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420A - 평판 - Google Patents

평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420A
KR20050058420A KR1020057002949A KR20057002949A KR20050058420A KR 20050058420 A KR20050058420 A KR 20050058420A KR 1020057002949 A KR1020057002949 A KR 1020057002949A KR 20057002949 A KR20057002949 A KR 20057002949A KR 20050058420 A KR20050058420 A KR 20050058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layer
power supply
flat plate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9753B1 (ko
Inventor
헬무트 모저
Original Assignee
페르 파아르조이겔에크트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11971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5842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페르 파아르조이겔에크트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르 파아르조이겔에크트릭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58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10Registration, licensing, or like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72Casing
    • G09F2013/1881Frame-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917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including metal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Holo Graph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 특히 자동차 번호판에 관한 것으로, 소성 변형 가능한 물질로 된 캐리어(1)와, 베이스 전극(7), 절연층(15), 작동 중 발광하는 안료층(16) 및 투명 덮개 전극(17)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 축전기(flat capacitor)를 형성하기 위한 층구조의 전기 발광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평면 축전기의 전극의 접촉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리어(1)에는 전기 전도층(3b)으로 덮힌 추가 절연층(3a)이 제공되며, 상기 전기 전도층으로부터 베이스 전극(7)과 상기 베이스 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적어도 하나의 평면 축전기의 덮개 전극을 위해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공급 라인(10)이 생성된다.

Description

평판{Plate}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평판, 특히 자동차 번호판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종류의 평판은 예를 들어 독일 실용신안 No. 299 11 348.5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전기 발광 구조로 코팅되고 캐리어이자 전기 발광 구조의 베이스 전극이기도 한 금속판이 기술되어 있다. 상기 평판은 매우 단순한 구조이지만 여러 가지 단점도 있다.
한편 그러한 배열은 캐리어가 비(非)전도 플라스틱 물질을 포함하는 평판을 위해 사용될 수 없다.
다른 문제점들은 전기 발광 구조의 상부면에 위치한 매우 얇은 투명 덮개 전극의 전기적 접촉에 대한 신뢰성에 관한 것이다. 전기 발광 평면 축전기로 흐르는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평면 축전기에 의하여 덮히는 표면은 더 넓어진다. 자동차 번호판의 크기를 고려해 볼 때, 덮개 전극이 부분적으로 타거나 증발하게 할 수 있는 과도하게 큰 전류 밀도를 초래하지 않도록 필요한 전류를 극히 얇은 덮개 전극으로 공급하는 것과 관련하여 매우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덮개 전극과 그 아래에 위치된 절연층의 접촉이 관통하지 않을때, 단락(短絡) 및 전기 발광 평면 축전기의 기능 오류를 초래할 수 있음을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체 배열은 상당한 수준의 기계적, 화학적 부하의 영향에 노출되어 있다(심각한 진동, 부식성 환경, 높은 습도 등). 이는 또한 특별히 고(高)전이 저항 및/또는 증가하는 전이 저항이 발생할 수 없는 전기 발광 평면 축전기의 두 전극의 전류 연결 단자에도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광 번호판의 전형적인 층구조의 확대도, 및
도 2는 상기 층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 번호판의 평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명세서의 초반부에서 기술한 유형의 평판으로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된 캐리어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어떠한 경우에도 평면 축전기의 전극, 특히 매우 얇은 덮개 전극의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접촉이 보장되는 평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에 기술된 특징을 제공한다. 이러한 해결책은 캐리어의 사용이 베이스 전극보다 선행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이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구조적인 단순함이 더 이상 바람직하게 않고, 동시에 일련의 장점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첫 번째 장점은 캐리어의 전기 전도성이 더 이상 중요한 고려사항이 아니어서, 이러한 평판을 생산할 때, 금속 캐리어나 플라스틱 캐리어를 선택적으로 그리고 각 사용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중요한 장점은 하나 이상의 평면 축전기의 하나 이상의 베이스 전극들 뿐만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공급 라인이 처음부터 추가 절연층을 덮고 있는 전기 전도층으로부터 각각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된 상태로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완성된 층구조에서 전력 공급 라인은 전기적으로 잘 전도하는 접촉이 있는 방식으로 얇은 덮개 전극에 의하여 상부가 덮힌다. 전력 공급 라인은 좁은 컨덕터 스트립을 연장할 수 있도록, 평면 축전기의 배열을 통한 전류 흐름이 손상 위험없이 충분히 낮은 전류 밀도로 덮개 전극으로 공급될 수 있는 방식으로 베이스 전극 배열의 거의 전체 가장자리 모서리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추가 절연층은 캐리어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고 캐리어에서 멀리 있는 면에는 예컨대 구리 코팅 형태의 전기 전도층이 제공되며 바람직한 컨덕터 트랙 구조가 알려진 애칭 과정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는 플라스틱 시트이나 필름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캐리어에서 돌출되고 베이스 전극 배열과 전력 공급 라인을 위한 연결 컨덕터 트랙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를 가진다. 상기 플랜지는 종래의 방법중 하나에 의하여 설치된 상태에서 캐리어의 후면으로 접힐 수 있다.
