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465A -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 엔진용 흡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 엔진용 흡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465A
KR20050061465A KR1020057003533A KR20057003533A KR20050061465A KR 20050061465 A KR20050061465 A KR 20050061465A KR 1020057003533 A KR1020057003533 A KR 1020057003533A KR 20057003533 A KR20057003533 A KR 20057003533A KR 20050061465 A KR20050061465 A KR 20050061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take
engine
main
coo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5696B1 (ko
Inventor
미셸 포띠에
베르트랑 제시에
Original Assignee
발레오 떼르미끄 모떼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떼르미끄 모떼르 filed Critical 발레오 떼르미끄 모떼르
Publication of KR20050061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5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5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2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percharger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엔진(10)용 공기 인렛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터보차저(18)를 엔진의 흡기부(12)에 연결하는 메인 공기 덕트(16)와, 엔진의 흡기부로 전달되는 차지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메인 공기 덕트에 장착되는 메인 쿨러(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또한 엔진의 흡기부(12)에 메인 공기 덕트(16)를 직접 연결하는, 메인 쿨러(20)의 상류의 바이패스 덕트(32)와; 차지 공기를 메인 쿨러(20)로 전달하거나 또는 엔진의 흡기부(12)로 직접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선택 수단(34)과; 메인 쿨러(20)를 시스템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격리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선택 수단(3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 디젤 엔진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 엔진용 흡기 시스템{AIR INLET SYSTEM FOR A TURBOCHARGER-EQUIPPED HEAT ENGINE}
본 발명은 터보차저(turbocharger)를 장착한 특히, 자동차용 열 엔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터보차저를 엔진의 흡기부에 연결하는 메인 공기 덕트와, 엔진의 흡기부로 전달되는 터보차지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메인 공기 덕트상에 장착된 메인 쿨러를 포함하는,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 엔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열 엔진, 특히 디젤 엔진에는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터보차저가 장착되는 것이 보통이다.
엔진 배기 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터보차저는 "터보차지 공기(turbocharge air)"로도 불리는 압축 공기를 발생하며, 이것은 엔진의 흡기부로 전달된다. 따라서, 터보차저를 구비한 열 엔진에는, 대기압에서 공기가 공급되는 통상적인 열 엔진과 달리,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그러나, 터보차저로부터의 공기는 고온이기 때문에, 엔진이 최적의 조건에서 작동할 수 있기 위해서는, 엔진의 흡기부로 전달되기 전에 터보차지 공기를 냉각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터보차지 공기 쿨러(Turbocharger Air Cooler: TAC로 약칭함)가 터보차저의 아웃렛에 배치되어 터보차지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데 사용되는 이유이다.
이를 위해, 외부 기류와의 열교환에 의해 터보차지 공기를 냉각하는 공기/공기 타입의 메인 쿨러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는 또한 공기/공기 타입의 메인 쿨러 상류에 위치하는 수냉식의 보조 쿨러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것은 "프리쿨러(precooler)"로도 지칭된다.
