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055A -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055A
KR20050062055A KR1020030093723A KR20030093723A KR20050062055A KR 20050062055 A KR20050062055 A KR 20050062055A KR 1020030093723 A KR1020030093723 A KR 1020030093723A KR 20030093723 A KR20030093723 A KR 20030093723A KR 20050062055 A KR20050062055 A KR 20050062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reduction
torque
reduction amount
engin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3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2055A/ko
Publication of KR20050062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05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or preventing, skidding of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175Preventing, or responsive to skidding of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션 콘트롤 장치의 토크 저감 요구 신호에 따라 토크 저감량을 미리 계산하고, 계산된 토크 저감량에 따라 연료 컷(Fuel Cut) 또는 점화 지연(Ignition Retard) 등의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여 엔진의 토크를 저감시켜서 슬립을 방지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방법은, 각 차륜의 회전력에 따른 토크 저감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기준 저감량을 근거로 토크 저감량을 계산하는 제2 단계; 계산 결과에 따라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결정한 상기 토크 저감 방식에 따라 엔진의 토크를 저감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에 의하면, 토크 저감 신호에 적절히 응답하여 엔진의 토크를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트랜션 콘트롤 장치(TCS)가 제기능을 발휘하여 차륜의 슬립을 명확히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Trac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Slip through Torque Down Request Quantity}
본 발명은 트랙션 콘트롤 장치(TCS : Traction Control System)의 토크 저감 요구에 따라 휠의 회전력을 제어하여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션 콘트롤 장치의 토크 저감 요구 신호에 따라 토크 저감량을 미리 계산하고, 계산된 토크 저감량에 따라 연료 컷(Fuel Cut) 또는 점화 지연(Ignition Retard) 등의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여 엔진의 토크를 저감시켜서 슬립을 방지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랙션 콘트롤 장치(TCS)는 차량의 출발, 가속, 등판시 ABS(Anti-lock Brake System) 센서를 통해 타이어의 슬립(Slip) 상태를 감지하여 엔진 토크를 저감시키거나 브레이크를 통해 휠(Wheel)의 회전을 자동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장치이다.
타이어와 노면의 특성상 과도한 슬립의 발생시 타이어의 구동력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트랙션 콘트롤 장치는 저마찰 노면에서 차량의 급출발 및 급가속시에 과도한 구동륜 슬립을 방지하여 차량의 가속 성능 및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구동륜의 슬립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다.
전자 제어 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는 차량에서 엔진 토크를 저감시켜 휠의 회전력을 제어한다. 이때, 트랙션 콘트롤 장치(TCS)에서 "TQI_TCS"라는 이름의 토크 저감 신호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 전자 제어 장치(ECU)로 전달되며, 전자 제어 장치(ECU)는 전달받은 토크 저감 신호(TQI_TCS)만큼 엔진의 토크를 저감(Down)시켜 휠의 회전을 제어해 슬립을 방지한다.
"TQI_TCS"는 트랙션 콘트롤 장치(TCS)에서 송출하는 엔진의 토크 감소 요구(Request) 신호이고, 전자 제어 장치(ECU)는 "TQI_TCS"을 전달받으면 엔진으로 토크 감소량 신호 "TQI_ACOR"(Actual 토크값)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엔진은 "TQI_TCS"만큼 "TQI_ACOR"를 감소시킨다.
"TQI_ACOR" 값을 감소시키는 방식은 브레이크 연동방식과 엔진 스로틀 연동방식이 있다. 여기서, 엔진 스로틀 연동방식(ETC : Electronic Throttle Control)의 경우, 전자 제어 장치(ECU)가 가속 페달의 조작에 따라 엔진으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의 개폐각을 제어하여 각 차륜의 슬립을 제어한다. 즉, 전자 제어 장치(ECU)가 ETC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토크를 자유자재로 가감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적인 제어가 아닌 기계식 스로틀 제어인 경우, 점화각 지연(Ignition Angle Retard) 방식 및 연료컷(Fuel Cut) 방식을 이용하나, 점화각 지연 방식을 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 여기서, 연료컷 방식은 한개 내지 두개의 실린더의 연료를 컷(Cut)시켜 엔진의 토크를 저감시키는 것이다.
도 1a는 최대 점화각 지연에 따른 토크 감소량과 토크 저감 요구량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점화각 지연 후에 연료컷을 통해 토크를 저감시킬 때 나타나는 토크 저감 그래프이다.
