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4725A -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4725A
KR20050064725A KR1020030096310A KR20030096310A KR20050064725A KR 20050064725 A KR20050064725 A KR 20050064725A KR 1020030096310 A KR1020030096310 A KR 1020030096310A KR 20030096310 A KR20030096310 A KR 20030096310A KR 20050064725 A KR20050064725 A KR 20050064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mode
speed
signal
pho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경
박남훈
전선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주식회사 케이티,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하나로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6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4725A/ko
Publication of KR20050064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472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여부에 따라 진동/무음 모드 설정상태에서 벨소리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휴대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한다. 측정한 이동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와 비교하여 이동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한다. 이때,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검출된 신호의 세기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 도플러 현상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 타이밍 오프셋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 등 여러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동/무음 모드로 인해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CANCELING THE VIBRATION/SILENCE NOTIFICATION MODE OF MOBILE CELLULAR PHONE AND CANCE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여부에 따라 진동/무음 모드 설정상태에서 벨소리 모드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휴대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CS 및 휴대 위성전화와 같은 이동전화 단말기의 보급이 되면서, 정숙을 필요로 하는 강의실, 교회, 연주회장, 극장, 법원과 같은 장소에 전호가 왔음을 알리는 착신벨이 울림으로써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신호를 진동/무음으로 설정하여 출력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진동모드 전환과 벨소리 모드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동전화 단말기의 발신자가 타인의 유선 전화기나 이동전화 단말기 등과 전화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키입력부(9)를 통해 통화하려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입력된 번호를 송출시키면, 제어부(3)는 키입력부(9)의 입력신호를 무선신호 송수신부(2)에서 소정의 무선주파수로 발진시켜 내장형안테나(1)를 통해 무선송신국이나 기지국 등으로 송출시킨다. 이때, 액정디스플레이(4)에는 발신자가 입력한 번호 및 문자 등이 표시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동전화 단말기는 내장된 패턴안테나(1)를 통해 무선송신국이나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신호는 무선주파수 송수신부(2)를 거쳐 제어부(3)로 입력된다. 제어부(3)는 수신된 무선신호를 인식하고 판단하여 액정디스플레이(4)를 통해 문자 또는 숫자로 구성된 호출내용 및 발신자 식별번호 등을 표시한다. 또 이동전화 단말기는 수신된 무선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하여 호출음향이나 진동신호를 출력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수신된 무선신호의 문자나 숫자를 확인하거나, 수신된 무선신호를 통화모드로 절환시켜 무선신호를 송출한 발신자와 통화를 할 수 있었다.
또한, 이동전화 단말기의 외부 일측에는 무선신호의 착신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할 것인지, 또는 묵음상태의 진동으로 출력할 것인지에 대하여 절환스위치(5)가 구성된다. 착신신호를 음향으로 출력시키기 위하여 절환스위치(5)를 호출음향모드(5a)로 절환시켜 두면, 제어부(3)의 제어신호는 호출음향발생기(6)를 구동시켜 일정주파수의 호출음향이 스피커(7)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착신신호를 음향 대신 묵음상태의 진동모드(5b)로 선택하였다면, 제어부(3)의 제어신호는 절환스위치(5)를 통해 진동용 모터(8)를 구동시켜 일정크기의 진동을 일으킨다. 또, 절환스위치(5)를 오프모드(5c)로 절환시켜 두면, 이동전화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시킨다.
