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242A - 양면 유리창 닦이구 - Google Patents

양면 유리창 닦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242A
KR20050061242A KR1020030093562A KR20030093562A KR20050061242A KR 20050061242 A KR20050061242 A KR 20050061242A KR 1020030093562 A KR1020030093562 A KR 1020030093562A KR 20030093562 A KR20030093562 A KR 20030093562A KR 20050061242 A KR20050061242 A KR 20050061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lass window
magnetic member
magnetic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0279B1 (ko
Inventor
최근영
Original Assignee
최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근영 filed Critical 최근영
Priority to KR1020030093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02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2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2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 A47L1/13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창의 표면에 접촉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케이스의 접촉면과 간격을 갖도록 하여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를 서로 포갤 때 양쪽 자성판이 소정간격으로 벌어지게 하므로서 자력의 힘을 감소시키어 손가락이 끼워져도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양면 유리창 닦이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세척액을 포집하여 유리면에 공급하도록 한 스폰지(20)와, 유리창 표면에 묻은 세척액등을 제거하는 브러쉬(30)가 각각 설치된 케이스(10)내에 서로 반대 극성으로 자성부재(40)을 배치되게 고정 설치된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10A,10B)에 있어서, 케이스(10)의 내측면 중앙에 형성한 중심축(11)에 스프링(60)과 함께 자성부재(40)를 끼워 자성부재(40)가 내측면(15) 상에 떠 있는 상태로 결합함과,
상기 케이스(10)에 자성부재(40)의 모서리 부분 가로방향으로 접촉되도록 금속편(12)을 갖는 단턱부(13)를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함과,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끼움홈(14)에 록킹편(70)을 끼우고 케이스 덮개(50)에 형성된 지지편(51)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단턱부(13)에 자력으로 붙는 자성부재(40)의 한 측면을 록킹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강한 자력으로 유치창에 밀착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성부재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보관등을 위하여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를 서로 포갤 때 양 쪽의 자성부재 간격이 커서 서로 당기는 힘이 감소되어 손가락이 끼워져도 손상을 입지 않도록 않아 주부들도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면 유리창 닦이구{Utensil that clean a two faces window}
본 발명은 유리창의 내,외면에 유리창 닦이구를 위치시키어 내면의 유리창 닦이구를 닦으면 외면의 유리창도 함께 닦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유리창을 세척하지 않을 때 내,외면 유리창 닦이구의 자력을 줄여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양면 유리창 닦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면유리창 닦이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한 쪽면에 세척액을 포집하여 유리면에 공급하면서 닦아주도록 한 스폰지와, 유리창 표면에 묻은 세척액등을 제거하는 브러쉬가 각각 설치된 내,외측케이스가 각각 구비됨과,
상기 내,외측 케이스내에 서로 반대 극성으로 자성판을 배치되게 고정 설치됨과,
