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611Y1 - 유리창청소기 - Google Patents

유리창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611Y1
KR200369611Y1 KR20-2004-0022331U KR20040022331U KR200369611Y1 KR 200369611 Y1 KR200369611 Y1 KR 200369611Y1 KR 20040022331 U KR20040022331 U KR 20040022331U KR 200369611 Y1 KR200369611 Y1 KR 200369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brush
frame
magne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사열
Original Assignee
홍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사열 filed Critical 홍사열
Priority to KR20-2004-0022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6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6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2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 A47L1/13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5Cloths, sponges, pads, or the like, e.g. containin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창청소기에 관한것이다. 본 고안의 청소기는, 단면이 원형,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한 형상의 한 토막과, 상기 토막의 내측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브러시(3)를 착탈 가능하도록 요(凹)홈 형상의 브러시홀더(18)를 형성하여 프레임(1)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의 개구된 양 옆면을 커버하는 마구리뚜껑(2)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이루고, 상기 브러시홀더(18)에 착탈 가능한 브러시(3)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 수용공간에 노출 삽입되는 급수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기본적인 단면용(한쪽면을 닦을수있는) 청소기가된다. 여기에 추가로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일부에 프레임(1)의 내면에 접하여 길이방향으로 파이프형상의 자석홀더(7)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주고 상기 자석홀더에 자석(5)을 내장하면 유리창(14)의 양면에 부착하여 양면을 동시에 청소할수있는 청소기가 되는것이다. 위와같은 청소기의 상기 프레임(1)은 횡단면이 동일하므로 압출성형방식으로 제작할수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합성수지는 물론 알루미늄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또한 종래의 청소기에 비하여 가볍고 작고 외관이 단순하여 금형제작, 조립, 물류이동, 판매시에 모든 비용을 낮출수있으며 대량생산에 용이하여 청소기의 가격을 저렴하게 할수있으며 사용시 편리하며 견고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있는 효과가있다.

Description

유리창청소기{window cleaner}
본 고안은 유리창청소기에 관한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창에 물칠을하고 닦아내는 작업을 동시에 하도록 되어있는 유리창청소기이며 또한 이러한 청소기에 자석이 내장될 공간을 추가로 형성하여 자석을 내장하면 유리창의 양면에 대응 부착하여 한쪽의 유리창청소기를 움직여주므로서 다른쪽의 청소기도 함께 이동하게되는 유리창청소기, 즉 양면을 동시에 닦아낼수있는 유리창청소기(양면용유리창청소기)에관한것이다. 종래의 보편적인 유리창 청소기는 한토막의 막대(프레임)에 길이방향으로 한쪽엔 급수부재(스폰지)를, 반대쪽엔 브러시가 장착되어있고 이 막대의 중앙에 수직으로 봉 형태의 손잡이가 달려있어 그 외형이 T자형으로 되어있다.
