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6777A - 카메라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777A
KR20050066777A KR1020030098256A KR20030098256A KR20050066777A KR 20050066777 A KR20050066777 A KR 20050066777A KR 1020030098256 A KR1020030098256 A KR 1020030098256A KR 20030098256 A KR20030098256 A KR 20030098256A KR 20050066777 A KR20050066777 A KR 20050066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amera
camera device
c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철
Original Assignee
(주)에이피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피앤텍 filed Critical (주)에이피앤텍
Priority to KR1020030098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6777A/ko
Publication of KR20050066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77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64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G03B2215/0567Solid-state light source, e.g. LED, la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 장치에서 그 내부에 조명수단이 설치되며 전체 카메라 장치를 컴팩트하게 하여 보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장치{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 장치에서 그 내부에 조명수단이 설치되며 전체 카메라 장치를 컴팩트하게 하여 보다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카메라 장치는 방송, 의료, 건축, 방범 등 사회 전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장치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반드시 조명수단이 필요하다. 일예로, 상하수도관이나 가스관, 통신관 같이 지하에 매설되는 관 내부의 찌그러짐, 깨짐, 연결관의 어긋남, 이물질에 의한 돌출 등의 파손정도를 점검하기 위한 카메라 장치에는 할로겐 램프나 엘이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Infrared Rays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조명수단들이 일체로 구비된다. 한편, 감시 카메라(혹은 CCTV 카메라)는 특정한 장소 예컨대, 아파트 현관, 주차장, 사무실 등을 촬영하여 폐쇄회로 텔레비전에 보냄으로써 감시자가 촬영되는 장소의 이상유무를 현장에 가지 않고도 폐쇄회로 텔레비젼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감시 카메라는 건물을 밝게 비추기 위해 건물에 장착된 조명등 예컨대, 할로겐 램프나 형광 램프 등이 조명수단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아파트 현관, 주차장, 사무실 등을 촬영하도록 설치된 감시 카메라장치는 건물에 장착된 할로겐 램프나 형광 램프 등의 조명수단이 정전이 되거나 고장이 나거나 혹은 일정시간 켜진 후 꺼지도록 동작 설정된 경우에는 제대로 촬영이 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감시 카메라 사용자들은 조명수단이 장착된 카메라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다.
한편, 카메라장치는 상하수도관이나 가스관, 통신관같이 지하에 매설되는 관 내부의 파손정도를 점검하기 위해 제작될 경우 관 내부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카메라장치의 사이즈를 작게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즉, 통신관의 경우 그 관의 직경은 대략 100mm 이하로 제작되므로, 이 같이 직경이 작은 관의 내부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조명수단도 필요하고 전체 카메라장치의 사이즈도 수 십mm가 되도록 컴팩트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카메라 장치에서 그 내부에 조명수단이 설치되며 전체 카메라장치를 컴팩트하게 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 및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다수의 전기소자가 장착되는 주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조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가: 상기 주회로기판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와 카메라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와 대응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케이스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장착되는 조명 도광부(導光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장치는 발광소자가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카메라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별도의 조명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카메라장치는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조명 도광부(導光部)가 설치되어 발광소자를 케이스 내부에 장착하더라도 전체 카메라 장치의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제조됨으로써, 직경이 수백 ㎜인 관의 파손정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을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2)와 상기 카메라부(12)와 조명부(14)의 동작 및 전원공급을 처리하는 다수의 전기소자가 장착되는 주회로기판(13)과 조명부(14)를 포함한다.
케이스(11)는 카메라 장치(10) 내부에 장착되는 내부장치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12)가 외부로 노출되게금 개방공(112)과 상기 개방공(112) 후면에 다수의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카메라부(12)는 통상 파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 렌즈와 촬상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렌즈는 광학렌즈나 플라스틱렌즈 또는 크리스탈 렌즈로 제작될 수 있다. 촬상소자는 CCD 이미지센서, 또는 CMOS 이미지 센서가 될 수 있다.
주회로기판(13)에는 상기 카메라부(12)로부터 입력되는 촬영신호를 MPEG 인코딩을 포함하는 신호처리를 담당하는 영상처리보드(도시하지 않음.)와 외부 전원 또는 내부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카메라부(12) 또는 조명부(14)로 공급하는 전원처리보드(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른 조명부(14)는 상기 주회로기판(13)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141)와, 상기 발광소자와 카메라부(12)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141)가 고정되는 고정부(142)와, 상기 고정부(142)에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141)와 대응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12)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케이스(11)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111)에 장착되는 조명 도광부(導光部) (143)를 포함한다.
발광소자(141)는 상기 주회로기판(13)과 리드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회로기판(13)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게 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141)는 백색 엘이디(LED) 또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레이저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백색 엘이디(LED) 또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 또는 레이저다이오드는 이건 출원일 이전에 이미 널리 공지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142)는 상기 발광소자(141)와 조명 도광부(導光部)(143)를 고정하되, 상기 조명 도광부(導光部)(143)가 상기 발광소자(141)로부터 발광되는 광원을 외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내부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42)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조명 도광부(導光部)(143)는 카메라부(12) 후면에 설치되는 상기 발광소자(141)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외부로 유도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광섬유로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10)는 상기 케이스(11) 후면에 형성되어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에서 카메라 장치(10)는 상기 단자부(15)를 통해 구동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기 외부 장치에 장착된 모니터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10)는 상기 주회로기판(13)에 연결되어 전체 시스템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장착되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 예컨대, 배터리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케이스의 전면부를 도시한다.
케이스(11) 전면에는 상기 광섬유(143)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 (11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관통공(111)은 통상 카메라부 (12) 앞단에 설치되는 렌즈(도시하지 않음.)와 소정 간격만큼 떨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렌즈는 급격한 온도차 또는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이 직접 렌즈에 전달되지 않아 렌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장치는 조명수단을 장치 내부에 일체로 장착됨으로써, 카메라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별도의 조명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사용상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장치는 장치 내부에 조명수단이 설치되되, 전체 카메라장치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컴팩트하게 제조됨으로써, 관의 직경이 수백∼수 십 ㎜ 인 예컨대 통신관에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 렌즈는 급격한 온도차 또는 열에 의해 변형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장치와 같이 조명수단을 카메라부 후면에 설치하고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외부로 유도하는 광섬유를 이용하게 되면, 카메라 렌즈에 발광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이 직접 렌즈에 전달되지 않아 렌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라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케이스의 전면부를 도시한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카메라 장치
11:케이스
111:관통공 112:개방공
12:카메라부
13:주회로기판
14:조명부
141:발광소자 142:고정부
143:조명 도광부
15:단자부