기계식 스로틀 제어는 점화각 지연 방식이 우선 순위로 설정되고, 점화각 지연을 실행한 후에 토크 저감량이 남아 있으면, 나머지에 대해서는 연료컷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 연료컷은 로프(Rough)하기 때문에 미세한 구간(적은양의 토크 감소)에서의 토크량 감소를 맞추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 개발 중인 차량들도 점화각 지연 방식에 우선 순위를 두고 있다. 따라서, 전자 제어 장치(ECU)는 트랙션 콘트롤 장치(TCS)로부터 토크 저감 신호(TQI_TCS)를 수신하면, 먼저 점화각 지연을 수행하여 한계점에 이를 때 연료컷을 수행함으로써, 토크 저감 신호(TQI_TCS)에 충실하려고 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션 콘트롤 장치(TCS)로부터 수신한 토크 저감 신호(TQI_TCS)에 의한 토크 저감 요구량과, 전자 제어 장치(ECU)가 최대로 점화각 지연을 수행하여 얻은 토크 감소량은 A 만큼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나머지 토크 감소량 A 만큼 저감하기 위하여 전자 제어 장치(ECU)는 연료컷을 실행한다. 이때, 연료컷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세한 구간에서 맞추기가 어렵다.
따라서, 나머지 토크 감소량 A 만큼 토크를 감소(Down)하려고 연료컷을 실행하게 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 저감 요구량보다 더 많이 토크를 저감하게 된다(B). 이에 대하여 연료컷을 해제하고 토크를 다시 증가시키다 보면 토크 저감 요구량보다 상승하게 되고(C), 토크 저감 요구량보다 상승한 토크량을 다시 감소하다 보니 토크 저감 요구량보다 더 감소하게 된다(D).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그 결과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실레이션(Oscillation)이 일어나게 된다.
위와 같이 오실레이션이 발생하게 되면, 트랙션 콘트롤 장치(TCS)의 토크 저감 신호(TQI_TCS)에 대하여 원하는 토크 감소가 일어나지 않아 차륜에는 슬립이 발생하게 되고, 트랜션 콘트롤 시스템(TCS)는 제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랙션 콘트롤 장치의 토크 저감 요구 신호에 따라 토크 저감량을 미리 계산하고, 계산된 토크 저감량에 따라 연료 컷(Fuel Cut) 또는 점화 지연(Ignition Retard) 등의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여 엔진의 토크를 저감시켜서 슬립을 방지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토크 저감량을 미리 계산하고, 계산된 토크 저감량에 따라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고 엔진의 토크를 저감시켜서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으로서, 회전 동력을 차륜으로 전달하는 엔진; 각 차륜의 회전력을 감지하여 슬립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슬립 상태에 따른 토크 저감 신호를 송출하는 마찰 제어 장치; 및 상기 토크 저감 신호에 따라 토크 저감량을 미리 계산하여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토크 저감 방식에 따라 토크 감소량 신호를 상기 엔진으로 송출하여, 상기 엔진의 토크를 감소시키는 전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계산된 토크 저감량에 따라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여 엔진의 토크를 저감시켜서 슬립을 방지하는 슬립 방지 제어 방법으로서, 각 차륜의 회전력에 따른 토크 저감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단계; 기준 저감량을 근거로 토크 저감량을 계산하는 제2 단계; 계산 결과에 따라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결정한 상기 토크 저감 방식에 따라 엔진의 토크를 저감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200)은, 회전 동력을 차륜으로 전달하는 엔진(210), 토크 저감 신호(TQI_TCS)에 따라 엔진(210)의 토크를 감소시키는 전자 제어 장치(ECU)(220), 및 각 차륜의 회전력을 감지하여 슬립 상태를 판단하고 토크 저감 신호(TQI_TCS)를 전자 제어 장치(220)로 전달하는 마찰 제어 장치(TCS)(230)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전자 제어 장치(220)는 마찰 제어 장치(230)로부터 토크 저감 신호(TQI_TCS)를 수신하면, 이에 대응된 토크 감소량 신호(TQI_ACOR)를 엔진(210)으로 인가하여 엔진(210)의 토크를 감소시킨다. 이때, 전자 제어 장치(220)는 토크 저감 신호(TQI_TCS)에 따라 토크 저감량을 미리 계산하여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토크 저감 방식에 따라 토크 감소량 신호(TQI_ACOR)를 엔진(210)으로 송출한다. 여기서, 토크 저감량을 계산할 경우에 기준(Base)이 되는 기준 저감량(a)은 최대로 점화각 지연을 실행했을 때의 토크 저감량이다.
이에 따라, 전자 제어 장치(220)는 토크 저감 신호(TQI_TCS)에 따라 토크 저감량을 계산하여, 토크 저감량이 기준 저감량(a)보다 더 클 경우에는 연료컷 방식을 먼저 결정하고, 토크 저감량이 기준 저감량(a)보다 작을 경우에는 점화각 지연 방식을 먼저 결정한다.
