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313A -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313A
KR20050065313A KR1020040105931A KR20040105931A KR20050065313A KR 20050065313 A KR20050065313 A KR 20050065313A KR 1020040105931 A KR1020040105931 A KR 1020040105931A KR 20040105931 A KR20040105931 A KR 20040105931A KR 20050065313 A KR20050065313 A KR 20050065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ickup
device body
pickup device
side connection
ima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5887B1 (ko
Inventor
가타카이사토시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5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12Mountings, e.g. non-detachable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카메라나 비디오카메라 등의 촬영장치에 이용되는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촬상소자를 내장한 촬상소자체(2)에 있어서의 촬상소자의 광축(10)방향을 따르는 양측면(2a)에, 필름기판(3)의 한쌍의 연장돌출부(13)를 굴곡시켜서 밀착시킴으로써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설치된 소자측접속패드(11)와 필름기판(3)의 한쌍의 연장돌출부(13)에 설치된 기판측접속패드(14)를 중첩하여 접합했으며, 따라서 촬상소자체(2)와 필름기판(3)이 촬상소자의 광축(10)방향으로 겹치는 일이 없고, 이 때문에 촬상소자의 광축(10)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필름기판(3)의 두께분량만큼 얇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CONNECTING AN IMAGE PICK-UP UNIT TO A WIRING PLATE}
본 발명은 전자카메라나 비디오카메라 등의 촬영장치에 이용되는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카메라에 있어서는, CCD칩 등의 촬상소자를 내장한 촬상소자체와 회로기판을 배선기판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할 때 촬상소자체의 하면, 즉 촬상소자의 광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촬상소자체의 하면에 있어서의 단부에, 촬상소자에 접속된 소자측전극을 설치하고, 이 촬상소자체의 하면에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배선기판을 배치하며, 이 배선기판에 설치된 기판측전극을 소자측전극에 중첩하여 접합함으로써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개평7-78952호
그러나 종래의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에서는 촬상소자를 내장한 촬상소자체의 하면에 배선기판을 배치하여 소자측전극과 기판측전극을 중첩하고, 이 상태에서 소자측전극과 기판측전극을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촬상소자의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두께가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양자를 중첩한 두께로 되며, 이 때문에 촬상소자의 광축방향에 있어서의 카메라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져 버린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는, 촬상소자를 내장한 촬상소자체와, 이 촬상소자체에 있어서의 상기 촬상소자의 광축방향을 따르는 측면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배선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소자체의 상기 측면에는 상기 촬상소자에 접속된 소자측접속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배선기판에는 상기 소자측접속패드에 대응하여 서로 겹치는 기판측접속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촬상소자체의 상기 측면에 상기 배선기판을 밀착시켜서 배치함으로써 상기 소자측접속패드와 상기 기판측접속패드를 중첩하여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도 1∼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카메라의 촬영장치에 적용한 실시형태 1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카메라의 촬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그 A-A화살표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확대측면도, 도 4는 도 1의 필름기판의 전개도이다.
이 촬영장치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유닛(1)과, 이 렌즈유닛(1)의 이면(도 2에서는 우측면)에 배치된 촬상소자체(2)와, 이 촬상소자체(2)에 접속되는 필름기판(3)을 구비하고 있다.
렌즈유닛(1)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닛케이스(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유닛케이스(4)는 그 전면(도 2에서는 좌측면)에 개구부(5)가 설치되고, 이면측(도 2에서는 우측)이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유닛케이스(4)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사체의 상을 받아들이기 위한 렌즈부(6)가 유닛케이스(4)의 개구부(5)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촬상소자체(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CD 등의 촬상소자(7)를 패키지부재(8)내에 설치한 것이며, 그 전면에 광학로우패스필터(9)가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유닛케이스(4)의 이면(도 2에서는 우측면)에 접착 또는 비스고정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촬상소자(7)는 그 광축(10)이 렌즈유닛(1)의 렌즈부(6)의 광축과 일치한 상태에서 배치되고, 이에 따라 렌즈부(6)에서 받아들인 피사체의 상이 투영되며, 이 투영된 상을 화상데이터로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 즉 촬상소자(7)의 광축(10)을 따르는 좌우방향의 양측면(2a)(한쪽의 측면은 도시하지 않음)에는 도 1 및 도 3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소자(7)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소자측접속패드(11)가 나열하여 설치되어 있다.
