018-12-26 2020-07-06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단사섬도 1.5~1.7d급 패러글라이딩용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삼각단면필라멘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205B1 (ko) 2021-08-23 2023-10-04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원적외선 방사, 항균 및 uv차단 기능을 가지는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0484B1 (ko) * 1992-01-30 1994-10-22 주식회사 금성사 멀티 모드 모니터의 수평출력 보호회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437A (ko) 2017-04-27 2018-11-06 주식회사 성현섬유 열기구용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KR101962392B1 (ko) 2018-02-26 2019-03-26 주식회사 나경 낙하산용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KR20190102363A (ko) 2018-02-26 2019-09-04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낙하산용 고강도 세섬도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20200079746A (ko) 2018-12-26 2020-07-06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단사섬도 1.5~1.7d급 패러글라이딩용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삼각단면필라멘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1210B1 (ko) 200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3071B2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ament having high tenacity for industrial use
KR101306235B1 (ko) 크리이프 특성이 우수한 산업용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원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650886B1 (ko) 산업용 초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402838B1 (ko)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
KR100412178B1 (ko) 산업용 폴리에스터 멀티필라멘트사의 제조방법
US4970038A (en) Process of preparing polyester yarn
KR100591210B1 (ko)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29686B1 (ko) 고점도 고강력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작
WO2021182429A1 (ja) ポリアミド46マルチフィラメント
US20050161854A1 (en) Dimensionally stable yarns
KR20100021790A (ko) 산업용 나일론 66 고강력 원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5817B1 (ko)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KR101273357B1 (ko) 열 특성이 우수한 산업용 고강력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섬유
KR101888065B1 (ko) 나일론 66 고강도 섬유 제조방법
JPH0428806B2 (ko)
KR101110105B1 (ko) 인성이 우수한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 방법
JP5173271B2 (ja) 高タフネス繊維の製造方法
KR20020061368A (ko)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고강력 폴리에스터 원사 및 그제조방법
JPH08209444A (ja) 高強度・高収縮性ポリアミド繊維
KR102361350B1 (ko) 나일론 66 고강력 섬유 제조방법
KR101772586B1 (ko) 고강도 저수축 폴리프로필렌 섬유 및 제조방법
KR20080061157A (ko) 고강도 저수축 산업용 폴리에스테르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76810A (ja) 高タフネス低収縮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法
JPS63315608A (ja) ポリエステル繊維
TWI790173B (zh) 聚醯胺56樹脂組成物、纖維、纖維絲束、纖維撚紗、纖維製品及輪胎簾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