또한, 디젤 엔진에는 통상적으로 유해 미립자가 대기에 방출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미립자 트랩이 장착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엔진 냉각수가 공급되며, "흡입 공기 리히터(Intake Air Reheater: IAR로 약칭함)"로도 지칭되는 다른 교환기에 의해 흡입 공기를 재가열함으로써, 연소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고 이러한 미립자 트랩의 재생을 촉진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교환기의 존재는 명백히 엔진의 작동에 유리한 효과를 갖지만, 교환기 및 공기 덕트내에 수용된 공기의 부가적인 용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공기의 용적은 가속에 대한 엔진의 응답 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터보차지 공기 쿨러가 구비된 터보차저 장착 엔진의 흡기 시스템의 작동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입부에 규정된 타입의 흡기 시스템으로서,
- 메인 공기 덕트를 엔진의 흡기부에 직접 연결하는,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의 상류의 바이패스 덕트와,
- 터보차지 공기를 메인 쿨러로 전달하거나 또는 엔진의 흡기부로 직접 전달하기 위해, 메인 공기 덕트와 바이패스 덕트의 교차부에 장착된 제 1 선택 수단과,
- 메인 쿨러를 메인 쿨러의 하류에 있는 엔진의 흡기부에 연결하고, 메인 쿨러를 시스템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는 제 2 선택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바이패스 덕트로 인해, 터보차저로부터의 터보차지 공기를 엔진의 흡기부에 직접 전달하고, 그리하여 메인 쿨러를 우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점은, 특히 엔진의 가속동안에, 터보차저와 엔진의 인렛, 즉 실린더의 인렛 사이에 포함된 공기의 용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이 엔진의 응답 시간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터보차저와 엔진의 인렛 사이에 포함된 공기의 용적을 더욱 감소시키기 위해, 제 2 선택 수단은 메인 쿨러를 회로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격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정상 작동 모드에 있어서, 제 1 선택 수단은 터보차지 공기를 메인 쿨러로 지향시켜, 엔진의 흡기부로 전달되는 냉각된 공기의 스트림을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흡기부(intake)"라는 용어는 터보차지 공기를 공급받아 그것을 엔진의 실린더로 지향시키는 흡기 매니폴드를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상술한 타입의 엔진에 있어서는, 배기 가스의 일부를 흡기 매니폴드로 전달함으로써 재순환시켜, 엔진의 실린더내에서 다시 연소시키고, 유해 가스의 방출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메인 공기 덕트는 엔진 배기 가스 재순환 유동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제어 밸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흡기 시스템은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의 상류에 배치된, 터보차지 공기를 위한 보조 쿨러를 더 포함한다.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바이패스 덕트는 보조 쿨러의 아웃렛에 연결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바이패스 덕트는 보조 쿨러의 인렛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 수단은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의 상류의 메인 공기 덕트상에 배치된 상류 밸브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터보 차지 공기를 메인 쿨러로, 또는 바이패스 덕트를 거쳐 엔진의 흡기부로 직접 지향시킨다.
또한, 유리하게는, 메인 공기 덕트는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의 하류에 배치된 하류 밸브를 포함하고, 이것은 메인 쿨러를 엔진의 흡기부에 연결하고, 터보차지 공기가 메인 쿨러를 향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의 다양한 레이아웃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 메인 쿨러는 엔진 옆에 위치할 수 있는 한편, 적절한 덕트에 의해 흡기부에 연결된다.
그러나, 특정의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는 흡기 공기 디스트리뷰터내에 포함된 흡기 챔버(흡기 플리넘으로도 지칭됨)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해결책은 연결 덕트를 배제하고, 따라서 전체적인 크기를 제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쿨러의 상류, 쿨러 및 엔진의 흡기부 사이에 포함된 공기 용적을 격리하기 위해,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의 하류의 플리넘내에 설치된 차단 게이트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터보차저와 엔진의 흡기부 사이에 포함된 공기의 용적은 격리될 수 있고, 터보차지 공기가 메인 쿨러를 향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흡기 시스템의 2개의 다른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흡기 시스템의 2개의 다른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흡기 시스템의 2개의 다른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흡기 시스템의 2개의 다른 작동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아래의 설명은 예시만을 목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할 것이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특히 자가용 차량과 같은 자동차를 위한 디젤 엔진과 같은 열 엔진(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엔진(10)은 흡기 매니폴드(12)[이하에서는, 간략히 "흡기부(intake)"로 지칭함] 및 배기 매니폴드(14)[이하에서는, 간략히 "배기부(exhaust)"로 지칭함]를 포함한다.
엔진(10)에는 터보차저(18)를 엔진의 흡기부(12)에 연결하는 메인 공기 덕트(16)를 포함하는 흡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터보차저(18)는 엔진 배기 가스에 의해 구동되며, 외부 공기가 공급된다. 터보차저(18)는 "터보차지 공기"로 지칭되는 압축 기류를 형성하며, 이 압축 기류는 엔진의 흡기부(12)로 전달된다. 메인 공기 덕트(16)상에는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20)("TAC"로 지칭됨)가 공지된 방식으로 개재된다.