또한 종래의 양면용 유리창청소기의 가장 보편적인 모양을한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20-2000-0021646 등록번호: 20-0209721호인 유리창 청소기(도면16의 B)를 보자면 그 구조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되어있으며 그 사이에 자석을 내장하고 견고하게 조립하기위하여 적지않은수의 나사를 사용하여 조립하도록 되어있으며 하부케이스밑으로는 스폰지와 브러시를 장착하고 한쪽 유리창청소기의 상부 케이스 위에는 손잡이가 고정되어있는 구조이다. 또한 유리창청소기의 추락에 대비하여 실외측 유리창청소기에 끈을 연결하고 다른 쪽 끝을 실내측에 고정시켜 유리창청소기 추락시에 끈에 매달리도록하여 더이상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한 구조이다.(이하 편의상 유리창청소기를 청소기로 줄여서 호칭한다)
그러나 위와같은 청소기들의 문제점을 하나하나 열거해 보자면
상기한 단면용 청소기는 스폰지와 브러시등 모든 구성품이 청소기 하나에 단단히 고정 결합되어있는 일체형으로서 어느 한부분, 즉 브러시나 스폰지가 사용중 훼손이되면 청소기 자체를 못쓰게되며 그 외형이 T자형으로서 여러개를 차곡차곡 규칙적인 쌓기가 곤란한 모양이므로 생산 공정의 자동화,포장,물류이동,판매전시에 불편하며 청소기구조가 막대의 양면에 브러시와 스펀지가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어있으므로 사용시엔 번갈아 뒤집어가며 물칠을하고 닦아내는 동작의 청소를 해야하므로 불편하며 이러한 청소기는 청소기의 손잡이막대를 잡고 청소기를 위에서 아래로 문지르며 청소를 하게되되어있는것으로 좌,우로 문지르며 청소하기에는 불편하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양면용 청소기는 그 구조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 또한 손잡이부로 되어있어 이는 청소기의 제조시 복잡한 여러개의 금형이 필요하며 자석을 내장한 공간이 상, 하부로 나누어져있으므로 견고하게 조립하기위하여 여러개의 나사못을 사용케 함으로서(나사못의 무게또한 청소기의 무게를 늘리는데 일조를하게된다.) 조립에 많은 일손과 시간이 필요하게되어 청소기의 생산 코스트가 높게 형성되며 이렇게 조립된 청소기임에도 자석을 내장한 공간이 완전히 밀폐되지못하여 내장된 자석이 녹슬게된다.(통상적으로 청소기의 자석은 네오디움 소결자석을 사용하는데 녹을 방지키위하여 보통 니켈 도금을 하여 출고되지만 수분에 노출될시에는 며칠되지않아 녹이 발생하기시작한다) 또한 상술한바와같이 복잡한 형상의 양면용 청소기는 제조시에 청소기를 이루는 재료(합성수지)가 많이 소요되며 이에따라 청소기의 무게가 무거워져 더욱더 강한(큰) 자석을 내장하게 하며 내장된 자석의 과도한 자력은 유리창과 청소기의 마찰력을 극대화시켜 청소기의 이동을 불편하게하며 이는 청소시에 바깥쪽 청소기가 추락하게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위와같이 강한 자석을 내장한 청소기는 강한 자력에 의하여 사용시, 또는 보관시에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갑자기 서로 들러붙게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경우 손가락을 다치는경우가 실제로 빈번하며 이렇게 들러붙은 청소기를 떼어내는것도 용이한일이 아니며(실험결과 시판중의 청소기는 보통의 성인여성의 힘으로는 떼어낼수가 없었다) 양쪽의 청소기를 무리하게 떼어내다 청소기의 일부가 파손되는(깨지는)경우도 생기게된다. 또한 상기와같이 손잡이가있어 울퉁불퉁한 형상을 한 청소기의 튀어나온부분은 사용시에 추락등의 이유로 파손되기쉬우며 포장상자가 클수밖에없어(포장상자내에 빈공간이 많다) 물류이동의 비용이 커지게되고 또한 판매,보관시 넓은 매장과 창고를 필요로한다. 또한 종래의 양면용청소기는 손잡이를 잡은 그 위치가 청소기를 움직일수있는 최대한의 높이이므로 키가 작은사람이 청소하거나 높은유리창을 청소할 때 발밑에 받침대를 놓아야하는등 불편하며 또한 물을 축이는 재질로서 보통의 스폰지를 사용함으로서 유리창에 부착시 흡수된 물이 금방 빠져버리기 때문에 청소기를 유리창에서 자주 떼어내어 물에다시 담궜다 사용하거나 이에대한 대책으로서 청소기의 케이스 내부에 별도로 물탱크를 구비하여준 청소기도 시중에 판매되고있으나 이 또한 청소기의 무게를 늘리며 청소기의 구조를 좀더 복잡하게할뿐 사용해본 결과 기대하는 효능이 있다고보기 어렵다.
또한 종래 유리창 청소기의 브러시(고무블레이드)는 청소기메이커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고유형상의 브러시가 장착되어있는데 브러시는 사용할수록 마모,훼손되는 소모품인만큼 재 공급을 해주어야하므로 가격이 배달비(택배비)에도 미치지못하는 브러시를 재공급받기위해서 과다한 비용을 지출해야만한다(택배비+브러시대금).