상기의 착신음향이나 진동은 내장된 제어부(3)를 설정하여 일정회수로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전화 단말기에 내장된 패턴안테나(1)에서 무선주파수를 수신하고 복조하고, 복조된 무선주파수를 해독하여 다수자리의 전화번호나 문자가 액정디스플레이(4)로 표시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에서는 벨소리 모드에서 진동/무음 모드로 변환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눌러 변환하여야 하고, 진동/무음 모드에서 벨소리 모드의 전환도 사용자가 직접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공공 장소, 회의실 등에서 에티켓을 위해 진동/무음 모드로 변환하고 난 후에 이를 다시 벨소리 모드로 재변환하는 것을 잊어버린 경우 진동/무음 모드의 특성상 사용자가 전화 착신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특히, 사용자가 공공 장소, 회의실 등 에티켓을 요구하는 장소에서 벗어나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있는 이동할 때 의식적으로 다시 착신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상의 특성상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더욱이, 가방과 같은 별도의 장소에 휴대전화 단말기를 두게 되면 더욱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진동/모음 모드로 변환한 경우나 자동적으로 진동/무음 모드로 변환된 후에 다시 사용자가 인식하기 쉬운 벨소리 모드로 재변환을 잊어버린 경우, 사용자가 이동시에 자동적으로 벨소리 모드로 전환해 주는 기능이 요구되어 진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무음 모드로 설정된 휴대전화 단말기가 기준 속도 이상으로 이동하는 경우 자동으로 벨소리 모드로 자동 변환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는
사전에 설정된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신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이용해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이동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를 비교하여 진동/무음 모드의 해제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판정부;
상기 이동 판정부에 의해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모드 변경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판정부는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여 도플러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판정부는 검출된 신호의 타이밍 오프셋의 변화량을 통해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판정부는 검출된 신호의 세기의 변화량을 통해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방법은
사전에 설정된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방법에 있어서,
(a)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검출된 신호를 이용해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측정된 이동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를 비교하여 진동/무음 모드 해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에서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준속도는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는 신호 검출부(100), 제어부(200), 메모리부(300)를 포함한다.
신호 검출부(100)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검출한다. 즉, 신호 검출부(100)는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복조하여 휴대전화 단말기에서 처리 가능한 신호로 변환하는데, 즉 상기 도 1에서 나타낸 무선주파수 송신부(2)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제어부(200)는 키입력부(9,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음)로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메모리부(300)에 저장하며,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메모리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속도와 비교하여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를 베소리 모드로 변환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등 휴대전화 단말기의 전체 기능을 제어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진동/무음 모드를 벨소리 모드로 자동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이동 판정부(220), 모드 변경부(240)를 포함하는데, 아래에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메모리부(30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데, 이동 판정부(220)가 진동/무음 모드의 해제를 판단함에 사용하는 기준 값을 저장하고 있다. 기준 값은 이동 판정부(220)가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함에 사용되는 값으로서 예를 들면, 기준 속도, 기준 신호 세기 변화량 등이다. 이러한 기준 값은 이동 판정부(220)가 이동 여부를 판단할 경우 사용하는 값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기준 값은 사용자로부터 설정 받거나 휴대전화 단말기를 생산할 때 미리 셋팅할 수 있다. 기준 속도는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의 속도보다 다소 빠른 속도(예를 들면, 버스나 지하철이 이동할 때의 속도를 말함)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사용자가 사무실 안에서 혹은 교내에서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좀 더 용이하게 자신에게 걸려온 전화를 확인 할 수 있으며, 도보로 이동하는 사용자의 이동범위가 진동/무음 모드가 필요한 영역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동 판정부(220)는 상기 신호 검출부(100)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통해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 여부 즉, 이동속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이동 속도를 상기 메모리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속도와 비교하여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여부를 판단한다. 즉,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속도가 기준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동 판정부(220)는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이동 판정부(220)는 신호 검출부(100)에 의해 검출된 신호의 세기의 변화와 이동에 따른 도플러 효과에 의한 수신 주파수의 변화 등을 통해 이동 여부 또는 이동속도를 계산한다. 이동 여부 즉, 이동속도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이동 판정부(220)가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여부 즉, 이동 속도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본다.
