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123A - 농산물 추출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추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123A
KR20050062123A KR1020030093797A KR20030093797A KR20050062123A KR 20050062123 A KR20050062123 A KR 20050062123A KR 1020030093797 A KR1020030093797 A KR 1020030093797A KR 20030093797 A KR20030093797 A KR 20030093797A KR 20050062123 A KR20050062123 A KR 200500621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
water
agricultural
container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6581B1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김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호 filed Critical 김정호
Priority to KR1020030093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6581B1/ko
Publication of KR20050062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6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6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0Dissolving
    • B01F21/15Dissolving comprising constructions for blocking or redispersing undissolved solids, e.g. sieves, separators or guiding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0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the brewing vessel, i.e. water heating container, is placed above or in the upper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s i.e. brewing vessel; Drip coffee-makers with the water heating container in a higher position than the brewing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xtraction Or Liquid Replacement (AREA)
  • Tea And Coffee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된 물속에 농산물을 집어넣어다가 꺼내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농산물의 맛과 향기 그리고 영양분 등이 그대로 녹아있는 추출액을 짧은 시간내에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농산물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추출용기(1)의 물(6)속에 농산물을 적치시킨 상태에서 물(6)을 열매체쳄버(5)의 순환열매체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농산물의 추출물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농산물 추출장치에 있어서, 농산물을 담은 그물망구조의 농산물적치용기(10)를 상기 추출용기(1)의 물(6)속에서 담근 상태에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되, 농산적치용기(10)의 연결대(11)가 뚜껑(2)의 승강안내실린더(7)를 통해 통상적인 승강구동수단(20)의 승강체인(21)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추출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농산물 추출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된 물속에 농산물을 집어넣어다가 꺼내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농산물의 맛과 향기 그리고 영양분 등이 그대로 녹아있는 추출액을 효과적으로 생산하도록 구성되는 농산물의 추출액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의 추출액을 생산하는 방법으로는 추출용기에 세척된 농산물을 집어넣은 상태에서 물을 일정수위까지 채워 넣은 다음, 증기나 고온수 등과 같은 열매체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삼투압에 의해 농산물의 맛과 향기 그리고 영양분이 가열된 물에 녹아들도록 하여 추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추출방법은 시간이 지나면서 농산물의 주위에 위치한 물의 농도가 높아지게 되고, 시간이 경과되면서 농산물로부터 물로 추출되는 추출물이 주위로 서서히 확산되면 농산물의 주위에 위치한 물의 농도가 낮아지면서 다시 추출이 시작된다.
이처럼, 종래에는 고온의 물속에 농산물을 담근 상태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추출속도가 매우 더디고, 결국 추출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 그 생산성이 매우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가 현저히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초래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열된 물속에 농산물을 집어넣어다가 꺼내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농산물의 맛과 향기 그리고 영양분 등이 그대로 녹아있는 추출액을 짧은 시간내에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농산물 추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추출용기의 물속에 농산물을 적치시킨 상태에서 물을 열매체쳄버의 순환열매체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농산물의 추출물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농산물 추출장치에 있어서, 농산물을 담은 그물망구조의 농산물적치용기를 상기 추출용기의 물속에서 담근 상태에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되, 농산적치용기의 연결대가 뚜껑의 승강안내실린더를 통해 통상적인 승강구동수단의 승강체인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추출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매체를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는 추출용기(1)와, 농산물(15)을 담는 농산물적치용기(10) 그리고 농산물적치용기를 추출용기내에서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추출용기(1)는 그 벽체내에 열매체쳄버(5)가 마련되어 있고, 이 열매체쳄버(5)내에 수증기나 고온수 등과 같은 열매체가 순환되면서 그 내부에 담겨 있는 물(6)을 가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추출용기(1)의 상부에 취부되면서 추출용기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뚜껑(2)에는 그 중앙부에 승강안내실린더(7)가 관통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승강안내실린더(7)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패킹(8)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농산물을 담는 농산물적치용기(10)는 원통형의 그물망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중심축선상을 따라 고정 구비되는 연결대(11)가 승강안내실린더(7)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승강구동수단(20)은 구동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승강체인(21)을 감거나 풀면서 승강시키는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 승강체인(21)의 일단에 연결대(11)를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구동수단(20)의 승강체인(21)에 의해 연결대(11)가 승강안내실린더(7)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강되면 농산물적치용기(10)가 추출용기(1)의 내주면을 따라 상하 이동을 반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추출용기(1)내에 일정량의 물(6)을 채운 후, 농산물을 담은 농산물적치용기(10)를 추출용기(1)내의 물에 담그게 되고, 연결대(11)를 승강안내실린더(7)에 삽입시키면서 뚜껑(2)을 장착하여 추출용기의 내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승강안내실린더(7)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연결대(11)의 상단에 승강구동수단(20)의 승강체인(21)을 연결하게 되고, 열매체쳄버(5)내에 열매체를 순환시키면서 추출용기(1)내의 물(6)을 가열시키게 된다.
또한, 승강구동수단(20)을 작동시키게 되면 승강체인(21)에 의해 연결대(11)가 승강안내실린더(7)를 따라 패킹(8)에 의해 실링(sealing)된 상태에서 상하구동되고, 이에 따라 농산물적치용기(10)가 추출용기(1)의 내벽을 따라 상하강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농산물적치용기(10)는 추출용기(1)내의 물(6)속을 상하이동을 하게 되고, 농산물적치용기내에 적치되어 있는 농산물로부터 물(6)속으로 추출되는 추출물이 더욱 활발하게 확산되면서 추출속도를 가속화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농산물의 추출물을 외부로 추출하는 과정에서 고정상태에서 추출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농산물을 상하 이동시키면서 추출함으로써 추출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농산물의 맛과 향기 그리고 영양분 등이 그대로 녹아있는 추출액을 짧은 시간내에 추출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데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상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구성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농산물의 맛과 향기 그리고 영양분 등이 그대로 녹아있는 추출액을 짧은 시간내에 추출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추출용기 2: 뚜껑 4: 드레인관 5: 열매체쳄버 6: 물 7: 승강안내실린더 8: 패킹 10: 농산물적치용기 11: 연결대 20: 승강구동수단 21: 승강체인

