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676A -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676A
KR20050062676A KR1020030093522A KR20030093522A KR20050062676A KR 20050062676 A KR20050062676 A KR 20050062676A KR 1020030093522 A KR1020030093522 A KR 1020030093522A KR 20030093522 A KR20030093522 A KR 20030093522A KR 20050062676 A KR20050062676 A KR 20050062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at
vertical
signal
unit
vertical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3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2676A/ko
Publication of KR20050062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67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0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the resampling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영상모드들마다 정(+)전위구간과 부(-)전위구간의 길이가 상이한 수직동기신호들을 특정 기준을 통해 분류하고 미리 포맷화하여 영상모드 판별시 이를 이용함으로써, 16 : 9(가로 : 세로)의 와이드 영상모드나 DVI규격의 영상모드와 같이 기존의 4 : 3영상모드와는 상이한 다양한 영상모드들, 특히 단위수직동기신호내에 수평주사선 개수 차이가 크지 않으면서 프레임레이트가 유사한 영상모드들을 판별해 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splay mode in digital television}
본 발명은, 단위수직동기신호내에 수평주사선 개수 차이가 크지 않으면서 프레임레이트가 유사한 영상모드들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수평동기신호 대신에 별도의 인에이블신호를 사용하는 DVI(Digital Video Interface)규격의 영상모드에 대해서도 기존의 영상모드와 구별해 낼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처리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입력영상의 모드를 판별한 후, 이 판별결과를 통해 해당 입력영상의 모드에 적합한 샘플링클럭신호로 영상처리를 수행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수직동기신호의 상승에지(rising edge)나 하강에지(falling edge)를 기준으로 단위 수직동기신호내에 실려 있는 수평동기라인개수를 카운팅하여 그 결과를 통해 입력영상의 모드를 판별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영상모드판별방법은 동일한 프레임레이트를 가지는 모드들에 대해서는 그 적용이 어려운데, 예를 들면, 해상도 640 ×480에 60Hz의 프레임레이트를 가지는 영상모드와 640 ×480에 67Hz의 프레임레이트를 가지는 영상모드의 경우 단위수직동기신호내에 동일한 525개의 수평동기라인이 있는 것으로 판별되기 때문에 두 모드의 구별이 어렵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유사동기신호, 즉 입력수평동기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의 특정 클럭신호를 이용해 해당 영상모드의 프레임레이트에 따라 가변적으로 생성한 별도의 유사동기신호를 통해, 단위수직동기신호내에 몇 개의 유사동기신호가 있는지를 카운팅하여 그 결과를 이용해 프레임레이트가 상이한 영상모드들을 판별하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했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으로는 기존의 영상모드와, HD(High Definition)텔레비전의 표시화면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규격을 위해 개발된 16 : 9(가로 : 세로)의 와이드 영상모드의 구별이 어렵다.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된 해상도 1024 ×768에 60Hz의 프레임레이트를 가지는 4 : 3(가로 : 세로)의 XGA모드와, 도 1b에 도시된 그의 와이드 모드인 해상도 1366 ×768에 59.94Hz의 프레임레이트를 가지는 WXGA모드는, 단위수직동기신호내에 수평주사라인개수의 차이가 크게 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레이트가 매우 유사하여 기존의 영상모드판별방법으로는 두 모드를 구별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단위수직동기신호내에 수평주사선 개수 차이가 크지 않으면서 프레임레이트가 유사한 영상모드들을 판별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수평동기신호 대신에 별도의 인에이블신호를 사용하는 DVI규격의 영상모드에 대해서도 기존의 영상모드와 구별해 낼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소정의 영상모드들마다 정(+)전위구간과 부(-)전위구간의 길이가 상이한 수직동기신호들을 특정 기준을 통해 분류하고 미리 포맷화하여 영상모드 판별시 이를 이용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정(+)전위구간과 부(-)전위구간의 길이가 상이한 수직동기신호들을 소정의 분류기준에 따라 각기 정의한 수직동기포맷데이터를 미리 셋팅해 두었다가 특정 수직동기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수직동기신호가 어떠한 포맷에 해당되는지를 그 특정분류기준을 사용해 판별하여 그를 통해 해당 영상의 모드를 판별하고자 한다.