이러한 쿨러의 기능은 외부의 찬 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터보차지 공기를 냉각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공기/공기 타입의 열교환기이다. 또한, 냉각 액체로 터보차지 공기를 냉각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 이것은 공기/물 타입의 열교환기이다.
공지된 방법으로, 엔진의 배기부(14)는 배기 덕트(22)에 연결되고, 배기 덕트(22)에는 덕트(26)에 의해 배기 가스의 일부를 엔진으로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밸브(24)가 연결되어 있다. 재순환된 가스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메인 공기 시스템의 압력은 비례형 밸브(28)에 의해 감소된다.
밸브(24)의 하류에는 "배기 가스 재순환 쿨러"로도 지칭되는 열교환기(30)가 장착되며, 이것의 기능은 엔진에 전달되는 재순환된 배기 가스를 냉각하는 것이다. 그렇게 재순환된 배기 가스는, 연소를 향상시키고 대기로 방출되는 유해 가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엔진의 실린더내에서 흡입 공기와 동시에 다시 연소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은, 흡기 시스템 및 배기 시스템을 구비한 엔진(10)은 공지된 구조의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것의 단점은 터보차저(18)와 흡기부(12) 사이의 흡기 시스템에 존재하는 공기의 용적이 증가하고, 이것은 특히 가속에 대한 엔진의 응답 시간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의 흡기 시스템은 메인 공기 덕트(16)를 메인 쿨러(20)의 상류에 위치한 지점에서 엔진의 흡기부(12)에 직접 연결하는 바이패스 덕트(32)를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쿨러(20)의 상류에는 메인 공기 덕트(16)와 바이패스 덕트(32)의 교차부에 선택 밸브(34)가 배치된다. 이러한 선택 밸브는 터보차지 공기를 메인 쿨러(20)로, 또는 바이패스 덕트(32)를 거쳐 엔진의 흡기부(12)로 직접 지향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후자의 위치에서, 쿨러(20)의 하류에 배치되고 메인 쿨러(20)를 흡기부(12)에 연결하는 "풀 온 또는 풀 오프(full on or full off)" 타입의 선택 밸브("하류 밸브"로 지칭됨)(46)는 터보차지 공기가 상기 메인 쿨러를 향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선택 밸브(24)는 3-웨이 타입의 밸브인 것이 유리하며, 이 밸브는 마이크로모터에 의해 작동되고, 열 엔진의 작동 파라미터를 고려한 적절한 제어 회로에 의해 명령이 하달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도 1a의 작동 모드에서, 선택 밸브(34)는 터보차지 공기를 메인 쿨러(20)를 우회하여 직접 엔진(12)의 흡기부를 향해 지향시킨다. 이러한 터보차지 공기는 재순환된 배기 가스의 일부와 동시에 제어 밸브(24)를 통해 엔진(12)의 흡기부로 직접 지향된다. 그 후, 밸브(36)는 차단되며, 메인 쿨러(20)의 상류, 쿨러(2) 및 흡기부(12) 사이에 포함된 공기의 용적은 밸브(34, 36)에 의해 격리된다. 이러한 작동 모드에 있어서, 터보차저(18)와 엔진의 실린더의 인렛 사이에 포함된 공기의 용적은 감소되며, 그리하여 특히 가속동안에 엔진의 응답 시간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상 작동 모드에 있어서는, 선택 밸브(34)가 터보차지 공기를 메인 쿨러(20)로 지향시킨다.
메인 공기 덕트(16)는 밸브(36)를 통해 흡기부(12)에 연결되고, 밸브(36)는 그 후 개방된다. 이러한 정상 작동 모드에 있어서, 터보차지 공기의 스트림은 엔진의 흡기부로 전달되기 전에 메인 쿨러(20)에 의해 냉각된다.
