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6113A - 신뢰도 지수에 기반한 연락처 정보 생성 및 변경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신뢰도 지수에 기반한 연락처 정보 생성 및 변경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6113A
KR20050056113A KR1020040051826A KR20040051826A KR20050056113A KR 20050056113 A KR20050056113 A KR 20050056113A KR 1020040051826 A KR1020040051826 A KR 1020040051826A KR 20040051826 A KR20040051826 A KR 20040051826A KR 20050056113 A KR20050056113 A KR 20050056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information
information
reliability index
contact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종
Original Assignee
(주) 후이즈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후이즈홀딩스 filed Critical (주) 후이즈홀딩스
Priority to KR102004005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6113A/ko
Publication of KR2005005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11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연락처 정보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성된 개인 또는 단체의 연락처 정보에 대한 신뢰도 지수에 기반하여 복수개의 연락처 정보를 유지하고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탐색 대상자 본인에 의한 연락처 정보 생성과 변경이 없어도 연락처 탐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타인에 의한 정보 생성과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이렇게 생성되는 복수개의 연락처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도달 예측률과 도달 성공률에 기초한 신뢰도 지수를 계산하여 함께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0)와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30)와 관리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뢰도 지수에 따라 복수개의 연락처 정보를 생성하고 유지함으로써 본인에 의한 정보 변경이 없이도 항상 정확성이 높은 연락처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타인에 의한 연락처 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 또는 단체의 연락처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락처 정보 탐색 실행자에 의한 탐색과정의 결과가 본 발명의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갱신 과정에 반영되므로 연락처 정보 탐색 실행의 횟수가 많아질 수록 전체 정보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신뢰도 지수에 기반한 연락처 정보 생성 및 변경 방법 및 시스템 { A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updating contact information based on confidence index }
본 발명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한 연락처 정보 변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성된 개인 또는 단체의 연락처 정보에 대한 신뢰도 지수에 기반하여 복수개의 연락처 정보를 유지하고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첩이나 주소록 노트 또는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엑셀(Excel) 프로그램 또는 주소록 관리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 주소와 휴대폰 번호와 우편주소 등을 포함하는 연락처 정보를 유지 관리하고 있으나, 시간에 따른 정보의 노후화 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려웠다.
최근 인터넷을 포함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 상의 서버를 기반으로 통합 주소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들이 다수 제안되었고 실제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같은 네트워크 기반 통합 주소록의 장점은 개인들의 변경된 연락처 정보들이 관계되어 있는 인맥의 구조를 따라 자동으로 전파된다는 데 있다.
한국 특허 출원번호 10-2003-0005913 호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소록 자동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주소록 자동관리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사용자와 관련된 지인들에게 주소록 초청 메일을 발송하여 가입을 유도하며 이후 지인들의 정보 변경시 자동으로 변경된 정보가 사용자에게 통보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의 경우, 최소한 처음 시작단계에서 정확하고 도달가능한 전자우편 주소를 알아야만 초청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신의 연락처 정보의 변경은 모두 본인에 의해서만 가능하므로 본인이 접속하여 직접 자신의 연락처 정보를 변경하지 않는 한 낡은 연락처 정보가 그대로 유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 특허 출원번호 10-2003-0008151 호는 자동화된 계층형 인맥 관리 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를 중심으로 심리적 거리 단위인 친밀도에 의해 계층적으로 설정되는 인맥 관리 맵과 그에 기반한 인맥 공유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의 경우에도, 자신의 연락처 정보의 변경은 본인에 의해서만 가능하며 특히 인맥 공유 요청을 승인해야만 정보가 변경되는 제한사항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현실적으로 자신의 연락처 정보를 항상 최신의 정보로 유지하고 관리하는 작업을 충실히 수행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현저하게 낮은 상황에서는 종래의 주소록 관리 시스템에서와 같이 본인에 의해서만 자신의 연락처 정보가 생성되고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제한조건을 설정하는 방법으로는 최신의 도달가능한 연락처 정보를 유지하는 일이 어렵고, 따라서 항상 낮은 도달률의 문제에 봉착할 수 밖에 없다.