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664A - 버튼 조명 구조 - Google Patents

버튼 조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664A
KR20050061664A KR1020030092923A KR20030092923A KR20050061664A KR 20050061664 A KR20050061664 A KR 20050061664A KR 1020030092923 A KR1020030092923 A KR 1020030092923A KR 20030092923 A KR20030092923 A KR 20030092923A KR 20050061664 A KR20050061664 A KR 20050061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ight
transmission window
bent port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1664A/ko
Publication of KR2005006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66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 조명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야간에 버튼을 밝혀주는 조명등이 투과되는 투과층의 배면에 빛이 굴절하도록 굴곡부를 형성하여 야간에 버튼에 대한 사각 시인성을 개선하고, 빛의 굴절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에 대한 추가 비용을 억제하여 생산성 향상 및 원가를 절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버튼 조명 구조{LIGHTING STRUCTURE OF BUTTON}
본 발명은 야간에 버튼을 밝혀주는 조명등이 투과되는 투과층의 배면에 빛이 굴절하도록 굴곡부를 형성하여 야간에 버튼에 대한 사각 시인성을 개선하고, 빛의 굴절을 위한 별도의 구조물에 대한 추가 비용을 억제하여 생산성 향상 및 원가를 절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조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제품에는 전자제품을 작동하기 위해 버튼이 형성되고, 이러한 버튼이 눌러지면 하부에 형성된 인쇄회로기판과 접촉되어 그 버튼이 의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버튼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1) 상에는 각종 회로가 인쇄되어 있고, 이외에도 야간에 버튼(10)을 인식하기 위한 조명등((12) 및 스위치(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인쇄회로기판(11)의 상부에는 버튼캡(14)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캡(14)의 외주면에는 외부패널(15)이 형성되어 기판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버튼캡(14)은 순차적인 누름에 따라 외부패널(15) 상에 삽입되거나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버튼캡(14)과 연계된 스위치돌기(16)가 스위치(13)를 온오프하여 선택된 버튼에 따라 전기제품이 작동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버튼캡(14) 상에는 버튼(10)의 기능에 대한 약칭이나 심벌(symble)이 새겨져 사용자가 인지 할 수 있도록 하는바, 이러한 약칭이나 심벌은 조명등(12)의 빛이 투과하는 투과창(18)에 인쇄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버튼캡(14)과 조명등(12) 사이에는 조명렌즈(19)가 형성되어 조명등(12)의 빛이 투과창(18)으로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기존의 버튼에 형성된 조명등이 투과하는 방식에서 투과창의 투명도가 높은 경우 조명등에의 빛이 버튼의 사각에서 거의 인식되지 않거나 시인각도에 따라 그 휘도가 달리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버튼의 투과창 원재료의 투명도가 높으면 빛이 산란되지 못하고 직진하여 사각 시인성이 저하되는데, 근래 야간 조명원으로 채택되는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 LED)는 빛의 직진성이 기존에 사용하던 전구보다 뛰어나 빛이 산란되지 못하여 사각 시인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사각 시인성 저하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렌즈를 추가하고 그 표면에 부식을 가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럴 경우 조명렌즈를 별도로 장착하기 위한 추가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사각 시인성 저하 현상을 해결을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버튼의 투과창 자체의 투명도를 낮추거나 투과창 표면에 얇은 유백색의 스프레이 처리를 하여 빛의 산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들은 야간조명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조명등의 빛이 투과하는 버튼의 투과창 배면에 다수의 피라미드 형상의 굴곡부가 형성되어 조명등의 빛이 산란되더라도 휘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튼의 조명등 빛이 투과되고, 심벌이 새겨지는 투과창의 배면에는 빛의 산란을 위한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의 조명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굴곡부는 조명등의 불빛이 산란되도록 함과 동시에 조명등의 휘도를 유지시켜 줌으로서, 버튼의 야간 시인성 및 사각 시인성을 개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부호 또는 명칭을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20) 구조는 종래의 버튼구조에서 투과창의 형상만 변환되는바, 본 발명에서 버튼의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를 참고로 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본 발명에서 버튼캡(24)에는 조명등(12) 빛이 투과되는 투과창(28)이 형성되는바, 이러한 투과창(28)은 빛이 투과가 용이하도록 투명재질을 사용하고, 투과창(28) 상에는 각각의 버튼에 대한 기능을 문자나 그림으로 알려주는 심벌이 새겨진다.
이때, 상기 투과창(28)의 배면에는 빛의 산란을 도와주는 굴곡부(21)가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21)는 조명 빛이 산란하도록 다수의 굴곡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굴곡부(21)의 측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실제로 이러한 굴곡부(21)는 투과창(28)의 배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굴곡부(21)는 단면상에서 톱니 형상을 가지며, 조명등(12) 방향에서 바라볼 경우 다수의 피라미드가 좌우 상하 연속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갖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각 피라미드의 크기나 각도 등은 심벌의 크기나 투과창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굴곡부(21) 형상은 빛을 효과적으로 굴절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상이 채택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2)의 불빛은 굴곡부(21)를 지나면서 상하 및 좌우로 굴절되어 투과창(28)을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투과창(28)을 통과한 빛은 최초 조명등(12)이 갖는 휘도를 유지하거나 소폭 감소된 채로, 버튼의 전방 및 상하 좌우 방향으로 굴절되어 버튼의 사각지역에 대한 시인성을 보장하게 된다.
즉, 굴곡부에 따른 빛의 굴절에 의해 사용자는 어두운 곳에서 버튼의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 등 어느 위치에 있던지 용이하게 버튼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튼 조명 구조는 별도의 금형 구조물을 추가하지 않고, 단지 투과창의 배면에 굴곡부를 형성시켜 조명등 빛의 밝기가 감소하지 않은 채로 굴절됨으로서, 야간에 버튼에 대한 사각지대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조명등의 빛을 굴절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이 필요로 하지 않아 조립성이 향상되고, 원가를 절감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버튼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인쇄회로기판 12 : 조명등
20 : 버튼 21 : 굴곡부
24 : 버튼캡 28 : 투과창