내측 케이스에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양면 유리창 닦이구는 내측 유리창 닦이구와 외측 유리창 닦이구를 유리창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접촉시키면 자성판의 자력으로 붙어 유리창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내측 유리창 닦이구를 움직이면 외측 유리창닦이구도 자력에 의하여 함께 움직이게 되므로 스폰지에 포집된 세척액이 유리창에 공급되면서 닦아주게되고 동시에 브러시에 의하여 세척액을 제거하여 유리창의 양면을 깨끗히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양면 유리창 닦이구는 케이스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고, 두께가 큰 유리창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자력이 강한 자력판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 전후에 내,외면 유리창 닦이구를 포개어 놓을 경우 사용자가 양손으로 각각 유리창 닦이구를 잡고 내,외면 유리창 닦이구를 서로 맞대어 주면 자력에 의하여 맞붙게 될 때 그 사이의 공간에 손가락이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 강한 자력에 의해 서로 부딪치는 충격이 손가락에 가해져 손가락이 손상되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사용자가 대부분 주부들이어서 그 위험성이 더해지고 있어 제품을 반품하는 등 상당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창의 표면에 접촉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케이스의 접촉면과 간격을 갖도록 하여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를 서로 포갤 때 양쪽 자성판이 소정간격으로 벌어지게 하므로서 자력의 힘을 감소시키어 손가락이 끼워져도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한 양면 유리창 닦이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세척액을 포집하여 유리면에 공급하도록 한 스폰지와, 유리창 표면에 묻은 세척액등을 제거하는 브러쉬가 각각 설치된 내,외측의 케이스가 각각 구비됨과,
상기 케이스내에 서로 반대 극성으로 자성부재를 배치되게 고정 설치된 양면 유리창 닦이구에 있어서,
케이스의 접촉면 내부 중앙에 형성한 중심축에 스프링과 함께 자성부재를 중심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끼워 자성부재가 떠 있는 상태로 결합함과,
상기 자성부재의 모서리 부분 가로방향으로 접촉되도록 금속편을 갖는 단턱부를 대각선방향으로 각각 형성함과,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끼움홈에 록킹편을 끼우고 케이스 덮개에 형성된 지지편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단턱부에 자력으로 붙는 자성부재의 한 측면을 걸어 록킹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자성부재는 사방의 단부에 측면틀을 형성한 구획틀에 같은 극성이 서로 크로스되게 자성판을 배치하고 상면에 금속판을 부착시키어 구성한다.
또, 상기 록킹편은 상부에 구획틀의 측면틀에 걸리도록 록킹부와, 하부에 케이스의 접촉면 외부로 돌출되어 입출되도록 하는 돌출부와, 후방에 걸림홈을 형성한 것이다.
또 상기 케이스의 접촉면에는 상기 스톱편의 돌출부가 내입되도록 서로 반대 위치에 내입홈을 형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에서 내측 유리창 닦이구만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덮개를 오픈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로 록킹 해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도 5는 본 발명에서 록킹이 해제되어 자성부재가 케이스의 내입면에 밀착된 상태도이다.
먼저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10A,10B)의 구성은 동일하고 다만 내측 유리창 닦이구(10A)의 덮개(50)에 손잡이(52)가 형성된 것이어서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10A,10B)를 구분하여 각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세척액을 포집하여 유리면에 공급하도록 한 스폰지(20)와, 유리창 표면에 묻은 세척액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브러쉬(30)가 각각 내측면에 설치된 케이스(10)가 내,외측용으로 각각 구비되고, 케이스(10)내에 서로 반대 극성으로 자성부재(40)를 배치되게 고정 설치되어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10A)(10B)를 구성한다.
상기 케이스(10)의 접촉면 내부 중앙에 형성한 중심축(11)에 스프링(60)과 함께 자성부재(40)를 중심에 형성한 결합공(41)을 통해 끼워 자성부재(40)가 케이스(10)의 내측면(15)에서 떠 있는 상태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0) 내부에는 자성부재(40)의 모서리 부분 가로방향으로 자성부재(40)가 약간 틀어진 상태로 접촉되도록 금속편(12)을 갖는 단턱부(13)를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한다.
또, 상기 케이스(10)에는 자성부재(40)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자성부재(40) 한 측면 위치로 형성된 끼움홈(14)에 록킹편(70)을 끼우고 케이스(10)의 덮개(50)에 형성된 지지편(51)으로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자성부재(40)는 사방 단부에 측면틀(43)을 갖는 십자형상의 구획틀(42)에 같은 극성이 서로 크로스되게 자성판(44)을 배치하고 상면에 위로 올라오는 자력이 모아져 자력을 배가할 수 있도록 금속판(45)을 부착시키어 구성한다.