이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도 1a 및 도 1b와 유사한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공통적인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시스템은 터보차지 공기를 위한 보조 쿨러(38)를 더 포함하며, 이것은 메인 쿨러(20)의 상류에 배치된다. 이러한 보조 쿨러는 "프리쿨러"로도 지칭되며, 메인 쿨러(20)에 의해 터보 차지 공기를 냉각하기 전에 터보 차지 공기를 사전 냉각하는 기능을 갖는다. 메인 쿨러(20)는 공기/공기 타입 교환기이지만, 보조 쿨러(38)는 통상적으로 공기/물 타입의 교환기이다. 그것은 통상적으로 엔진 냉각 액체가 통과한다. 이러한 교환기는 또한 소음을 감소시키고 미립자 트랩(도시되지 않음)의 재생을 촉진하기 위하여 흡기 공기를 재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a 및 도 2b의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 밸브(34)는 쿨러(20, 38)들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바이패스 덕트(32)는 보조 쿨러(38)의 아웃렛에 연결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a 및 도 1b의 작동 모드에 대응한다. 주요한 차이점은, 2개의 모드에 있어서, 터보차지 공기가 터보차저의 아웃렛에서 사전냉각된다는 사실에 있다. 따라서, 도 1a의 경우에, 터보차지 공기는 엔진의 흡기부로 직접 전달되기 전에 사전냉각된다. 도 2b의 경우에, 터보차지 공기는 메인 쿨러(20)에서 냉각되고 엔진의 흡기부로 전달되기 전에 사전냉각된다.
도3a 및 도 3b의 실시예는 도 2a 및 도2b의 것과 유사하다. 주요한 차이는 바이패스 덕트(32)가 보조 쿨러(38)의 인렛에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선택 수단은 2개의 밸브를 포함한다. 즉, 하나는 상술한 2개의 실시예의 밸브(34)와 유사한 상류 밸브(34)로서, 여기서는 보조 쿨러(38)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하나는 하류에, 따라서 보조 쿨러(38)의 아웃렛에 배치된 밸브(40)이다.
도 3a의 작동 모드에 있어서, 밸브(34)는 터보차지 공기를 바이패스 덕트(32)로, 따라서 엔진의 흡기부(12)로 지향시킨다. 따라서, 터보차지 공기는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반대로, 사전냉각되지 않고 엔진의 흡기부로 직접 전달된다.
밸브(40, 36)는 터보차지 공기를 시스템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격리함으로써 터보차지 공기가 메인 쿨러(20)에 도달하는 것을 막는다.
도 3b의 작동 모드에 있어서, 밸브(34)는 터보차지 공기를 보조 쿨러(38)로 전달하며, 밸브(40)는 사전냉각된 터보차지 공기를 메인 쿨러(20a)로 전달한다.
따라서, 터보차지 공기는 엔진의 흡기부로 전달되기 전에 차례로 사전냉각 및 냉각된다.
이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1a 및 도 1b의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쿨러(20)는 엔진(10)상에, 특히 흡기 디스트리뷰터(도시되지 않음)내에 포함된 흡기 플리넘(흡기 챔버로도 지칭됨)(42)내에 설치된다. 이 실시예는 도 1a 및 도 1b의 실시예의 주요 요소를 반복하며, 공통적인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된다. 메인 공기 덕트(16)상에는 선택 밸브(또는 "상류 밸브")(34)가 장착되며, 이것은 2개의 아웃렛을 갖는다. 밸브(34)의 아웃렛중 하나는 엔진의 흡기부(12)로 향하는 바이패스 덕트(32)에 연결된다. 밸브(34)의 아웃렛중 다른 하나는 메인 쿨러(20)의 인렛을 향한다.
도 1a 및 도 1b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어 밸브(24)는 배기 가스를 재순환시키는 덕트(26)에 연결된다.