특히 중요한 하나의 특징은 베이스 전극 배열과 전력 공급 라인이 생성되는 전기 전도층과 극히 얇은 덮개 전극 모두는 순차적인 기계적 변형에 참여할 수 있으며, 이는 전기 발광 배열의 작동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고 예컨대 초기 평면 캐리어의 스템핑이나 엠보싱 작업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특히 캐리어를 사람이 배열을 바라보는 방향의 전면에 볼록부가 형성되도록 후면에서 엠보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볼록부는 예컨대 상징 심벌 형태로, 전기 발광 배열의 빛에 대하여 불투명한 색으로 덮히며 결과적으로 밝은 배경의 전면에 그 심벌은 어둡게 표현된다.
전체 배열은 캐리어의 모서리에 방습 연결되고 습기나 기계적 손상에 대하여 전기 발광 구조를 보호하는 추가 필름이나 시트로 덮힐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 덮개는 역반사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전기 발광 배열의 전원이 끊겼을 때, 이렇게 구성된 평판은 외부 빛이 투사되어 높은 반사 능력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평판의 이러한 그리고 추가적인 바람직한 형태들은 부수 청구항들에 기술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화살표 F는 배열을 바라보는 사람의 시선의 주요 방향을 나타내며, 각 층은 상당히 확대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식별이 가능하도록 실제로는 매우 엷은 각 층을 크게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F방향으로 '뒤쪽에는', 다시 말해 사람이 배열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가장 먼 곳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기계적인 엠보싱이나 스템핑 작업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변형가능한 캐리어(1)가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1)는 후면에서 엠보싱된 오목부(2)를 가지며, 이에 의하여 전면에는 배열을 바라보는 사람 방향으로 대응되는 볼록부가 형성된다. 특히, 지적할 점은, 상기 오목부(2)와 다른 오목부들 및/또는 볼록부로 이어지는 캐리어(1)의 변형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될 층 구조의 형성 이전에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는 점이다. 오히려, 완전한 층 구조를 가지는 캐리어(1)는 '빈판'으로서 완성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어서 기계적으로 어떤 방식으로든 스탬핑되거나 엠보싱되고 및/또는 다른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자동차 번호판의 생산과 관련하여 중요하다. 즉, 우선 그러한 종류의 빈판이 특정 생산자에 의하여 다수 생산되고, 특정 자동차 등록번호의 배치 후에 고객의 주문에 따라 상기 등록 번호를 후면에서부터 빈판에 스탬핑하거나 엠보싱하는 '번호판 제작자'에게 팔린다. 이 경우, 전면의 볼록한 부분은 검은색으로 채색된다. 여기서 기술된 번호판은 이러한 작업 과정에 적절하다.
캐리어(1)는 그 전체 표면 전부에 사람이 배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전면에 절연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3a)가 제공된다. 상기 필름이나 시트의 전체 영역에는 처음부터 예컨대 구리와 같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의 층(3b)이 제공되어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필름(3a)은 도 2에서 크게 확대 도시되어 있는 캐리어(1)의 외곽으로 돌출된 플랜지(5)를 가지고 있다. 상기 플랜지(5)도 처음부터 그 표면이 전기 전도성 물질(3b)로 코팅되어 있다.
상호 분리되고 전기적으로 절연된 두 개의 표면 영역이 상기 전기 전도 코팅에 의하여 생성되고, 이러한 표면 영역은 도 2에 각각 점선과 1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두 표면 영역 중 하나는 캐리어(1)의 거의 전체 전면을 덮고 최종 구조의 작동시 불이 들어오는 표면의 크기와 형태를 결정하는 베이스 전극(7)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전극(7)은 플랜지(5)에 제공된 연결 컨덕터(8)과 직접적으로 전기 전도되게 연결된다.
