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3715A - 속눈썹 성형구 - Google Patents

속눈썹 성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3715A
KR20050063715A KR1020040109433A KR20040109433A KR20050063715A KR 20050063715 A KR20050063715 A KR 20050063715A KR 1020040109433 A KR1020040109433 A KR 1020040109433A KR 20040109433 A KR20040109433 A KR 20040109433A KR 20050063715 A KR20050063715 A KR 20050063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lash
rubber
width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eyela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0069B1 (ko
Inventor
타케우치토시히로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3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48Eyelash curlers; Eyebrow cur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Landscapes

  • Cosmetic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rushes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마스카라를 사용하였을 때에도, 용이하게 속눈썹을 방사상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속눈썹의 근원에서 선단까지 성형할 수 있는 속눈썹 성형구을 제공한다. 그립부(Grip, 2)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돌출하게 속눈썹 성형부(3)를 구비하고, 속눈썹 성형부(3)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열부(6)를 구비함과 동시에 가열부(6) 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고무(21 및 22)를 배열하는 동시에 인접하는 두 개의 고무(21 및 22)의 돌출량을 바꾼다.

Description

속눈썹 성형구{EYELASH SET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속눈썹을 성형하기 위한 속눈썹 성형구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특개2000-175724호공보에 개재된 종래의 속눈썹 성형구는, 전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속눈썹 가열부의 온도를 낮게 설정하여도, 속눈썹의 근원(根元)에서 선단(先端)까지를 용이하게 성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속눈썹 가열부를 속눈썹 성형구의 선단의 윗면에 속눈썹 성형구의 길이방향으로 2열로 배설(配設)하고 있다.
그런데, 마스카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속눈썹이 속눈썹 가열부에 부착되어, 속눈썹을 잘 성형할 수 없었다. 또한, 마스카라가 부착되어 속눈썹이 컬(Curl)되어, 속눈썹을 방사상으로 분리시키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이며, 마스카라를 사용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속눈썹을 방사상으로 분리시킬 수 있고, 속눈썹의 근원에서 선단까지를 성형하는 것이 가능한 속눈썹 성형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속눈썹 성형구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파지(把持)되는 그립(Grip)부와; 상기 그립부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돌출하게 구비된 속눈썹 성형부와; 상기 속눈썹 성형부에 구비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속눈썹 성형부에 구비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폭방향에 상기 가열부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열된 복수의 고무를 가지는 고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의 발명은, 청구항1의 속눈썹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고무의 선단(先端)은,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의 발명은, 청구항1 또는 2의 속눈썹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무중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두 개의 고무는 상기 폭방향으로 돌출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의 어느 한 항의 속눈썹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에서 상기 가열부의 단부에서 상기 고무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2.5mm이하 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5의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중의 어느 한 항의 속눈썹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에서 상기 고무의 돌출량이 0.5mm이상, 1.5mm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무의 배열피치가 0.7mm이상, 1.5mm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6의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5 중의 어느 한 항의 속눈썹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및 상기 폭방향으로 각각 직교하는 두께방향에서 상기 가열부의 상단에서 상기 폭방향으로 상기 고무의 선단까지의 높이가 - 0.5㎜이상, 1.0㎜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7의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6 중의 어느 한 항의 속눈썹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상기 속눈썹 성형부의 상기 폭방향의 양측으로 구비되어, 상기 폭방향의 일측에 구비된 고무와 타측에 구비된 고무가 상기 폭방향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8의 발명은, 청구항7의 속눈썹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일측에 구비된 고무와 타측에 구비된 고무를 결합하는 결합부가 상기 가열부의 전체를 덮고, 상기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각각 직교하는 두께방향으로 상기 가열부의 상단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까지의 높이가 1㎜ 이상, 2㎜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9의 발명은, 청구항8의 속눈썹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만곡한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1 내지 청구항9 중의 어느 한 항의 속눈썹 성형구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상기 본체의 상기 길이방향에서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속눈썹 성형구에 대해 도 1에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눈썹 성형구(1)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된그립부(Grip, 2)와, 그립부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속눈썹 성형부(3)를 가지고 있다. 그립부(2)의 속눈썹 성형부(3)측의 단부 근방에는, 사용자가 그립부(2)를 손바닥으로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 등으로 조작하는 스위치(4)가 구비되어 있다. 또, 속눈썹 성형구(1)를 정면에서 보아 그 선단부에는 속눈썹 성형부(3)의 일부를 이루는 고무부재(5)가 착탈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속눈썹 성형구(1)는 그 길이방향으로 중심축에 대해 대칭이고, 사용자의 사용상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왼손잡이인가 오른손잡이인가 등에 관계없이, 동일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대응하고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부(2)는, 각각 수지성형 등으로 형성된 상부 커버(11)와, 상부 커버(11)에 고정되는 하부 커버(12)와, 상부 커버(11)에 슬라이드식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전지실 뚜껑(1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립부(2)의 내부에는, 전지(50)에 접속되는 쇠장식(51,52 및 53), 스위치편(54), 스위치 받침대(55)등이 설치되어 있다.
