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9107A - Polypropylene wrap film - Google Patents

Polypropylene wrap fil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9107A
KR20050059107A KR1020057003243A KR20057003243A KR20050059107A KR 20050059107 A KR20050059107 A KR 20050059107A KR 1020057003243 A KR1020057003243 A KR 1020057003243A KR 20057003243 A KR20057003243 A KR 20057003243A KR 20050059107 A KR20050059107 A KR 20050059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eight
resin
wrap film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2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81364B1 (en
Inventor
다까후미 무꼬하라
사또시 하시모또
다까시 나까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라이프 앤드 리빙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라이프 앤드 리빙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라이프 앤드 리빙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10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364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2Amorph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4Crystal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Abstract

A multi-layer wrap film which little suffers from changes of properties with time, constituted of surface layers (A) made of a material comprising 100 parts by weight of a composition consisting of 50 to 80 % by mass of a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20 to 50 % by mass of at least one softener selected from among amorphous and lowly crystalline propylene/alpha- olefin copolymers and butene-1 polymers, 5 to 15 parts by mass of a hydrogenated terpene resin, and 10 to 20 parts by mass of an aliphatic hydrocarbon liquid at ordinary temperatures and a core layer (B) made of a material comprising 80 to 98 % by mass of a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2 to 20 % by mass of an aliphatic hydrocarbon liquid at ordinary temperatures.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 {Polypropylene Wrap Film}Polypropylene Wrap Film {Polypropylene Wrap Film}

본 발명은 식품 포장용 필름 등, 물품을 포장하는 데 사용되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도 밀착성과 인출성이 변하지 않는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랩 필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m used for packaging an article, such as a food packaging film.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propylene wrap film capable of maintaining a quality that does not change adhesion and drawability even after a certain time.

음식점, 식품 판매점 또는 일반 가정에서 식품을 보존하거나 전자 레인지에서 가열하는 경우, 얇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사용되었다. 그 중에서도, 염화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수지로 제조된 랩 필름은 내습성, 산소 가스 차단성, 내열성, 용기 등에의 밀착성 및 투명성을 비롯한 우수한 성질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식품 포장용 랩 필름으로서 자주 사용되고 있다. When preserving food or heating in a microwave in restaurants, food stores or homes, a thin thermoplastic film was used. Among them, the wrap film made of vinylidene chloride copolymer resin is often used as a wrap film for food packaging because it has excellent properties including moisture resistance, oxygen gas barrier properties, heat resistance, adhesion to containers, and transparency. .

최근,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요 구성 성분으로 하는 식품 포장용 랩 필름이 여러 가지로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필름의 예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4-메틸펜텐-1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필름은 필름 표면에 밀착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식품 포장용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용기에 충분히 밀착하지 못한다는 것이 치명적인 단점이다. 이러한 목적하는 성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폴리올레핀계 필름과 여러 가지 첨가제 또는 다른 수지를 혼합하거나, 다른 수지를 적층시킨 필름이 다수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용기에의 밀착성뿐만 아니라 필름끼리의 밀착성도 높아져, 수납 상자로부터의 인출성이 나빠지므로, 실용성이 나쁘다. In recent years, various food packaging wrap films having polyolefin resins as main components have been proposed. Examples of such films include polyethylene-based resins, polypropylene-based resins, and poly-4-methylpentene-1 resins. Since these films have little adhesiveness to the film surface, it is a fatal disadvantage that they are not sufficiently adhered to the container, for example, when used as a film for food packaging. In order to satisfy these desired performances, many films have been proposed in which a polyolefin-based film and various additives or other resins are mixed or other resins are laminated. However, these have not only the adhesiveness to a container but also the adhesiveness of films, and the drawability from a storage box worsens, and therefore, practicality is bad.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랩 필름의 밀착성에 대한 여러 가지 제안이 이루어져 왔다. 일본 특허 공개 제 JP-A-10-202806 호에는 코어층 (core layer)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이고, 표층에 밀착제로서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자기 점착성의 랩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높은 밀착성을 발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수분 함량이 높은 식품 재료를 랩 필름으로 포장하여 전자 레인지에서 가열하면, 랩 필름 표면 상에서 계면활성제가 수분의 작용에 의해 버블링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mentioned above, various proposals regarding the adhesiveness of the wrap film have been mad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JP-A-10-202806 proposes a self-adhesive wrap film in which a core layer is a polypropylene resin and a surfactant is contained in the surface layer as an adhesive. However, in this technique, it is difficult to express high adhesiveness. In addition, when the food material having a high moisture content is packaged in a wrap film and heated in a microwave ove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factant bubbles on the wrap film surface by the action of water.

밀착성을 높이고자 하면 인출력도 높아져야 하고, 반대로 인출력을 낮게 하면 밀착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탄력감의 지표인 탄성률을 높이고자 하면 연신성이 악화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랩 필름에 필요한 특성들이 서로 상반되는 경향이 있다. 이들 특성들 사이의 균형을 잘 유지하는 것은 매우 난해한 문제이다. In order to increase the adhesion, the output power must be increased. On the contrary, if the output power is low, the adhesion decreases. Increasing the elastic modulus, which is an index of the feeling of elasticity, deteriorates the stretchability. As such, the properties required for the wrap film tend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A good balance between these characteristics is a difficult problem.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JP-A-2002-46238 호에는 차단성을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코어층, 및 밀착성을 갖는 첨가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표층으로 하는 다층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밀착성을 발현하기 위한 첨가제는 분자량이 낮거나 유리 전이점이 낮아, 블리드 인 (bleed in)이라고 하는 현상을 보이며 필름 내를 이동한다. 따라서, 필름을 형성한 직후에는 밀착성과 인출성 사이의 균형이 양호해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첨가제가 표층으로부터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밀착성 및 인출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JP-A-2002-46238 proposes a multilayer film having a surface layer of a resin layer containing a core layer containing a resin having barrier properties and an additive having adhesion. However, the additive for expressing adhesion has a low molecular weight or a low glass transition point, and exhibits a phenomenon called bleed in and moves in the film. Therefore, even after forming a film, even if the balance between adhesiveness and drawability is good, adhesiveness and drawability may fall as an additive moves inward from a surface layer with time.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4-메틸펜텐-1) 수지를 사용하는 랩 필름이 빈번히,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JP-A-2001-121660 호에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4-메틸펜텐-1) 수지는 탄성이 높은 재료이기 때문에, 랩 필름에 요구되는 정도의 유연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다량의 가소제의 첨가해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수지가 본래 갖고 있는 내열성 또는 낮은 인장 파단 신장도가 손상된다. In view of excellent heat resistance, wrap films using poly (4-methylpentene-1) resins are frequently proposed, for example, in JP-A-2001-121660. However, since poly (4-methylpentene-1) resin is a material having high elasticity, a large amount of plasticizer must be added to satisfy the degree of flexibility required for the wrap film. However, this damages the heat resistance or low tensile elongation at break inherent in the resin.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하면서도, 밀착성이 우수하고, 수납 상자로부터의 인출력이 작으며, 시간의 경과 또는 보관 온도에 따른 이들 특성의 변화가 적은 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rap film that contains a polypropylene resin and is excellent in adhesiveness, small in output from the storage box, and small in variation of these properties with time or storage temperature.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에 임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주로 하기와 같다. MEANS TO SOLVE THE PROBLEM The present inventors came to complete this invention, as a result of earnestly researching in order to solve the said objectiv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as follows.

(A) (S1)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50 내지 80 중량%, (S2)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부텐-1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연제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 및 제1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S3)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및 (S4)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 10 내지 20 중량부를 함유하는 표층; 및 (A) 50 to 80% by weight of (S1)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S2) 20 to 50% by weight of one or more softeners selected from amorphous or low 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s and butene-1 polymers A surface layer containing 5 to 15 parts by weight of (S3) hydrogenated terpene resin and (S4) 10 to 20 parts by weight of aliphatic hydrocarbon, which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mposition comprising% and 10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composition; And

(B) (C1)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80 내지 98 중량% 및 (C2)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 2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며, 상기 표층과 인접한 코어층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B) Polypropylene-based multilayer wrap containing 80 to 98% by weight of (C1)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C2) 2 to 20% by weight of aliphatic hydrocarbon which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and comprising a core layer adjacent to the surface layer. film;

종이관에 감긴 상태의 랩 필름을 40 ℃ 및 상대 습도 20 %에서 3 주 동안 방치했을 때의 밀착 에너지 (cling energy)가 방치 전의 값에 대해 -20 내지 +50 % 이내에서 변하고, 인출력이 방치 전의 값에 대해 -50 내지 +20 % 이내에서 변하는 것인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 및 The cling energy when the wrap film wound around the paper tube is left for 3 weeks at 40 ° C. and 20% relative humidity changes within -20 to + 50% relative to the value before standing, and the output is left unattended. The polypropylene-based multilayer wrap film that varies within -50 to + 20% relative to the previous value; And

필름 표면을 원자간력 현미경의 40,000배의 위상 이미지로서 관찰했을 경우, 피브릴 망상체 (fibril network)와 그 사이에 존재하는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피브릴의 평균 폭은 1 nm 이상, 100 nm 이하이며, 평균 구멍 크기가 3 nm 이상, 1 ㎛ 이하인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 When the film surface is observed as a 40,000-times-phase image of an atomic force microscope, it has a structure consisting of a fibril network and a matrix existing therebetween, where the average width of the fibrils is 1 nm or more, 100 A polypropylene-based multilayer wrap film having a nm or less and an average pore size of 3 nm or more and 1 m or les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랩 필름을 특정함으로써, 본 발명은 다음의 효과를 발현한다. 구체적으로 기재하면, 특정한 유연제,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및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를 소정량으로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랩 필름의 표층에 사용함으로써, 수지를 적절히 가소화시켜 밀착성 및 인출성을 둘 다 달성할 수 있다. By specifying the wrap film of this invention as mentioned above, this invention expresses the following effects. Specifically, by using a specific softener, a hydrogenated terpene resin and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aliphatic hydrocarbon which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in the surface layer of the wrap film, the resin is appropriately plasticized to achieve both adhesion and drawability. can do.

(A) 표층과 인접한 (B) 코어층에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를 첨가함으로써, 밀착성 및 인출성 양자의 시간에 의한 저하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By adding the aliphatic hydrocarbon which is a liquid at normal temperature to the core layer (B) adjacent to the surface layer (A), the fall by time of both adhesiveness and drawability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랩 필름을 원자간력 현미경의 40,000배의 위상 이미지로서 관찰한 사진이다.1 is a photograph of the wrap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observed as a 40,000-fold phase image of an atomic force microscope.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중합체 분자쇄 중에 프로필렌 단위체만을 갖는 단독 중합체이거나, 에틸렌 또는 부텐-1을 더 갖는 2원 또는 3원 공중합체일 수 있다. 공중합체 중에서는 투명성 면에서 랜덤 공중합으로 얻은 것이 바람직하다. 입체 규칙성에 관해서는, 동일 배열 또는 규칙 배열 구조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밖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식품 포장용 필름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안전성면에서 식품 포장에 대한 규격 기준에 합격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 유량은 ASTM D1238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230 ℃에서 2.16 kg의 하중을 건 상태에서 10 분 당 1 내지 20 g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lypropylene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homopolymer having only propylene units in the polymer molecular chain or may be a binary or ternary copolymer further having ethylene or butene-1. Among the copolymers, those obtained by random copolymerization in terms of transparency are preferable. Regarding stereoregularity, either one of the same arrangement or a regular arrangement structure, or a mixture thereof can be used. In addition, although it does not restrict | limit especially, In consideration of using for the film for food packaging, it is preferable to pass the specification standard about food packaging from a viewpoint of safety. The melt flow rat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20 g per 10 minutes with a load of 2.16 kg at 230 ° C. by a method according to ASTM D1238.