즉, 토크 저감량이 많아서 연료컷 방식으로 결정하여, 엔진(210)의 토크를 감소시켜 토크 저감량이 남을 경우, 전자 제어 장치(220)는 나머지 토크 저감량에 대해서 점화각 지연 방식으로 엔진(210)의 토크를 감소한다.
그러나, 토크 저감량이 기준 저감량(a)보다 적은 경우, 전자 제어 장치(220)는 점화각 지연 방식으로만 엔진(210)의 토크를 감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조작함에 따라 엔진(210)의 회전력이 차륜(W)에 전달되어 차량이 진행하게 된다. 이때, 구동륜 중 한 쪽 차륜(W)에 슬립이 크게 발생되면, 마찰력이 적은 차륜(W)의 브레이크 토크를 제어하고, 슬립이 발생되지 않는 마찰력이 큰 차륜(W)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차량을 출발시킨다. 그러나, 구동륜 모두에서 슬립이 발생되면, 엔진(210)으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를 가속 페달의 조작과 반대로 닫아서 엔진(210)의 출력을 저하시켜 각 차륜(W)의 슬립을 제어하게 된다.
슬립이 발생한 차륜(W)의 회전력은 다른 차륜(W)의 회전력보다 더 크므로, 트랙션 콘트롤 장치(230)는 스피드 센서(S)를 통해 각 차륜(W)의 회전력을 감지하고, 회전력의 변화에 따른 토크 저감 신호(TQI_TCS)를 전자 제어 장치(220)로 전달한다(S310).
토크 저감 신호(TQI_TCS)를 수신한 전자 제어 장치(220)는 기준 저감량(a)을 근거로 토크 저감량을 계산한다(S320).
토크 저감량을 계산하여 토크 저감량이 기준 저감량(a)보다 더 많은 경우(S330), 전자 제어 장치(220)는 연료컷 방식으로 결정하여 엔진(210)의 토크에 대해 연료컷을 실행한다(S332). 즉, 전자 제어 장치(220)는 엔진(210)으로 토크 감소량 신호(TQI_ACOR)를 전송하여, 엔진(210)에서 토크 저감량만큼 토크를 감소시키도록 한다.
연료컷 방식을 실행한 전자 제어 장치(220)는 나머지 토크 저감량을 계산한다(S334).
계산 결과, 나머지 토크 저감량이 기준 저감량(a)보다 더 많은 경우에, 전자 제어 장치(220)는 단계 S332로 복귀하여 연료컷을 실행하고, 나머지 토크 저감량이 기준 저감량(b)보다 더 적은 경우에 점화각 지연을 실행한다(S336).
한편, 단계 S330에서 토크 저감 신호(TQI_TCS)를 수신하여 토크 저감량을 계산한 결과, 토크 저감량이 기준 저감량(a)보다 더 적을 경우에 전자 제어 장치(220)는 점화각 지연 방식을 결정하고(S340), 점화각 지연 방식에 따라 토크 감소량 신호(TQI_ACOR)를 엔진(210)으로 전송하여 토크를 감소시킨다(S342). 따라서, 엔진(210)의 토크가 감소됨에 따라 차륜(W)에서 발생된 슬립이 방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랙션 콘트롤 장치의 토크 저감 요구 신호에 따라 토크 저감량을 미리 계산하고, 계산된 토크 저감량에 따라 연료 컷(Fuel Cut) 또는 점화 지연(Ignition Retard) 등의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여 엔진의 토크를 저감시켜서 슬립을 방지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차륜으로부터 감지된 회전력에 따른 트랙션 콘트롤 장치(TCS)의 토크 저감 신호(TQI_TCS)에 따라,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여 엔진의 토크를 감소시킴으로써, 토크 저감 신호에 적절히 응답하여 엔진의 토크를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토크를 미세하게 제어함에 따라 트랜션 콘트롤 장치(TCS)가 제기능을 발휘하여 차륜의 슬립을 명확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a는 최대 점화각 지연에 따른 토크 감소량과 토크 저감 요구량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
도 1b는 점화각 지연 후에 연료컷을 통해 토크를 저감시킬 때 나타나는 토크 저감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210 : 엔진
220 : 전자 제어 장치(ECU) 230 : 트랙션 콘트롤 장치(TCS)
W : 차륜 S : 스피드 센서

Claims (10)

  1. 토크(Torque) 저감량을 미리 계산하고, 계산된 토크 저감량에 따라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고 엔진의 토크를 저감시켜서 슬립(Slip)을 방지하는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으로서,
    회전 동력을 차륜으로 전달하는 엔진(210);
    각 차륜의 회전력을 감지하여 슬립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슬립 상태에 따른 토크 저감 신호(TQI_TCS)를 송출하는 마찰 제어 장치(TCS)(230); 및
    상기 토크 저감 신호(TQI_TCS)에 따라 토크 저감량을 미리 계산하여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기 토크 저감 방식에 따라 토크 감소량 신호(TQI_ACOR)를 상기 엔진(210)으로 송출하여, 상기 엔진(210)의 토크를 감소시키는 전자 제어 장치(ECU)(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220)는, 상기 토크 저감량을 계산할 경우에, 상기 토크 저감 신호(TQI_TCS)에 따른 상기 토크 저감량이 기준 저감량(a)보다 많은지 또는 적은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저감량(a)은 최대로 점화각 지연(Ignition Angle Retard)을 실행했을 때의 토크 저감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220)는, 상기 토크 저감량이 상기 기준 저감량(a)보다 더 클 경우에는 연료컷(Fuel Cut) 방식을 결정하여 먼저 연료컷을 실행하고,