속눈썹 성형부(3)는, 그립부(2)의 상부커버(11)와 하부커버(12)의 사이에 협지시킨 고정된 기본부재(14)와, 기본부재(14)상에 리브(14A)에 의해 유지된 가열부(6)와, 상기 고무부재(5)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무부재(5)는, 기본부재(14)에 부착된 상태에서 가열부(6)에 대향한다. 가열부(6)는, 히터선(61), 히터코어(62), 히터커버(6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가열부(6)는, 속눈썹 성형구(1)의 길이방향에 속눈썹을 성형하는 데 적당한 소정의 길이, 구체적으로는, 사람의 눈의 폭의 몇분의 1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히터선(61) 및 히터코어(62)는, 대략 U자형으로 굴곡져 있으며, 속눈썹 성형구(1)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폭방향에서 실질적으로 두 열로 배열되어 있다. 히터선(61)과 스위치편(55)은 리드선(64)으로 접속되고 있고, 스위치(4)의 조작에 따라 전력공급이 온/오프된다.
도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부재(5)는, 속눈썹 성형구(1)의 폭방향으로 가열부(6)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열된 복수의 고무(21, 22)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속눈썹 성형구(1)는, 길이방향에서 중심축에 대해 대칭이므로 고무 (21, 22)은, 고무부재(5)의 양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길이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두 개의 고무(21, 22)의 폭방향으로 돌출량이 다르다. 더욱이, 각 고무(21, 22)의 선단은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무(21, 22)의 선단을 예각으로 하는 것으로, 마스카라를 사용했을 때에도, 용이하게 속눈썹을 방사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고무부재(5)의 오른쪽에 배열된 각 고무 (21, 22)과, 왼쪽에 배열된 각 고무 (21, 22)는, 각각 외측으로 만곡한 리브(결합부, 23)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리브(23)가 가열부(6)의 전체를 덮도록 고무부재(5)의 길이방향의 길이 및 고무(21, 22)의 배열수 등이 결정되고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속눈썹 성형부(3)의 각부의 구체적인 치수에 대해서는,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검토한다. 우선, 도 7에 나타난 속눈썹 성형구(1)의 폭방향(X방향)에 있어서 가열부(6)의 단부에서 각 고무(21, 22)의 선단까지의 거리(D1)를 2.5mm이하로 한다. 거리(D1)가 길어지면, 가열부(6)로부터 열이 고무(21, 22)의 선단까지 전해지기 어려워, 열전달효율이 저하되는 것과 동시에, 속눈썹 성형부(3)의 폭이 넓어져, 속눈썹 성형구의 사용편이가 저하한다. 그렇기 때문에, 거리(D1)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나타난 폭방향으로 고무(21, 22)의 기부에서 돌출량(D2)을 0.5mm이상, 1.5mm이하의 범위로 한다. 일반적으로, 고무부재(5)는, 수지성형으로 형성되지만, 고무부재(5)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고무부재(5)의 기부(基部, 5A)에 일정한 수지의 두께를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돌출량(D2)을 크게 하면, 상기 거리(D1)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열전달 효율이 저하한다. 따라서, 속눈썹 성형부(3)의 폭을 넓히는 일없이, 열전달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더욱이 고무부재(5)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돌출량(D2)을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이 큰 방향의 고무(21)와 돌출이 작은 방향의 고무(22)와의 돌출량의 차이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마스카라를 사용한 후에 속눈썹이 부착되어서 덩어리지게 된 경우에 있어서도, 돌출이 크고 긴 방향으로 고무(21)이 가이드하는 기능을 하고, 그것들 사이에 돌출이 작고 짧은 방향의 고무(22)로 속눈썹을 분리시킬 수 있는 정도의 차이가 있으면 좋다.