(A) 표층에 함유되는 유연제로서 사용되는 성분은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부텐-1 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안전성 면에서 식품 포장에 대한 규격 기준에 합격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mponent used as the softening agent contained in the surface layer (A) is selected from an amorphous or low-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 and a butene-1 polymer. In terms of safety, it is desirable to pass the standard of food packaging.

본원에 사용되는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란 프로필렌과 부텐-1 또는 펜텐-1 등의 탄소수 4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프로필렌의 비율은 65 내지 8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의 용융 유량은 ASTM D1238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230 ℃에서 2.16 kg의 하중을 건 상태에서 10 분 당 1 내지 10 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ASTM D1505에 따른 밀도는 0.85 내지 0.89 g/㎤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그 자체로서 유연성이 풍부하고,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혼입되는 경우, 투명성을 잃지 않고 유연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 폴리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예로는 "타프머 (TAFMER) XR" (상표명; 미쯔이 케미컬즈사 (Mitsui Chemicals, Inc.) 제조)을 들 수 있다. As used herein, "amorphous or low 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 means a copolymer of propylene with an α-olefin having 4 or more carbon atoms, such as butene-1 or pentene-1.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propylene is 65 to 85 weight%. The melt flow rat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10 g per 10 minutes with a load of 2.16 kg at 230 ° C. by a method in accordance with ASTM D1238. The density according to ASTM D1505 is preferably 0.85 to 0.89 g / cm 3. This is, in itself, rich in flexibility, and when incorporated into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it can bring about a softening effect without losing transparency. Examples of amorphous or low crystalline polypropylene-α-olefin copolymers include "TAFMER XR" (trade name;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Inc.).

"부텐-1 중합체"란 액상의 부텐-1 단량체를 촉매 중합시켜 얻은 단독 중합체를 의미한다. 용융 유량은 ASTM D1238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190 ℃에서 2.16 kg의 하중을 건 상태에서 10 분 당 0.1 내지 5 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ASTM D1505에 따른 밀도는 0.904 내지 0.920 g/㎤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Butene-1 polymer" means a homopolymer obtained by catalytic polymerization of a liquid butene-1 monomer. The melt flow rat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1 to 5 g per 10 minutes with a load of 2.16 kg at 190 ° C. by a method in accordance with ASTM D1238. The density according to ASTM D1505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904 to 0.920 g / cm 3.

상기 유연제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에 대해 상용성이 좋고, 적량을 첨가함으로써,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본래의 투명성, 내습성 및 내열성을 크게 손상하는 일 없이, 인장 탄성률이나 굴곡 탄성률을 저감하는 효과, 즉 유연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The softening agent has good compatibility with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by adding an appropriate amount, the softening agent can reduce the tensile modulus and the flexural modulus without significantly impairing the transparency, moisture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of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There is an effect, that is, the effect of giving flexibility.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유연제의 총량을 100 중량%로 가정했을 때, 유연제의 첨가량은 얻어지는 필름의 유연성, 감촉 및 포장될 물품에의 형상 추종성면에서 20 중량% 이상이고, 안정된 필름 형성성, 가공성, 제품으로서 필름의 외관이나 품질, 탄력감 및 포장 필름의 사용 편의성 면에서 50 중량% 이하이다. 그 양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이다. Assuming that the total amount of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softening agent is 100% by weight, the addition amount of the softening agent is 20% by weight or more in terms of flexibility, feel, and shape followability to the article to be packaged, and stable film formability, It is 50 weight% or less from a viewpoint of workability, an external appearance and quality of a film, a feeling of elasticity, and the ease of use of a packaging film. The amount is more preferably 20 to 40% by weight, still more preferably 20 to 30% by weight.

(A) 표층에 다른 성분으로 기능하는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는 밀착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A) Hydrogenated terpene resin which functions as another component to a surface layer is used as an adhesive agent.

수소 첨가 테르펜계 수지는 원료로서 소나무의 나무 껍질 또는 오렌지류의 과실 껍질로부터 얻을 수 있는 α-피넨, β-피넨, 리모넨 또는 디펜텐을 사용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다.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의 연화점은 얻어지는 필름의 점착성 면에서는 120 ℃ 이상이 바람직하고, 이를 함유하는 (A) 표층 부분의 유연성 및 밀착성 면에서는 135 ℃ 이하가 바람직하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유연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양을 100 중량부로 가정했을 때,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의 첨가량은 밀착 성능 면에서 5 중량부 이상, 필름끼리의 블로킹을 줄여, 인출력을 감소시킨다는 면에서는 15 중량부 이하이다. 그 양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중량부로 한다. The hydrogenated terpene-based resin is a hydrogenated product of a homopolymer using α-pinene, β-pinene, limonene or dipentene, or a copolymer thereof, obtained from pine bark or orange fruit bark as a raw material. As for the softening point of hydrogenated terpene resin, 120 degreeC or more is preferable a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film obtained, and 135 degreeC or less is preferable at the softness | flexibility and adhesiveness of the surface layer part (A) containing this. When the amount of the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softening agent is assumed to be 100 parts by weight, the addition amount of the hydrogenated terpene resin is 5 parts by weight or more in terms of adhesion performance, reducing blocking between films, and reducing the output power. It is 15 weight part or less from the point of making it. The amount is preferably 5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5 to 8 parts by weight.

(A) 표층에 함유되는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는 밀착 보조제로서 사용된다. 밀착 보조제로서 액상 파라핀, 광물유 및 백색 광물유 등의 원유를 정제하여 얻는 포화 탄화수소, 이소부텐을 단독 중합시켜 얻는 폴리이소부틸렌 및 이소부텐과 n-부텐을 공중합시켜 얻는 폴리부텐 중 1종 이상을 첨가한다. 이들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광물유이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유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양을 100 중량부로 가정했을 때, 밀착 보조제의 첨가량은 감촉 및 안정된 밀착성 면에서 10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이다. 15 중량부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A) Aliphatic hydrocarbons that are liquid at room temperature contained in the surface layer are used as adhesion aids. Saturated hydrocarbons obtained by refining crude oil such as liquid paraffin, mineral oil and white mineral oil, polyisobutylene obtained by homopolymerization of isobutene, and polybutene obtained by copolymerizing isobutene and n-butene are added as adhesion aids. do. Among these, the most preferable is mineral oil. Assuming that the amount of the composition including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softening agent is 100 parts by weight, the addition amount of the adhesion assistant is 1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20 parts by weight or less in terms of texture and stable adhesion. 15 weight part or more is more preferable.

밀착제로서 기능하는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및 밀착 보조제로서 기능하는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를 병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랩 필름은 밀착성이 높고 인출성이 우수하다. 종래 기술과 같이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를 과잉 함유한 랩 필름의 경우, 필름을 서로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밀착성을 가질 수 있지만, 낮은 하중으로 압박하는 경우 밀착성 및 인출성이 떨어진다. 반대로,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를 과잉 함유한 필름의 경우, 필름 표면이 과도하게 가소화되어, 목적하는 높은 밀착성을 달성할 수 없다. By using together the hydrogenated terpene resin which functions as an adhesive agent, and the aliphatic hydrocarbon which is liquid at normal temperature which functions as an adhesion | attachment adjuvant, the wrap film of this invention is high in adhesiveness and excellent in drawability. In the case of a wrap film containing an excess of hydrogenated terpene resin as in the prior art, the film may have adhesiveness by strongly pressing the films together, but in the case of pressing at a low load, the adhesiveness and the drawability are poor.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a film containing an aliphatic hydrocarbon that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the film surface is excessively plasticized, so that the desired high adhesiveness cannot be achieved.

각각 (A) 표층의 성분으로서,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의 첨가량을 c 중량부,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의 첨가량을 d 중량부로 했을 때, 이들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면, 더욱 양호한 밀착성 및 인출성을 달성할 수 있다.When the addition amount of the hydrogenated terpene resin as the component of the surface layer (A) is d parts by weight and the amount of the aliphatic hydrocarbon which is a liquid at room temperature, respectively, when (A)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better adhesion and drawability are obtained. Can be achieved.

d ≥ 0.75 × c + 3.8d ≥ 0.75 × c + 3.8

즉, (S3)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와 (S4)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를 특정한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필름은 표면이 적절히 가소화될 수 있고, 더욱 양호한 밀착성과 인출성을 발현할 수 있다. That is, by mixing (S3) hydrogenated terpene resin and (S4) aliphatic hydrocarbons that are liquid at room temperature in a specific ratio, the resulting film can be appropriately plasticized, and can exhibit better adhesion and drawability.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A) 표층에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양으로 산화 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첨가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같은 지방족 다가 알코올의 지방족 에스테르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는 방담 (防曇), 가소화, 가공성 개선 및 대전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습윤한 식품 재료를 상기 지방족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필름으로 포장하여 전자 레인지에서 가열했을 때, 랩 표면 상에 기포가 나타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A well-known additive, such as antioxidant, can be added to the surface layer (A) containing a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in the quantity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However, the additive preferably does not contain aliphatic esters of aliphatic polyhydric alcohols, such as glycerin fatty acid esters. The additive is used for the purpose of antifogging, plasticization, processability improvement and antistatic.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et food material is packaged with a film containing the aliphatic ester and heated in a microwave oven, bubbles may appear on the wrap surface to cause discomfort to the user.

본 발명의 필름은 상기 (A) 표층에 인접한 (B) 코어층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A) 표층의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가 블리드 현상에 의해 (B) 코어층으로 이행함으로써 밀도 구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표층 중에 적당한 양의 지방족 탄화수소만 보유시킬 수 있게 된다. (B) 코어층을 형성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A) 표층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식품 포장에 대한 규격을 통과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lm of this invention has the (B) core layer adjacent to said (A) surface layer. This structure prevents the density gradient from being generated when the aliphatic hydrocarbon, which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A) at the surface layer, migrates to the core layer (B) by the bleeding phenomenon, so that only an appropriate amount of aliphatic hydrocarbon can be retained in the surface layer.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forming the core layer (B) may be similar to that used in the surface layer (A). It is desirable to pass the specifications for food packaging.

본 발명의 (B) 코어층에 사용되는 (C2)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는 액상 파라핀, 광물유 및 백색 광물유 등의 포화 탄화수소이다. 이들의 물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40 ℃에서의 동점도가 10 내지 80 cSt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40 cSt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liphatic hydrocarbons that are liquid at room temperature (C2) used in the core layer (B)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aturated hydrocarbons such as liquid paraffin, mineral oil and white mineral oil. Although these physical properties are not specifically limited, Usually, it is preferable that kinematic viscosity in 40 degreeC is 10-80 cSt,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10-40 cSt.