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상에서 특정인을 찾아가는 과정을 살펴보면 위와 같은 문제점들에 대한 현실적인 대안과 그 시사점들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오프라인상에서 특정인을 찾을 때에는 그 사람의 이름과 과거 소속에 관한 정보를 출발점으로 상기 특정인을 알만한 사람들을 접촉해서 연락처 정보를 얻어내고 연락을 시도해서 맞는 연락처 정보와 틀린 연락처 정보를 판별해가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온라인 상에서도 이와 마찬가지로 직접 도달가능한 연락처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탐색과정 중에 타인에 의해 생성되고 변경되는 연락처 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그렇게 확보되는 복수개의 연락처 정보들을 도달 예측률과 도달 성공률에 기초한 신뢰도 지수로 통합하여 이후에 동일인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려는 사람들에게 참고할 수 있는 정보로 제공할 수 있게 되면, 본인에 의해 직접 자신의 연락처 정보가 갱신되지 않더라도 자신을 찾아 연락하려고 하는 사람들은 누구나 자신의 최신 연락처 정보에 근접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탐색 대상자 본인에 의한 연락처 정보 생성과 변경이 없어도 연락처 탐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타인에 의한 정보 생성과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이렇게 생성되는 복수개의 연락처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가늠할 수 있도록 도달 예측률과 도달 성공률에 기초한 신뢰도 지수를 계산하여 함께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은,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0)와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30)와 관리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0)는 개인 또는 단체의 이름과 고유의 식별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엔트리(entry) 테이블; 과 상기 엔트리 테이블의 레코드(record; row data)간의 연관 관계를 방향성 그래프로 표시하기 위한 관계(relation) 테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30)는,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엔트리 테이블의 레코드(record; row data)의 고유한 식별항목의 값을 생성자(creator) 항목과 객체(object) 항목의 값으로 가지며 탐색 대상자의 이름과 전화번호와 팩스번호와 전자우편주소와 오프라인 우편주소와 실시간 메신저(MSN 메신저, ICQ 메신저) 아이디와 홈페이지 주소 등을 포함하는 통신매체의 접속수단에 대한 정보와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관계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생성자와 상기 탐색 대상자간의 방향성 정보와 본인 또는 주변인에 의해 생성되고 참조되고 지지되고 소통 또는 불통 확인된 정보들에 의해 계산되는 신뢰도 지수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테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리서버(120)는, 회원 가입과 회원 로그인과 회원 로그아웃과 본인 및 주변인 연락처 정보 생성과 변경과 삭제와 조회 등을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0)와 상기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30)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별도의 물리적인 데이터베이스로 분리될 수도 있고, 단일한 데이터베이스에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생성 및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생성 및 변경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탐색 대상자의 이름을 선정하고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탐색 대상자 본인과 주변인의 정보를 확보하는 단계(S1); 및
상기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탐색 대상자의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신뢰도 지수에 따라 정렬하여 작업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S2); 및
상기 작업 리스트로부터 신뢰도 지수가 높은 순서대로 차례로 선택하여 상기 탐색 대상자의 연락처 정보에 근거하여 연락을 수행하는 단계(S3); 및
상기 연락 수행 단계가 성공인지 실패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 및
만약 상기 연락 수행 단계가 성공이면 소통 확인 정보를 갱신하고 신뢰도 지수를 증가시키는 단계(S5); 및
만약 상기 연락 수행 단계가 실패이면 불통 확인 정보를 갱신하고 신뢰도 지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주변인에게 상기 탐색 대상자의 연락처 정보와 추가적인 주변인 정보를 요청하고 회신받은 다음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갱신하는 단계(S6);
만약 상기 연락 수행 단계가 실패이면 상기 작업 리스트에 남은 항목이 있는지를 판단한 후, 상기 작업 리스트의 다음 항목에 대한 탐색과정으로 되돌아가는 단계(S7);를 포함하여 연락처 탐색과 정보 생성 및 변경 작업을 수행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0)의 엔트리 테이블의 자료구조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엔트리 테이블은, 레코드(record) 상호간을 구별하고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프라이머리 키(primary key)로 사용하기 위한 uid(unique identification) 항목(1001)과 이름 항목(1002)과 고유의 식별번호(주민번호, 법인번호, 등등) 항목(1003)을 포함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0)의 관계(relation) 테이블의 자료구조도이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계 테이블은, 상기 엔트리 테이블의 레코드간의 연관성을 방향성 그래프(directed graph)로 추상화하여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레코드(record) 상호간을 구별하고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프라이머리 키(primary key)로 사용하기 위한 uid(unique identification) 항목(2001)과 방향성 그래프의 원호(arc)의 출발지(source) 항목(2002)과 방향성 그래프의 원호의 목적지(destination) 항목(20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라, 출발지와 목적지간의 친밀도를 나타내는 가중치(weight) 항목(200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30)의 주소록 테이블의 자료구조도이다.