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6172A -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6172A
KR20050056172A KR1020050038029A KR20050038029A KR20050056172A KR 20050056172 A KR20050056172 A KR 20050056172A KR 1020050038029 A KR1020050038029 A KR 1020050038029A KR 20050038029 A KR20050038029 A KR 20050038029A KR 20050056172 A KR20050056172 A KR 2005005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individual
time
meat
fa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근술
Original Assignee
문근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근술 filed Critical 문근술
Priority to KR102005003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6172A/ko
Publication of KR2005005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17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손님의 방문 숫자를 고려하여 시간대별로 그 조리 개시시간과, 조리진행시간을 예약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시간대별로 손님이 최적의 맛을 내는 수육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개별 수육조리통을 다수개 수용하고, 각각의 기설정된 조리개시 시간에 따라 개별 조리되게 함으로써 시간대가 다르게 방문하는 손님에게 최적의 조리시간을 거친 수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조리사가 일일이 조리상태를 체크하지 않아도 설정된 바대로 자동 조리가 이루어지므로 편의성이 높은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스테인레스재질의 외부 함체와; 그 외부함체의 상부에 씌워지며, 다수개의 개별 수육조리통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이 그 상면 가장자리부를 따라 천공된 박막의 원형 덮개판과; 상기 원형 덮개판의 삽입공에 삽입되고 내부에 수육을 저장하여 조리할 수 있게 되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개별 수육조리통과; 상기 외부 함체의 외주연 소정부에 부착되어 조리를 위한 각종 키설정을 행하고, 그 설정상태를 표시하며, 부저가 구비되어 조리완료 상태를 경고음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패널과; 상기 외부 함체의 내부 바닥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별 수육조리통을 가열하기 위한 다수개의 팬코일과; 그 팬코일의 하부에 별도의 격막을 통해 분리되어져 있으며, 팬코일과 연결되어 그 팬코일을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팬코일 가열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일정 인분씩 수육을 개별적으로 함체에 개별 수용시킨 상태에서 조리사의 입력 설정에 따라 해당 조리시간별 온도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며, 예약 조리설정 등을 통해 손님의 방문을 예상하여 자동으로 미리 개별적으로 조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조리시간을 통해 수육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공급할 수 있으므로 그 효과가 크며, 조리사가 조리시간을 일일이 신경쓰지 않아도 설정치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적 조리가 이루어지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APPARATUS FOR COOKING A COOKED BEEF SEPARATELY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손님의 방문 숫자를 고려하여 시간대별로 그 조리 개시시간과, 조리진행시간을 예약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시간대별로 손님이 최적의 맛을 내는 수육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개별 수육조리통을 다수개 수용하고, 각각의 기설정된 조리개시 시간에 따라 개별 조리되게 함으로써 시간대가 다르게 방문하는 손님에게 최적의 조리시간을 거친 수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조리사가 일일이 조리상태를 체크하지 않아도 설정된 바대로 자동 조리가 이루어지므로 편의성이 높은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로부터 이러한 종류의 육류, 어패류 등을 사전 처리하여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장치로는 예컨대, 중탕기(重湯器)와 대류식 증기오븐(convection steam oven)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여 탕의 양과 가공하고자 하는 가공물의 양에 따라 탕온이 변화하여 가열 온도에 있어서의 산포(散布)가 발생하여, 음식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제품을 얻기가 어렵다.
또한, 일반적인 수육은 조리를 함으로써 맛과 향기를 더해 주고 색의 변화 등 겉모양도 좋아지며 근육을 연하게 하여 소화를 돕는 것으로, 육류를 조리할 때는 조리할 고기의 성질을 알고 그것에 알맞는 조리법을 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육류의 조리는 보통 건열조리법(dry heat method)과 습열조리법(moist heat method)으로 나눌 수 있다. 그중 습열조리법은 결체 조직이 많아 질긴 부위를 다량의 물 또는 액체와 함께 넣고 뚜껑을 덮은 채 가스 등의 가열수단으로 가열하거나 수증기로 찐다. 이러한 대표적인 조리 식품은 해장국 및 육계장으로서 이를 통해 육류의 풍미를 좋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우리나라와 같이 술 소비량이 높은 경우에는 술을 너무 많이 마셔 속이 쓰린 사람이 그 다음날 고통스러워 하여, 이러한 숙취를 해소할 수 있는 여러방법이 강구되었다. 그 중에서 언제 어디서나 손쉽고 저렴한 방법으로 해장국이 널리 애용되는 먹거리가 되고 있다.