베이스 전극(7) 둘레의 연장부에는 연결 컨덕터(9)에 연결되는 전력 공급 라인(10)이 제공된다. 상기 전력 공급 라인(10)은, 아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되겠지만, 전기 발광 구조를 형성하는 평면 축전기의 투명 덮개 전극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력 공급 라인(10)의 너비와, 한편으로는 캐리어(1)의 모서리와 다른 한편으로는 베이스 전극(7)의 모서리에 대한 그 공간은 모두 도 2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크게 확대되어 있다. 사실상 베이스 전극(7)의 모서리는 캐리어(1)의 모서리로 더 확장될 수 있고 이로써 사람이 배열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거의 전면이 발광된다.
이것에 대한 예외가 도 2의 왼편에 도시된 영역(12)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이는 별들의 고리와 국가 표시가 있는 유럽 자동차 번호판에 제공되는 푸른색 영역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부분도 발광이 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전극(7)은 왼편으로 상응하는 거리만큼 연장된다. 그래도 좁은 공간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전력 공급 라인(10)은 베이스 전극(7)의 둘레에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 전도 코팅(3b)은 절연층(15)으로 완전이 덮히며, 이 절연층(15)은 형성되는 평면 축전기의 유전체의 주요부를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흰색 안료로 채색된다. 이 안료는 스스로 빛을 내지는 못하지만 이를 덮고 있는 안료층(16)에 의해 작동 중 생성된 빛을 관찰자 방향으로 반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당히 향상된 밝기를 제공한다.
상기 절연층(15)은 플라스틱 필름(3a)의 전기 전도 코팅(3b)의 표면 영역을 덮는 에칭 마스크(7,8,9,10)를 형성하기 위하여 빈판의 생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에칭 단계에서 그 사이는 남겨둔 채 중간 부분들만 에칭되어 한편으로는 표면 영역(7,8)과 다른 한편으로는 표면 영역(9,10)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상대적으로 안료층(16)은 바람직하게는 단지 베이스 전극(7)의 표면 영역만을 덮어, 사실상 모든 다른 부분은 발광에 적합하지 않다.
매우 얇은 투명 덮개 전극(17)을 덮기에 앞서(도 1), 전력 공급 라인(10)을 덮는 절연층(15) 부분은 제거되어 덮개 전극(17)은 밀접하게 접촉하여 전력 공급 라인(10)과 전기적으로 우수한 전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력 공급 라인(10)의 목적은, 국부적인 전류 밀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능한 넓은 면적을 통하여 덮개 전극(17)으로 흐르는 교류를 공급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극히 얇은 덮개 전극(17)의 두께로 인하여, 과도한 고밀도 전류 때문에 연소 또는 증발로 인한 적어도 국부적인 손상의 위험이 있다.
이미 지적한 것처럼, 베이스 전극(7), 절연층(15), 안료층(16) 및 투명 덮개 전극(17)은, 안료층(16)이 발광하도록 작동 중 예를 들어 80V 내지 100V 사이의 크기의 AC 전압과 400 Hz 정도의 주파수가 제공될 수 있는 평면 축전기를 형성한다.
전체 배열은, 평면 축전기를 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케리어의 외부 모서리에 방습이 되도록 케리어에 연결되고 역반사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 투명 플라스틱 필름이나 시트(18)로 전체 영역이 덮힌다.
도 2에서 상부로 돌출된 플랜지(5)는 캐리어의 어떤 다른 부분에도 설치될 수 있다. 설치된 상태에서 이는 캐리어의 후면으로 접힐 수 있고 납땜이나 크림핑(crimping) 혹은 다른 연결 방법에 의하여 연결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연결 라인은 또 다른 곳에 이어지거나, 자동차에 내장된 DC 전압 시스템으로부터 자가 발광 번호판의 작동에 필요한 AC 전압을 생산하는 작동장치에 직접 이어질 수 있다.
원칙적으로, 좌측 영역(12)에 분리된 평면 축전기, 즉 그 베이스 전극은 베이스 전극(7)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다른 평면 축전기와 공통 덮개 전극을 가질 수 있는 평면 축전기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부가된 평면 축전기의 베이스 전극은 자신의 연결라인(도시되지 않음)으로 플랜지(5)에 연결되어야 하고, 그 결과 분리 작동이 가능하고 두 영역 각각은 온/오프가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예시로서, 플라스틱 필름(3a)은 사이에 삽입된 절연층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복수의 전기 전도 코팅을 수반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전도 코팅으로부터 번호판에 적어도 2개 이상의 평면 축전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전기 전도 지역, 특히 연결 컨덕터 트랙이 생성될 수 있고, 서로 분리되어 작동하도록 나란히 배열되거나 관찰 방향(F)으로 하나가 다른 하나의 뒤에 배열될 수 있다.