또한 종래의 두개가 한벌인 양면용 청소기 내부의 자석은 그 대응하는 자석들의 크기가 동일하게 되어있는데 이는 한쪽의 청소기(실내측)는 손으로 붙잡고 사용하게되는 청소기라는 관점에서 볼 때 사용시의 가장큰 우려인 추락에 대비하여서는 적절한 배치가 아니며 실외측 청소기에 끈을 연결해 놓은것도 이미 추락하고있는 청소기가 끈의길이 이상 추락하지않도록 한것일뿐으로 완벽한 대비책이 되지못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유리창 청소시 번갈아 뒤집어 스폰지와 브러시를 사용해야하며 위에서 아래로만 닦아내야하는 단면용 유리창청소기의 사용시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T자형인 청소기 모양으로인하여 여러개를 적재하기에 불편하므로 생산, 물류이동, 판매시 취급불편의 해소와 종래의 상, 하부케이스로 되어있는 복잡한 양면용유리창 청소기를 간단한 구조로 형성하여 청소기가 견고하게 되도록하고, 청소기 구조의 복잡함에 따른 높은 생산 코스트를 절감하며, 또한 청소기의 무게와 가격을 낮출수있도록 내장된 자석을 기능의 저하없이 소형화하고, 종래 청소기의 형상이 울퉁불퉁하고 손잡이가있어 튀어나온 부분이 파손되기쉽고 포장상자를 크게만들게하는 유리창 청소기 외관을 단순화하며, 내장된 자석이 부식되지않도록하는 방안, 유리창 청소시 원활한 급수유지, 소모품인 브러시의 용이한 구입이 가능한 방법, 키작은 사람도 사용할수있도록 청소기의 길이를 늘리는방법, 실외측청소기의 추락방지대책등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리창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유리창청소기 분해사시도
도 3은 유리창청소기를 횡단면으로본 각 구성부품의 배치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용 유리창청소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양면용 유리창청소기 하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양면용 유리창청소기를 횡단면으로본 각 구성부품의 배치 설명도
도 7은 양면용 유리창청소기 각 구성부품의 바닥면 배치설명도
도 8은 브러시가 두개인 유리창청소기를 횡단면으로본 각 구성부품의 배치 설명도
도 9는 브러시가 두개인 양면용 유리창청소기를 횡단면으로본 각 구성부품의 배치 설명도
도 10은 유리창청소기의 마구리뚜껑(2)에 형성된 가이드(10)의 설명도
도 11은 양면용 유리창청소기에 추락방지손잡이(20)를 부착해놓은 모양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양면용 유리창청소기를 횡단면으로본 각 구성부품의 배치 설명도
도 13은 유리창청소기 두개를 연결키위한 연결대(13)와 연결대가 끼워져있는 유리창청소기의 사시도
도 14는 유리창청소기 두개를 연결대(13)로 연결한 유리창청소기의 사시도
도 15는 유리창청소기 사용시의 모양으로 A는 청소기를 좌우로 이동시키며 청소하는모양이며 B는 청소기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청소하는모양이고 C는도 14와같이 연결대(13)를 사용하여 청소기의 길이를 늘려 키가 작은사람이 사용하는 모양이다.
도 16의 A는 종래의 보편적인 유리창청소기이며 B는 종래의 보편적인 양면용유리창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부호>
(1)프레임 (2)마구리뚜껑 (3)브러시(블레이드) (4)급수부재(스폰지,발포초극세사)(5)자석(마그네틱) (6)철판 (7)자석홀더 (8)자석홀더바닥면 (9)밀착방지돌기 (10)가이드 (11)연결대홀더 (12)관통구멍 (13)연결대 (14)유리판 (15)실리콘 (16)창틀 (17)끼움돌기 (18)브러시홀더 (19)급수부재홀더 (20)추락방지손잡이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1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만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들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한하여 쓰여진 주요 어휘들에 관하여 간단한 설명을 하자면
유리창청소기:유리창을 닦기위한 청소도구의 일종으로 본 고안에는 유리창의 한쪽면을 닦는청소기를 기본으로하여 여기에 자석을 추가하여 제작했을때 양면을 동시에 닦는 청소기로 사용할수있도록 한것이다.
프레임(1):본고안 청소기의 몸통을 이루며 뼈대가 되는부분으로 여기에 브러시,급수부재등이 장착되게된다.
브러시(3):유리창의 때를 닦아내게되는부분으로 자동차의 와이퍼에서 고무, 또는 수지로된 부분의 모양과 기능이 같은것이며 통상 고무블레이드라 칭하기도한다.
하우징:밑면(또는 윗면)과 옆면으로 이루어진 용기의 형상을 의미하며 본 고안에서 프레임의 옆면을 마구리뚜껑(2)으로 막아놓은 형상물이며 청소기의 외관을 이룬다.
마구리뚜껑(2) : 프레임 양끝의 개구된공간을 닫는(커버하는) 뚜껑이다
급수부재(4) : 물을 흡수저장하여 지속적으로 유리창에 물칠을 하게되는 물질이다.
초극세사: 최근에 개발된 매우 가는섬유(실)이다
초극세사스폰지 :최근에 독일의 바스프사에서 개발된 초극세 섬유질로된 스폰지로서 통상 매직블럭이라고도하며 물의 흡수,보존능력이 탁월한 스폰지
횡단면(橫斷面): (물체를) 길이에 직각으로 자른 면.
자석홀더(7) : 프레임과 일체형으로서 얇은 벽면으로 둘러싸인 다각 파이프형 공간으로서 자석이 내장되는곳이며 자석밑의 바닥면은 필히 유리창과 평행인 면으로 되어야하는 평면이다.