또한, 길이방향(Z방향)에서의 각 고무(21, 22)의 배열 피치(P)를 0.7mm이상, 1.5mm이하의 범위로 한다. 각 고무(21, 22)도, 일정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일정한 굵기를 필요로 한다. 한편, 각 고무(21, 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마스카라를 사용했을 때에도 속눈썹을 방사상으로 분리시키는 기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배열피치(P)를 상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나타난 길이방향(Z방향) 및 폭방향(X방향)에 각각 직교하는 두께 방향(Y방향)에 있어서, 가열부(6)의 상단에서 폭방향으로 고무(21, 22)의 선단(점 F)까지의 높이(H1)를 - 0.5mm 이상, 1.Omm이하의 범위로 한다. 고무(21, 22)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리되는 속눈썹은, 가열부(6)에 의해 가열되고, 속눈섭 성형부(6)에 의해 가열되고, 속눈썹 성형구(1)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컬 되지만, 두께 방향의 가열부(6)와 고무(21, 22)의 선단까지의 높이(H1)가 높아지면, 가열부(6)에서 속눈썹까지의 거리도 길게되어, 열이 전달되기 어렵게 된다. 그러한 결과, 속눈썹을 컬 시키기 위한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두께방향으로 가열부(6)의 상단에서 폭방향으로 고무(21) 및 (22)의 선단까지의 높이(H1)를 상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두께 방향(Y방향)에 있어서, 가열부(6)의 상단에서 리브(23)의 상단까지의 높이(H2)를 1㎜이상, 2㎜이하의 범위로 한다. 리브(23)는, 고무(21, 22)에 의해 분리되어진 속눈썹에 접촉하게 되므로, 가열부(6)에서 리브(23)에 전달되어 축적된 열은, 다시 속눈썹에 전달된다. 이 때에, 리브(23)의 상단을 지나치게 높게 하면, 가열부(6)에서의 열이 리브(23)에 충분히 전달되지 않고, 리브(23)에 축적되어 열량도 적게된다. 따라서, 가열부(6)의 상단에서 리브(23)의 상단까지의 높이(H2)를 상기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리브(23)에 의해, 가열부(6)가 사용자의 피부 및 안구로부터 일정한 거리이상 떨어져 있으므로, 가열부(6)가 직접 피부 및 육안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리브(23)은, 외측으로 구브러져 있으므로 속눈썹을 컬 시킬 경우에 속눈썹 성형구(1)을 회전시켜도, 속눈썹 성형부(3)가 눈꺼풀과의 간섭없이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인 속눈썹 성형구(1)에 의하면, 마스카라를 사용한 때에도, 속눈썹을 덩어리지지 않게 방사상으로 분리시키고, 효율이 좋게 속눈썹을 가열할 수 있다. 또, 속눈썹 성형부(3)을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속눈썹 성형시에 부드럽게 속눈썹 성형구(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효율 좋게 속눈썹을 컬 시킬 수 있다.
본원은 일본 특허출원 2003-424284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상기 특허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본원발명에 합체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형태에 의해 충분히 기재되어 있지만, 여러가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한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것에 있어서 분명할 것이다. 그 때문에, 그러한 변경 및 변형은, 본원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것이 아니고, 본원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청구항1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고무가 폭방향의 가열부에서 돌출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므로, 속눈썹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가열부에 속눈썹을 닿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마스카라를 사용할 때에도, 속눈썹을 방사상으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근원에서 선단까지 성형시킬 수 있다.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하면, 고무의 선단이 예각이기 때문에, 마스카라를 사용할 때에도 용이하게 속눈썹을 방사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청구항3의 발명에 의하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두 개의 고무의 돌출량이 다르므로, 마스카라를 사용한 때에 속눈썹이 부착하여 덩어리져도, 긴 방향으로 고무가 가이드로 기능하고, 그것들 사이에 짧은 방향의 고무로 속눈썹을 분리시킬 수 있다.
청구항4의 발명에 의하면, 폭방향에 있어서 가열부의 단부에서 고무의 선단까지의 거리를 2.5mm이하로 하고 있으므로, 가열부에서의 열을 속눈썹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 속눈썹 성형부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속눈썹 성형구 사용성이 향상한다.