필름기판(3)은 촬상소자체(2)와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소자체(2)측에 위치하는 단부(12)에 한쌍의 연장돌출부(13)가 양측에 연장돌출되어 설치되고, 이에 따라 전체가 대략 T자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한쌍의 연장돌출부(1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소자체(2)측의 단부(12)에 대하여 각각 접어 구부러짐으로써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각각 밀착하여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한쌍의 연장돌출부(13)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자측접속패드(11)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겹치는 기판측접속패드(1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연장돌출부(13)는 그 크기가 렌즈유닛(1)과 촬상소자체(2)를 중첩한 양자의 측면(1a, 2a)과 대략 같거나, 그보다도 조금 작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렌즈유닛(1)과 촬상소자체(2)를 중첩한 양자의 측면(1a, 2a)으로부터 외주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촬상소자체(2)측의 단부(12)와 한쌍의 연장돌출부(13)의 각 교차부분에는 한쌍의 연장돌출부(13)를 구부렸을 때에 그 구부림부분이 불룩해지는 것을 막기 위한 노치부(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영장치에서는 렌즈유닛(1)의 이면에 촬상소자체(2)를 중첩하여 부착하고, 이 상태에서 촬상소자체(2)에 필름기판(3)을 접속할 때 도 4에 나타내는 필름기판(3)의 한쌍의 연장돌출부(13)를 필름기판(3)의 단부(12)에 있어서 대략 Y자상으로 접어 구부리고, 이 접어 구부러진 한쌍의 연장돌출부(13)를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렌즈유닛(1)의 양측면(1a)에도 걸쳐서 밀착시킨다. 이에 따라 필름기판(3)의 한쌍의 연장돌출부(13)에 설치된 기판측접속패드(14)와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설치된 소자측접속패드(11)가 서로 대응하여 서로 겹친다.
이 때에는 미리 소자측접속패드(11)와 기판측접속패드(14)의 적어도 한쪽에 땜납(도시하지 않음)을 도포해 둠으로써 필름기판(3)의 한쌍의 연장돌출부(13)를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각각 밀착시켜서 소자측접속패드(11)와 기판측접속패드(14)를 땜납을 통하여 중첩하고, 이 상태에서 펄스히터로 가열하면서 열압착함으로써 소자측접속패드(11)와 기판측접속패드(14)가 땜납으로 접합된다.
이와 같이 이 촬영장치에 따르면, 촬상소자(7)를 내장한 촬상소자체(2)에 있어서의 촬상소자(7)의 광축(10)방향을 따르는 양측면(2a)에 필름기판(3)의 한쌍의 연장돌출부(13)를 각각 밀착시켜서 배치함으로써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설치된 소자측접속패드(11)와 필름기판(3)의 한쌍의 연장돌출부(13)에 설치된 기판측접속패드(14)를 중첩하여 접합했기 때문에 촬상소자체(2)와 필름기판(3)이 촬상소자(7)의 광축(10)방향에 겹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촬상소자(7)의 광축(10)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렌즈유닛(1)과 촬상소자체(2)의 두께로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름기판(3)의 두께분량만큼 촬상소자(7)의 광축(10)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름기판(3)의 약간의 두께분량만큼 얇게 하는 것으로도 초박형, 초소형의 카메라를 실현하는 데는 매우 유효한 것이다. 또 이 접속구조에서는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필름기판(3)의 한쌍의 연장돌출부(13)를 밀착시켜서 소자측접속패드(11)와 기판측접속패드(14)를 중첩하고, 이 상태에서 펄스히터로 열압착에 의해 접합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접합작업의 자동화도 꾀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선기판으로서 굴곡 가능한 필름기판(3)을 이용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이 필름기판(3)을 촬상소자체(2)의 측면(2a)에 밀착시켜서 배치해도, 이 필름기판(3)을 굴곡시켜서 촬상소자체(2)의 측면(2a)으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빼낼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촬상소자체(2)가 필름기판(3)을 통하여 접속되는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하여 촬상소자체(2)의 설치장소가 제약을 받는 일이 없고, 촬상소자체(2)를 회로기판 등에 대하여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필름기판(3)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촬영장치 전체 및 전자카메라 전체의 콤팩트화도 꾀할 수 있다.