도 3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전화 단말기가 고속으로 기지국(400)으로 멀어지거나(402) 혹은 기지국(400)으로 다가가는 경우(403),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어 수신한 신호의 세기는 가변(404 또는 405 만큼)하게 된다. 또한, 정지한 상태보다 이동하는 경우에 주변 전파 환경이 계속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휴대폰이 수신한 신호의 세기 또한 변하게 된다. 이동 판정부(220)는 이러한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여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 속도까지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그러나, 실험을 통해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하는 경우와 좀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경우의 신호 세기 변화량을 비교하여 일정한 기준 신호세기 변화량를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적 방법을 통해 획득한 기준 신호세기 변화량을 상기 메모리부(300)에 저장하고, 이동 판정부(220)는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의 변화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변화량을 상기 기준 신호세기 변화량과 비교하여 진동/무음 모드 해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신호세기 변화량은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신호세기 변화량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신호 세기의 변화량을 통해 정확한 이동속도까지 측정할 수 없지만, 상기와 같이 대략적인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플러 현상을 고려하여 이동 판정부(220)가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플러 현상에 의하면 휴대 전화 단말기가 기지국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주파수가 높아지고 멀어지는 경우에는 주파수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 판정부(220)는 기지국에서 송출하는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여 자신이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플러 주파수는 휴대전화 단말기가 이동할 때 수신되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의미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θ의 각도로 진행하는 경우 도플러 주파수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상기 수학식 1에서 fD는 도플러 주파수, V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속도, λ는 파장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에서 알 수 있듯이 휴대전화 단말기의 속도(v)는 도플러 주파수(fD)와 비례관계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플러 주파수가 얼마인지를 확인하여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이동 판정부(220)는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신호로부터 도플러 주파수(즉,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구함)를 구하고, 이를 통해 이동전화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계산)할 수 있다.
도 5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송출하는 신호의 타이밍 오프셋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이동 여부 및 대략적인 이동 속도룰 판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전화 단말기이 기지국과 가까이 있는 경우에는 타이밍 오프셋(501)이 기준 타이밍 오프셋(500)과 인접하게 되며, 기지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기준 타이밍 오프셋(500)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전화 단말기가 이동하게 되면 당연히 타이밍 오프셋(500)이 변하게 되고 타이밍 오프셋(500)이 변화량에 따라 휴대폰의 이동 속도를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방법은 당업자라면 알 수 있는바 이하에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 3,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 이외에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이동 판정부(220)는 이동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국내 공개 공보 특1999-0036856에서도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 판정부(220)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이동 속도와 메모리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속도와 비교하여 진동/무음 모드의 해제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모드 변경부(240)는 상기 이동 판정부(220)에 의해 진동/무음 모드에서 벨소리 모드로 변환하는 것 즉,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진동/무음 모드를 자동으로 벨소리 모드로 변경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모드 변경부(240)는 벨소리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 절환 스위치(5,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음)를 호출음향모드(5a, 도 2에는 도시하지 않았음)로 전환시킨다. 이를 통해, 진동/무음 모드에서 벨소리 모드로 자동적으로 변경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자동 해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신호 검출부(100)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를 검출한다(S100, S110).