청구항5의 발명에 의하면, 폭방향에 있어서 고무의 기부에서의 돌출량을 0 .5mm이상, 1.5mm이하의 범위로 하고, 길이방향에 있어서 고무의 배열 피치를 0.7mm이상, 1.5mm 이하의 범위로 하고 있으므로, 특히 마스카라를 사용한 후에 속눈썹을 균형있게 방사상으로 분리시킨 상태로 컬(Curl) 시킬 수 있다.
청구항6의 발명에 의하면, 두께 방향에 있어서 가열부의 상단에서 폭방향으로 고무의 선단까지의 높이를 - 0.5mm 이상, 1.Omm이하의 범위라고 하고 있으므로, 속눈썹을 방사상으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효율적으로 속눈썹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청구항7의 발명에 의하면, 고무가 속눈썹 성형부의 폭방향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고, 폭방향의 일측으로 구비된 고무와 타측에 구비된 고무가 폭방향으로 결합되는 데, 일측의 고무의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에 배열된 고무사이에 도입된 속눈썹은, 그 상태에서 가열부까지 도달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속눈썹을 방사상으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속눈썹에 일일이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청구항8의 발명에 의하면, 일측에 구비된 고무와 타측에 구비된 고무를 결합하는 결합부에서 가열부의 전체를 덮고, 가열부의 상단에서 결합부의 상단까지의 높이를 1mm이상, 2mm이하의 범위로 하고 있으므로, 속눈썹에 효과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가열부를 사용자의 피부 또는 안구로부터 일정한 거리이상으로 떨어질 수 있어, 가열부가 직접 피부와 안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9의 발명에 의하면, 결합부를 만곡한 리브로 하고 있으므로, 속눈썹을 컬 하는 경우에 속눈썹 성형구를 회전시켜도, 속눈썹 성형부가 눈꺼풀과 간섭하지 않고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속눈썹을 컬 시킬 수 있다.
청구항10의 발명에 의하면, 고무부가 본체의 길이방향에서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하므로, 사용자의 사용상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지 등에 관계 없이, 동일한 상태에서 사용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속눈썹 성형구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상기 속눈썹 성형구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상기 속눈썹 성형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부단면도.
도 4는, 상기 속눈썹 성형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속눈썹 성형구의 속눈썹 성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상기 속눈썹 성형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상기 속눈썹 성형부에 있어서 각부의 치수를 나타내는 단면도.

Claims (10)

  1. 사용자에 의해 파지(把持)되는 그립(Grip)부와;
    상기 그립부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된 속눈썹 성형부와;
    상기 속눈썹 성형부에 구비되고, 상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속눈썹 성형부에 구비되어 상기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폭방향에 상기 가열부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열된 복수의 고무가 있는 고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성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의 선단(先端)은, 예각(銳角)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성형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무중에,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호 인접하는 두 개의 고무는 상기 폭방향으로 돌출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속눈썹 성형구.
  4. 제 1항 내지 제 3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단부(端部)에서 상기 고무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2.5mm이하 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성형구.
  5. 제 1항 내지 제 4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방향에 있어서 상기 고무의 기부(基部)에서의 돌출량이 0.5mm이상, 1.5mm이하의 범위이고, 상기 길이방향에 상기 고무의 배열피치가 0.7mm이상, 1.5mm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성형구.
  6. 제 1항 내지 제5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및 상기 폭방향으로 각각 직교하는 두께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상단에서 상기 폭방향으로 상기 고무의 선단까지의 높이가 - 0.5㎜이상, 1.0㎜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성형구.
  7. 제 1항 내지 제6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상기 속눈썹 성형부의 상기 폭방향의 양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폭방향의 일측에 구비된 고무와 타측에 구비된 고무가 상기 폭방향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성형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에 구비된 고무와 타측에 구비된 고무를 결합하는 결합부가 상기 가열부의 전체를 덮고, 상기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 각각 직교하는 두께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의 상단에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까지의 높이가 1㎜ 이상, 2㎜이하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성형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만곡한 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성형구.
  10. 제 1항 내지 제9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는, 상기 본체의 상기 길이방향에 있어서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 성형구.