가이드(10) : 브러시가 창틀의 실리콘(15)위에 올라타지않도록 마구리뚜껑(2)의 옆면에 형성된 일종의 돌기부분
끼움돌기(17) : 프레임에 마구리뚜껑을 끼워서 밀착 결합시키기위하여 마구리뚜껑(2)의 옆면에 프레임쪽으로 돌출 형성하여준부분
본 고안에따른 청소기는, 단면이 원형,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한 형상의 한 토막과, 상기 토막의 내측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브러시(3)를 착탈 가능하도록 요(凹)홈 형상의 브러시홀더(18)를 형성하여 프레임(1)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의 개구된 양 옆면을 커버하는 마구리뚜껑(2)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이루고, 상기 브러시홀더(18)에 착탈 가능한 브러시(3)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 수용공간에 노출 삽입되는 급수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기본적인 단면용(한쪽면을 닦을수있는) 청소기가된다. 여기에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일부에 프레임(1)의 내면에 접하여 길이방향으로 파이프형상의 자석홀더(7)를 형성하여주고 상기 자석홀더에 자석(5)을 내장한 청소기는 유리창의 양면에 서로 대응하여 부착시킬수있다. 즉 상기 자석이 내장된 청소기는 두개, 즉 한쌍(한벌)으로 하여 유리창(14)의 양면에 부착하여 양면용(양면동시청소용) 청소기로 사용할수있다. 위와같은 청소기의 상기 프레임(1)은 횡단면이 동일하므로 압출성형방식으로 제작할수있으며 합성수지는 물론이며 알루미늄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또한 상기 브러시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와이퍼에 사용되는 브러시(고무블레이드)와 그 횡단면이 같으며 필요에따라 프레임의 양쪽 가장자리 모두에 브러시홀더가 형성되도록하여 브러시를 설치하면 청소기능을 증가시킬수있다. 상기 급수부재(4)는 스펀지 또는 초극세사섬유(마이크로화이버)로 이루어진 물질로서 독일의 바스프사가 개발한 일명 매직블럭이라 불리우는 스펀지가 그 한 예이다.
또한 양면용 청소기의경우 사용시(특히 아파트 베란다유리창)에 한쪽의 청소기(실외용)가 추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본 고안의 양면용 청소기는 이에대한 대책으로서 -유리창의 양면에 부착하여 대응하는 청소기에 내장된 영구자석(5)이 그 크기가 서로 다르도록- 하였다. 즉 실외용쪽의 청소기에 실내용 청소기에 내장된 자석보다 작은 크기의 자석을 내장하여 실외용 청소기의 무게를 가볍게하였으며.
더욱 완벽한 추락방지를 위하여 상기 내장된 영구자석이 큰쪽 청소기(실내측)의 윗면에는 파지하기가 적당한 형상의 밀폐된 통에 자석이 내장된 추락방지손잡이(2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추락방지손잡이에 내장된 자석은 청소기가 유리창의 양면에 부착되었을때 청소기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보다 실내측청소기와 추락방지손잡이(20)가 부착되어있는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이 크지않도록하는 크기와 모양으로 되어야한다. 쉽게말하자면 실외쪽 청소기가 추락하기전에 실내쪽 청소기에 부착되어있는 추락방지손잡이(20)가 먼저 청소기에서 이탈되므로서 청소기 끼리는 항상 유리창의 양면에 붙어있어 청소기가 추락할 가능성이 100% 제거되는것이다.
이하,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로서 외관으로 보이는것은 주로 프레임(1)과 마구리뚜껑(2)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으로 단순한 모양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기 분해사시도로서 중앙에 도시되어있는 프레임(1)은 파이프(원형, 타원형,사각형,다각형파이프등의 다양한 모양의 파이프중 적절하게 선택된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한 형상으로 되어있다(이 설명은 파이프를 반으로 쪼개어 프레임을 만든다는것이 아니라 프레임이 그러한 형상임을 설명하는것임).이러한 프레임의 개구되어있는 양옆을 적당한 모양의 마구리뚜껑(2)으로 막으면 어떠한 물체를 담을수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용기)이 되는것으로 청소기의 외관을 이룬다. 프레임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브러시를 끼우기위한 요(凹)홈 형상의 브러시홀더(18)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한다. 점선으로된 화살표는 프레임에 급수부재(4)와 브러시(3)가 삽입될 공간, 즉 급수부재홀더(19)와 브러시홀더(18)를 가리킨다. 우측 동그라미내에 도시되어있는것은 브러시(3)의 횡단면을 확대한것으로, 이 브러시는 자동차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와이퍼의 브러시(고무블레이드)모양과 같다. 