(C1)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C2)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의 총량을 100 중량%로 가정했을 때, (C2) 지방족 탄화수소의 첨가량은 블리드 인 현상을 억제하고, 시간이 지난 후에도 밀착성·인출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2 중량% 이상, 탄력감 및 안정된 필름 형성성 면에서는 20 중량% 이하이다. 첨가량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 중량%이다. Assuming that the total amount of the (C1)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C2) the aliphatic hydrocarbon that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is 100% by weight, the addition amount of the (C2) aliphatic hydrocarbon suppresses the bleed-in phenomenon and adheres even after time passes. In order to maintain drawability, it is 20 weight% or less from a viewpoint of 2 weight% or more and a feeling of elasticity and stable film formability. The addition amount is preferably 2 to 15%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12% by weight.

(A) 표층의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는 블리드 인 현상으로 인해 (A) 표층으로부터 (B) 코어층으로 이행하여, (A) 표층 중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에 대한 지방족 탄화수소의 비율이 저하한다. 따라서, 초기 단계에 얻어진 밀착성 및 인출성이 변한다. 블리드 인 현상에 대한 대책으로서, (A) 표층의 구성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고려하기 쉽지만, 높은 밀착성을 발현하기 위해서 (A) 표층은 유연한 조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대책은 필름 전체의 탄성률을 저하시켜 탄력감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저점도의 지방족 탄화수소를 (A) 표층과 인접한 (B) 코어층에 특정량 첨가함으로써 블리드 인 현상을 억제하여, 필름 전체의 탄성률을 크게 저하시키는 일 없이, 밀착성 및 인출성을 유지할 수 있다. (A) Aliphatic hydrocarbons that are liquid at room temperature of the surface layer migrate from the surface layer (A) to the core layer (B) due to the bleed-in phenomenon, and the ratio of the aliphatic hydrocarbon to the hydrogenated terpene resin in the surface layer (A) decreases. Therefore, the adhesiveness and drawability obtained at the initial stage change.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e bleed-in phenomenon, it is easy to consider increasing the composition ratio of (A) surface layer, but in order to express high adhesiveness, (A) surface layer has a flexible composition. Therefore, such a countermeasure lowers the elasticity modulus of the whole film and remarkably reduces the elasticity.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specific amount of a low-viscosity aliphatic hydrocarbon to the core layer adjacent to the (A) surface layer, the bleed-in phenomenon is suppressed, and the adhesion and drawability are not reduced significantly. I can keep it.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A) 표층의 지방족 탄화수소의 블리드 인 현상을 원활히 제어할 수 있다. (A) 표층의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의 양을 d 중량부, (B) 코어층의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의 양을 e 중량%로 하고, (B) 코어층에 대한 (A) 표층 (표층이 (B) 코어층의 양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합계)의 부피비를 f로 가정했을 때, 그 양이 하기 수학식 2를 만족시키는 경우, 밀착성 및 인출성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필름의 탄력감을 만족시킬 수 있다.In the following manner, the bleed-in phenomenon of the aliphatic hydrocarbon in the surface layer (A) can be smoothly controlled. (A) The amount of aliphatic hydrocarbon that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of surface layer is d weight part, (B) The amount of aliphatic hydrocarbon that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of core layer is e weight%, (B) Surface layer with respect to (B) core layer Assuming that the volume ratio of (the total when the surface layer is provided on both surfaces of the core layer (B)) is f, when the amount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2), the adhesiveness and the drawability are maintained in a good state, The elasticity of the film can be satisfied.

0.13 × d/(3√f) ≤ e ≤ 0.66 × d0.13 × d / (3√f) ≤ e ≤ 0.66 × d

(B) 코어층에는 최고 융점이 200 ℃ 이상인 수지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4-메틸펜텐-1) 수지와 같은 최고 융점이 높은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170 ℃ 이상의 높은 내열성을 발현하지만, 동시에 얻어지는 필름의 탄성률이 커진다. 그 결과, 목적하는 밀착성을 달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탄력감을 비롯한 사용 편의성도 나빠질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B) core layer does not contain resin whose highest melting | fusing point is 200 degreeC or more. By adding resin with the highest melting | fusing point like poly (4-methylpentene-1) resin, although high heat resistance of 170 degreeC or more is expressed, the elasticity modulus of the film obtained simultaneously becomes large. As a result, not only the desired adhesiveness may not be achieved, but also the ease of use including elasticity may worsen.

성형성 또는 형성성을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B) 코어층의 조성물에 산화 방지제 등의 공지된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In order to maintain moldability or formability, well-known additives, such as antioxidant, can be added to the composition of (B) core layer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objective of this invention.

층 구성비로서는, (B) 코어층에 대한 (A) 표층의 부피비를 f로 가정했을 때, f가 0.2 내지 2.7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A) 표층의 부피비가 0.2 미만인 경우, 필름 전체에 걸쳐 밀착성을 발휘할 수는 없다. 반면, 2.7을 초과하는 경우, 필름이 부드럽게 되고 탄력감이 저하되므로, 필름의 사용 편의성이 나빠진다. As layer composition ratio, when a volume ratio of (A) surface layer with respect to (B) core layer is assumed to be f, it is preferable that f is the range of 0.2-2.7. (A) When the volume ratio of a surface layer is less than 0.2, adhesiveness cannot be exhibited over the whole film. On the other hand, when it exceeds 2.7, since a film becomes soft and a elasticity falls, the usability of a film worsens.

(A) 표층이 코어층의 양면 상에 있는 경우 (A) 표층의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어느 면인지 구별할 필요가 없으므로 거의 동일한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When (A) surface layer exists on both surfaces of a core layer, the ratio of (A) surface layer is not restrict | limited in particular,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distinguish which sid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lmost the same ratio.

다층 필름은 (A) 표층과 (B) 코어층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예를 들면 제조시 형성된 트림 단을 포함하는 리워크 (rework)층 등의 다른 층을 가질 수 있다. 밀착성과 인출성 사이의 균형을 고려하며, 다른 층은 전체 층의 5 중량% 이하이고, 동시에 전체 부피비의 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A) 표층과 (B) 코어층이 인접한 상태를 잃지 않도록 다른 층을 적층시켜야 한다. The multilayer film may have other layers besides (A) surface layer and (B) core layer, for example, a rework layer including a trim end formed during manufactur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sidering the balance between adhesion and drawability, the other layer is preferably 5% by weight or less of the total layer and at the same time 5% or less of the total volume ratio. However, another layer must be laminated so that (A) surface layer and (B) core layer do not lose adjacent state.

본 발명의 랩 필름의 밀착성에 관한 지표로서 "밀착 에너지"의 용어를 사용한다. "밀착 에너지"란 용기나 식품에 랩 필름을 씌웠을 때 필름-대-필름 또는 필름-대-용기의 밀착성을 평가하는 지표이다. 이 밀착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랩 필름에서 인출성과 함께 중요한 특성이다. 상기 밀착 에너지는 서로 밀착시킨 필름을 분리시킬 때 필요한 에너지에 의해 측정된다. 상세한 측정 방법은 후술될 것이다. 이 밀착 에너지는 적절한 밀착성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mJ,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mJ이다. The term "adhesion energy" is used as an index on the adhesion of the wrap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dhesive energy" is an index that evaluates the adhesion of a film-to-film or film-to-container when a wrap film is placed on a container or food. This adhesivenes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along with the drawability in the wrap film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on energy is measured by the energy required to separate the film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Detailed measurement methods will be described later. This adhesion energy is preferably 1.0 to 3.0 mJ, more preferably 1.5 to 2.5 mJ in terms of appropriate adhesion.

본 발명에 사용된 랩 필름의 "인출력"은 밀착성만큼 중요한 특성이고, 수납 상자에 넣어진 권회 필름으로부터 필름을 인출할 때의 용이함을 평가한다. 인출력은 후술하는 방식으로 측정한다. 이 인출력은 양호한 인출성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000 mN,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800 mN,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600 mN이다. The "printing power" of the wrap fil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perty that is as important as adhesiveness, and evaluates the ease in taking the film out of the wound film enclosed in the storage box. In-output is measured by the method mentioned later. This pull-out power is preferably 200 to 1000 mN, more preferably 200 to 800 mN, still more preferably 200 to 600 mN in terms of good drawability.

랩 필름은 예를 들면 일반 가정의 주방이나 업무용 조리장 등, 고온다습한 조건하에 보관되는 경우가 있다. 보관 중에 밀착 에너지 및 인출력이 크게 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화의 지표로서, 종이관에 감긴 상태의 랩 필름을 40 ℃ 및 상대 습도 20 %에서 3주 동안 방치시킨 전후의 밀착 에너지 또는 인출력의 변화율을 이용한다. 밀착 에너지의 변화율은 -20 내지 +50 %가 바람직하고, 인출력의 변화율은 -50 내지 +20 %가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랩 필름이 제품으로서 유통 및 소비되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밀착성과 인출성 사이의 균형이 무너지는 경우는 없을 것이다. The wrap film may be stored unde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for example, in a general home kitchen or a work cooker. It is desirable that the adhesion energy and the phosphorus output do not change significantly during storage. As an indicator of such a change, the rate of change of adhesion energy or withdrawal power before and after leaving the wrap film wound on a paper tube for 3 weeks at 40 ° C. and 20% relative humidity is used. The change rate of the adhesion energy is preferably -20 to + 50%, and the change rate of the pulling output is preferably -50 to + 20%. Within this range, there will be no case where the balance between adhesion and drawability is broken during the period until the wrap film is distributed and consumed as a product.

원자간력 현미경 (AFM) 캔틸레버의 자극에 기인한 위상 정보를 영상화하는 경우, 본 발명의 필름 표면은 소정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캔틸레버의 자극에 기인한 위상 정보를 40,000배의 배율로 관찰하면, 지연이 적은 부분, 즉 경질 부분은 밝은 위상 이미지로 나타나고, 지연이 큰 부분, 즉 연질 부분은 어두운 위상 이미지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랩 필름 중 목적하는 필름 표면을 상기 방법으로 관찰하면, 섬유상의 망상 구조와 그 사이에 존재하는 매트릭스가 있다. 이렇게 관찰된 이미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망상 구조"란 이미지에서 연속적으로 밝게 보이는 부분을 말하며, "매트릭스"란 이 망상 구조에 둘러싸인 불연속적이고 어둡게 보이는 부분을 말한다. 이 연속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섬유상의 밝은 부분을 "피브릴 망상 구조"로 하고, 불연속적인 어두운 부분을 "매트릭스"로 부르기로 한다. 10 mm × 10 mm의 영역에서 무작위로 2 미크론 × 2 미크론 크기의 이미지 50개를 선택한다. 이들 이미지로부터, 피브릴의 폭이 가장 균일하고, 각 피브릴 사이의 거리도 가장 균일한 부분을 뽑아낸다. 이렇게 뽑아낸 이미지로부터 피브릴의 폭 및 피브릴 사이의 거리를 100개씩 선택하고, 이 중 상하 10개씩을 제외시키고 그들의 평균값을 구하여, 각각 후술하는 피브릴의 폭 및 매트릭스의 크기로 한다. When imaging phase information resulting from stimulation of an atomic force microscope (AFM) cantilever, the film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predetermined structure. When the phase information attributable to the stimulus of the cantilever is observed at a magnification of 40,000 times, the portion with low delay, that is, the hard portion, appears as a bright phase image, and the portion with high delay, that is, the soft portion, appears as a dark phase image. When the desired film surface of the wrap film of this invention is observed by the said method, there exists a fibrous network structure and the matrix which exists between them. This observed image is shown in FIG. 1. "Network structure" refers to the parts of the image that are continuously bright, and "matrix" refers to the discontinuous and dark parts that are surrounded by this network. This continuously visible fibrous bright part is referred to as a "fibrillary network structure", and the discontinuous dark part is referred to as a "matrix". Randomly select 50 images of 2 microns by 2 microns in an area of 10 mm by 10 mm. From these images, the part where the fibrill is the most uniform in width, and the distance between each fibrill is also uniform. The fibril width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brils are selected from the extracted images by 100,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se are excluded from each other, and their average values are calculated, and the widths of the fibrils and the matrix are described below.