특히 이 접속구조에서는 필름기판(3)의 단부(12)에 한쌍의 연장돌출부(13)를 양측에 연장돌출시켜서 설치하고, 이들 한쌍의 연장돌출부(13)에,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설치된 소자측접속패드(11)(한쪽은 도시하지 않음)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겹치는 기판측접속패드(14)를 설치하며, 이들 한쌍의 연장돌출부(13)를 필름기판(3)의 단부(12)에 대하여 굴곡시켜서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각각 밀착시킴으로써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소자측접속패드(11)가 설치되어 있어도 필름기판(3)에 설치된 한쌍의 연장돌출부(13)에 의하여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의 소자측접속패드(11)와 한쌍의 연장돌출부(13)의 기판측접속패드(14)를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하나의 필름기판(3)에 의하여 촬상소자체(2)의 소자측접속패드(11)와 필름기판(3)의 기판측접속패드(14)를 용이하고, 또한 콤팩트하게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상소자체(2)측의 단부(12)와 한쌍의 연장돌출부(13)의 각 교차부분에는 노치부(15)가 각각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한쌍의 연장돌출부(13)를 굴곡시켜서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밀착시킬 때에, 그 구부림부분이 노치부(15)에 의하여 불룩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름기판(3)의 한쌍의 연장돌출부(13)의 구부림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구부림부분이 불룩해지지 않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촬영장치 전체의 박형화를 꾀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전자카메라의 촬영장치에 적용한 실시형태 2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도 4에 나타내어진 실시형태 1과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한다.
이 촬영장치의 접속구조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필름기판(3)의 한쌍의 연장돌출부(13)의 각 외면에 각각 보강판(20)(한쪽은 도시하지 않음)을 배치한 구성이고, 이 이외는 실시형태 1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촬영장치의 접속구조에서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필름기판(3)의 두께분량만큼 촬상소자(7)의 광축(10)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외에, 특히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필름기판(3)에 있어서의 한쌍의 연장돌출부(13)의 각 외면에 보강판(20)을 배치한 것에 의해 필름기판(3)이 굴곡 가능하고, 또한 그 두께가 얇아도 보강판(20)에 의하여 필름기판(3)의 한쌍의 연장돌출부(13)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억누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쌍의 연장돌출부(13)를 확실하게 촬상소자체(2)의 양측면(2a)에 밀착시킬 수 있고, 이 때문에 소자측접속패드(11)와 기판측접속패드(14)를 확실하고, 또한 정확하게 중첩하여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 2에서는 촬상소자체(2)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면(2a)에 소자측접속패드(11)를 설치하고, 필름기판(3)에 있어서의 촬상소자체(2)측에 위치하는 단부(12)에, 그 양측을 향하여 연장돌출하는 한쌍의 연장돌출부(13)를 대략 T자형상으로 설치하며, 이들 한쌍의 연장돌출부(13)에 각각 기판측접속패드(14)를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제 1 변형예, 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제 2 변형예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이 제 1 변형예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소자체(2)의 편측의 측면(2a)만에 소자측접속패드(11)가 설치되어 있으며, 필름기판(3)은 그 단부(12)에, 그 편측만을 향하여 연장돌출하는 연장돌출부(25)를 대략 L자형상으로 설치하고, 이 연장돌출부(25)에 기판측접속패드(14)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연장돌출부(25)를 필름기판(3)의 단부(12)에 대하여 접어 구부리면 좋기 때문에 실시형태 1과 똑같은 작용효과가 있다. 이 경우에도 필름기판(3)에 있어서의 연장돌출부(25)의 외면에 보강판(도시하지 않음)을 배치하면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보강판(20)에 의하여 필름기판(3)의 연장돌출부(25)를 확실하게 촬상소자체(2)의 측면(2a)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제 2 변형예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소자체(2)의 편측의 측면(2a)만에 소자측접속패드(11)가 설치되어 있으며, 필름기판(26)은 단순한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필름기판(26)의 폭을 렌즈유닛(1)과 촬상소자체(2)가 서로 겹친 양자의 측면(1a, 2a)의 폭과 같거나, 그보다도 조금 작은 폭으로 형성하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필름기판(26)의 단부를 촬상소자체(2)의 편측의 측면(2a)에 밀착시켜서 배치하고, 이 상태에서 필름기판(26)의 타단부측을 촬상소자체(2)의 측면(2a)의 하단부에서 접어 구부리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실시형태 1의 필름기판(3)보다도 형상이 단순하고, 그 구조가 간단해진다. 이 경우에도 필름기판(26)의 외면에 보강판(도시하지 않음)을 배치하면 실시형태 2와 똑같이 보강판(20)에 의하여 필름기판(26)을 확실하게 촬상소자체(2)의 측면(2a)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 1, 2에서는 전자카메라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비디오카메라 등에도 적용할 수 있는 외에, 소형카메라 등의 촬영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나 퍼스널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카메라의 촬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화살표시에 있어서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1의 확대측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어진 필름기판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한 전자카메라의 촬영장치의 사시도.
도 6은 제 1 변형예를 나타낸 촬영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필름기판의 전개도.