상기 록킹편(70)은 상부에 구획틀(42)의 측면틀(43)에 걸려지도록 "ㄱ"형상의 록킹부(71)와, 하부에 케이스(10)의 접촉면(16) 외부로 돌출되어 입출되도록 하는 돌출부(72)와, 한 측에 케이스(10)의 덮개(50)에 형성된 지지편(51)이 끼워져 걸려지도록 걸림홈(73)을 형성하여 걸림홈(73)을 중심으로 록킹부(71)와 돌출부(72)가 시이소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내,외측의 케이스(10)를 맞접하여 포개어 놓을 때 접촉면(16)에 돌출된 록킹편(70)의 돌출부(72)가 눌러지지 않도록 서로 반대 위치에 내입홈(17)을 형성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80은 유리창을 닦을 때 잘 움직이도록 케이스(10)의 접촉면(16)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로울러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유리창을 닦지 않을 경우에는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10A,10B)는 공히 케이스(10)의 중심축(11)에 끼워진 자성부재(40)가 스프링(60)에 의하여 케이스(10)의 내측면(15) 위에 떠 있는 상태에서 자성부재(40)의 모서리 부분 가로방향 위치로 정위치의 자성부재(40)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케이스(10)에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면서 금속편(12)이 부착된 단턱부(13)에 자성부재(40)가 자력으로 붙게 됨에 따라 도 2 에서와 같이 자성부재(40)가 중심축(11)을 중심으로 약간 틀어지게 되어 단턱부(13)상에 위치하게 되며, 동시에 도 3 에서와 같이 자성부재(40) 한 측면 위치로 형성된 끼움홈(14)에 끼워져 케이스(10)의 덮개(50)에 형성된 지지편(51)으로 지지되도록 한 록킹편(70)의 록킹부(71)가 자성부재(40)의 측면편(43)에 걸려지게 되어 틀어진 자성부재(40)가 케이스(10)의 내측면(15)과 어느정도 위치로 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의 내,외면 유리창 닦이구(10A,10B)를 손으로 잡고 포개어 놓기 위하여 도 6에서와 같이 맞접시키면 케이스(10)의 접촉면(16)으로 돌출된 록킹편(70)의 돌출부(71)가 각각 반대측의 케이스(10)에 형성된 내입홈(17)에 들어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가 되고, 양측의 자성부재(40)가 자력에 의하여 서로 붙게 되나 자성부재(40)가 강한 자력에 의해 내측면(15)으로 내려갈려고 하여도 자성부재(40)의 한 측이 록킹편(70)에 걸려져 있어 단턱부(13)상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내면 유리창 닦이구(10A)의 자성부재(40)와 외면 유리창 닦이구(10B)의 자성부재(40)의 간격이 벌려져 있는 상태이고 이는 간격에 비례하여 자력이 감소됨에 따라 내,외면 유리창 닦이구(10A,10B)의 사이에 손가락이 끼여 있는 상태에서도 자력에 의한 맞접으로 부딪치는 충격이 약하여 손가락이 손상되는 등의 위험성을 막을 수 있는 안전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유리창을 닦을 경우에는 내측 유리창 닦이구(10A)와 외측 유리창 닦이구(10B)를 유리창(90)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접촉시키면 내,외측의 자성부재(10)가 서로 자력에 의한 당김으로 인하여 유리창(90)에 밀착되려고 하고 , 동시에 케이스(10)의 접촉면(15)에 돌출된 록킹편(70)의 돌출부(72)가 유리창(90)에 밀착할 때 케이스(10)내로 내입되어지면 도 4 및 도 7 에서와 같이 자성부재(40)의 측면편(43)을 걸고 있는 록킹편(70)의 록킹부(71)가 후방으로 밀리어 걸림이 해제됨에 따라 단턱부(13)의 금속편(12)에 붙어 있던 양측의 자성부재(40)가 더욱 강한 자력으로 서로 당기어 주므로 인하여 단턱부(13)로부터 이탈되어 케이스(10)의 내측면(15)으로 밀착되므로 내,외측의 자성부재(40)가 가장 근접한 상태를 갖게 되며, 이에 따라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10A,10B)가 강한 자력으로 유리면(90)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내측 유리창 닦이구(10A)의 움직임에 따라 자력에 의하여 외측 유리창 닦이구(10B)도 함께 이동되어 유치창(90)의 양면을 동시에 닦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유리창의 세척작업을 완료 한 후 외측 유리창 닦이구(10B)를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10A,10B)를 유리창(90)으로 부터 분리하면, 양측의 자성부재(40)가 서로 당기는 자력이 상실됨에 따라 자성부재(40)는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위로 올라오면서 처음과 같이 금속편(12)이 부착된 단턱부(13)에 자성부재(40)가 자력으로 붙게 됨에 따라 자성부재(40)가 중심축(11)을 중심으로 약간 틀어지게 되어 단턱부(13)상에 위치하게 된다.