KR1020040109433A 2003-12-22 2004-12-21 속눈썹 성형구 KR100640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24284 2003-12-22
JP2003424284A JP4131235B2 (ja) 2003-12-22 2003-12-22 睫毛成形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715A true KR20050063715A (ko) 2005-06-28
KR100640069B1 KR100640069B1 (ko) 2006-10-31

Family

ID=3478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433A KR100640069B1 (ko) 2003-12-22 2004-12-21 속눈썹 성형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31235B2 (ko)
KR (1) KR100640069B1 (ko)
CN (2) CN1310605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637B1 (ko) * 2006-01-12 2006-08-01 황수정 속눈썹 성형 기구
WO2009028750A1 (en) * 2007-08-29 2009-03-05 Jeong-Joo Suh Roll type eyelash curler
WO2009028749A1 (en) * 2007-08-29 2009-03-05 Jeong-Joo Suh Press type eyelash curler
KR101055400B1 (ko) * 2008-08-19 2011-08-08 한경희 마스카라 고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3544A1 (ja) * 2004-10-19 2006-04-27 Kao Corporation マスカラ剤、マスカラ付与具及びマスカラ付与方法
FR2912041B1 (fr) * 2007-02-06 2011-03-11 Oreal Ensemble pour le maquillage des cils, comportant un dispositif d'application comprenant un support chauffa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0318A1 (fr) * 1992-04-27 1993-10-29 Oreal Brosse destinée à l'application d'un produit cosmétique, en particulier sur les cils ou les cheveux,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une telle brosse.
KR100217490B1 (ko) * 1996-12-18 1999-09-01 서정주 속눈썹 성형구
JPH1156444A (ja) * 1997-08-19 1999-03-02 Shoshuku Kin まつ毛用化粧具
JP3915289B2 (ja) * 1998-12-18 2007-05-16 松下電工株式会社 睫毛成形具
JP3548053B2 (ja) * 1999-04-12 2004-07-28 ロゼンスター株式会社 まつげカーラー
FR2796528B1 (fr) * 1999-07-21 2001-09-21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sur les cils ou les sourcils
JP3813395B2 (ja) * 1999-10-29 2006-08-23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を内蔵する化粧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637B1 (ko) * 2006-01-12 2006-08-01 황수정 속눈썹 성형 기구
WO2009028750A1 (en) * 2007-08-29 2009-03-05 Jeong-Joo Suh Roll type eyelash curler
WO2009028749A1 (en) * 2007-08-29 2009-03-05 Jeong-Joo Suh Press type eyelash curler
KR101055400B1 (ko) * 2008-08-19 2011-08-08 한경희 마스카라 고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10605C (zh) 2007-04-18
JP4131235B2 (ja) 2008-08-13
CN2770439Y (zh) 2006-04-12
KR100640069B1 (ko) 2006-10-31
JP2005177232A (ja) 2005-07-07
CN1636478A (zh)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443B1 (ko) 히팅 마스카라
EP0848920B1 (en) Eyelash curling apparatus
WO2014054489A1 (ja) 美容器具
US8967159B1 (en) Hair styling iron
KR20150053267A (ko) 모발 빗질 장치
KR20180088522A (ko) 인체의 케라틴 섬유에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도포기
EP1974627B1 (en) Eyelash curler
KR100640069B1 (ko) 속눈썹 성형구
JP2013538065A (ja) マスカラブラシ
KR100603807B1 (ko) 속눈썹 성형구
EP3863464B1 (en) Eyelash curler
KR20070027802A (ko) 속눈섭 성형 및 화장기구
US20230232955A1 (en) Eyelash curling device and method for curling eyelash using same
JP3966060B2 (ja) 温熱式睫毛成形具
KR20110116403A (ko) 마스카라용 고데기
CN211065376U (zh) 一种卷发棒
KR101209940B1 (ko) 휴대용 고데기
JP5740141B2 (ja) まつ毛用化粧料塗布具
KR102434793B1 (ko) 속눈썹 고데기
US20200138158A1 (en) Skin protection from hot equipment
JPH1156444A (ja) まつ毛用化粧具
JP3861485B2 (ja) 睫毛成形具
KR101611068B1 (ko) 화장용 도구
KR200485064Y1 (ko) 회전 가능한 헤어 아이론
CN219438414U (zh) 一种带活动梳齿的卷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