다음으로, 이동 판정부(220)는 신호 검출부(100)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이용해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한다(S120). 이때,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 도 4, 도 5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가능하다. 즉, 도플러 현상과 타이밍 오프셋의 변화를 통해 이동속도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도 3에서 설명한 신호 세기의 변화 폭을 이용해서는 이동속도까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으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험적인 방법을 통해 기준 신호 세기를 설정하고 수신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기준 신호 세기와 비교함으로써 진동/무음 모드의 해제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판정부(220)는 상기 측정한 이동속도와 메모리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속도를 비교한다(S130). 비교한 결과 이동속도가 기준속도보다 큰 경우에는 이동 판정부(220)는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모드 변경부 (240)는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고 벨소리 모드를 변환한다(S130, S150). 이때, 이동속도가 기준속도보다 작은 경우에는 진동/무음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다(S130, S140).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전화 단말기를 소지한 상태에서 버스나 지하철을 탑승하여 이동하는 경우 즉, 기준속도 이상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 기설정된 진동/무음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함으로써 사용자가 진동/무음 모드로 인해 착신 전화를 인지하지 못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이 송출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통해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이동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사용자는 진동/무음 모드로 인해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진동/무음 모드가 필요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가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받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진동모드 전환과 벨소리 모드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플러 현상을 고려하여 이동 판정부가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CDMA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송출하는 신호의 타이밍 오프셋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이동 여부 및 대략적인 이동 속도룰 판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자동 해제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Claims (11)

  1. 사전에 설정된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신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이용해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이동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를 비교하여 진동/무음 모드의 해제여부를 판단하는 이동 판정부;
    상기 이동 판정부에 의해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모드 변경부를 포함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값인 기준 속도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판정부는 측정된 이동속도가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판정부는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여 도플러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판정부는 검출된 신호의 타이밍 오프셋의 변화량을 통해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판정부는 검출된 신호의 세기의 변화량을 통해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7. 사전에 설정된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방법에 있어서,
    (a)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검출된 신호를 이용해 휴대전화 단말기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측정된 이동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속도를 비교하여 진동/무음 모드 해제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에서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진동/무음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기준속도를 설정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속도는 검출된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여 도플러 현상을 이용함으로써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속도는 검출된 신호의 타이밍 오프셋의 변화량을 통해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방법.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속도는 사용자가 도보로 이동하는 속도보다 빠른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방법.
KR1020030096310A 2003-12-24 2003-12-24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47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310A KR20050064725A (ko) 2003-12-24 2003-12-24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6310A KR20050064725A (ko) 2003-12-24 2003-12-24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4725A true KR20050064725A (ko) 2005-06-29

Family

ID=37256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6310A KR20050064725A (ko) 2003-12-24 2003-12-24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47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19B1 (ko) * 2005-10-19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속도에 따른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선택적 음성출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1150940B1 (ko) * 2010-11-09 2012-05-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의 호출 모드 변환 방법
KR20140095378A (ko) * 2013-01-24 2014-08-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19B1 (ko) * 2005-10-19 200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속도에 따른 수신된 단문 메시지의 선택적 음성출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1150940B1 (ko) * 2010-11-09 2012-05-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의 호출 모드 변환 방법
KR20140095378A (ko) * 2013-01-24 2014-08-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6045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KR100948697B1 (ko) 휴대 단말 기기 및 그 휴대 단말 기기를 이용한 통신 기기시스템
KR20050064725A (ko)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GB2344971A (en) A controller for portable telephone which can set a restricted format for call transmission and acceptance and a defined channel for a restricted area.
JP2010114642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214653A (ja) 携帯端末装置、着信自動設定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H11187091A (ja) 携帯端末装置及び着信通知方法
KR20050102543A (ko) 환경 인식에 따른 휴대폰 모드 자동 설정 방법
JP2007037045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携帯端末制御方式
JP4336826B2 (ja) 折り畳み携帯電話機の基地局検索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50067344A (ko) 휴대전화 단말기의 진동/무음 모드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JPH10290473A (ja) 携帯通信装置
JP2872162B2 (ja) 無音報知および可聴報知機能を有する携帯無線機
KR20030077756A (ko) 휴대폰에서의 착신모드 자동전환방법과 이를 이용한휴대폰
KR20010091722A (ko) 휴대폰의 착신음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040058655A (ko)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단말기의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0538616B1 (ko) 단말기의 수신 모드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60127364A (ko) 수신 알림 모드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678886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송신자를 등록하는 방법
KR100559700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호수신 알림모드 자동 설정 장치및 그 방법
KR20000011552U (ko) 진동 모드에서 전화벨 모드로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통신기기
JP2002159065A (ja) 携帯無線電話システム
KR20050054789A (ko) 광도에 따라 휴대폰의 착신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
JPH11317792A (ja) 携帯端末
KR960016312A (ko) 무선 전화기의 자동 내선 통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