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8740Y1 - 유리창 세척기 - Google Patents

유리창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740Y1
KR910008740Y1 KR2019890013203U KR890013203U KR910008740Y1 KR 910008740 Y1 KR910008740 Y1 KR 910008740Y1 KR 2019890013203 U KR2019890013203 U KR 2019890013203U KR 890013203 U KR890013203 U KR 890013203U KR 910008740 Y1 KR910008740 Y1 KR 910008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frame
washing machine
washer
spo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471U (ko
Inventor
이효영
박영민
Original Assignee
이효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영 filed Critical 이효영
Priority to KR2019890013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8740Y1/ko
Publication of KR9100054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4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7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2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리창 세척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세척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세척기의 저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세척기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자석의 자극분포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자석의 평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프레임 14 : 손잡이
16 : 스폰지 18 : 브러쉬
20 : 자석 34 : 자성판
본 고안은 스폰지와 고무브러쉬 및 자석이 구비된 2개 한쌍의 세척기를 이용하여 유리창의 내. 외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게 된 유리창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기에 내장된 자석의 자력세기를 월등히 증대시킬 수 있게 한 유리창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손잡이를 갖는 프레임내에 비눗물과 같은 세척기액을 공급하는 기능을 갖는 스폰지와, 세척액을 닦아내어 세척작업을 행하는 고무브러쉬, 유리창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반대측 세척기의 자석과 상호 혐력하여 그 반대측의 세척기를 고정시키거나 함께 이동시키게 되는 자석등을 구비함으로써 유리창의 양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게 한 세척기가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54-72859에 의해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세척기에 있어서는 상기한 자석이 단순히 세척기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실내에 내장되는 것이므로, 그 자석이 갖는 자력의 세기가 미흡하여 세척기의 사용도중 그 외측 세척기의 자계를 이탈하게 되는 사례가 유발되고 이에따라 세척기의 사용도중 외측 세척기가 임의로 낙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는 자력이 강하거나 큰 크기의 자석을 사용해야 하므로 세척기 전체의 중량 및 크기가 커지게 되고 제품의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난점이 뒤따르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목적은 세척기에 내장되는 자석의 크기를 키우지 않고도 자석의 세기를 월등히 증강시킴으로써 세척기의 사용시에 발생되는 외측 세척기의 임의 이탈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유리창 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세척기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세척기(10)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기본적으로 프레임(12), 손잡이(14), 스폰지(16), 고무브러쉬(18) 및 프레임(12)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제2도, 20), 그리고 그 자석(20)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자성판(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2)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이 좋으며, 세척기 사용시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22)를 프레임(12)의 사출성형시 그 프레임(12)의 상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화살표(22)의 진행방향에서 볼때 프레임(12)의 앞부분은 스폰지(16)를 수납할 수 있는 격실부분(24)으로 형성한다. 격실부분(24)은 프레임의 잔여부분, 즉 손잡이(14) 부착되어 있는 중간부분 및 후미부분에 비해 두껍게 되어있다.
격실(24)내에 스폰지(16)를 삽입한 상태는 제4도에 점선으로 나타내었다. 스폰지(16)를 이와같이 삽입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격실부분(24)의 내측에 다수의 핀들이 돌출되도록 성형하여 이러한 핀들에 의해 스폰지(16)를 고정하거나,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스폰지를 격실부분(24)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스폰지(16)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 바, 이는 세척기(10)전체의 수명에 비해서는 스폰지(16)의 수명이 짧기 때문이다.
격실부분(24)의 전후방연부에는 구멍(26)들을 마련하여, 세척작업시 잉여수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한편, 다음에 설명되는 바와같이 끈을 맬 수 있는 부분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조립을 쉽게 하기 위해, 손잡이(14)가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의 상부 평면부(32)는 하부본체와 분리된 상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본 세척기의 조립시에는, 브러쉬(18) 및 자석(20)을 정위치에 장한 후, 평부(32)를 덮고 이를 프레임(12)의 저면에서 나사 고정하는 것이 좋다.