덧붙여서, 본 발명은 수직동기신호 각각의 정(+)전위 구간과 부(-)전위구간에 대응되는 정전위구간의 펄스개수 및 부전위구간의 펄스개수로 분류기준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수직동기신호가 어떠한 포맷인지를 판별하기 위해 필요한 로직 유닛(logic unit)을 줄이기 위해, 첫 번째는 고정클럭신호를 사용하고, 두 번째는 그 고정클럭신호를 소정의 단위주기마다 셋/리셋시키면서 카운트하고 그로 인해 상기 단위주기마다 발생하는 소정의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를, 수직동기신호의 포맷 판별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내의 시스템 PLL이 영상샘플링용 클럭신호 뿐만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필요한 상기 고정클럭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영상모드판별장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시스템 PLL로부터 입력되는 고정클럭신호에 따라 입력수직동기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소정의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
상기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에서 생성한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수직동기포맷데이터와 비교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직동기포맷 비교부;
상기 수직동기포맷 비교부에서 출력한 신호에 따라 해당 디지털텔레비전에서 수신한 영상의 모드를 판별하는 영상모드판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또 다른 본 발명인 영상모드판별방법은, 디지털텔레비전에서 수신한 영상의 수직동기신호를 기설정된 고정클럭신호에 따라 신호처리하여 소정의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생성한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수직동기포맷데이터와 비교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에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 해당 디지털텔레비전에서 수신한 영상의 모드를 판별하는 제3과정을 통해, 영상모드를 판별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가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모드판별장치이고, 부호 200은 방송국에서 송출한 방송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영상 및 오디오 디코딩을 통해 영상 및 오디오데이터를 표시화면 및 스피커를 통해 외부에 출력하는 방송프로그램용 영상 및 음성 처리부이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요지인 부호 100의 영상모드판별장치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여기에서 부호 110은 디지털 텔레비전내의 시스템 PLL (Phase Locked Loop)(209)로부터 입력되는 고정클럭신호에 따라 입력수직동기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소정의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인데, 상기 고정클럭신호는 종래의 영상샘플링용 클럭신호와는 상이하며 본 발명에 따른 영상모드판별을 위해 시스템 PLL내부에서 별도로 출력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부호 120은 본 발명에 따라 정의된 수직동기포맷데이터들을 미리 설정해 두었다가, 상기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110)에서 생성한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와, 상기 미리 설정된 수직동기포맷데이터들을 각기 비교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직동기포맷 비교부이며, 부호 130은 상기 수직동기포맷 비교부(120)에서 출력한 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의 모드(mode)를 판별하여 그 결과를 디지털 텔레비전내의 시스템 PLL제어용 CPU로 출력하는 영상모드판별부이다.