Claims (1)

  1. 추출용기(1)의 물(6)속에 농산물을 적치시킨 상태에서 물(6)을 열매체쳄버(5)의 순환열매체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농산물의 추출물을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농산물 추출장치에 있어서,
    농산물을 담은 그물망구조의 농산물적치용기(10)를 상기 추출용기(1)의 물(6)속에서 담근 상태에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되, 농산적치용기(10)의 연결대(11)가 뚜껑(2)의 승강안내실린더(7)를 통해 통상적인 승강구동수단(20)의 승강체인(21)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추출장치.
KR1020030093797A 2003-12-19 2003-12-19 농산물의 용해액 추출장치 KR100556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797A KR100556581B1 (ko) 2003-12-19 2003-12-19 농산물의 용해액 추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797A KR100556581B1 (ko) 2003-12-19 2003-12-19 농산물의 용해액 추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123A true KR20050062123A (ko) 2005-06-23
KR100556581B1 KR100556581B1 (ko) 2006-03-06

Family

ID=37254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797A KR100556581B1 (ko) 2003-12-19 2003-12-19 농산물의 용해액 추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6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219A (ko) * 2019-06-18 2020-12-29 배지훈 홍삼 추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776B1 (ko) 2010-11-08 2012-06-13 이선재 세미용 침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219A (ko) * 2019-06-18 2020-12-29 배지훈 홍삼 추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6581B1 (ko)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K1163196A1 (en) Washing apparatus
CN207645775U (zh) 一种石油沥青用高效灌装设备
CN104666086A (zh) 一种高效密闭蒸汽煎药机
JP2011143372A (ja) 真空高圧充填装置
CN101281084A (zh) 一种预充水钢管水压试验方法及其专用设备
CN218496351U (zh) 一种食品罐的气密性检测装置
KR100556581B1 (ko) 농산물의 용해액 추출장치
US29671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thermometers
CN201751414U (zh) 红葡萄酒旋转发酵罐
ATE172491T1 (de) Weinmaischegärung mit saftumlauf
CN108613874B (zh) 一种三轴加载水岩作用实验装置
KR20040063359A (ko) 대나무통 내부의 공동부로 액체를 주입하는 방법 및 상기방법에 따라 액체가 주입된 대나무통의 보존방법
KR20090042707A (ko) 녹차 추출 방법 및 장치
US20050281911A1 (en) Self macerating-fermenting vessel
CN206669289U (zh) 含油轴承真空注油机
CN204979858U (zh) 植物油脂充气恒温存储装置
CN107031077A (zh) 一种用于制备高紧密度密封件的真空浸渍方法
CN209430306U (zh) 一种铸造风冷发动机缸盖铝钢间隙密封装置
CN218338715U (zh) 立式蒸汽灭菌器
CN112226277A (zh) 一种食用植物油加工用蒸坯装置及其使用方法
CN219342094U (zh) 基于薄荷精油蒸馏提纯的萃取液循环装置
CN212246954U (zh) 一种内核式酿酒发酵池辅助装置
CN217041387U (zh) 一种金银花的浸提装置
CN110959729A (zh) 脉冲型果肉蜜饯物料渗透系统
CN219354729U (zh) 一种灭菌蒸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