프레임(12)의 후미부분의 폭은 전방부분의 폭보다 넓게 하는데, 이는 세척기(10)의 상태로 보아 당연한 것이다. 후미부분에는 브러쉬(18)가 부착되는데, 스폰지(16)와 마찬가지로 브러쉬(18)도 역시 교환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를 위해, 제3도의 측면도에 예시한 바와같이 프레임(12)의 저면에 홈을 마련하고, 브러쉬(18)상부를 이에 대응된 상태로 하여 삽입할 수도 있으며, 전술한 바와같이 조립시에 위에서부터 삽입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구조와는 관계없이, 브러쉬(18)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다른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척기(10)을 화살표(22)로 표시된 방향으로 진행시킬때, 세척기(1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세척액은 가능한한 비눗물이나 합성세제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계면 활성성분이 약한 화학적 세척액을 사용할 경우에는 브러쉬(18)와 유리, 경우에 따라서는 프레임 저면과 유리의 마찰력에 의해 세척기(10)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자력으로 고정되어 있는 반대측의 또다른 세척기가 자장을 이탈하여 낙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제 제2도 및 제4도를 참조로 하여 자석(20) 및 자성판(34)의 부착상태를 설명한다.
이들 자석(20)과 자성판(34)은 프레임(12)을 성형한 후, 평면부(32)를 제거한 상태에서 자석(20)과 자성판(34)을 차례로 위치시키고, 다음에 평면부(32)를 덮고 프레임(12)의 저면에서 나사를 조여 평면부(32)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장착시킨다.
이와는 달리, 프레임(2)의 사출시 자석(20)과 자성판(34)을 동시에 사출성형하여 프레임(12)에 영구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2)의 저면과 자석(20)의 사이에 스틸판과 같은 자성판(34)을 개재하는 것은 스틸판이 자극편(磁極片)의 역할을 수행하여 자력을 다른 방향, 즉 손잡이(14) 방향으로 누출시키지 않고 대향 세척기의 방향인 일방향으로 집중시키게 되므로 자력의 세기가 월등히 증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성판(34)을 이용함으로써 사용되는 자석(20)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석 및 세척기 자체의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석(20)의 크기를 축소하지 않고 동일 크기의 자석(2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자력이 배가됨으로써 유리창의 내. 외측에 설치되는 세척기를 서로 단순히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유리창의 세척 작업을 보다 안정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척기의 사용시, 그 자석(20)의 외면이 유리면과 직접 접촉되어 이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석(20)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얇은 합성수지막(28)을 자석 주위의 프레임에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자석(20)에 덧씌운다.
합성수지막(28)은 나사(30)에 의해 프레임(12)의 저면에 부착되는데, 나사(30)의 머리에 의해 유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컨데 접시형 구멍을 형성하고 접시머리 나사를 사용하는 등의 통상의 기술에 따라 나사(30)의 머리가 합성수지막(28)의 표면안쪽에 위치되도록 한다. 나사(30)을 조이게 되면, 그 나사(30)는 평면부(32)의 저면에 마련된 나사공에 체결되어 평면부(32)도 함께 고정하게 된다. 합성수지막(28)을 고정시키는 데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나사(30)가 합성수지막(28)을 통과하지 않도록 위치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유리세척기(10)를 쌍으로 사용하여 유리창의 내. 외측을 동시에 세척할때, 사용미숙으로 인하여 외측 세척기의 자석이 내측 세척기의 자석의 자계를 이탈하여 낙하할 경우가 예상된다. 낮은 곳에서 사용할 때에는 이러한 것은 그리 큰 문제가 아니나, 고층건물에서 이러한 상황이 발생될 시에는 인명을 손상시킬 수도 있게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멍(26)을 사용하여 끈을 묶어 그 일단을 사용자가 잡고 있거나 기타 다른 고정물에 묶게되면, 외측 세척기가 자유낙하하여 인명을 손상시키는 위험한 경우를 피할 수 있게된다. 여기에서, 위와 같은 목적을 끈은 반드시 구멍(26)을 사용하여 묶을 필요는 없으며, 프레임(12)에 다른 형태의 부재를 마련하여 위와 같은 목적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내측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세척기(10)에는 손잡이(14)를 마련하나, 외측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세척기에는 손잡이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석의 자극 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에서는 자석의 평면을 4등분하여 자극을 분극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자석의 극을 분할하는 이유는, 평면 형상인 자석에 단지 N극과 S극이 각각 1개씩 존재하는 것 보다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극으로 구성하는 것이 자력을 강하게 하므로, 상기한 자성판(34)에 의한 자력증강기능에 부가하여 양 세척기 사이의 미끄러짐 방지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평면을 분극하는 동시에, 측면의 극도 분극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손잡이를 가진 프레임의 내부에 스폰지와 고무브러쉬 및 자석을 각각 구비한 한쌍의 세척기를 이용하여 유리창의 내. 