한편, 부호 200번대는 본 발명의 영상모드판별장치와 결합된 일반적인 방송프로그램용 영상 및 음성 처리부를 예로 들어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프로그램용 영상 및 음성 처리부는, 안테나를 통해 방송프로그램 전송패킷스트림을 수신하는 튜너부(201)와, 상기 튜너부(201)가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 전송 패킷 스트림을 VSB(Vestigial Side Band)/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디코딩하는 VSB/QPSK 디코더(202)와, 상기 VSB/QPSK 디코더(202)에서 디코딩한 방송프로그램 전송패킷스트림을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수직/수평동기신호, 부가정보 등으로 분리하는 전송패킷스트림 디멀티플렉서(203)와, 상기 전송패킷스트림 디멀티플렉서(203)에서 분리한 오디오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오디오 디코더(204)와, 아날로그 비디오데이터를 샘플링클럭에 따라 샘플링하여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06)와, CPU(208)의 제어하에 해당 영상모드에 맞게 샘플링클럭을 생성하여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06)로 출력하는 시스템PLL(209)과, 아날로그/디지털데이터변환기(206)에서 변환한 디지털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영상디코더(207)와, 상기 영상디코더(207)에서 디코딩한 비디오데이터와 부가정보처리부(205)에서 처리한 부가정보데이터를 블렌딩시키는 영상프로세서(210)와, 상기 영상프로세서(210)에서 블렌딩시킨 비디오데이터 및 상기 오디오디코더(204)에서 디코딩한 오디오 데이터를 각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1) 및 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212)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방송프로그램용 영상 및 음성처리부는 본 발명의 영상모드판별장치와 결합되는 일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계속해서,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먼저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방송프로그램 전송패킷스트림이 안테나를 통해 튜너부(201)로 수신되면, 수신된 방송프로그램 전송패킷스트림은 VSB/QPSK 디코더(202)를 통해 디코딩되고, 전송패킷스트림디멀티플렉서(203)를 통해 오디오/비디오데이터, 부가정보 및 수직/수평동기신호 등으로 각기 분리되며, 분리된 정보 중에서 특히, 수직동기신호는 본 발명에 따라 영상모드판별장치(100)의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110)로 입력된다.
그러면,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110)는,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의 시스템 PLL(209)로부터 입력되는 고정클럭신호에 따라 입력수직동기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소정의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생성하는데 구체적인 신호처리 양태에 대해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는, 본 발명에 따라 수직동기신호를 여러 포맷으로 분류할 경우, 예컨대 수직동기신호의 정(+)구간과 부(-)구간을 분리하여 각 구간의 신호를 소정의 셋/리셋주기로 카운트하여 생성한 펄스개수에 의해 여러 포맷으로 분류할 경우, 입력수직동기신호가 어떠한 포맷에 대응되는 신호인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이다. 이는 XGA모드나 WXGA모드와 같이 프레임레이트나 해상도가 유사하여 수직동기신호의 길이 차이나 또는 프레임레이트에 따른 단위수직동기신호구간동안의 수평동기신호카운트개수 차이가 크지 않을 경우에 특히 바람직한 양태로 사용가능하다.
한편,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110)가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를 생성하면, 수직동기포맷 비교부(120)는 이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다수의 수직동기포맷데이터와 각기 비교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영상모드판별부(130)로 출력하고, 영상모드판별부(130)는 그 수직동기포맷 비교부(120)에서 출력한 신호에 따라 해당 영상이 어떠한 모드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별신호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CPU로 출력되며, CPU는 이를 기준으로 시스템 PLL(209)을 제어해 상기 시스템 PLL(209)이 해당 영상모드에 적합한 샘플링클럭을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06)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동기신호를 본 발명에 사용되는 소정의 표준에 따라, 예컨대 수직동기신호의 정(+)구간과 부(-)구간을 분리하여 각 구간마다 해당 신호를 기설정된 주기로 셋/리셋시키면서 카운트하여 생성한 펄스개수에 따라, 여러 포맷으로 분류하고, 그를 통해 입력수직동기신호가 어떠한 포맷인지 그 분류한 표준에 따라 판별하여 이를 이용해 디지털 텔레비전의 시스템 PLL에서 해당 영상모드에 적합한 샘플링클럭이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XGA모드나 WXGA모드, 또는 소정의 와이드모드나 DVI모드와 같이 프레임레이트나 해상도가 유사하여 수직동기신호의 길이 차이나 또는 프레임레이트에 따른 단위수직동기신호구간동안의 수평동기신호카운트개수 차이가 크지 않은 모드들을 분별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양태로 사용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모드판별장치(100)에 의해 영상모드가 판별되어 그에 적합한 샘플링클럭이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06)로 입력되면,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206)는 아날로그비디오데이터를 그 샘플링클럭에 따라 디지털비디오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렇게 변환한 디지털비디오데이터는 영상디코더(207)와 영상프로세서(210)를 통해 디코딩 및 신호처리되고 비디오 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211)를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외부로 출력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영상처리는 공지된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도 2의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 3의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는, 본 발명에 따라 수직동기신호를 정(+)전위 구간과 부(-)전위구간으로 분리하여 각 구간의 해당 신호를 특정 주기마다 셋/리셋시켜 카운트하여 생성한 소정의 펄스개수에 따라 여러 포맷으로 분류한 경우, 그 분류에 따라 입력수직동기신호가 어떠한 포맷인지를 판별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현하였으며, 더불어 그 포맷판별을 위해 필요한 로직 유닛(logic unit)을 줄이기 위해 소정의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를 사용하였다.