이 피브릴의 평균 폭은 1 nm 이상, 100 n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에 있으면, 필름 표면의 평활성이 유지되어 밀착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평균 폭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nm 이상, 50 nm 이하이다. As for the average width of this fibril, 1 nm or more and 100 nm or less are preferable. If it is in this range, the smoothness of the film surface is maintained and adhesiveness can be improved more. The average width is more preferably 10 nm or more and 50 nm or less.

매트릭스의 크기 (즉, 피브릴-대-피브릴의 평균 거리)는 3 nm 이상, 1 ㎛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범위 내에 있으면,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밀착 성분은 필름 표면 상에 망상 구조로 유지되어, 필요 이상으로 표면에 노출되지 않고 밀착성과 인출성 사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매트릭스의 크기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nm 이상, 50 nm 이하의 범위이다. The size of the matrix (ie, the average distance of fibrils-to-fibrils) is preferably at least 3 nm and at most 1 μm. If it is in this range, the adhesive component which comprises a matrix is maintained in a network structure on the film surface, and can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adhesiveness and drawability without being exposed to a surface more than necessary. The size of the matrix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nm or more and 50 nm or less.

본 발명의 망상 구조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결정성 부분이 주로 피브릴을 형성하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비결정성 부분, 유연제,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및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가 주로 매트릭스를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브릴이 특정한 크기의 망상 구조를 취함으로써, 밀착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 매트릭스 부분의 유연화된 성분은 피브릴에 의해 유지되고, 밀착성의 발현에 필요한 최소량만 표면에 존재하여, 양호한 밀착성 및 인출성을 모두 발현할 수 있게 된다. In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ystalline portion of the polypropylene resin mainly forms fibrils, and the amorphous portion of the polypropylene resin, a softening agent, a hydrogenated terpene resin, and an aliphatic hydrocarbon which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mainly form a matrix. . As mentioned above, the fibrils take a network of a certain size, so that the softened component of the matrix portion that greatly affects the adhesion is retained by the fibrils, and only the minimum amount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adhesion is present on the surface, so that Both adhesiveness and drawability can be expressed.

망상 구조를 갖지 않는 필름 표면 상에 유연화된 성분이 국지적으로 존재하는 경우, 또는 유연화된 부분이 본 발명에서 특정된 망상 구조의 구멍의 크기보다도 큰 형태로 바다-섬 구조로서 존재하고 있는 경우는, 밀착성을 부여하는 성분이 표면 상에 균일하게 존재하지 않고, 밀착성과 인출성 사이의 균형을 저하시킨다. When the softened component is present locally on the film surface having no network structure, or when the softened portion is present as a sea-island structure in a form larger than the size of the hole of the network structure specifi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 providing the adhesion is not uniformly present on the surface, and the balance between the adhesion and the drawability is lowered.

본 발명의 필름은 특정한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장 탄성률이 200 내지 1000 MPa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 탄성률은 ASTM-D-882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인장력 시험기 (신꼬 츠신 고교사 (Shinko Tsushin Kogyosha) 제조의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를 사용하여 필름의 종방향 (MD 방향) 및 횡방향 (MD 방향에 대해 수직인 TD 방향)의 2 % 왜곡시의 인장 탄성률의 평균값을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인장 탄성률은 필름의 유연성, 탄력감 및 사용 편의성 면에서 200 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연성, 밀착성 및 사용 편의성 면에서 1000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MPa 이상, 700 MPa 미만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pecific flexibility. More specifically, the tensile modulus is preferably 200 to 1000 MPa. Tensile modulus is the longitudinal (MD direction) and transverse (MD direction) of the film using a tensile force tester (a universal tensile compression tester manufactured by Shinko Tsushin Kogyosha)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ASTM-D-882. It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average value of the tensile modulus of elasticity at the time of 2% distortion of the TD direction perpendicular | vertical with respect to). The tensile modulus is preferably 200 MPa or more in terms of flexibility, elasticity and ease of use of the film, and preferably 1000 MPa or less in view of flexibility, adhesion and ease of use. More preferably, it is 400 MPa or more and less than 700 MPa.

본 발명의 필름의 두께는 포장용 필름으로서의 강도, 탄력감 및 포장할 때의 사용 편의성 면에서 3 ㎛ 이상이 바람직하고, 포장될 물품에 대한 밀착성, 필름의 사용 편의성, 가정용 랩 필름의 경우 그의 중량 및 롤의 직경, 및 사용시의 취급 용이성의 관점에서 25 ㎛ 이하가 바람직하다. 특히, 밀착성 및 인출성의 사용 편의성 등이 요구되는 가정용 식품 포장 랩 필름으로서는 그 두께가 6 내지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3 μm or more in view of strength, elasticity, and ease of use in packaging, and adhesion to the article to be packaged, ease of use of the film, its weight and roll in the case of household wrap film 25 micrometers or less are preferable from a viewpoint of the diameter and the ease of handling at the time of use.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is 6-15 micrometers as a household food packaging wrap film for which adhesiveness, drawability, ease of use, etc. are calculated | required.

본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공지된 필름 형성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A) 표층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압출기에서 용융 및 혼련시켜 제조된다. 상온에서 고체인 유연제 및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는 시판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펠릿과 함께 소정량을 블렌더에 충전된다. 충분히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이렇게 얻은 혼합물을 표층용 압출기에 충전한다. (A) 표층 및 (B) 코어층의 지방족 탄화수소는 상온에서 액체이므로, 표층 및 코어층용 압출기 각각의 스크류의 중간에 각각 액체 주입 설비를 설치하여 용융 가소화된 수지에 첨가한다. 적절한 압출 조건으로 혼련시켜 조성물을 균일하게 하고, 다층 다이 등에 의해 표층, 코어층, 및 필요에 따라 리워크층을 갖는 다층 필름으로 압출시킨다. 또한, 미리 (A) 표층 및 (B) 코어층을 위한 각각의 조성물을 중도 첨가가 가능한 이축 압출기 등의 공지된 장치에서 충분히 용융 혼련하고, 얻어진 물질을 펠릿화한 후 표층 및 코어층용 압출기에 각각 부을 수 있다.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is film, a well-known film formation method can be used. (A) The surface layer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is manufactured by melting and kneading in an extruder. The softener and hydrogenated terpene resin, which are solid at room temperature, are filled in a blender with a predetermined amount together with commercially available polypropylene resin pellets. After mixing sufficiently uniformly, the mixture thus obtained is filled into an extruder for the surface layer. Since the aliphatic hydrocarbon of (A) surface layer and (B) core layer is a liquid at normal temperature, a liquid injection facility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each screw of the extruder for surface layer and a core layer, and is added to melt plasticized resin. The composition is uniformed by kneading under appropriate extrusion conditions and extruded into a multilayer film having a surface layer, a core layer, and a rework layer, if necessary, with a multilayer die or the like. Furthermore, each composition for (A) surface layer and (B) core layer is melt-kneaded sufficiently in well-known apparatuses, such as a twin screw extruder which can add intermediate | middle, and the obtained material is pelletized, and each in the extruder for surface layers and a core layer, respectively You can call

다층 구조, 예를 들면 3층 구조를 갖는 필름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표층용 압출기와 코어층용 압출기를 병렬로 배치하여, 이들에 각각 소정의 수지를 충전한 다음 충분히 용융 혼련한다. 이들의 하류측에서, 이들 압출기로부터의 수지를 3개의 층을 갖도록 합류시킨 다음, 원형 다이 또는 슬릿형 배출 포트를 갖는 T 다이를 이용하여 시트 형태로 압출시킨다. 이렇게 압출된 수지를 냉각수 탱크에 통과시키거나, 냉풍이나 냉각 롤에 접촉시키는 등, 공지된 방식으로 냉각시켜 고화시킨다. 압출된 시트 표면의 냉각 온도는 표면의 평활성 및 외관 면에서 10 ℃ 이상이 바람직하고, (A) 표층에 혼입된 밀착제로 인한 표면 상의 블리드 현상 방지 또는 밀착성 면에서 50 ℃ 이하가 바람직하다. A film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for example, a three layer structure, can be produced as follows. The surface extruder and the core layer extruder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these are filled with predetermined resins, respectively, and then melt kneaded sufficiently. On their downstream side, the resins from these extruders are joined to have three layers and then extruded into sheet form using a T die with a circular die or a slit discharge port. The extruded resin is allowed to cool and solidify in a known manner such as passing through a cooling water tank or contacting a cold air or a cooling roll. The cooling temperature of the extruded sheet surface is preferably 10 ° C. or more in terms of smoothness and appearance of the surface, and (A) 50 ° C. or less in view of preventing bleeding on the surface or adhesion due to the adhesive agent incorporated into the surface layer.

롤법 또는 텐터법에 의한 1축 연신이나 2축 연신 또는 관형법에 의한 다축 연신 등의 통상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필름으로서의 강도 및 식품 포장용 랩 필름으로서 사용된 필름의 절단성을 고려하여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2배 이상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방향과 횡방향의 연신비가 동일할 필요는 없다. 관형법에 의한 다축 연신에 의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2 이상의 연신비로 연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신을 종료한 후, 필름 단부를 트리밍하거나 목적하는 크기로 절단하거나, 또는 종이관 둘레에 권취함으로써 필름을 의도한 형태로 형성시킨다.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as a film and the cutting property of the film used as a wrap film for food packaging by a conventionally well-known method, such as uniaxial stretching by the roll method or the tenter method, biaxial stretching by the tubular method, etc. (Or) It is preferable to extend | stretch 2 times or mor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stretching ratio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need not be the same. It is more preferable to extend | stretch at two or more draw ratio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ateral direction by multiaxial stretching by a tubular method. After finishing the stretching, the film is formed into the intended shape by trimming the end of the film, cutting to the desired size, or winding around the paper tube.