플리넘(42)에는 메인 쿨러(20)의 하류에 차단 게이트(42)가 설치되어, 메인 쿨러(20)의 상류, 쿨러(20) 및 흡기부(12) 사이에 포함된 공기의 용적을 격리한다. 이러한 차단 게이트(46)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하류 밸브(36)에 대응한다. 이 게이트는 예를 들어 플랩 타입일 수 있으며, 그리하여 그것의 전체적인 크기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고, 액추에이터(4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a의 작동 모드에 있어서, 게이트(46)는 차단되어 있다. 터보차지 공기는 바이패스 덕트(32)에 의해 엔진의 흡기부(12)에 직접 전달된다. 엔진에는 터보차지 공기와 재순환된 배기 가스가 함께 공급되며, 터보차지 공기의 유독 속도 조절은 제어 밸브(28)에 의해 수행되고, 재순환된 가스의 유동 속도 조절은 밸브(24)에 의해 수행된다.
도 4b의 작동 모드에 있어서, 게이트(36)는 개방되어 있다. 밸브(34)는 터보차지 공기를 플리넘(42)에 설치된 메인 쿨러(20)로 지향시킨다. 메인 쿨러(20)로부터의 아웃렛에서, 터보차지 공기는 개방되어 있는 게이트(46)를 통과하여, 도 1b의 작동 모드와 유사한 방식으로 엔진의 흡기부(12)에 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흡기 시스템은 터보차저 공기를 엔진의 흡기부로 직접 또는 보조 쿨러를 먼저 통과하고 메인 쿨러를 거쳐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 작동 모드는 교환기 및 공기 덕트에 수용된 공기의 용적을 제한하고, 특히 가속에 대한 엔진의 응답 시간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요소 및 특히 선택 수단은 적절한 제어 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명령이 하달된다. 이러한 회로는 특히 인젝션, 엔진 부하 및 재순환 가스의 유동 속도와 관련된 파라미터와 같은 열 엔진의 작동 파라미터를 고려한다.
본 발명은 특히 자가용 차량과 같은 자동차 엔진에 사용된다.

Claims (8)

  1. 터보차저를 엔진의 흡기부(12)에 연결하기 위한 메인 공기 덕트(16)와, 엔진의 흡기부로 전달되는 터보차지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상기 메인 공기 덕트상에 장착된 메인 쿨러(20)를 포함하는,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 엔진용 흡기 시스템에 있어서,
    메인 공기 덕트(16)를 엔진의 흡기부(12)에 직접 연결하는, 상기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20)의 상류의 바이패스 덕트(32)와,
    터보차지 공기를 상기 메인 쿨러(20)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엔진의 흡기부(12)에 직접 전달하기 위해, 메인 공기 덕트(16)와 바이패스 덕트(32)의 교차부에 장착된 제 1 선택 수단(34; 40)과,
    상기 메인 쿨러(20)를 상기 메인 쿨러(20)의 하류에 있는 상기 엔진의 흡기부(12)에 연결하고, 상기 메인 쿨러(20)를 시스템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는 제 2 선택 수단(36; 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 엔진용 흡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공기 덕트(16)는 엔진 배기 가스 재순환 유동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제어 밸브(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 엔진용 흡기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터보차지 공기를 위한 상기 보조 쿨러(38)는 상기 터보차기 공기 메인 쿨러(20)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덕트(32)는 상기 보조 쿨러(38)의 아웃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 엔진용 흡기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터보차지 공기를 위한 상기 보조 쿨러(38)는 상기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20)의 상류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덕트(32)는 상기 보조 쿨러(38)의 인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 엔진용 흡기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메인 공기 덕트(16)상에 배치된, 상기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20)의 상류의 상류 밸브(34)를 포함하여, 터보차지 공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메인 쿨러(20)로, 또는 상기 바이패스 덕트(32)를 거쳐 상기 엔진의 흡기부(12)로 직접 지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 엔진용 흡기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공기 덕트(16)는 상기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20)의 하류에 배치된 하류 밸브(36)를 포함하고, 이것은 상기 메인 쿨러(20)를 상기 엔진의 흡기부(12)에 연결하고, 터보차지 공기가 상기 메인 쿨러(20)를 향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 엔진용 흡기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20)는 흡기 공기 디스트리뷰터내에 포함된 흡기 플리넘(42)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 엔진용 흡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쿨러(20)의 상류, 상기 쿨러(20) 및 상기 엔진의 흡기부(12) 사이에 포함된 공기의 용적을 격리하기 위해, 상기 터보차지 공기 메인 쿨러(20)의 하류에 있는, 상기 흡기 플리넘(42)내에 설치된 차단 게이트(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 엔진용 흡기 시스템.