우선,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에서, 먼저 카운터(111)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디지털텔레비전의 시스템 PLL로부터 입력되는 고정클럭신호를 미리 설정된 소정의 단위주기동안 반복적으로 셋/리셋시키면서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그러면,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발생부(112)는 상기 카운터(111)에서 출력한 결과에 따라 상기 단위주기마다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를 발생하고,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출력부(113)는 그 포맷판별용 기준펄스에 따라 입력수직동기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그에 대응되는, 즉 본 발명의 요부로 사용되는 소정의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상기 수직동기포맷 비교부로 출력하는데, 그에 관한 바람직한 양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적용가능한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출력부(113)는, 상기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발생부에서 발생한 포맷판별용 기준펄스에 따라 입력수직동기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그에 따라 생성된 정(+)전위펄스신호를 상기 수직동기포맷 비교부로 출력하는 정전위펄스출력부(113-1)와, 상기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발생부에서 발생한 포맷판별용 기준펄스에 따라 입력수직동기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그에 따라 생성된 부(-)전위펄스신호를 상기 수직동기포맷비교부로 출력하는 부전위펄스출력부(113-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전위펄스출력부(113-1)는 상기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발생부에서 발생한 포맷판별용 기준펄스와 입력수직동기신호를 각기 입력받아 논리연산시켜 그 결과에 대응되는 정(+)전위펄스를 상기 수직동기포맷 비교부로 출력하는 제1앤드게이트로 구성하고, 상기 부전위펄스발생부(113-2)는 상기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발생부에서 발생한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를 반전시키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에서 반전시킨 포맷판별용 기준펄스와 입력수직동기신호를 각기 입력받아 논리연산시켜 그 결과에 대응되는 부(+)전위펄스를 상기 수직동기포맷 비교부로 출력하는 제2앤드게이트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직동기포맷에 대해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직동기신호를, 여러 포맷으로 정의 및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동기신호의 정(+)전위구간과 부(-)전위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소정의 정전위펄스수와 부전위펄스수에 따라, 해당 포맷으로 정의 및 분류하도록 하는데, 예를 들면, 특정 수직동기신호의 정전위구간에 대응되는 펄스수가 1이고 부전위구간에 대응되는 펄스수가 3일 경우 제1수직동기포맷으로 정의 및 분류하며, 각각의 펄스수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가 된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직동기포맷과 영상모드의 매칭관계를 설명하는데,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입력수직동기신호가 제1수직동기포맷일 경우에는, 즉 입력수직동기신호의 정전위구간에 대응되는 펄스수가 1이고, 부전위구간에 대응되는 펄스수가 3일 경우에는, 영상모드를 XGA모드로 판별하고, 제2수직동기신호포맷일 경우에는 영상모드를 WXGA모드로 판별함으로써 본 발명은 그 결과에 따라 각각의 영상모드에 적합한 샘플링클럭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직동기포맷판별용데이터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텔레비전의 시스템 PLL이 고정클럭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카운터는 카운팅에 필요한 로직유닛(logic unit)을 줄이기 위해 미리 설정된 단위주기동안 반복적으로 셋/리셋시키면서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고,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발생부는 상기 카운터에서 출력한 결과를 이용해 그 단위주기마다 소정의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를 발생한다.