통상적인 해장국은 돼지 살 등의 수육류와, 그 등뼈를 큰 솥에 다량의 물을 함께 넣고, 또한 각종 양념이나 채소를 넣은 다음 푹 끓여서 우려내어 조리할 수 있는 것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육수 또는 탕이라 하고 서양요리에서는 스프 스톡(soup stock)이라 칭하며, 점차 이러한 요리 방법 및 장치가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상기 해장국을 큰 솥에 함께 넣고 연탄이나 가스 등의 가열수단에 24시간 동안 끓이는 경우 음식의 맛을 내기 위해서 항상 일정한 온도(예컨대, 80 내지 90℃)로 유지하여 국물이 충분히 용출되어 나와야 제 맛이 나므로 처음부터 일정한 온도로 가열 유지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장시간 가열하여 고기가 연하게 되도록 사람이 이를 항상 지켜 보아야 한다.
만약, 끓는 물에 고기를 넣으면 고기 표면이 먼저 응고하고, 온도 변화가 심하면 수육류 내부의 성분이 충분히 용출되어 나오지 않는다. 이처럼 요리는 가열하는 온도와 시간에 따라 그 맛이 결정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사람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항상 불을 지켜보아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재래식 조리 방법으로는 국물과 뼈를 동시에 한 솥에 넣고 조리함으로써 국자를 이용하여 국물을 퍼내는 경우 그 사용이 불편하고, 또 이럴 경우 뼈에 붙어 있는 고기가 떨어져 나가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이러한 조리방법은 한 솥에 수육을 넣은 다음, 장시간 조리하면서 손님의 방문에 따라 그때마다 국자로 일정량을 퍼내어 해당 손님에게 제공하게 되므로 가장 맛이 좋을 시기를 넘겨 더 장기간 동안 조리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그런 경우 수육의 맛이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너무 짧은 시간동안 가열되어도 제 맛을 내지 못하므로 좀더 체계적이고 무인의 관리를 통해 인건비 상승을 억제할 장치의 출시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손님의 방문 숫자를 고려하여 시간대별로 그 조리 개시시간과, 조리진행시간을 예약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시간대별로 손님이 최적의 맛을 내는 수육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개별 수육조리통을 다수개 수용하고, 각각의 기설정된 조리개시 시간에 따라 개별조리되게 함으로써 시간대가 다르게 방문하는 손님에게 최적의 조리시간을 거친 수육을 제공할 수 있으며, 조리사가 일일이 조리상태를 체크하지 않아도 설정된 바대로 자동 조리가 이루어지므로 편의성이 높은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스테인레스재질의 외부 함체와; 그 외부함체의 상부에 씌워지며, 다수개의 개별 수육조리통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이 그 상면 가장자리부를 따라 천공된 박막의 원형 덮개판과; 상기 원형 덮개판의 삽입공에 삽입되고 내부에 수육을 저장하여 조리할 수 있게 되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개별 수육조리통과; 상기 외부 함체의 외주연 소정부에 부착되어 조리를 위한 각종 키설정을 행하고, 그 설정상태를 표시하며, 부저가 구비되어 조리완료 상태를 경고음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패널과; 상기 외부 함체의 내부 바닥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별 수육조리통을 가열하기 위한 다수개의 팬코일과; 그 팬코일의 하부에 별도의 격막을 통해 분리되어져 있으며, 팬코일과 연결되어 그 팬코일을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팬코일 가열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수육제조장치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판의 중앙 소정부에는 상기 개별 수육조리통을 삽입하는 삽입공보다 직경이 더 큰 삽입공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삽입공을 통해 인분수가 더 큰 개별 수육조리통이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수육제조장치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패널은 전면 상단에 각 개별 수육조리통을 나타내는 표시와, 각 개별 수육조리통의 조리설정 시간 및 예약 조리개시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표시부의 하부에는 예약 및 개별 수육조리통의 선택, 시간 설정 및 조리 개시버튼으로 이루어진 키입력부가 구비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수육제조장치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패널의 내부에는 각 개별 수육조리통별 조리시간 및 예약 조리시간, 조리개시 시간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으며, 각 조리시간별 가열온도 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는 데이터저장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키설정 데이터를 인가받아 즉시 조리인지, 예약조리인지, 조리시간별 온도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선택된 개별 수육조리통을 해당 조리시간으로 조리하도록 상기 전원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해당 조리시간동안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조리 완료시간 도래시 부저를 구동 제어하도록 한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수육제조장치이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구동할 팬코일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조리시간이 인가되는 과정과; 조리시간별 가열온도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제어부가 조리시간에 따라 해당 온도를 유지하면서 조리를 행하기 위해 상기 가열온도 데이터에 따라 팬코일 구동 및 구동정지를 반복적으로 행하는 과정과; 조리 완료시간이 도래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부저를 구동시키고, 팬코일 구동을 정지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수육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조리시간 입력과정 뒤에는 즉시 조리인지, 예약조리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예약 조리인 경우, 예약 설정시간이 도래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수육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2)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스테인레스재질의 외부 함체(4)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그 상부의 개방부(6)에는 다수개의 개별 수육조리통(30)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22)이 천공된 박막의 원형 덮개판(20)이 제공된다.