    상기 토크 저감량이 기준 저감량(a)보다 작을 경우에는 점화각 지연 방식을 결정하여 점화각 지연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220)는, 상기 연료컷 방식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연료컷 방식으로 상기 엔진(210)의 토크를 감소시켜 상기 토크 저감량이 남을 경우, 나머지 토크 저감량에 대해서 상기 점화각 지연 방식으로 상기 엔진(210)의 토크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220)는, 상기 토크 저감량이 상기 기준 저감량(a)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점화각 지연 방식으로만 상기 엔진(210)의 토크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7. 계산된 토크 저감량에 따라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여 엔진의 토크를 저감시켜서 슬립(Slip)을 방지하는 슬립 방지 제어 방법으로서,
    각 차륜의 회전력에 따른 토크 저감 신호(TQI_TCS)를 수신하는 제1 단계;
    기준 저감량(a)을 근거로 토크 저감량을 계산하는 제2 단계;
    계산 결과에 따라 토크 저감 방식을 결정하는 제3 단계; 및
    결정한 상기 토크 저감 방식에 따라 엔진의 토크를 저감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저감량(a)은 최대로 점화각 지연(Ignition Angle Retard)을 실행했을 때의 토크 저감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및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토크 저감량이 상기 기준 저감량(a)보다 더 클 경우에는 연료컷(Fuel Cut) 방식을 결정하여 먼저 연료컷을 실행하고,
    상기 토크 저감량이 기준 저감량(a)보다 작을 경우에는 점화각 지연(Ignition Angle Retard) 방식을 결정하여 점화각 지연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연료컷 방식으로 결정한 경우,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연료컷 방식으로 상기 엔진(210)의 토크를 감소시켜 상기 토크 저감량이 남을 경우, 나머지 토크 저감량에 대해서 점화각 지연 방식으로 상기 엔진(210)의 토크를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방법.
KR1020030093723A 2003-12-19 2003-12-19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62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723A KR20050062055A (ko) 2003-12-19 2003-12-19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723A KR20050062055A (ko) 2003-12-19 2003-12-19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055A true KR20050062055A (ko) 2005-06-23

Family

ID=3725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723A KR20050062055A (ko) 2003-12-19 2003-12-19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20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2806B2 (en) Motor control apparatus and motor control method
JP2006348854A (ja) トラクション制御装置
JP2010285987A (ja) 二輪自動車のトラクション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KR10177652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tcs 작동 중 엔진 구동력 제어 방법
KR101210753B1 (ko)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H04276146A (ja) 車輪の空転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50062055A (ko) 토크 저감 요구량에 따른 슬립 방지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8206A (ko) 차량의 구동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8018874A (ja) 走行路判定装置及び車両の駆動制御装置
JPS61129432A (ja) 車両の加速スリツプ制御装置
JP2789892B2 (ja) 車両制動能力判定装置
US7306542B2 (en) Electronic throttle control (ETC) drag torque request security
JPS61116033A (ja) 車両の加速スリツプ制御装置
US7472012B2 (en) Traction control device
KR102352410B1 (ko) 차량의 구동력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5125970A (ja) 車両のスリツプ制御装置
JP3985450B2 (ja) 駆動力制御装置
JP2006176015A (ja) 車両挙動制御装置及び車両挙動制御方法
KR100559520B1 (ko) 차량의 주행 안정화 장치의 오작동 방지 제어 시스템
JP4306553B2 (ja) トラクション制御装置
KR20020067839A (ko)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방법
KR100507200B1 (ko) 자동차의 호핑 방지장치와 그 방법
KR100413392B1 (ko) 차량용 트랙션 제어방법
JP4937860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3254943B2 (ja) 車両の加速スリップ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