따라서 브러시가 끼워질 브러시홀더(18)는 브러시(3)의 날 윗부분이 꼭 끼워지도록 요(凹)홈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있으며 따라서 청소기 사용자는 소모품인 브러시를 시중에서 쉽게 구입하여 교환할수있게된다.(자동차에서 교환해낸 폐 와이퍼에서 쓸만한 부분을 잘라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면에서 브러시 아래에 보이는것은 급수부재(4)로서 스폰지, 또는 초극세사(마이크로화이버:초극세사섬유)로 이루어진 스폰지이다. 초극세사스폰지는 통상 발포초극세사. 매직블럭 등으로도 불리는데 근래에 독일의 바스프사에서 개발한것으로서 - 세제없이 물만뭍혀 닦는 세척부재-로서 각광받고 있다. 이 스폰지는 물의 흡수 보관능력이 뛰어나 본고안의 청소기에 적용하면 청소기에 별도의 물탱크가 없어도 대형유리창 한 장을 물칠을 해가며 무리없이 닦아낼 수 있다. 프레임 위에 도시된것은 마구리뚜껑(2)으로서 프레임의 개구된 양 옆부분을 커버하여 급수부재(4)를 삽입할 수용공간이 생기도록한다.이 마구리뚜껑의 옆면에는 프레임의 연결대 홀더(11)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12)이 뚤려있으며 가이드(10)가 돌출 형성되어있다. 또한 이 마구리뚜껑의 바닦면에는 밀착방지돌기(9)가 형성되어있는데 유리면과 청소기가 최소한으로 닿게되는 부분이다. 도면에서 보듯이 본고안의 청소기 프레임(1)의 구조는 그 횡단면들이 어느부분이나 동일하여 가래떡을 뽑아내듯이 압출금형을 사용한 압출(이형압출)성형방식으로 생산하기에 적합한 구조이다(프레임과 일체형인 브러시홀더(18)와 후술하게될 자석홀더(7), 연결대홀더(11)등은 압출금형의 모양에따라 동시에 형성되는것이다.). 이러한 생산방식은 종래 청소기의 제작방식인 사출에 비하여 금형비가 대폭 저렴하며 고정된 한가지의 크기로 생산되는 사출에비하여 그 크기(길이)를 다양하게 적절한 크기로 빠르게 생산할수있으며 본 청소기의 프레임 자체가 파지하기가 편리한 막대 모양으로 되어있어 특별히 손잡이를 만들지않아도된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있는 프레임(1)은 청소기의 조립을 종래의 청소기들에 비하여 훨씬 적은공정으로 가능하게하여주며 합성수지뿐만 아니라 필요에따라 알루미늄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도 3은 청소기를 횡단면으로본 각 구성부품의 배치 설명도로서 청소기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킬때 프레임에 삽입된 급수부재(4)의 노출된 부분이 유리면에 닿아서 물칠을 하게되며 그 뒤를 브러시(3)가 닦아내게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용청소기의 사시도로서 도1의 청소기에 프레임(1)의 안쪽으로 자석홀더(7)가 추가로 형성되어 철판(6)에 부착된 자석(5)이내장되어있으며 유리창(14)의 양면에 도면과같이 마주보며 부착되어 2개가 한 벌로서 양면용청소기의 역할을하게된다. 도면에서 양면의 청소기는 유리판(14)을 사이에두고 마주붙어있어야하나 편의상 아래 청소기는 유리판과 띄워서 도시하였다. 또한 아래 청소기 모양에 급수부재(4)도 자석홀더바닦면(8) 옆에 삽입되어있어 보여야하나 편의상 생략한것이다. 참고로 양면용청소기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자면, 양면용 청소기는 그 내부 자석의 자력에 의해 유리창 내측면과 외측면에 한 쌍(실내용과 실외용)을 부착시킨 후, 유리창 내측면의 청소기를 이동시키면 자석의 자력에 의해 유리창 외측의 청소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폰지(급수부재)로 유리창에 물을 축이고 그 뒤를 이어서 브러시로 유리창을 닦아내는 방식으로 유리창 내외측면을 동시에 청소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한벌의 양면용 청소기중 한개의 분해사시도로서 도1의 청소기에 자석홀더(7)가 프레임의 안쪽에 추가로 형성되어 철판(6)과 자석(5)이 내장된것이다. 도면에서 급수부재(4)밑에는 자석(5)이 철판(6)에 붙어있는데 철판은 자석의 자력을 증대시켜주는 역할을 하나 필수요소는 아니다. 도면에서 보이는 브러시(3), 자석(5), 급수부재(4)에서 프레임을 향하여 표시되어있는 점선으로된 화살표는 각각 프레임에 삽입될 공간을 가리키고 있다. 프레임 위로는 프레임의 개구된 옆부분을 막아줄 마구리뚜껑(2)이 두 개 보이는데 아래 프레임의 연결대 홀더(11)에 대응하는 연결대구멍(12)이 뚤려있으며 가이드(10)가 돌출 형성되어있으며 그 반대면에 끼움돌기(17)가 형성되어있는데 이 끼움돌기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자석홀더(7)에 끼워져 그 공간을 밀폐시키게되어 자석이 녹스는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마구리뚜껑의 바닦면에는 돌기(9)가 적어도 한개이상 형성되어있는데 유리면에서 청소기가 닿게되는 부분이다. 이 돌기는 강한 자력으로 붙어있는 청소기와 유리면 사이에서 청소기 프레임의 바닥면 전체가 닿지않고 밀착방지돌기(9)만이 닿게하여 마찰력을 최소화 하며 이 돌기를 굴름부재(베어링,로울러, 바퀴등)로 했을시에 그 효과는 더욱 증가된다.