그리고,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출력부는 그 포맷판별용 기준펄스에 따라 외부입력수직동기신호를 신호처리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직동기포맷판별용데이터 즉, 정전위구간동안의 펄스신호와 부전위구간동안의 펄스신호를 수직동기포맷 비교부로 출력하게 되고, 수직동기포맷 비교부는 이러한 펄스신호와 미리 설정된 소정의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를 비교해 외부입력수직동기신호의 포맷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입력영상이 DVI영상일 경우 본 발명의 타이밍도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영상이 DVI영상일 경우는 일반적으로 수평동기신호 대신 인에이블신호를 사용하는데, 영상디코더는 이 신호를 외부입력수평동기신호로 인식해 영상영역을 표시한다. 따라서, 영상모드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인에이블신호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외부입력수평동기신호와는 상이하게 백포치나 프런트포치, 그리고 싱크구간에서는 수평동기신호, 즉 인에이블신호가 실려 있지 않고, 실제 비디오데이터가 있는 부분에만 실려 있으며 그 인에이블신호의 주기수는 실제 영상모드의 라인 개수와 일치하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현재 입력영상이 DVI영상모드라는 것을 별도로 알려주어야, 즉 카운팅되는 라인의 개수가 실제 디스플레이 라인개수만큼만 있다라는 정보를 알려주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별도의 정보를 알려줄 필요없이 수직동기신호의 정전위구간(800-1)에 대응되는 펄스개수와 부전위구간(800-2)에 대응되는 펄스개수만을 가지고도 그 결과를 이용해 입력영상이 DVI영상모드임을 판별할 수 있게 되는데 그 판별양태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여기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및 그 방법은, 16 : 9(가로 : 세로)의 와이드 영상모드나 DVI규격의 영상모드와 같이 기존의 영상모드와는 상이한 다양한 영상모드들, 특히 단위수직동기신호내에 수평주사선 개수 차이가 크지 않으면서 프레임레이트가 유사한 영상모드들을 구별해 낼 수 있음으로써, 이를 통해 전술한 다양한 영상모드들에 가장 적합한 샘플링클럭을 발생시켜 해당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a와 도 1b는 일반적인 4:3영상모드와 16 : 9모드 각각의 타이밍도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출력부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직동기포맷 및 그 판별용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직동기포맷과 영상모드와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신호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DVI모드의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
120 : 수직동기포맷 비교부 130 : 영상모드판별부
201 : 튜너부 202 : VSB/QPSK디코더
203 : 전송패킷스트림디멀티플렉서
204 : 오디오디코더 205 : 부가정보처리부
206 :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 207 : 영상디코더
208 : CPU 209 : 시스템PLL
210 : 영상프로세서 211 : 비디오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212 : 오디오디지털/아날로그변환기

Claims (7)

  1. 디지털 텔레비전의 시스템 PLL(Phase Locked Loop)로부터 입력되는 고정클럭신호에 따라 입력수직동기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소정의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생성하는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
    상기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에서 생성한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수직동기포맷데이터와 비교하여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수직동기포맷 비교부;
    상기 수직동기포맷 비교부에서 출력한 신호에 따라 해당 디지털텔레비전에서 수신한 영상의 모드를 판별하는 영상모드판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동기포맷판별용 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디지털텔레비전의 시스템 PLL로부터 입력되는 고정클럭신호를 미리 설정된 단위주기동안 반복적으로 카운트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카운터;
    상기 카운터에서 출력한 결과에 따라 상기 단위주기마다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를 발생하는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발생부;
    상기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발생부에서 발생한 포맷판별용 기준펄스에 따라 입력수직동기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그에 대응되는 소정의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상기 수직동기포맷 비교부로 출력하는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출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출력부는;
    상기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발생부에서 발생한 포맷판별용 기준펄스에 따라 입력수직동기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그에 따라 생성된 정(+)전위펄스신호를 상기 수직동기포맷 비교부로 출력하는 정전위펄스출력부 및;
    상기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발생부에서 발생한 포맷판별용 기준펄스에 따라 입력수직동기신호를 신호처리하여 그에 따라 생성된 부(-)전위펄스신호를 상기 수직동기포맷비교부로 출력하는 부전위펄스출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위펄스출력부는;