동시에 밀려있는 록킹편(70)의 돌출부(72)가 다시 접촉면(16)의 외부로 돌출되어 록킹부(72)가 자성부재(40)의 측면편(43)에 걸려지게 되는 상태이며, 자성부재(40)는 케이스(10)의 내측면(15)과 각각 간격을 두고 위치한 상태가 되므로서 안전하게 보관등을 위하여 포개어 놓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강한 자력으로 유치창에 밀착시킬 수 있으면서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성부재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보관등을 위하여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를 서로 포갤 때 양 쪽의 자성부재 간격이 커서 서로 당기는 힘이 감소되어 손가락이 끼워져도 손상을 입지 않도록 않아 주부들도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는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에서 내측 유리창 닦이구만 분리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덮개를 오픈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로 록킹 해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록킹이 해제되어 자성부재가 케이스의 내입면에 밀착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내,외면 유리창 닦이구의 맞접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유리창에 내,외면 유리창 닦이구를 부착시킨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A: 내측 유리창 닦이구 10B: 외측 유리창 닦이구
10: 케이스 11; 중심축
13: 단턱부 20: 스폰지
30: 브러쉬 40: 자성부재
50: 케이스 덮개 60: 스프링
70: 록킹편 80: 로울러

Claims (4)

  1. 세척액을 포집하여 유리면에 공급하도록 한 스폰지(20)와, 유리창 표면에 묻은 세척액등을 제거하는 브러쉬(30)가 각각 설치된 케이스(10)내에 서로 반대 극성으로 자성부재(40)을 배치되게 고정 설치된 내,외측 유리창 닦이구(10A,10B)에 있어서,
    케이스(10)의 내측면 중앙에 형성한 중심축(11)에 스프링(60)과 함께 자성부재(40)를 끼워 자성부재(40)가 내측면(15) 상에 떠 있는 상태로 결합함과,
    상기 케이스(10)에 자성부재(40)의 모서리 부분 가로방향으로 접촉되도록 금속편(12)을 갖는 단턱부(13)를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형성함과,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끼움홈(14)에 록킹편(70)을 끼우고 케이스 덮개(50)에 형성된 지지편(51)으로 지지되도록 하여 단턱부(13)에 자력으로 붙는 자성부재(40)의 한 측면을 록킹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유리창 닦이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편(70)은 상부에 자성부재(40)의 측면틀(43)에 걸리도록 록킹부(71)와, 하부에 케이스(10)의 접촉면(16) 외부로 돌출되어 입출되도록 하는 돌출부(72)와, 한 측에 케이스 덮개(50)의 지지편(51)이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홈(73)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유리창 닦이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접촉면(16)에는 록킹편(70)의 돌출부(72)가 내입되도록 내입홈(17)을 각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유리창 닦이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재(40)는 극성이 서로 크로스되게 자성판(44)을 배치하고 상면에 금속판(45)을 부착한 십자형의 구획틀(42)의 사방 단부에 측면틀(4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유리창 닦이구.