KR1020057003533A 2002-08-29 2003-07-29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기관용 흡기 시스템 KR101015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0732A FR2844010B1 (fr) 2002-08-29 2002-08-29 Circuit d'air d'admission pour moteur thermique a turbocompresseur
FR02/10732 2002-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465A true KR20050061465A (ko) 2005-06-22
KR101015696B1 KR101015696B1 (ko) 2011-02-22

Family

ID=3150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533A KR101015696B1 (ko) 2002-08-29 2003-07-29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기관용 흡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37310A1 (ko)
KR (1) KR101015696B1 (ko)
AU (1) AU2003273491A1 (ko)
FR (1) FR2844010B1 (ko)
WO (1) WO200402080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8923A (ja) * 1985-08-28 1987-03-03 Hino Motors Ltd タ−ボ過給エンジン
JPH041422A (ja) * 1990-04-19 1992-01-06 Hino Motors Ltd マリンエンジンにおける複合過給方式
JPH0599078A (ja) * 1991-10-11 1993-04-20 Toyota Motor Corp 2サイクル内燃機関
JP3341087B2 (ja) * 1993-03-02 2002-11-05 マツダ株式会社 過給機付エンジンの排気還流装置
DE19716566C1 (de) * 1997-04-19 1998-06-10 Mtu Friedrichshafen Gmbh Ladeluftkühlung einer aufgeladenen Brennkraftmaschine mit Abgasrückfüh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73491A1 (en) 2004-03-19
WO2004020802A1 (fr) 2004-03-11
KR101015696B1 (ko) 2011-02-22
FR2844010B1 (fr) 2006-05-05
FR2844010A1 (fr) 2004-03-05
EP1537310A1 (fr) 2005-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3315A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802846A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716929B2 (en) Arrangement for recirculation of exhaust gases of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028523B2 (en) Arrangement for recirculation of exhaust gases of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886012B1 (en) An arrangement for recirculation of exhaust gases of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740786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a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KR101886090B1 (ko) 엔진 시스템
US7703284B2 (en) Supercharging system for two-stage supercharging of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4906847B2 (ja) エンジンの空気管理装置
US8316805B2 (en) Cooling arrangement for air or gas input in a vehicle engine
EP1756414B1 (en) An arragement for recirculation of exhaust gases of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60021346A1 (en) Pressure boosted IC engine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GB2316445A (en) Cooling system for EGR, integral with main engine cooling system
JP2009511797A (ja) 内燃機関の排ガスを再循環および冷却するための装置
CN111287839B (zh) 发动机系统以及控制该发动机系统的方法
JP4632183B2 (ja) 排気ガス再循環装置付き内燃機関
US7448368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584748B2 (en) Exhaust gas recirculation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759111A1 (en) An arrangement for recirculation of exhaust gases of a super-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015696B1 (ko) 터보차저를 장착한 열기관용 흡기 시스템
JPS6088821A (ja) 過給機付エンジンの吸気冷却装置
RU2617629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2002180914A (ja) Egr装置
JPH05187236A (ja) 排気ターボ過給機付きディーゼル機関におけるインタークーラの制御装置
JPH04121429U (ja) 過給機付エン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