관형법에 의해 다축 연신으로 얻은 필름은 그의 열수축률을 조정하기 위해 공지된 방법으로 열고정시킬 수 있다. 이 목적에 사용가능한 방법의 예로는 MD 방향에서 필름의 운동을 구속하면서 롤로부터의 접촉 가열 또는 적외선에 의해 간접 가열하는 방법; 텐터로 횡방향에서 필름의 운동을 구속하면서 열풍 또는 복사열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 및 다시 기포를 형성하면서 열풍 또는 복사열에 의해 가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The film obtained by the multiaxial stretching by the tubular method can be heat-set by a known method in order to adjust its thermal contraction rate. Examples of methods usable for this purpose include a method of indirect heating by infrared heating or contact heating from a roll while constraining the motion of the film in the MD direction; Heating by hot air or radiant heat while constraining the movement of the film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a tenter; And a method of heating by hot air or radiant heat while forming bubbles again.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은 랩 필름의 성능으로서 요구되는 밀착성과 인출성 사이의 균형뿐만 아니라, 투명성, 내열성, 적절한 유연성, 양호한 촉감, 절단성 및 안전성이 우수하여, 가정용의 식품 포장용 랩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Th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 balance between the adhesion and drawability required as the performance of the wrap film, but also excellent in transparency, heat resistance, adequate flexibility, good feel, cutting property and safety, and is therefore preferably used as a wrap film for food packaging for home use. Used.

이하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실시양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양태이고,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 및 비교예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의 성능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se are eac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the film obtained by this invention and a comparative example is as follows.

(밀착 에너지)(Adherence energy)

식기 등의 용기나 식품에 랩 필름을 씌웠을 때 필름-대-필름의 밀착성을 평가하였고,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The adhesiveness of the film-to-film was evaluated when the wrap film was put on a container or food such as a tableware, and measured as follows.

하부 면적이 25 ㎠이고 중량이 400 g인 2개의 컬럼을 준비했다. 각각의 하부 표면에 동일한 면적의 여과지를 미리 접착시켜 두었다. 이 여과지를 접착시킨 각각의 하부 표면에 랩 필름을 주름이 지지 않도록 팽팽하게 고정시켰다. 내부에서 필름 표면을 밀접히 맞추고 상기 2개의 컬럼을 모두 23 ℃ 및 RH 50 %의 조건하에 하중 500 g으로 1 분 동안 압착하였다. 그 후, 겹쳐진 필름을 인장력 시험기 (신꼬 츠신 고교사 제조의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에서 1 분 당 5 mm의 속도로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분리하고, 이 때에 발생한 에너지 (mJ)를 밀착 에너지로 하였다. Two columns with a bottom area of 25 cm 2 and a weight of 400 g were prepared. The same area of filter paper was previously bonded to each lower surface. The wrap film was firmly fixed to each lower surface to which the filter paper was adhered so as not to be wrinkled. The film surface was closely aligned inside and both columns were pressed for 1 minute at a load of 500 g under conditions of 23 ° C. and RH 50%. Subsequently, the superimposed film was separa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at a speed of 5 mm per minute in a tensile force tester (a universal tensile compression tester manufactured by Shinkotsu Shin Kogyo Co., Ltd.), and the energy (mJ) generated at this time was used as the adhesion energy. .

(밀착 에너지의 변화) (Change of adhesion energy)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밀착 에너지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형성 후 23 ℃ 및 RH 50 %에서 24 시간이 지난 랩 필름의 밀착 에너지, 및 이 랩 필름을 40 ℃ 및 RH 20 %의 분위기 하에서 21 일 동안 보관한 후의 밀착 에너지를 상기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The stability of the adhesion energy over time was evaluated. The adhesion energy of the wrap film after 24 hours at 23 ° C. and RH 50% after formation, and the adhesion energy after storing the wrap film under an atmosphere of 40 ° C. and RH 20% for 21 days were measured by the above method.

보관 전의 밀착 에너지를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The adhesion energy before storag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1.5 mJ 이상, 2.5 mJ 미만 ◎: 1.5 mJ or more, less than 2.5 mJ

○: 0.5 mJ 이상, 1.5 mJ 미만, 또는 2.5 mJ 이상, 3.5 mJ 미만○: 0.5 mJ or more, less than 1.5 mJ, or 2.5 mJ or more, less than 3.5 mJ

△: 3.5 mJ 이상, 4.0 mJ 미만△: 3.5 mJ or more, less than 4.0 mJ

×: 0.5 mJ 미만, 또는 4.0 mJ 이상 ×: less than 0.5 mJ or 4.0 mJ or more

온도 40 ℃ 및 RH 20 %의 분위기 하에 21 일 동안 보관한 전후의 랩 필름의 밀착 에너지에 대한 변화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The change of the adhesive energy of the wrap film before and after storing for 21 days in the temperature of 40 degreeC and RH20% atmosphere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reference | standard.

◎: -20 % ≤ (변화) < +50 %◎: -20% ≤ (change) <+ 50%

○: -50 % ≤ (변화) < -20 %, 또는 +50 % ≤ (변화) < +75 %○: -50% ≤ (change) <-20%, or + 50% ≤ (change) <+ 75%

△: (변화) < -50 %, 또는 +75 % ≤ (변화)Δ: (change) <-50%, or + 75% ≤ (change)

×: 필름을 인출할 수 없어 측정 불능×: film cannot be taken out and cannot be measured

(인출력) (Output)

권회 필름으로부터 랩 필름의 인출성을 다음의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The drawability of the wrap film from the wound film was evaluated in the following manner.

폭 300 mm의 필름 슬릿을 외경 41 mm, 내경 38 mm, 폭 308 mm의 종이관 둘레에 20 N의 장력, 1 분 당 100 m의 속도로 감아 길이 20 m의 권취 필름을 제조하였다. A film slit of 300 mm in width was wound around a paper tube of 41 mm in outer diameter, 38 mm in inner diameter and 308 mm in width at a tension of 20 N and a speed of 100 m per minute to prepare a wound film of 20 m in length.

상기 권취 필름의 종이관의 양 말단을 적은 하중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를 가진 전용의 지그 (jig)에 끼워서 고정하고, 이 지그를 인장력 시험기 (신꼬 츠신 고교사 제조의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의 하부에 고정하였다. 필름의 말단부를 폭 330 mm의 상부 고정 도구에 접착하여 고정시키고, 1 분 당 1000 mm의 속도로 필름을 풀면서 얻어지는 힘을 측정하였다. 이 때의 최대 하중을 인출력으로 하였다. Both ends of the paper tube of the winding film are fixed by being fitted into a dedicated jig having a rotating part rotating with a small load, and the jig is fixed to a lower part of a tensile tester (a universal tensile compression tester manufactured by Shinkotsu Shin Kogyo Co., Ltd.). It was. The distal end of the film was adhered to and fixed by an upper fixing tool having a width of 330 mm, and the force obtained while unwinding the film at a speed of 1000 mm per minute was measured. The maximum load at this time was taken as the output.

이 인출력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해, 형성 후 24 시간이 지난 샘플의 인출력, 및 40 ℃ 및 RH 20 %의 분위기 하에 21 일 동안 보관한 샘플의 인출력을 측정하였다.In order to determine the change over time of this withdrawal, the withdrawal of the sample after 24 hours after formation and the withdrawal of the sample stored for 21 days in an atmosphere of 40 ° C. and RH 20% were measured.

보관 전의 인출력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The printout before storag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50 mN 이상, 600 mN 미만 ◎: 50 mN or more, less than 600 mN

○: 600 mN 이상, 1200 mN 미만○: 600 mN or more, less than 1200 mN

△: 1200 mN 이상, 1500 mN 미만△: 1200 mN or more, less than 1500 mN

×: 50 mN 미만, 또는 1500 mN 이상 X: less than 50 mN or 1500 mN or more

온도 40 ℃ 및 RH 20 %의 분위기 하에 21 일 동안 보관한 샘플의 인출력을 보관 전의 인출력과 비교하여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The in-output of the samples stored for 21 days in an atmosphere of temperature 40 ° C. and RH 20%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in comparison with the in-output before storage.

◎: -50 % ≤ (변화) < +20 %◎: -50% ≤ (change) <+ 20%

○: -80 % ≤ (변화) < -50 %, 또는 +20 % ≤ (변화) < +50 %○: -80% ≤ (change) <-50%, or + 20% ≤ (change) <+ 50%

△: (변화) < -80 %, 또는 +50 % ≤ (변화)Δ: (change) <-80%, or + 50% ≤ (change)

×: 필름을 인출할 수 없어 측정 불능×: film cannot be taken out and cannot be measured

(투명성) (Transparency)

ASTM-D-103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NDH-300A" (닛뽄 덴쇼꾸 인더스트리즈사 (Nippon Denshoku Industries, Ltd.) 제조)를 사용하여 필름의 어두운 정도 (cloudiness)를 측정하고, 하기의 기준에 따라 투명성을 평가하였다.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ASTM-D-103, "NDH-300A" (manufactured by Nippon Denshoku Industries, Ltd.) was used to measure the cloudiness of the film,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Transparency was evaluated.

◎: 1.0 미만 ◎: less than 1.0

○: 1.0 이상, 2.0 미만○: 1.0 or more, less than 2.0

△: 2.0 이상, 3.0 미만(Triangle | delta): 2.0 or more and less than 3.0

×: 3.0 이상 ×: 3.0 or more

(내열성)(Heat resistance)

내열성을 평가하기 위해, 도꾜도 소비 생활 조례 제11조에 기초하여 내열 온도를 측정하였다. 내열 온도가 140 ℃ 이상인 필름을 ◎, 130 ℃ 또는 135 ℃인 것을 ○, 125 ℃ 이하의 것에 대해서는 △로 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heat resistance, heat resistance temperature was measured based on the Article 11 of the Tokyo Metropolitan Government. The thing of (circle), 130 degreeC, or 135 degreeC of the film whose heat resistance temperature is 140 degreeC or more was made into (triangle | delta) about the thing of (circle) and 125 degrees C or less.

(유연성)(flexibility)

유연성을 평가하기 위해, ASTM D882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인장력 시험기 (신꼬 츠신 고교사 제조의 만능 인장 압축 시험기)를 사용하여 필름의 종방향 (MD) 및 횡방향 (TD)의 2 % 왜곡시의 인장 탄성률을 측정하였다. 이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flexibility, the tensile strength tester (a universal tensile compression tester manufactured by Shinko Tsshin Kogyo Co., Ltd.) was us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described in ASTM D882 to obtain tensile strength at 2% distortion in the longitudinal (MD) and transverse (TD) directions of the film. Elastic modulus was measured. This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횡방향 및 종방향에서 필름의 인장 탄성률의 평균값에 있어서, In the average value of the tensile modulus of the film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 400 MPa 이상, 700 MPa 미만 ◎: 400 MPa or more, less than 700 MPa

○: 200 MPa 이상, 400 MPa 미만, 또는 700 MPa 이상, 1000 MPa 미만○: 200 MPa or more, less than 400 MPa, or 700 MPa or more, less than 1000 MPa

△: 100 MPa 이상, 200 MPa 미만△: 100 MPa or more, less than 200 MPa

×: 100 MPa 미만, 또는 1000 MPa 이상×: less than 100 MPa or 1000 MPa or more

(촉감)(touch)

촉감을 평가하기 위해, 무작위로 뽑은 주부 50 명에게 요청하여 필름의 감촉을 감각 수용적으로 평가하여고, 하기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In order to evaluate the touch, 50 randomly selected housewives were asked to evaluate the texture of the film in a sensory receptive manner, and the following criteria were evaluated.