KR1020030093562A 2003-12-19 2003-12-19 양면 유리창 닦이구 KR100550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562A KR100550279B1 (ko) 2003-12-19 2003-12-19 양면 유리창 닦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562A KR100550279B1 (ko) 2003-12-19 2003-12-19 양면 유리창 닦이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243U Division KR200347052Y1 (ko) 2003-12-17 2003-12-17 양면 유리창 닦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242A true KR20050061242A (ko) 2005-06-22
KR100550279B1 KR100550279B1 (ko) 2006-02-09

Family

ID=3725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562A KR100550279B1 (ko) 2003-12-19 2003-12-19 양면 유리창 닦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027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5332A (zh) * 2010-12-30 2012-07-04 刘忠臣 安全多档磁力擦玻璃器
KR101359228B1 (ko) * 2012-06-05 2014-02-06 장호선 세척도구
WO2014157759A1 (ko) * 2013-03-29 2014-10-0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유리창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5832244A (zh) * 2016-03-05 2016-08-10 岳凌云 便于清洁玻璃的装置
CN106943076A (zh) * 2017-04-21 2017-07-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窗清洁擦
CN107518823A (zh) * 2017-02-15 2017-12-29 大连奇想科技有限公司 用于磁力擦玻璃器的可换支点
CN110897544A (zh) * 2019-12-13 2020-03-24 叶先祥 一种擦窗机器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250B1 (ko) 2011-11-08 2013-03-1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부 유닛에서 외부 유닛으로 실시간 전원 공급이 가능한 창문 청소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5332A (zh) * 2010-12-30 2012-07-04 刘忠臣 安全多档磁力擦玻璃器
KR101359228B1 (ko) * 2012-06-05 2014-02-06 장호선 세척도구
WO2014157759A1 (ko) * 2013-03-29 2014-10-02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유리창 청소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028629B2 (en) 2013-03-29 2018-07-24 Rf Co., Ltd. Window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5832244A (zh) * 2016-03-05 2016-08-10 岳凌云 便于清洁玻璃的装置
CN107518823A (zh) * 2017-02-15 2017-12-29 大连奇想科技有限公司 用于磁力擦玻璃器的可换支点
CN106943076A (zh) * 2017-04-21 2017-07-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窗清洁擦
CN106943076B (zh) * 2017-04-21 2019-06-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窗清洁擦
CN110897544A (zh) * 2019-12-13 2020-03-24 叶先祥 一种擦窗机器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0279B1 (ko)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279B1 (ko) 양면 유리창 닦이구
EP1134032A1 (en) Surface treating device
KR200347052Y1 (ko) 양면 유리창 닦이구
KR20160008647A (ko) 청소용 밀대에 착탈되는 걸레포
EP2233055A2 (en) Flexible cleaning tool
EP3312373A1 (en) Easy-to-clean lower slide device for shower door
KR100732570B1 (ko) 유리창 닦는 장치
CN104523199B (zh) 一种可出水擦窗器
CN212465847U (zh) 一种防夹手双面擦
US20130014335A1 (en) Cleaning device
KR200369611Y1 (ko) 유리창청소기
KR200419331Y1 (ko) 양면 유리창 청소구
CN212981067U (zh) 荧幕清洁组件及其夹持盒体
CN217912042U (zh) 玻璃擦组件
KR200184923Y1 (ko) 다용도 자동차 청소용구
CN218738677U (zh) 一种双面玻璃擦
KR200189099Y1 (ko) 유리창 청소기
CN217488498U (zh) 双面擦除工具
JP2852254B2 (ja) ガラス清掃装置
CN217700404U (zh) 一种用于玻璃杯制品回收用清洗设备
CN218168127U (zh) 玻璃擦组件
KR200300882Y1 (ko) 유리창 청소기
KR970002808Y1 (ko) 다용도 소제구
KR200288566Y1 (ko) 다용도 물걸레 청소기
KR910008740Y1 (ko) 유리창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