그 원형 덮개판(20)의 가장자리 소정부에 복수개소 이상의 결합고리(24)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결합고리(24)를 상기 외부함체(4)의 상단 가장자리 턱(미도시)에 걸어서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덮개판(20)의 중앙 소정부에는 상기 개별 수육조리통(30)을 삽입하는 삽입공(22)보다 직경이 더 큰 삽입공(23)이 형성되어져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별 수육조리통(30)은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부가 개방되어 수육 등을 투입할 수 있게 되어져 있으며, 그 재질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열전달이 매우 우수하게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개별 수육조리통(30)은 그 상단 외주연을 따라 걸림돌기(34)가 돌출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삽입공(22)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 개별 수육조리통(30)은 통상 2인분 정도의 수육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그 크기가 이루어져 있으며, 다른 삽입공(23)으로 투입되는 개별 수육조리통(미도시)은 5인분 정도의 수육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 함체(4)의 외주연 소정부에는 조리를 위한 각종 키설정을 행하기 위한 제어패널(8)이 부착되어져 있는 바, 그 제어패널(8)은 전면 상단에 각 개별 수육조리통(30)을 나타내는 표시와, 각 개별 수육조리통(30)의 조리설정 시간 및 예약 조리개시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10)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표시부(10)는 LED로 이루어진 세븐 세그먼트나, LCD창으로 이루어진 표시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표시부(10)의 하부에는 예약 및 개별 수육조리통(30)의 선택, 시간 설정 및 조리 개시버튼으로 이루어진 키입력부(12)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측부에는 조리의 완료를 나타내기 위해 구동되는 부저(14)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함체(4)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개별 수육조리통(30)을 가열하기 위한 팬코일(16)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그 팬코일(16)의 하부에는 별도의 격막을 통해 가열구동실이 마련되어져 있고, 그 가열구동실에는 팬코일(16)과 연결되어 그 팬코일(16)을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팬코일 가열구동부(42)가 장착되어져 있으며, 그 팬코일 가열구동부(42)는 전원 스위칭부(40)를 통해 설정된 데이터값에 따라 전원 스위칭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2)는 조리 개시시간 예약설정 및 상기 개별 수육조리통(30)의 선택, 시간 설정을 행하기 위한 키이력부(12)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다수개의 개별 수육조리통(30)의 하면에 밀착되게 외부 함체(4)의 내부 바닥면에 부착된 제 1~제 N 팬코일(16a~16n)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제 1~제 N 팬코일(16a~16n)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1~제 N 팬 코일 가열구동부(42a~42n)가 제공된다.