Claims (21)

  1. 소성 변형 가능한 물질로 된 캐리어(1)와, 베이스 전극(7), 절연층(15), 작동 중 발광하는 안료층(16) 및 투명 덮개 전극(17)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 축전기(flat capacitor)를 형성하기 위한 전기 발광 구조를 포함하는 평판, 특히 자동차 번호판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에는 전기 전도층(3b)이 덮힌 추가 절연층(3a)이 제공되고, 상기 전기 전도층(3b)으로부터 베이스 전극(7)과 상기 베이스 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적어도 하나의 평면 축전기의 덮개 전극을 위하여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공급 라인(10)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특히 자동차 번호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절연층(3a)은, 먼저 캐리어(1)에서 멀리 있는 면이 전기 전도 물질로 완전히 덮힌 플라스틱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캐리어(1)에서 돌출되고 베이스 전극(7)과 전력 공급 라인(10)의 접촉을 위해 필요한 연결 라인(8,9)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평면 축전기의 베이스 전극(7)과 그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전력 공급 라인(10) 및 그에 연결되는 연결라인들(8,9)은 에칭 과정에 의하여 전기 전도 물질로부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 물질은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광 층 구조는 복수의 평면 축전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평면 축전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평면 축전기는 공통의 덮개 전극(1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평면 축전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상호 분리된 베이스 전극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평면 축전기의 분리된 덮개 전극에는 각각 분리된 전력 공급 라인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2.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 컨덕터 트랙(8,9)은 납땜 연결에 의하여 전력 공급 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3.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 컨덕터 트랙(8,9)은 크림프(crimp) 연결에 의하여 전력 공급 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기 발광 층 구조를 지지하는 캐리어(1)의 적어도 일면에는 평면 축전기 배열을 기계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절연 투명 커버(1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18)은 방습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18)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18)은 역반사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판(18)을 형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은 캐리어의 돌출된 측부로 방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면 축전기에는 안료층(16)의 안료에 의하여 소정의 빛깔의 스펙트럼을 변화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색 필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전극(7)의 방향으로 안료층(16)에 의해 방출된 빛을 반사하는 층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15)은 동시에 반사층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KR1020057002949A 2002-08-20 2003-01-23 자동차 번호판 KR100679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38054A DE10238054B4 (de) 2002-08-20 2002-08-20 Elektrolumineszenz-Schild, insbesondere Kraftfahrzeug-Kennzeichenschild
DE10238054.6 2002-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420A true KR20050058420A (ko) 2005-06-16
KR100679753B1 KR100679753B1 (ko) 2007-02-06

Family

ID=3119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949A KR100679753B1 (ko) 2002-08-20 2003-01-23 자동차 번호판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50170152A1 (ko)
EP (1) EP1463654B1 (ko)
JP (1) JP4203013B2 (ko)
KR (1) KR100679753B1 (ko)
CN (1) CN1318241C (ko)
AT (1) ATE307742T1 (ko)
AU (1) AU2003290539A1 (ko)
BR (1) BR0314405A (ko)
CA (1) CA2478483A1 (ko)
DE (2) DE10238054B4 (ko)
DK (1) DK1463654T3 (ko)
ES (1) ES2250922T3 (ko)
MX (1) MXPA05002045A (ko)
PL (1) PL369260A1 (ko)
WO (1) WO2004018260A1 (ko)
ZA (1) ZA2005016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7294A1 (fr) * 2004-11-02 2006-05-05 Sebastien Buisine Plaque d'immatriculation electroluminescente serigraphie
GB0519811D0 (en) * 2005-09-29 2005-11-09 Sexton Conrad Vehicle registration plate
DE102007034374A1 (de) 2007-07-24 2009-04-02 Truck-Lite Europe Gmbh Schild, insbesondere Kraftfahrzeugkennzeichenschild
EP2189042A1 (de) 2007-08-27 2010-05-26 Bayer MaterialScience AG Kennzeichen mit elektrolumineszenz-leuchteffek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09017669A1 (de) 2008-04-21 2009-12-10 Bayer Materialscience Ag Druckerzeugnis, umfassend mindestens ein Elektrolumineszenz-Element
DE102017103926A1 (de) * 2016-10-28 2018-05-03 Seoyon E-Hwa Co., Ltd. Schaumspritzguss-Struktur und Verfahren mit EL-Foli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3155A (en) * 1967-07-06 1970-10-13 Western Electric Co Bonding with a compliant medium
EP0172985B1 (en) * 1984-08-27 1989-12-27 Ball Engineering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t lamp
DE3881446T2 (de) * 1987-08-07 1993-12-02 Mitsubishi Cable Ind Ltd Elektrolumineszente Lampe und Methode zu ihrer Anwendung.