    상기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발생부에서 발생한 포맷판별용 기준펄스와 입력수직동기신호를 각기 입력받고 논리연산시켜 그 결과에 대응되는 정(+)전위펄스를 상기 수직동기포맷 비교부로 출력하는 제1앤드게이트이고,
    상기 부전위펄스발생부는;
    상기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발생부에서 발생한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를 반전시키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서 반전시킨 포맷판별용 기준펄스와 입력수직동기신호를 각기 입력받고 논리연산시켜 그 결과에 대응되는 부(+)전위펄스를 상기 수직동기포맷 비교부로 출력하는 제2앤드게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5. 디지털텔레비전에서 수신한 영상의 수직동기신호를 기설정된 고정클럭신호에 따라 신호처리하여 소정의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생성한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수직동기포맷데이터와 비교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에서 비교한 결과에 따라 해당 디지털텔레비전에서 수신한 영상의 모드를 판별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상기 디지털텔레비전의 시스템 PLL로부터 입력되는 고정클럭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단위 주기동안 반복적으로 카운트하여 단위주기마다 포맷판별용 기준펄스를 생성하는 제1-1과정;
    상기 제1-1과정에서 생성한 포맷판별용 기준펄스에 따라 상기 디지털텔레비전에서 수신한 영상의 수직동기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소정의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2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동기포맷 판별용데이터는;
    수직동기신호의 정(+)전위구간동안의 펄스수 및 부(-)전위구간동안의 펄스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방법.
KR1020030093522A 2003-12-19 2003-12-19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26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522A KR20050062676A (ko) 2003-12-19 2003-12-19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522A KR20050062676A (ko) 2003-12-19 2003-12-19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676A true KR20050062676A (ko) 2005-06-27

Family

ID=3725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522A KR20050062676A (ko) 2003-12-19 2003-12-19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26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443B1 (ko) * 2005-11-14 200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신호 포맷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150008085A (ko) 2012-04-16 2015-01-21 닛폰 호소 교카이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262861B2 (en) 2019-11-04 2022-03-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443B1 (ko) * 2005-11-14 200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신호 포맷 판단 장치 및 방법
KR20150008085A (ko) 2012-04-16 2015-01-21 닛폰 호소 교카이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262861B2 (en) 2019-11-04 2022-03-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4008A1 (en) Real time video data stream processor
US6297850B1 (en) Sync signa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video signal processor
KR100829105B1 (ko) 영상신호 처리방법 및 영상신호 처리장치
KR20050062676A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영상모드판별장치 및 그 방법
KR100643247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173998B2 (ja) ジッタ・キャンセルの方法および装置
JP2974301B2 (ja) トリガ生成回路及び波形表示装置
EP1326429B1 (en) Automatic detection of synchronisation signal polarity in video timing and generation of blanking period signal indicator from sync information
US6559891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generate tri-level HDTV synchronization pulses
JP2621534B2 (ja) 同期信号発生装置
JP2002135681A (ja) 映像表示装置
JP4277739B2 (ja) 映像デコーダ
CN1027668C (zh) 文字广播信号发生装置及文字广播信号接收机
KR100705835B1 (ko) 해상도 판단 장치 및 해상도 판단 방법
JP4906199B2 (ja) 画像フォーマット変換前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EP0865198A2 (en) Method and device for arranging digitized image signals or data in orthogonal rows and columns
JP2001086428A (ja) 映像表示装置及びマルチ画面表示装置
JP5017199B2 (ja) 遅延回路
KR100197380B1 (ko) 피디피 티브이에서의 채널전환시 데이타생성 지시장치
KR0126776B1 (ko) 영상장치의 동기신호 발생기
JP3876794B2 (ja) 垂直同期信号処理回路
EP1750453A1 (en) Digital signal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0164161B1 (ko) 필드 분리 장치
KR100304891B1 (ko) 평판형 표시장치 시스템
JPH02283171A (ja) 垂直同期分離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