또한, 제 1~제 N 팬코일 가열구동부(42a~42n)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인가된 AC 전원을 스위칭하여 제 1~제 N 팬코일 가열구동부(42a~42n)에 각각 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전원 스위칭부(40)가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제어패널(8)에 부착되어 상기 키입력부(12)에 의한 설정표시 및 그 조리시간 표시, 예약시간 표시 등을 행하는 표시부(10)가 구비되고, 그 표시부(10)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시구동부(44)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조리 완료시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부저(14)가 제공되고, 그 부저(14)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저구동부(46)가 제공되어져 있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2)에는 각 개별 수육조리통(30)별 조리시간 및 예약 조리시간, 조리개시 시간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으며, 각 조리시간별 가열온도 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는 데이터저장부(48)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12)로부터 키설정 데이터를 인가받아 즉시 조리인지, 예약 조리인지, 조리시간별 온도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48)로부터 추출하여 선택된 개별 수육조리통(30)을 해당 조리시간으로 조리하도록 상기 전원 스위칭부(40)를 제어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해당 조리시간동안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조리 완료시간 도래시 부저(14)를 구동 제어하도록 한 제어부(50)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의 내부에는 시간을 카운팅하기 위한 타이머(52)가 포함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설정된 조리시간에 따라 해당 온도를 유지하면서 조리를 행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저장부(48)로부터 가열온도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에 따라 상기 팬코일의 구동 및 구동정지를 반복적으로 행하도록 상기 전원 스위칭부(4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2)에 전원을 투입한다. 그리고, 유저는 다수의 개별 수육조리통(30)중 예약 조리나, 즉시 조리할 개별 수육조리통(30)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패널(8)에 조리시간을 입력한다.
그러면, 그 입력된 개별 수육조리통(30)의 선택신호와 조리시간 데이터는 상기 데이터저장부(48)에 설정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어패널(8)을 통해 즉시 조리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상기 제어부(50)가 판단하게 된다.
만약, 즉시 조리신호가 아닌 경우에 제어부(50)는 예약 조리를 선택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때 만약 예약 조리선택신호가 아닌 재입력 선택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는 다시 제 2 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개별 수육조리통(30)의 선택부터 다시 진행하도록 한다.
만약, 예약 조리선택신호가 상기 제어부(50)로 인가된 경우에는 예약 개시시간의 설정 및 조리시간 설정데이터를 인가받아 상기 데이터저장부(48)에 저장한다.
그 상태에서, 시간을 카운팅하여 해당 예약 시간이 도래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50)는 해당 조리시간에 따른 가열온도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전원 스위칭부(40)를 통해 반복적으로 해당 팬코일(16a~16n)을 구동시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해당 조리시간동안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내부 타이머(52)의 카운팅에 의해 해당 조리완료 시간이 도래되었음을 인지하게 되면, 상기 부저(14)를 구동하고, 해당 팬코일(16a~16n)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만약, 예약 조리가 아닌 경우라면, 설정치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는 해당 조리시간에 따른 가열온도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전원 스위칭부(40)를 통해 반복적으로 해당 팬코일(16a~16n)을 구동시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해당 조리시간동안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내부 타이머(52)의 카운팅에 의해 해당 조리완료 시간이 도래되었음을 인지하게 되면, 상기 부저(14)를 구동하고, 해당 팬코일(16a~16n)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은 일정 인분씩 수육을 개별적으로 함체에 개별 수용시킨 상태에서 조리사의 입력 설정에 따라 해당 조리시간별 온도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며, 예약 조리설정 등을 통해 손님의 방문을 예상하여 자동으로 미리 개별적으로 조리를 행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조리시간을 통해 수육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공급할 수 있으므로 그 효과가 크며, 조리사가 조리시간을 일일이 신경쓰지 않아도 설정치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적 조리가 이루어지므로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별 수육제조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외부함체, 8:제어패널,
10:표시부, 12:키입력부,
14:부저, 16:팬코일,
20:원형 덮개판, 22, 23:삽입공,
30;개별수육조리통.