◎: 감촉이 좋다고 평가한 사람이 45명 이상 (Double-circle): 45 people or more evaluated that the texture was good

○: 감촉이 좋다고 평가한 사람이 40명 이상, 45명 미만(Circle): 40 or more and less than 45 people evaluated that texture was good

△: 감촉이 좋다고 평가한 사람이 30명 이상, 40명 미만(Triangle | delta): More than 30 people and less than 40 people evaluated that texture was good

×: 감촉이 좋다고 평가한 사람이 30명 미만X: Less than 30 people evaluated that texture was good

(절단성)(Cleavability)

얻어진 필름을 종이관 둘레에 폭 300 mm, 권취 길이 20 m로 권취하고, 이것을 "사란 랩 (Saran Wrap)" (상표명;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Asahi Kasei Corporation) 제조)이란 수납 상자에 넣었다. 이 필름을 상자에 부착된 블레이드로 절단하였다. 그 때의 절단 상태로부터 하기의 기준에 의해 필름의 절단성을 평가하였다. The obtained film was wound around a paper tube at a width of 300 mm and a winding length of 20 m, and placed in a storage box called "Saran Wrap" (trade name; manufactured by Asahi Kasei Corporation). The film was cut into blades attached to the box. From the cut state at that time, the cutability of the film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criteria.

◎: 가벼운 힘으로 깨끗이 절단 가능◎: light cutting force

○: 다소의 힘이 필요하지만 깨끗이 절단 가능○: some force is required, but can be cut clean

△: 절단 가능하지만 용이하지 않음△: cutable but not easy

×: 원활히 절단할 수 없고, 종종 필름이 절단되지 않고 신장되거나, 비스듬히 찢어지거나, 필름 절단시 힘이 지나치게 걸려 수납 상자가 파손됨 ×: Unable to cut smoothly, often the film is elongated without being cut, or is torn at an angle, or the storage box is broken due to excessive force when cutting the film

(필름의 표면 관찰)(Observing the surface of the film)

원자간력 현미경의 위상 이미지로서 필름 표면을 관찰하였다. 필름을 유리에 접착 고정하고, 표면을 "나노 스코프 (Nano Scope) IIIa" (상표명; 디지탈 인스트루먼트사 (Digital Instrument) 제조)의 탭핑 (Tappimg) 모드로 위상 이미지를 관찰하였다. Si 단결정의 캔틀레버 (용수철 상수: 0.07 내지 0.58 N/m)를 이용하고, 주사율이 0.5 내지 1 Hz, 주사 크기가 2 ㎛이며, Z 한계가 440 V, 샘플링 점수가 512512인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필름에 따라, 캔틸레버의 접촉압을 제어한 결과, 목표 진폭이 2 V인 경우에는 설정점이 0.8 내지 1.4 V, 목표 진폭이 4 V인 경우에는 설정점이 2.0 내지 3.5 V의 범위였다. 10 mm × 10 mm의 영역의 샘플로부터 무작위로 2 ㎛ × 2 ㎛의 이미지 50개를 선택하였다. 이들 이미지 중에서, 피브릴의 폭이 가장 균일하고, 각 피브릴 사이의 거리도 가장 균일한 부분을 뽑아냈다. 이렇게 뽑아낸 2 ㎛ × 2 ㎛의 시야를 40,000배로 확대한 80 mm × 80 mm의 이미지로부터, 피브릴의 폭과 피브릴 사이의 거리를 각각 100개씩 선택하였다. 상하로 10개씩을 제외하고 80개의 폭 및 80개의 거리의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평균 폭에 의해 표면 구조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The film surface was observed as a phase image of an atomic force microscope. The film was adhesively fixed to the glass, and the surface was observed with a phase image in a Tapimg mode of "Nano Scope IIIa" (trade name; manufactured by Digital Instrument). The cantilever (spring constant: 0.07-0.58 N / m) of Si single crystal was used, and it measured on the conditions with a scanning ratio of 0.5-1 Hz, a scanning size of 2 micrometers, a Z limit of 440 V, and a sampling score of 512512. According to the film, when the contact pressure of the cantilever was controlled, when the target amplitude was 2V, the set point was 0.8 to 1.4V, and when the target amplitude was 4V, the set point was in the range of 2.0 to 3.5V. 50 images of 2 μm × 2 μm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 sample of an area of 10 mm × 10 mm. Among these images, the width of the fibrils was the most uniform, and the portions with the most uniform distances between the respective fibrils were extracted. From the 80 mm x 80 mm image which enlarged the 2 micrometer x 2 micrometer field of view which extracted this by 40,000 times, the width | variety of fibril and the distance between fibrils were selected,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 of 80 widths and 80 distances was used except 10 up and down. The surface structure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criteria by the average width.

◎: 1 nm 이상, 50 nm 미만 ◎: 1 nm or more, less than 50 nm

○: 50 nm 이상, 100 nm 미만○: 50 nm or more, less than 100 nm

×: 100 nm 이상 ×: 100 nm or more

피브릴 사이의 평균 거리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fibrils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criteria.

◎: 10 nm 이상, 50 nm 미만 ◎: 10 nm or more, less than 50 nm

○: 3 nm 이상, 10 nm 미만, 또는 50 nm 이상, 1000 nm 미만○: 3 nm or more, less than 10 nm, or 50 nm or more, less than 1000 nm

×: 3 nm 미만, 또는 1000 nm 이상 X: less than 3 nm or 1000 nm or more

상기 결과들을 정리하여 필름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모든 평가 항목에서 ◎로 판단된 필름이 가장 우수하고, ◎ 또는 ○의 평가만 받은 경우를 실용상 가능한 정도라고 하며, △ 또는 ×로 판단된 항목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실용상 문제가 있다고 판정하였다. The results were summarized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film. In all evaluation items, the case where the film judged as (circle) was the most excellent and only the evaluation of (circle) or (circle) was evaluated is considered as practically possible, and it was judged that there existed a problem in practical use about the item judged as (triangle | delta) or x.

<실시예 1><Example 1>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그랜드 폴리프로 (Grand Polypro) F327", 상표명; 그랜드 폴리머사 (Grand Polymer Co., Ltd.) 제조, 프로필렌, 에틸렌, 부텐-1의 3원 공중합체), 및 유연제로서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 ("타프머 XR110T" (상표명; 미쯔이 케미컬즈사 제조))를 75:25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클리어론 (Clearon) P125" (상표명; 야스하라 케미컬사 (Yasuhara Chemical Co., Ltd.) 제조)) 5 중량부를 블렌더에 충전한 다음 5 분 동안 상온에서 충분히 혼합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스크류 직경 37 mm, L/D 42의 동일 방향 회전형 이축 압출기 ("TEM-35BS" (상표명; 도시바 머신사 (Toshiba Machine) 제조))에서 용융 상태로 혼련하여 펠릿을 제조하였다.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로서 광물유 ("모레스코 화이트 (MORESCO white) P70" (상표명; 마쯔무라 오일 리서치사 (Matsumura Oil Research) 제조)/(40 ℃에서의 동점도 9.6 cSt))를 배럴의 도중에서 주입 펌프를 통해 첨가하였다. 첨가량은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유연제의 총량을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표층용 수지로 하였다. Crystalline polypropylene-based resin ("Grand Polypro F327", trade name; manufactured by Grand Polymer Co., Ltd., terpolymer of propylene, ethylene, butene-1), and softening agent As a low-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 resin ("Tafmer XR110T" (trade name; Mitsui Chemicals, Inc.)) was mixed in a weight ratio of 75:25.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ulting mixture, 5 parts by weight of a hydrogenated terpene resin ("Clearon P125" (trade name; manufactured by Yasuhara Chemical Co., Ltd.)) was charged to the blender and then 5 minutes. During mixing at room temperature. The resulting mixture was kneaded in a molten state in a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 ("TEM-35BS" (trade name; manufactured by Toshiba Machine)) having a screw diameter of 37 mm and L / D 42 to prepare pellets. Mineral oil (“MORESCO white P70” (trade name; manufactured by Matsumura Oil Research) // (kinetic viscosity 9.6 cSt at 40 ° C.)) as aliphatic hydrocarbon that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Add via infusion pump. The addition amount was 15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total amounts of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a softening agent. The obtained mixture was used as resin for surface layers.

또한, 상기와 동일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스크류 직경 37 mm, L/D 30의 동일 방향 회전형 이축 압출기 ("TEM-35BS" (상표명; 도시바 머신사 제조))에서 용융하고, 압출기 도중에서 주입 펌프를 통해 광물유 ("모레스코 화이트 P70" (상표명; 마쯔무라 오일 리서치사 제조)) 20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대 광물유의 중량비가 90:10이 되도록 첨가량을 조절하였다. 얻어진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이렇게 얻어진 펠릿을 코어층용 수지로서 제조하였다. 각 층의 부피비 등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In addition, the sam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s mentioned above was melted in a coaxial rotary twin screw extruder ("TEM-35BS" (trade name; manufactured by Toshiba Machine Co., Ltd.)) having a screw diameter of 37 mm and L / D 30, and 20 parts by weight of mineral oil ("Moresco White P70" (trade name; manufactured by Matsumura Oil Research)) was added via an infusion pump. The addition amount was adjusted so that the weight ratio of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to mineral oil might be 90:10. The obtained composition was uniformly mixed and the pellet thus obtained was prepared as a resin for the core layer. The volume ratio of each layer is shown in Table 1 below.

이렇게 얻은 수지를 사용하여 다층 연신 필름을 형성하였다. 먼저, 2종의 3개 층을 대칭인 수지층 구성으로 압출 가능한 다층 압출기의 표층용 압출 장치 및 코어층용 압출 장치 각각에 수지 혼합물을 충전하였다. 각 압출 장치에서 충분히 용융시킨 후, 220 ℃에서 다층의 원형 다이를 통해 원료 필름을 압출한 다음, 물로 냉각시켰다. The resin thus obtained was used to form a multilayer stretched film. First, a resin mixture was filled in each of three types of extrusion apparatuses for surface layers and an extrusion apparatus for core layers of a multilayer extruder in which two layers were extruded in a symmetric resin layer configuration. After sufficiently melting in each extrusion apparatus, the raw film was extruded through a multilayer circular die at 220 ° C., and then cooled with water.