US5262225A (en) * 1988-09-02 1993-11-1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mbossable sign construction
US5432015A (en) * 1992-05-08 1995-07-11 Westaim Technologies, Inc. Electroluminescent laminate with thick film dielectric
US5552679A (en) * 1993-07-15 1996-09-03 International En-R-Tech Incorporated Electroluminescent and light reflective panel
CN2214069Y (zh) * 1994-10-26 1995-11-29 孟广祥 电致发光的冷光显示板
DE19645084A1 (de) * 1996-11-01 1998-05-07 Austria Card Gmbh Identifikationskarte mit zusätzlichen Sicherheitsmerkmalen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9715658A1 (de) * 1997-04-16 1998-10-22 Philips Leiterplatten At Gmbh Multifunktions-Leiterplatte mit opto-elektronisch aktivem Bauelement
CN1063143C (zh) * 1997-07-03 2001-03-14 张荣兰 搪瓷电致发光车牌工艺
US6965196B2 (en) * 1997-08-04 2005-11-15 Lumimove, Inc. Electroluminescent sign
DE29911348U1 (de) 1999-06-30 1999-11-04 Moser Helmut Metalleuchtplatte auf der Basis der Elektrolumineszenz
TW545080B (en) * 2000-12-28 2003-08-01 Semiconductor Energy Lab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262373A3 (de) * 2001-06-01 2003-09-24 FER Fahrzeugelektrik GmbH Schild mit elektrisch aktivierbarer Leuchtfolie
DE20201377U1 (de) * 2002-01-31 2002-04-18 Fitzke Michael Schild, insbesondere Kfz-Kennzeichen
EP1345476A1 (en) * 2002-02-28 2003-09-17 Luk Wah Jackson Chu Electroluminescent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78483A1 (en) 2004-03-04
EP1463654A1 (de) 2004-10-06
ATE307742T1 (de) 2005-11-15
CN1675091A (zh) 2005-09-28
DE10238054B4 (de) 2007-08-09
CN1318241C (zh) 2007-05-30
JP2005535503A (ja) 2005-11-24
KR100679753B1 (ko) 2007-02-06
PL369260A1 (en) 2005-04-18
US20050170152A1 (en) 2005-08-04
BR0314405A (pt) 2005-07-19
DK1463654T3 (da) 2006-04-10
AU2003290539A1 (en) 2004-03-11
EP1463654B1 (de) 2005-10-26
MXPA05002045A (es) 2005-06-03
WO2004018260A1 (de) 2004-03-04
ZA200501603B (en) 2005-09-09
DE10238054A1 (de) 2004-03-04
JP4203013B2 (ja) 2008-12-24
ES2250922T3 (es) 2006-04-16
DE50301484D1 (de)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808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ow cost electroluminescent (EL) illuminated membrane switches
US6246169B1 (en) Electroluminescent lamp and having a flexible dome-shaped substrate
US5332946A (en) Electroluminescent lamp with novel edge isolation
US6416196B1 (en) Command key with integrated illumination and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aid key
US5667417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luminescent lamp
KR20090027228A (ko) 3d el hpf 소자, 제조 방법 및 응용
US7071618B2 (en) Electroluminescent element comprising electrically coupled shield layer
US7698842B2 (en) Sign, especially a number plate for a motor vehicle
JP2000512801A (ja) 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528941B1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shield therefor
KR100679753B1 (ko) 자동차 번호판
US20010042329A1 (en) Electroluminescent sign
US6747415B2 (en) Electroluminescent light arrangement
JP3309730B2 (ja) 電界発光灯
KR20020010017A (ko) 전기장 발광 램프를 이용한 광고패널
JPH10149878A (ja) 電界発光灯の製造方法
EP1261238A2 (en) Electroluminescent lamps
KR880012943A (ko) 전기 루미네슨트 램프 및 패널
EP088238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luminescent lamps
MXPA9800683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mps electroluminiscen
DE20121936U1 (de) Elektrolumineszenz-Einrichtung
CN101123833A (zh) 致电发光按键装置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