Claims (6)

  1.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스테인레스재질의 외부 함체와;
    그 외부함체의 상부에 씌워지며, 다수개의 개별 수육조리통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이 그 상면 가장자리부를 따라 천공된 박막의 원형 덮개판과;
    상기 원형 덮개판의 삽입공에 삽입되고 내부에 수육을 저장하여 조리할 수 있게 되며, 상하 길이방향으로 길쭉하게 형성된 원통형상의 개별 수육조리통과;
    상기 외부 함체의 외주연 소정부에 부착되어 조리를 위한 각종 키설정을 행하고, 그 설정상태를 표시하며, 부저가 구비되어 조리완료 상태를 경고음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패널과;
    상기 외부 함체의 내부 바닥면에 부착되어, 상기 개별 수육조리통을 가열하기 위한 다수개의 팬코일과;
    그 팬코일의 하부에 별도의 격막을 통해 분리되어져 있으며, 팬코일과 연결되어 그 팬코일을 구동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팬코일 가열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수육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중앙 소정부에는 상기 개별 수육조리통을 삽입하는 삽입공보다 직경이 더 큰 삽입공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그 삽입공을 통해 인분수가 더 큰 개별 수육조리통이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수육제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은 전면 상단에 각 개별 수육조리통을 나타내는 표시와, 각 개별 수육조리통의 조리설정 시간 및 예약 조리개시시간을 나타내는 표시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표시부의 하부에는 예약 및 개별 수육조리통의 선택, 시간 설정 및 조리 개시버튼으로 이루어진 키입력부가 구비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수육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의 내부에는 각 개별 수육조리통별 조리시간 및 예약 조리시간, 조리개시 시간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으며, 각 조리시간별 가열온도 데이터가 저장되어져 있는 데이터저장부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키설정 데이터를 인가받아 즉시 조리인지, 예약조리인지, 조리시간별 온도데이터를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선택된 개별 수육조리통을 해당 조리시간으로 조리하도록 상기 전원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해당 조리시간동안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조리 완료시간 도래시 부저를 구동 제어하도록 한 제어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수육제조장치.
  5. 구동할 팬코일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조리시간이 인가되는 과정과;
    조리시간별 가열온도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과;
    제어부가 조리시간에 따라 해당 온도를 유지하면서 조리를 행하기 위해 상기 가열온도 데이터에 따라 팬코일 구동 및 구동정지를 반복적으로 행하는 과정과;
    조리 완료시간이 도래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부저를 구동시키고, 팬코일 구동을 정지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수육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조리시간 입력과정 뒤에는 즉시 조리인지, 예약조리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예약 조리인 경우, 예약 설정시간이 도래되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수육제조방법.
KR1020050038029A 2005-05-06 2005-05-06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56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029A KR20050056172A (ko) 2005-05-06 2005-05-06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029A KR20050056172A (ko) 2005-05-06 2005-05-06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172A true KR20050056172A (ko) 2005-06-14

Family

ID=37250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029A KR20050056172A (ko) 2005-05-06 2005-05-06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617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8666A (zh) * 2018-05-14 2018-07-31 佛山市大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炒菜机的上料装置
KR20230068551A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건우금속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뚜껑
CN117547048A (zh) * 2023-12-13 2024-02-13 广州金立昌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肉类卤煮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8666A (zh) * 2018-05-14 2018-07-31 佛山市大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炒菜机的上料装置
KR20230068551A (ko) * 2021-11-11 2023-05-18 주식회사 건우금속 즉석식품 조리용기의 뚜껑
CN117547048A (zh) * 2023-12-13 2024-02-13 广州金立昌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肉类卤煮设备
CN117547048B (zh) * 2023-12-13 2024-05-14 广州金立昌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肉类卤煮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2623B1 (en) Cooking appliance
EP2879555B1 (en) Sous vide cooking device
US5235903A (en) Subatmospheric pressure cook-and-hold steaming oven
US5380986A (en) Multi-purpose electric fast cooking apparatus
JP6062540B2 (ja) 調理装置、調理用鍋、および調理方法
CN106618149A (zh) 多功能烹调器
CN2875267Y (zh) 组合早餐机
KR101120397B1 (ko) 가열조리기와 비타민 c를 증가시키는 조리 방법
KR20030074042A (ko) 전기 조리기
CN213371499U (zh) 一种智能热空气烹饪设备
AU20062921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od preparation and holding station synchronization
JP2017000390A (ja) 加熱調理器
KR20050056172A (ko) 개별 수육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3091292B1 (en) Cooking appliance for receiving at least one cooking vessel
US10101035B1 (en) Custom cooking program based on feedback
JP2011043259A (ja) 加熱調理器
CN103799853A (zh) 烹饪锅及其烹饪方法
KR102046804B1 (ko) 조리용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열식 조리기
KR200455177Y1 (ko) 개량 신선로
JP5106273B2 (ja) 炊飯器
CN113520140B (zh) 自动炒菜方法及自动炒菜机
WO2012054069A1 (en) Safe product transfer apparatus
JPH0445662Y2 (ko)
JP2020143847A (ja) オーブンレンジ
KR20220000033A (ko) 조리 용량이 증가될 수 있고, 바깥에서 뒤집기가 가능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고온 에어 프라이어 유형의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