도 8은 제 2 변형예를 나타낸 촬영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필름기판의 전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렌즈유닛 2: 촬상소자체
3, 26: 필름기판 6: 렌즈부
7: 촬상소자 10: 광축
11: 소자측접속패드 12: 필름기판의 단부
13, 25: 연장돌출부 14: 기판측접속패드
15: 노치부 20: 보강판

Claims (6)

  1. 촬상소자를 내장한 촬상소자체와,
    이 촬상소자체에 있어서의 상기 촬상소자의 광축방향을 따르는 측면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배선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소자체의 상기 측면에는 상기 촬상소자에 접속된 소자측접속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배선기판에는 상기 소자측접속패드에 대응하여 서로 겹치는 기판측접속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촬상소자체의 상기 측면에 상기 배선기판을 밀착시켜서 배치함으로써 상기 소자측접속패드와 상기 기판측접속패드를 중첩하여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기판은 굴곡 가능한 필름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측접속패드는 상기 촬상소자체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필름기판은 그 일단부에 한쌍의 연장돌출부가 양측에 연장돌출되어 설치되며,
    이들 한쌍의 연장돌출부가 상기 일단부에 대하여 굴곡해서 상기 촬상소자체의 양측면에 각각 밀착하는 동시에, 상기 한쌍의 연장돌출부에는 상기 촬상소자체의 양측면에 설치된 상기 소자측접속패드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겹치는 상기 기판측접속패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체의 상기 측면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상기 배선기판의 외면에는 보강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체의 상기 측면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상기 배선기판의 외면에는 보강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
  6. 피사체의 상을 받아들이는 렌즈를 내장한 렌즈유닛과,
    촬상소자를 내장한 촬상소자체와,
    상기 렌즈유닛과 상기 촬상소자체는 상기 촬상소자의 광축에 맞추어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촬상소자체의 측면에는 배선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촬상소자체의 상기 측면에는 상기 촬상소자에 접속된 소자측접속패드가 설치되며,
    상기 배선기판에는 상기 소자측접속패드에 대응하여 서로 겹치는 기판측접속패드가 설치되고,
    상기 촬상소자체의 상기 측면에 상기 배선기판을 밀착시켜서 배치함으로써 상기 소자측접속패드와 상기 기판측접속패드를 중첩하여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소자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
KR1020040105931A 2003-12-24 2004-12-15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 KR100595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6692 2003-12-24
JP2003426692A JP2005191609A (ja) 2003-12-24 2003-12-24 撮像素子体と配線基板との接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313A true KR20050065313A (ko) 2005-06-29
KR100595887B1 KR100595887B1 (ko) 2006-06-30

Family

ID=3469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931A KR100595887B1 (ko) 2003-12-24 2004-12-15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40814A1 (ko)
JP (1) JP2005191609A (ko)
KR (1) KR100595887B1 (ko)
CN (1) CN16386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2834B2 (ja) * 2009-04-06 2013-11-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撮像素子モジュール
TWI468767B (zh) * 2012-03-30 2015-01-11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Thin lens module
CN107995398A (zh) * 2017-12-15 2018-05-04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应用于电子设备的摄像模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2930A (en) * 1997-01-13 2000-11-07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endoscope having compact construction
JP2001016486A (ja) 1999-06-25 2001-01-19 Toshiba Corp 固体撮像素子モジュール
IL156715A0 (en) * 2003-06-30 2004-01-04 Medigus Ltd Autoclavable imag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5887B1 (ko) 2006-06-30
JP2005191609A (ja) 2005-07-14
US20050140814A1 (en) 2005-06-30
CN1638609A (zh)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8448A (en) Solid-state image sensor assembly with image sensor element chip mounted in package
US8564718B2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unit
JP4405062B2 (ja) 固体撮像装置
JP4714665B2 (ja) 光学デバイス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7645981B2 (en) Image pickup device mounting structure for saving space in an optical device
KR940004130B1 (ko) 백 라이트 부착표시 패널장치
US20070200053A1 (en) Image pickup apparatus, camera module, electronic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for image pickup apparatus
US7864245B2 (en) Camera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0095732A (ko) 고체 촬상 소자,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조 방법
JP2007274624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04309623A (ja)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並びに撮像装置製造方法
JP2007243550A (ja) 電子機器
JP2009295821A (ja) 基板間接続構造を有する複合基板、これを用いた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2835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KR100595887B1 (ko) 촬상소자체와 배선기판의 접속구조
US7429783B2 (en) Image sensor package
US20070173084A1 (en) Board-to-board connecting structure
KR100630705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H04235475A (ja) 固体撮像装置
JP4375939B2 (ja)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2005072736A (ja) 撮像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2004180243A (ja) 撮像装置及びそれを内蔵した携帯端末
JP5128370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JP3508729B2 (ja) 撮像装置
JPH104510A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