Claims (7)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 및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다수의 전기소자가 장착되는 주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장치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조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가:
    상기 주회로기판에 고정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와 카메라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상기 다수의 발광소자와 대응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케이스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에 장착되는 조명 도광부(導光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 도광부(導光部)가 광섬유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엘이디(LED)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적외선 발광다이오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레이저 발광다이오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가:
    상기 주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전체 시스템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KR1020030098256A 2003-12-27 2003-12-27 카메라장치 KR20050066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256A KR20050066777A (ko) 2003-12-27 2003-12-27 카메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256A KR20050066777A (ko) 2003-12-27 2003-12-27 카메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777A true KR20050066777A (ko) 2005-06-30

Family

ID=3725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256A KR20050066777A (ko) 2003-12-27 2003-12-27 카메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677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860B1 (ko) * 2007-03-23 2009-07-2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
EP3952269A4 (en) * 2019-03-29 2022-05-25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CAMERA MODUL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860B1 (ko) * 2007-03-23 2009-07-2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촬상 장치
EP3952269A4 (en) * 2019-03-29 2022-05-25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CAMERA MODUL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US11971646B2 (en) 2019-03-29 2024-04-30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Camera module,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1112U (ja) 補助放熱機能を具えた照明装置
KR20090018486A (ko) 주·야간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KR101772932B1 (ko) 블랙박스 기능을 갖는 로고라이트
CN101711118A (zh) 便携式成像装置
KR101732172B1 (ko) Cctv 카메라 일체형 led 등기구
KR20140095407A (ko) 감시카메라, 감시카메라를 이용하는 감시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104309A (ko) 적외선 레이저 투광기를 이용한 감시 카메라
US20100321498A1 (en) Surveillance and Recording Device Through an Original Power Outlet
KR20050066777A (ko) 카메라장치
JP2006113752A (ja) 照明器具
KR20170142404A (ko) 카메라모듈 조립체
KR100649954B1 (ko) 적외선엘이디가 구비되는 적외선카메라
CN209913938U (zh) 基于光学成像的摄像头探测锁定系统
KR20110103690A (ko) 감시카메라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JPS63292119A (ja) パイプカメラ
GB2461263A (en) Surveillance and recording device operating through a mains power outlet
KR20050104500A (ko) Cctv용 적외선 카메라
JP2014110239A (ja) Led照明
JP5241952B1 (ja) Led照明
KR200361986Y1 (ko) 감시용 컬러 적외선 led 조명기기 일체형 ccd 카메라
WO2001039153A1 (en) An illumination source
CN220493187U (zh) 一种脉冲同步恒亮控制盒
KR20050119853A (ko) 감시용 컬러 적외선 led 조명기기 일체형 ccd 카메라
KR101371589B1 (ko) 조명 장치
KR102450118B1 (ko) 야간에 위치 표시 기능을 갖는 영상비상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