도 6은 도4의 양면용 청소기를 횡단면으로본 각 구성부품의 배치 설명도로서 유리창 양면에 서로 마주한 청소기내의 자석(5)과 철판(6)의 크기가 다른 것을 볼수있는데 한쪽(실내쪽)은 사람이 붙잡고있어 떨어질 염려가 없으므로 좀더 무거운 자석과 철판을 내장해도 무방하며 반면에 오로지 실내쪽청소기와의 자력에의해 부착되어있는 다른쪽(실외쪽)의 청소기는 추락하지 않도록 가급적 좀더 작은 자석과 철판을 내장하여 무게를 최소화 한 것이다.
또한 종래의 양면용청소기는 자석이 청소기 중앙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시 서로 직접 붙었을때 떼어내기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닌데(성인 여성의 힘으로는 거의 불가능함) 본 고안의 청소기는 자석이 한쪽 측면으로 치우쳐 있으므로 붙어있는 자석(5)부분을 축으로하여 떼어내면 용이하게 떼어진다. 즉 양손으로 사과를 반으로 쪼갤때처럼 떼어내면 매우 수월하게 붙어있는 두개의 청소기를 분리할 수 있다. 도면에서보듯이 청소기와 유리창의 닿는 부분은 돌기(9)와 브러시(3), 그리고 급수부재(4)의 일부이다.
밀착방지돌기(9)는 청소기와 유리창사이에 청소기프레임의 바닥면 전체가 닿지않고 돌기만이 닿도록하여 마찰력을 최소화하기위하여 마구리뚜껑(2)에 하나이상 형성되어있는 것이다. 급수부재(4)는 연결대홀더(11)에 의하여 노출된 부분의 일부가 밀어내어진 형상이 되도록하여 급수부재의 일부만 살짝 유리면에 닿도록하여 불필요한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한 것이다.(종래의 청소기에서는 급수부재의 한면 전부가 유리창면에 닿도록 되어있어 불필요한 마찰력이 생겨 청소기의 진행을 방해하는 요인의 하나가 된다) 아래 화살표는 청소기의 진행방향이다. 좌로 이동시 물칠과 청소작업을 동시에하며, 우로 이동시엔 물칠작업효과만이 있어 여러번 왕복하면 묵은때를 닦는데 효과적이다.
도 7은 양면용 청소기 각 구성부품의 바닥면 배치설명도로서 도면에서 보다시피 불필요한 부분이 전혀 없다. 꼭 필요한 브러시(3), 자석홀더바닥면(8), 급수부재(4)만이 있을뿐이다. 이러한 구성은 청소기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추락의 가능성을 줄이게되며 청소기의 부피또한 최소화하게되어 청소기의 생산, 물류이동, 판매전시에 좀더 경쟁적 우위를 갖도록한다.
도 8은 도3의 변형된 일 실시예로서 브러시가 두개인 청소기를 횡단면으로본 각 구성부품의 배치 설명도이다. 브러시(3)가 급수부재홀더(19)의 양옆에 끼워져있다, 즉 브러시(3)가 한 개일때는 좌로 이동시 물칠과 청소작업을 동시에하며,우로 이동시엔 물칠작업 효과만이 있으나 이 경우엔 브러시가 두개로서 좌,우로 이동시에 물칠과 청소작업을 함께 할수가있다.
도 9는 도6의 변형된 일 실시예로서 브러시(3)가 두개인 양면용 청소기를 횡단면으로본 각 구성부품의 배치 설명도이다. 자석홀더(7)가 중앙에 위치하며 급수부재홀더(19)와 브러시홀더(18)가 양 옆에 형성되어있다. 브러시와 급수부재가 두 개씩배치되어있는데 한 개씩일때는 좌로 이동시 물칠과 청소작업을 동시에하며, 우로 이동시엔 물칠작업효과만이 있으나 이 경우엔 브러시와 급수부재가 두 개씩 있으므로 좌,우로 이동시에 물칠과 청소작업을 함께할수가있다.
도 10은 본 고안 청소기의 마구리뚜껑(2)에 형성된 가이드(10)의 설명도로서 창틀(16)에는 유리창을 고정시키기위하여 접착제인 실리콘을 쏘아주는데 청소기가 유리창 가장자리의 창틀에 닿아서 진행하면 브러시의 끝부분이 실리콘(15) 위로 타고 올라가게되어 브러시 밑으로 약간의 틈이 생기게된다.이 틈으로 때국물이 새게되는데 돌출된 가이드(10)는 창틀(16)에 미리 닿아 브러시가 실리콘위로 올라갈수없게하는 역할을한다.
도 11은 양면용 청소기에 추락방지손잡이(20)를 부착해놓은 모양의 사시도로서 추락방지손잡이는 파지하기가 적당한 단순한 모양의 밀폐된 통으로서 그 내부에 자석이 내장되어있다.