Claims (2)

  1. 버튼의 조명등 빛이 투과되고, 심벌이 새겨지는 투과창의 배면에는 빛의 산란을 위한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의 조명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다수의 피라미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의 조명 구조.
KR1020030092923A 2003-12-18 2003-12-18 버튼 조명 구조 KR20050061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923A KR20050061664A (ko) 2003-12-18 2003-12-18 버튼 조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923A KR20050061664A (ko) 2003-12-18 2003-12-18 버튼 조명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664A true KR20050061664A (ko) 2005-06-23

Family

ID=37253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923A KR20050061664A (ko) 2003-12-18 2003-12-18 버튼 조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16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440B1 (ko) * 2006-11-24 2008-06-1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버튼 상태표시부의 구조
CN105448567A (zh) * 2015-11-23 2016-03-30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一种发光按键及键盘组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440B1 (ko) * 2006-11-24 2008-06-1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버튼 상태표시부의 구조
CN105448567A (zh) * 2015-11-23 2016-03-30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一种发光按键及键盘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223B1 (ko) 엠블럼을 조명하기 위한 광 조립체
US7011430B2 (en) LED illumination device
US6729055B2 (en) Short distance reflected pattern decorating plate
EP2177820A2 (en) Lighting apparatus
JP5022860B2 (ja) 演出用照明装置
EP1985930A1 (en) Control panel for an appliance, especially for a domestic appliance
KR20050061664A (ko) 버튼 조명 구조
CN201265802Y (zh) 一种汽车前照灯照明用遮光板
KR101002401B1 (ko) 발광 확산기능을 갖는 조명 장식판
KR20090062142A (ko) 자동차용 시동 버튼의 후면 조명장치
KR100670639B1 (ko) 차량용 버튼 구조
JP3134067U (ja) 車両用表示灯
JP4182041B2 (ja) Led灯具
CN208589370U (zh) 显示装置
CN211925462U (zh) 一种防眩效果好且发光均匀的线条灯
CN218720992U (zh) 发光结构及车辆
JP2006049385A (ja) 発光装置
JP3015946U (ja) 高輝度図柄発光表示シートおよび高輝度図柄発光表示体
KR200309722Y1 (ko) 스테인레스 밀러판과 발광 소자가 내장된 아크릴 광고판
CN101629701A (zh) 一种用于实现特定光形的遮光板
JP2017161610A (ja) 表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操作スイッチ
CN205606457U (zh) 一种新型激光流星雨灯
JP2006031505A (ja) 自動販売機用の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100967208B1 (ko) 조명기구용 볼록렌즈
EP4120861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with non-visible illumina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