얻어진 원료 필름을 120 ℃에서 관형 배향기로 종방향으로 5배, 횡방향으로 4배 연신하였다. 그 후, 원통형 필름의 말단부를 트리밍하여, 1장씩 권취하였다. 필름을 횡방향으로 구속하는 클립 폭을 소정의 폭으로 설정한 텐터로써, 열풍 온도 130 ℃에서 체류 시간 20 초 동안 열고정시켰다. 그 결과, 두께 0.25 ㎛의 표층, 두께 0.5 ㎛의 코어층 및 두께 0.25 ㎛의 다른 표층을 갖는 두께 10 ㎛의 거의 균일한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냈다. 이렇게 얻어진 필름은 원자간력 현미경의 위상 이미지로서 40,000배의 배율로 관찰한 결과, 망상체 피브릴과 그 사이에 존재하는 매트릭스로 형서된 구조가 관찰되었다. The obtained raw film was extended | stretched 5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4 tim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tubular aligning machine at 120 degreeC. Then, the terminal part of the cylindrical film was trimmed and wound up one by one. The tenter which set the width | variety of the clip which restrains a film transversely to a predetermined | prescribed width was heat-set for 20 second residence time in hot air temperature 130 degreeC. As a result, a nearly uniform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obtained having a surfac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25 μm, a cor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5 μm, and another surfac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0.25 μm.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y of this film, as shown in Table 2, the favorable performance was shown. The film thus obtained was observed at a magnification of 40,000 times as a phase image of an atomic force microscope, and as a result, a structure formed of the reticular fibrils and the matrix existing therebetween was observed.

<실시예 2><Example 2>

표층 수지로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65:35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고, 코어층의 광물유의 첨가량을 7 중량%로 하며, 표층, 코어층 및 다른 표층의 두께비를 0.20:0.60:0.2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As the surface resin, a mixture of a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a low 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 resin in a weight ratio of 65:35 was used, and the addition amount of the mineral oil in the core layer was 7% by weight, and the surface layer and the core were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ratio of the layer and the other surface layer was changed to 0.20: 0.60: 0.20.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good performance was shown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3><Example 3>

표층의 수지 조성물로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55:45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고, 표층, 코어층 및 다른 표층의 두께비를 0.15:0.70:0.1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As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surface layer, a mixture of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low 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 resin in a weight ratio of 55:45 was used, and the thickness ratio of the surface layer, the core layer and the other surface layer was 0.15: 0.70: Except having changed to 0.15, the film of 10 micrometers in thickness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Example 1.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good performance was shown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4><Example 4>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및 광물유를 각각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로 형성된 표층의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 및 1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하여 얻은 수지를 표층 수지로서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A resin obtained by adding hydrogenated terpene resin and mineral oil in an amount of 15 parts by weight and 10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surface layer formed of a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a low 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 resin, respectively.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was used as the surface layer resi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good performance was shown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5>Example 5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55:4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및 광물유를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해, 각각 10 중량부 및 2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하며; 코어층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광물유의 조성비를 97:3으로 변경하고; 표층, 코어층 및 다른 표층의 두께비를 0.15:0.70:0.1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low 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 resin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55:45; Hydrogenated terpene resin and mineral oil are added in amounts of 10 parts by weight and 20 parts by weight, respectively,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low 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 resin;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core layer polypropylene resin and the mineral oil was changed to 97: 3;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ratio of the surface layer, the core layer, and the other surface layer was changed to 0.15: 0.70: 0.15.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good performance was shown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6><Example 6>

표층의 수지 조성물 중의 광물유를 "모레스코 화이트 P70" (상표명; 마쯔무라 오일 리서치사 제조, 40 ℃에서의 동점도: 4.4 cSt) 15 중량부의 양으로 하고, 코어층의 수지 조성물 중 광물유도 "모레스코 화이트 P70" (상표명; 마쯔무라 오일 리서치사 제조)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The mineral oil in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surface layer was made into an amount of 15 parts by weight of "MORECO WHITE P70" (trade name; Matsumura Oil Research Co., Ltd., kinematic viscosity at 40 ° C: 4.4 cSt), and the mineral induction of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core layer "MORECO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White P70 ″ (trade name; manufactured by Matsumura Oil Research, Inc.) was obtain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good performance was shown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7><Example 7>

표층의 수지 조성에 대해 광물유 대신에,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로서 폴리부텐 ("닛산 폴리부텐 (Nissan Polybutene) 06SH" (40 ℃에서의 동점도 95 cSt), 상표명; 엔오에프사 (NOF CORPORATION) 제조) 15 중량부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Polybutene ("Nissan Polybutene 06SH" (kinetic viscosity 95 cSt at 40 ° C), trade name; manufactured by NOF CORPORATION as aliphatic hydrocarbon that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instead of mineral oil for surface resin composition)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µ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5 parts by weight) was add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good performance was shown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8><Example 8>

표층의 수지 조성물을 위한 유연제로서 부텐-1 중합체 ("타프머 BL4000", 미쯔이 케미컬즈사 제조) 30 중량%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µ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30 wt% of butene-1 polymer ("Tafmer BL4000",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was used as the softening agent for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surface layer.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good performance was shown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9>Example 9

표층의 수지 조성물을 위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에틸렌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PC630A", 상표명; 썬 알로머사 (Sun Allomer) 제조) 70 중량%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Thicknes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70% by weight of ethylene propylene random copolymer ("PC630A", trade name; manufactured by Sun Allomer) was used as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for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surface layer. A 10 μm film was obtain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good performance was shown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10><Example 10>

표층의 수지 조성물을 위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그랜드 폴리프로 J705", 상표명; 그랜드 폴리머사 제조) 75 중량%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Thickness 10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75 wt% of an ethylene propylene block copolymer ("Grand Polypro J705", trade name; manufactured by Grand Polymer Co., Ltd.) was used as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for the resin composition of the surface layer. A μm film was obtain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good performance was shown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11><Example 11>

압출시켜 얻은 원료 필름을 종방향으로 2.5, 횡방향으로 2.5의 연신비로 연신시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aw film obtained by extrusion was stretched at a draw ratio of 2.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2.5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good performance was shown as shown in Table 2 below.

<실시예 12><Example 12>

원료 필름을 60 ℃에서 종방향으로 4, 횡방향으로 3의 연신비로 연신시키고, 연신 후의 열고정 처리는 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호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aw film was stretched at a draw ratio of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3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60 ° C., and the heat setting treatment after stretching was not perform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good performance was shown as shown in Table 2 below.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표층 수지로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40:6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얻은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고, 표층, 코어층 및 다른 표층의 두께비를 0.15:0.70:0.1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각 층간의 부피비 등에 대해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이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의 밀착성 및 인출력이 과잉되었다. As the surface resin, a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mixing a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a low 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 resin in a weight ratio of 40:60 was used, and the thickness ratio of the surface layer, the core layer and the other surface layer was 0.15: 0.70.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t was changed to: 0.15. It shows in Table 3 about the volume ratio etc. between each layer.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y of this film, initial stage adhesiveness and pull-out power became excess as shown in following Table 4.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를 85: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얻은 수지 조성물을 표층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단계에서 밀착성이 낮았다.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mixing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low 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 resin in a weight ratio of 85:15 was used for the surface layer. Got i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as shown in Table 4 below, the adhesion was low at the initial stage.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를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해 20 중량부로 첨가하여 얻은 수지 조성물을 표층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단계에서 밀착력이 낮았다. Except for using the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adding the hydrogenated terpene resin at 20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total amounts of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low crystalline propylene-alpha-olefin copolymer resin,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obtained in a manner.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the adhesion was low at the initial stage as shown in Table 4 below.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를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해 2 중량부로 첨가하여 얻은 수지 조성물을 표층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단계에서 초기 밀착력이 낮았다.Except for using the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adding the hydrogenated terpene resin at 2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total amounts of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low crystalline propylene-alpha-olefin copolymer resin, it carried out similarly to Example 1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obtained in a manner.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y of the obtained film, as shown in following Table 4, the initial stage adhesive force was low at the initial stage.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해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를 10 중량부, 광물유를 5 중량부로 첨가하여 얻은 수지 조성물을 표층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착력이 낮고, 인출력이 높았다. Except having used the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adding 10 weight part of hydrogenated terpene resins and 5 weight part of mineral oil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total amounts of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low crystalline propylene-alpha-olefin copolymer resin, it used for the surface layer.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obtain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y of the obtained film, as shown in following Table 4, adhesive force was low and the pullout output was high.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해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를 10 중량부, 광물유를 25 중량부로 첨가하여 얻은 수지 조성물을 표층에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과도한 유연성 때문에 탄력감이 떨어지고, 촉감이 악화되는 등 열악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Except having used the resin composition obtained by adding 10 weight part of hydrogenated terpene resins and 25 weight part of mineral oil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total amounts of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low crystalline propylene-alpha-olefin copolymer resin, it used for the surface layer.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obtain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as shown in Table 4 below, due to excessive flexibility, poor elasticity, poor touch and the like exhibited poor performance.

<비교예 7>Comparative Example 7

코어층을 구성하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광물유의 중량비를 99:1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단계에서는 밀착성 및 인출력이 양호했지만, 40 ℃에서 21 일 동안 방치시킨 후에는 밀착성 및 인출력이 증대하였다.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mineral oil constituting the core layer was changed to 99: 1.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as shown in Table 4 below, the adhesion and the pullout were good at the initial stage, but after leaving it at 40 ° C. for 21 days, the adhesion and the pullout were increased.

<비교예 8><Comparative Example 8>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로서 광물유("모레스코 화이트 P70" (상표명; 마쯔무라 오일 리서치사 제조))의 중량비를 60:4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필름 형성을 시도했다. 그러나, 필름 형성성이 불량하여 필름을 형성하지 못했다. Except for changing the weight ratio of the mineral oil ("Moresco White P70" (trade name; manufactured by Matsumura Oil Research Co., Ltd.)) as a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an aliphatic hydrocarbon that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the same as in Example 1 Tried film formation in a manner. However, film formation was poor and a film was not formed.

<비교예 9>Comparative Example 9

코어층의 수지 조성을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 ("타프머 XR110T" (상표명; 미쯔이 케미컬즈사) 제조)의 수지 조성 (중량비)을 75:25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연성, 초기 단계의 밀착력 및 인출력은 실시예 1과 동일한 정도였지만, 40 ℃에서 21 일 동안 방치시킨 후에는 밀착력 및 인출력이 증대하였다. Change the resin composition (weight ratio) of the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the low 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 resin ("Tafmer XR110T" (trade name;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of the core layer to 75:25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µ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on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btained film, as shown in Table 4 below, the flexibility, the adhesion at the initial stage and the pullout power were about the same as in Example 1, but after leaving at 40 ° C. for 21 days, the adhesion and the pullout power were decreased. Increased.

<비교예 10>Comparative Example 10

필름을 실시예 1의 표층의 조성을 갖는 단층의 필름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 10 ㎛의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착성 및 인출성은 안정적이었지만, 과도한 유연성 때문에 탄력감이 떨어졌다.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μ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lm was changed to a single layer film having the composition of the surface layer of Example 1.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physical property of the obtained film, as shown in following Table 4, although adhesiveness and drawability were stable, the elasticity fell because of excessive flexibility.

또한, 표 중에서 약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In addition, the meaning of an abbreviation in a table | surface is as follows.