도 12는 도 11의 추락방지손잡이(20)가 부착된 양면용 유리창청소기를 횡단면으로본 각 구성부품의 배치 설명도로서 추락방지손잡이에 내장된 자석(5)은, 청소기가 유리창의 양면에 부착되었을때 청소기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보다 청소기와 추락방지손잡이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이 크지않도록하는 크기와 모양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실외쪽 청소기가 추락하기전에 실내쪽 청소기에 부착되어있는 추락방지손잡이가 먼저 청소기에서 이탈되므로서 청소기가 추락할 가능성이 100% 제거되는것이다.
도 13은 청소기 두개를 연결키위한 연결대(13)와 연결대가 끼워져있는 청소기 이며
도 14는 청소기 두개를 연결대(13)로 연결한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청소기를 좌우로 이동시키며 청소하는모양이며 B는 청소기를 상하로 이동시키며 청소하는모양이고 C는도 14와같이 연결대(13)를 사용하여 청소기의 길이를 늘려 키가 작은사람도 편리하게 사용하고있는 모양이다.
도 16의 A는 종래의 보편적인 청소기로서 브러시와 급수부재(스폰지)가 서로 양 방향에 위치하여있어서 스폰지로 물을축인후 청소기를 뒤집어 브러시로 긁어내는동작의 청소를 해야하며 또한 위에서 아래로 닦아내기엔 무리가없으나 좌우로 청소하기엔 불편하다. 우측 B는 종래의 보편적인 양면용청소기의 사시도로서 도면과같이 외면이 복잡하게 생겼으며 상판과 하판 사이에 자석이 내장되고 상판 위로는 손잡이가달려있는 형상이며 그 구조는 상기와같은 외형을 조립하기위해서 도면에보이지않는 부분을 포함하여(예를들면 나사가 끼워지기위한 나사구멍등)복잡한 구조로되어있다.
이상과같이 종래의 청소기는 브러시, 급수부재(스폰지)가 반대쪽으로 양 방향에 배치되어있어 물을 축이고 뒤집어서 닦아내는 동작을 거듭하며 위에서 아래의 방향으로 청소해야만했으나 본 고안 청소기는 상기한 브러시 및 급수부재(스폰지등)가 같은면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뒤집는과정없이 좌,우 또는 위,아래 어느방향으로든 그냥 문지르기만해도 물축임 및 긁어내기의 과정이 함께 이루어지므로 청소가 편리하며 청소기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코스트가 낮게 형성된다. 특히 자석을 내장한 양면용청소기의 경우 상,하부 케이스에 자석이 내장되어 조립되고 그 위에 손잡이부가 조립된 종래의 양면용청소기에 비하여 본 고안의 양면용청소기는 자석이내장될 공간(자석홀더)이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되어있으며 횡단면이 동일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한 압출성형으로 생산할수있으므로 합성수지는 물론 알미늄으로도 미려하게 생산할수있으며 종래 청소기 주 생산방식인 사출에 비하여 금형비 및 압출 비용이 저렴하고 자석이 밀폐된 공간(자석홀더)에 내장되므로 자석이 녹슬지 않으며, 청소기의 간단한 구조는 고장과 파손이 거의 없으며 청소기가 가벼우므로 사용시 추락의 가능성이 줄어들며 더욱이 실내용청소기보다 실외용청소기에 내장한 자석의 크기를 작게하였으므로 추락가능성이 더욱 줄어들며 여기에 추락방지손잡이가 추가되면 추락의 가능성은 완전히 제거된다. 또한 자석이 내장된 위치가 청소기의 한쪽으로 치우쳐있음으로 서로 직접 붙었을때 떼어내기가 수월하고 연결대를 사용하여 청소기의 길이를 두배 이상으로 늘릴수있으므로 키가작은사람도 유리창의 높은 부분을 청소할수있으며 소모품인 브러시를 자동차용 와이퍼의 브러시로 사용할수있게함으로서 사용자가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음은 물론 폐 브러시를 재활용할수도 있으며 급수부재로 물의 흡수저장 능력이 탁월한 초극세 물질(마이크로화이버, 초극세사섬유, 초극세사스폰지 등)을 적용함으로서 청소기에 별도의 물탱크를 형성해주지않아도 대형유리 한 장 정도는 충분히 물을 축여주며 닦을수있으며, 대략 직육면체의 외형인 본고안의 청소기는 청소기자체가 파지하기가 편리하여 손잡이가 필요없으며 이러한 외형은 포장상자의 크기를 청소기의 크기와 거의 같게 할수있도록하여 포장비용과 물류비용을 절감할수있도록하며 매장의 전시,적재에 좁은 공간만으로 충분하며 상기한 모든 메리트는 청소기의 가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있다.