외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게 한 유리창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상면과 프레임의 상측 평면부 저면 사이에 스틸판과 같은 자성판을 개재하여 내. 외측 세척기에 각각 내장된 자석의 자력을 누출시키지 않고 양 세척기의 대향방향으로 집중시킴으로써 자력의 세기를 월등히 증강시킬 수 있게 한 것이므로, 자석의 크기를 키우거나 자력이 강한 고가의 자석을 사용하지 않고도 세척기의 사용중에 발생되는 외측 세척기의 이탈 및 낙하현상을 방지하여 양 세척기를 확실하고 인정되게 지지고정함으로써, 세척기의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하고 보다 효율적인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세척액을 포집하였다가 세척할 표면상으로 이를 공급하는 스폰지(16), 스폰지에 의해 공급된 세척액을 닦아내어 실질적인 세척작업을 하게 되는 브러쉬(18), 반대측의 세척기의 자석(20)과 협력하여 자장을 형성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반대측의 세척기를 고정하고 또한 반대측의 세척기가 동일한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세척기의 프레임(12)에 자석(20)을 수납하고, 유리창의 내. 외측에서 쌍으로 사용하여 유리창의 내. 외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게 된 유리창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내. 외측 세척기에 각기 내장되는 자석(20)의 상면과 프레임(12)의 상부 평면부(32) 저면 사이에 그 각 자석(20)의 자력을 대향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한 자성판(34)을 개재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세척기.
KR2019890013203U 1989-09-07 1989-09-07 유리창 세척기 KR910008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203U KR910008740Y1 (ko) 1989-09-07 1989-09-07 유리창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203U KR910008740Y1 (ko) 1989-09-07 1989-09-07 유리창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471U KR910005471U (ko) 1991-04-22
KR910008740Y1 true KR910008740Y1 (ko) 1991-11-04

Family

ID=1928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203U KR910008740Y1 (ko) 1989-09-07 1989-09-07 유리창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874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8805B2 (ja) * 2001-11-30 2007-01-17 Juki株式会社 根巻きボタン付け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471U (ko) 1991-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03490A1 (en) Powered cleaner/polisher
CN217408650U (zh) 壳体模块和清洁装置
KR910008740Y1 (ko) 유리창 세척기
US5161279A (en) Truck/camper window cleaning device
US3910400A (en) Device for cleaning moving balustrade belt
KR100732570B1 (ko) 유리창 닦는 장치
KR100550279B1 (ko) 양면 유리창 닦이구
US20060042035A1 (en) Water wiper
KR100732569B1 (ko) 유리창 닦는 장치
CN201500651U (zh) 带状物清洁设备
KR101478952B1 (ko) 전동솔
KR20130042684A (ko) 아파트 베란다 유리창 양면 청소구 및 그를 이용한 청소방법
KR0134511Y1 (ko) 식기 세척기
KR790002031Y1 (ko) 창문 닦기
KR101041041B1 (ko) 자동 안경 세척기
KR20060084423A (ko) 흡착판이 구비된 유리창 닦는 장치
KR200419331Y1 (ko) 양면 유리창 청소구
KR200480521Y1 (ko) 물걸레 청소기용 걸레포 결합판
KR200347052Y1 (ko) 양면 유리창 닦이구
CN217447592U (zh) 清洁机器人
KR200256443Y1 (ko) 유리창 세척용 브러시
KR200457302Y1 (ko) 장갑식 세차용구
CN209932546U (zh) 硅胶洁面仪
KR200198361Y1 (ko) 실내용 걸레 청소기
KR200198379Y1 (ko) 유리창 청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IN ENTIRETY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