F327: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그랜드 폴리프로 F327", 상표명; 그랜드 폴리머사 제조, MFR = 7.0 g/10 분) F327: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Grand Polypro F327", trade name; Grand Polymer, MFR = 7.0 g / 10 minutes)

PC630: 단독 폴리프로필렌 수지 ("PC630A", 상표명; 썬 알로머사 제조, MFR = 7.5 g/10 분) PC630: single polypropylene resin ("PC630A", trade name; manufactured by Sun Alomer, MFR = 7.5 g / 10 min)

J705: 결정성 블록 폴리프로필렌 수지 ("그랜드 폴리프로 J705", 상표명; 그랜드 폴리머사 제조, MFR = 10 g/10 분) J705: Crystalline block polypropylene resin ("Grand Polypro J705", trade name; Grand Polymer, MFR = 10 g / 10 min)

110T: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 ("타프머 XR110T", 상표명; 미쯔이 케미컬즈사 제조, MFI = 6.0 g/10 분 (230 ℃), 밀도: 0.890 g/cc) 110T: Low 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 resin ("Tafmer XR110T", trade name;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MFI = 6.0 g / 10 min (230 ° C), density: 0.890 g / cc)

BL4000: 부텐-1 공중합체 ("타프머 BL4000", 상표명; 미쯔이 케미컬즈사 제조, MFR = 1.8 g/10 분, 밀도: 0.915 g/cc) BL4000: Butene-1 copolymer ("Tafmer BL4000", trade name; manufactured by Mitsui Chemicals, MFR = 1.8 g / 10 min, density: 0.915 g / cc)

P125: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클리어론 P125", 상표명; 야스하라 케미컬사 제조)P125: hydrogenated terpene resin ("Clearon P125", brand name; manufactured by Yashara Chemical Co., Ltd.)

P70: 광물유 ("스모일 (Smoil) P70", 상표명; 마쯔무라 오일 리서치사 제조, 동점도: 12.35 (40 ℃, cSt)) P70: mineral oil ("Smoil P70", trade name; manufactured by Matsumura Oil Research, Kinematic Viscosity: 12.35 (40 ° C, cSt))

P40: 광물유 ("모레스코 화이트 P-40", 상표명; 마쯔무라 오일 리서치사 제조, 동점도: 4.3 (40 ℃, cSt))P40: Mineral oil ("Moresco White P-40", brand name; manufactured by Matsumura Oil Research, Kinematic Viscosity: 4.3 (40 ° C, cSt))

06SH: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 ("닛산 폴리부텐 06SH", 상표명; 엔오에프사 제조, 동점도: 95 (40 ℃, cSt))06SH: Aliphatic hydrocarbon that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Nissan Polybutene 06SH", trade name; manufactured by ENF, Kinematic Viscosity: 95 (40 ° C, cSt))

본 발명을 상세하게, 그의 특정한 실시양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경 또는 수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하다.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 thereof, it is clear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or correction can be added without deviating from the mind and range of this invention.

본 출원은 2002년 8월 29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 제 2002-250192 호에 기초한 것이며, 그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되어 있다. This application is based on the JP Patent application 2002-250192 of an application on August 29, 2002, The content is taken in here as a reference.

본 발명에 따르면, 밀착성과 인출성 사이의 균형이 우수하고, 그 성능의 시간에 따른 변화가 적으며, 투명성, 내열성, 유연성, 촉감 및 절단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필름은 식품 포장용 랩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lypropylene-based multilayer film having excellent balance between adhesion and drawability, little change in performance over time, and excellent transparency, heat resistance, flexibility, touch and cutability. This film can be preferably used as a wrap film for food packaging.

Claims (6)

(A) (S1)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50 내지 80 중량%, (S2) 비결정성 또는 저결정성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부텐-1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연제 2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는 제1 조성물, 및 제1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S3) 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5 내지 15 중량부 및 (S4)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 10 내지 20 중량부를 함유하는 표층; 및 (A) 50 to 80% by weight of (S1)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S2) 20 to 50% by weight of one or more softeners selected from amorphous or low crystalline propylene-α-olefin copolymers and butene-1 polymers A surface layer containing 5 to 15 parts by weight of (S3) hydrogenated terpene resin and (S4) 10 to 20 parts by weight of aliphatic hydrocarbon, which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mposition comprising% and 10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composition; And (B) (C1)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80 내지 98 중량% 및 (C2) 상온에서 액체인 지방족 탄화수소 2 내지 20 중량%를 함유하며, 상기 표층과 인접한 코어층 (core layer)(B) A core layer containing 80 to 98% by weight of (C1) crystalline polypropylene resin and (C2) 2 to 20% by weight of aliphatic hydrocarbon which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and adjacent to the surface layer. 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랩 (wrap) 필름. Polypropylene-based multilayer wrap film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23 ℃ 및 상대 습도 50 %에서의 밀착 에너지 (cling energy)가 1.0 내지 3.0 mJ, 인출력이 200 내지 1000 mN인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 The polypropylene-based multilayer wrap film of claim 1, wherein the cling energy at 23 ° C. and 50% relative humidity is 1.0 to 3.0 mJ and the phosphorus output is 200 to 1000 m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종이관에 감긴 상태의 랩 필름을 40 ℃ 및 상대 습도 20 %에서 3 주 동안 방치했을 때의 밀착 에너지가 방치 전의 값에 대해 -20 내지 +50 % 이내에서 변하고, 인출력이 방치 전의 값에 대해 -50 내지 +20 % 이내에서 변하는 것인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 The adhesive energy when the wrap film wound around the paper tube is left for 3 weeks at 40 ° C. and 20% relative humidity is within -20 to + 50% of the value before standing. The polypropylene-based multilayer wrap film that changes and the output changes within -50 to + 20% of the value before standing. 제3항에 있어서, 필름 표면을 원자간력 현미경의 40,000배의 위상 이미지로서 관찰했을 경우, 피브릴 망상체 (fibril network)와 그 사이에 존재하는 매트릭스로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여기서 피브릴의 평균 폭은 1 nm 이상, 100 nm 이하이며, 피브릴 사이의 평균 거리가 3 nm 이상, 1 ㎛ 이하인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 The film surface of claim 3, wherein the film surface is viewed as a 40,000-fold phase image of an atomic force microscope, has a structure composed of a fibril network and a matrix present therebetween, wherein the average width of the fibrils Silver is 1 nm or more and 100 nm or less,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fibrils is 3 nm or more and 1 micrometer or less, The polypropylene type multilayer wrap fil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2 이상의 연신비로 연신된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 The polypropylene-based multilayer wrap film of claim 1 or 2, which is stretched at a draw ratio of two or mo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 or the transverse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필름 전체의 두께가 3 내지 25 ㎛인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랩 필름. The polypropylene-based multilayer wrap film of Claim 1 or 2 whose thickness of the whole film is 3-25 micrometers.
KR1020057003243A 2002-08-29 2003-08-26 Polypropylene Wrap Film KR10068136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50192 2002-08-29
JP2002250192 2002-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107A true KR20050059107A (en) 2005-06-17
KR100681364B1 KR100681364B1 (en) 2007-02-12

Family

ID=3197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243A KR100681364B1 (en) 2002-08-29 2003-08-26 Polypropylene Wrap Film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4480578B2 (en)
KR (1) KR100681364B1 (en)
CN (1) CN100377872C (en)
AU (1) AU2003261731A1 (en)
CA (1) CA2496926C (en)
MY (1) MY127301A (en)
TW (1) TWI228129B (en)
WO (1) WO200402019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552B1 (en) * 2004-07-23 2008-08-18 아사히 가세이 라이프 앤드 리빙 가부시키가이샤 Propylene-based multilayered wrapping fil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2813B2 (en) 2003-08-12 2012-06-0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rosslinked polyethylene articles and processes to produce same
WO2018042670A1 (en) * 2016-09-05 2018-03-08 日立化成株式会社 Food sorting method, film for food packaging, and small roll of food packaging film with decorative box
JP7173793B2 (en) * 2017-09-06 2022-11-16 旭化成株式会社 Wrap film and wrap film roll
JP7175138B2 (en) * 2017-09-06 2022-11-18 旭化成株式会社 Wrap film and wrap film roll
KR102487898B1 (en) 2020-11-30 2023-01-11 에이치디씨현대이피 주식회사 Composition for Wrap film and Wrap film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2806A (en) * 1997-01-20 1998-08-04 Itochu San Plus Kk Pressure-sensitive packaging film
US6387529B1 (en) * 1997-12-24 2002-05-14 Exxon Mobil Oil Corporation Biaxially oriented HDPE multilayer film
JPH11286087A (en) * 1998-02-03 1999-10-19 Asahi Chem Ind Co Ltd Crosslinked laminated film for packaging
JP2000026623A (en) * 1998-07-13 2000-01-25 Asahi Chem Ind Co Ltd Adhering heat-resistant wrapping film
DE19836657A1 (en) * 1998-08-13 2000-02-17 Hoechst Trespaphan Gmbh Multilayer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for cigarette packaging consists of intermediate layer containing wax
JP2001198937A (en) * 2000-01-21 2001-07-24 Mitsui Chemical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molecular weight polyolefin laminated film excellent in transparency
JP2001328223A (en) * 2000-05-23 2001-11-27 Oji Paper Co Ltd Polypropylene biaxially stretched multilayered film
JP4780842B2 (en) * 2000-05-26 2011-09-2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Polypropylene multilayer film
JP2002210854A (en) * 2001-01-17 2002-07-31 Daicel Chem Ind Ltd Composite film
JP2003019778A (en) * 2001-07-09 2003-01-21 Asahi Kasei Corp Polypropylene multilayer lap fil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552B1 (en) * 2004-07-23 2008-08-18 아사히 가세이 라이프 앤드 리빙 가부시키가이샤 Propylene-based multilayered wrapping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80578B2 (en) 2010-06-16
CN1678456A (en) 2005-10-05
JPWO2004020195A1 (en) 2005-12-15
TWI228129B (en) 2005-02-21
CA2496926C (en) 2008-10-21
AU2003261731A1 (en) 2004-03-19
WO2004020195A1 (en) 2004-03-11
CN100377872C (en) 2008-04-02
CA2496926A1 (en) 2004-03-11
KR100681364B1 (en) 2007-02-12
TW200406423A (en) 2004-05-01
MY127301A (en)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7902A (en) High moisture barrier polypropylene-based film
JPWO2017169952A1 (en) Biaxially stretched laminated polypropylene film
EP0780214A1 (en) Food packaging stretch film
US6905760B1 (en) Polypropylene-based wrap film
JP2023121783A (en) Packaging film for food and packaging body for food
KR100681364B1 (en) Polypropylene Wrap Film
WO1999045064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and packaging stretched film made thereof
EP2666631B1 (en) Stretch packaging film
JP2004209696A (en) Stretched film for packaging food
JP5545627B2 (en) Polyolefin thin film multilayer shrink film
EP2918409B1 (en) Stretch wrapping film
EP1772260B1 (en) Propylene-based multilayered wrapping film
JP7251153B2 (en) Stretch wrapping film
KR20230117111A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resin film and package using the same
JP4311973B2 (en) Polyolefin-based stretch film
JP7470502B2 (en) Food packaging film and food packaging body
JP4260978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stretched film
JP2023019592A (en) stretched polyethylene film
JPH02199144A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JP2021066470A (en) Food packaging film and food packaging body
JP2021066468A (en) Food packaging film and food packaging body
JP2002079633A (en) Wrap film
EP1179412A2 (en) Food packaging stretch film
JPH11170459A (en) Laminated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