Claims (16)

  1. 유리창청소기에 있어서,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한 형상의 한 토막;과 상기 토막의 내측 길이방향 가
    장자리에 브러시(3)를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 요(凹)홈 형상의 브러시홀더(18);로 프레임(1)을 이루고, 상기 프레임의 개구된 양 옆면을 커버하는 마구리뚜껑(2);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을 이루고, 상기 브러시홀더에 착탈 가능한 브러시(3);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 수용공간에 노출 삽입되는 급수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리창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내면에 접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자석홀더(7)와; 상기 자석홀더에 내장된 자석(5);을 포함하여 양면을 동시에 청소할수있는 유리창청소기로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리창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내장된 양면용 유리창청소기는 한쌍(한벌)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리창청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한벌)으로 구성되어있는 유리창청소기는 유리창청소기에 각각 내장되어유리창의 양면에 부착되었을때 대응하는(마주보는) 자석(5)은 그 크기가 서로 다른것임을 특징으로하는 유리창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된 자석(5)이 큰쪽의 유리창청소기는, 밀폐된 통에 자석이 내장된 추락방지손잡이(20);를 더하여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리창청소기
  6. 삭제
  7. 제1항에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횡단면들은 동일한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리창청소기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에는 상기 브러시홀더가 위치한곳의 반대쪽 길이방향 가장자리에 또하나의 브러시홀더(18);가 형성되고 이 두곳에 착탈가능한 브러시(3);들을 더하여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리창청소기
  11. 제1항에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일부에 프레임(1)의 내면에접하여 길이방향으로 파이프형상의 연결대홀더(11);를 형성하고, 상기 마구리뚜껑(2)에는 상기 연결대 홀더의 구멍을 막지 않도록 관통구멍(12);을 형성하고 여기에 끼우기위한 연결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리창청소기
  12. 제1항에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재(4)의 재질은 초극세사섬유(마이크로화이버:microfiber)로 이루어진 물질임을 특징으로하는 유리창청소기
  13. 제1항에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3)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동차용와이퍼의 브러시(고무블레이드)와 횡단면이 동일한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리창청소기
  14. 제1항 또는2항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뚜껑(2)의 바깥쪽 옆면에는 가이드(10)가 돌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유리창청소기
  15. 제1항에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구리뚜껑(2)의 아래(바닥)쪽에는 밀착방지돌기(9)가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하는 유리창청소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방지돌기(9)는 굴름부재인것을 특징으로하는 유리창청소기
KR20-2004-0022331U 2004-08-05 2004-08-05 유리창청소기 KR200369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331U KR200369611Y1 (ko) 2004-08-05 2004-08-05 유리창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331U KR200369611Y1 (ko) 2004-08-05 2004-08-05 유리창청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487A Division KR20060008649A (ko) 2004-07-23 2004-07-23 유리창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611Y1 true KR200369611Y1 (ko) 2004-12-09

Family

ID=4944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331U KR200369611Y1 (ko) 2004-08-05 2004-08-05 유리창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6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570B1 (ko) * 2006-09-05 2007-06-29 최리나 유리창 닦는 장치
KR100732569B1 (ko) * 2006-07-04 2007-06-29 최리나 유리창 닦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2569B1 (ko) * 2006-07-04 2007-06-29 최리나 유리창 닦는 장치
KR100732570B1 (ko) * 2006-09-05 2007-06-29 최리나 유리창 닦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9104A (en) Eyeglass cleaning station
US20060216102A1 (en) Cleaning utensil for a fluid container
US6032314A (en) Glass cleaner
US8209790B1 (en) Combination bathroom plunging and cleaning tool
CN104523197B (zh) 一种改进型擦窗器
KR200369611Y1 (ko) 유리창청소기
KR20060008649A (ko) 유리창청소기
US3135003A (en) Scrubbing sponge for drinking vessels
CN104523198B (zh) 一种擦窗器
KR20050061242A (ko) 양면 유리창 닦이구
KR200474749Y1 (ko) 유리창 닦이
US20100115723A1 (en) Completely portable lightweight handheld window cleaning ket
CN210747850U (zh) 一种多功能中式餐具洗刷器
KR20060056541A (ko) 유리창청소기
JP2013042850A (ja) ハンディモップ収納ケース
CN202477621U (zh) 内置喷头的洗涤刷
CN201131577Y (zh) 一种带清洁海绵的随身筷筒
CN2534116Y (zh) 气雾剂罐用海绵擦
CN212139722U (zh) 一种可拆卸式多功能清洁刷
CN2144467Y (zh) 一种新颖清洁刷
KR200286118Y1 (ko) 흡착판 홀더와 벽걸이와의 결합구조
KR200242785Y1 (ko) 걸레 받침대를, 자석을 내장시킨 원통형으로 한 걸레자루
CN213464947U (zh) 一种可灌清洁液的走珠清洁工具
CN209153412U (zh) 擦窗器
CN202477572U (zh) 一种手持式清洁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