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주소록 테이블은, 해당 레코드를 생성한 사람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는 생성자(creator) 항목(3001)과 해당 레코드의 대상이 누구인지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는 대상자(object) 항목(3002)과 상기 대상자의 연락처 정보들과 해당 정보의 신뢰도를 표시하기 위한 신뢰도 지수(confidence index) 항목(300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대상자의 연락처 정보들은 전화번호 항목(3003)과 전자우편주소 항목(3004)과 우편주소 항목(3005)과 MSN 메신저와 ICQ를 포함하는 실시간 메신저 프로그램의 아이디 항목(300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라 유선 전화번호와 무선 전화번호와 팩스번호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여러 개의 전자우편주소와 같이 각 항목들이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신뢰도 지수 항목(3007)은, 상기 대상자의 연락처 정보들의 각각에 대해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즉, 제 1 전자우편 주소 항목에 대한 신뢰도 지수 항목과 제 2 전자우편 주소 항목에 대한 신뢰도 지수 항목이 독립적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생성된 연락처 정보의 분포도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A, B, C, D는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0)의 엔트리 테이블의 레코드를 표현한다. AA는 엔트리 A에 의해 생성된 엔트리 A의 연락처 정보를 나타낸다. AB는 엔트리 A에 의해 생성된 엔트리 B의 연락처 정보를 나타낸다. 엔트리 C의 경우에는 자신에 의해 생성된 자신의 연락처 정보는 없고, 엔트리 C에 의해서 생성된 엔트리 D의 연락처 정보만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엔트리 D의 경우는 자신에 의해서는 아무런 연락처 정보도 생성하지 않은 경우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연락처 정보의 분포에서, 만약 엔트리 D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확보하고 한다면, AD, BD, CD, 모두 세가지 종류의 연락처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연락처 정보의 정확성 정도는 미리 계산되어 상기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30)의 주소록 테이블의 신뢰도 지수 항목(3007)에 저장되어 있는 값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신뢰도 지수가 높은 것에서 부터 탐색과 연결을 수행한다면 전체적인 탐색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신뢰도 지수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로 부터 관련 변수들을 추출할 수 있다.
1) 모든 연락처 정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후화 된다. 생성시점에서 신뢰도 지수는 100 이 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한다. [ T: 시간변수 ]
2) 본인에 의한 연락처 정보의 신뢰도 지수가 가장 높다. [ I : 본인변수 ]
3) 주변인에 의해 생성된 연락처 정보의 경우, 보다 많은 사람들에 의해 참조된 정보의 신뢰도 지수가 높다. [ R : 참조변수 ]
4) 주변인에 의해 생성된 연락처 정보의 경우, 보다 많은 사람들에 의해 지지된 정보의 신뢰도 지수가 높다. [ S : 지지변수 ]
5) 주변인에 의해 생성된 연락처 정보의 경우, 보다 많은 사람들에 의해 소통 확인된 정보는 신뢰도 지수가 높고, 보다 많은 사람들에 의해 불통 확인된 정보는 신뢰도 지수가 낮다. [ C : 소통확인변수, D : 불통확인변수 ]
6) 주변인에 의해 생성된 연락처 정보의 경우, 대상자와 생성자의 관계가 친밀하고 교류가 빈번할 수록 신뢰도 지수가 높다. [ F : 친밀도변수 ]
위의 변수들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연락처 정보의 방향성 그래프이다.
상기 방향성 그래프는 상기 연락처 정보 분포도로부터 도출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0)의 엔트리 테이블과 관계 테이블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향성 그래프의 절점(node, 301)는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0)의 엔트리 테이블의 레코드를 표현하며, 원호(arc, 302, 303)는 상호간의 연결성과 연락처 정보 생성 여부를 표현한다. 일방향성 원호(302)는 엔트리 B에 의해 엔트리 D의 연락처 정보는 생성되어 있지만, 엔트리 D에 의해서는 엔트리 B의 연락처 정보가 생성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 양방향성 원호(303)은 엔트리 A와 엔트리 B가 서로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서로 생성하여 보유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연락처 정보를 탐색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해한 탐색과정도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탐색 실행자(401)가 탐색 대상자(402)인 엔트리 D의 연락처 정보를 입수하고자 탐색을 시작한다. 엔트리 D는 상기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은 상태이고, 본인에 의해 생성된 연락처 정보가 전혀없는 상태이다. 탐색 초기에 탐색 실행자(401)는 상기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AD, BD, CD, 모두 세가지 종류의 연락처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연락처 정보의 신뢰도 지수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연락처 정보 신뢰도 지수
AD 20
BD 50
CD 10
상기 탐색 실행자(401)는 이상 세가지 연락처 정보로부터 가장 높은 신뢰도 지수를 가지는 BD의 연락처 정보를 선택하여 탐색을 진행한다.
도 5b은, 엔트리 B에 의해 생성된 엔트리 D의 연락처 정보(BD)를 사용하여 연락을 수행하였으나 엔트리 D와의 소통에 실패하게 된 경우를 나타낸다. 즉, 엔트리 B가 생성한 엔트리 D의 연락처 정보의 신뢰도 지수가 50 이었으나, 이를 사용하여 실제로 연락을 수행한 결과 불통이 확인되었으므로, 해당 연락처 정보인 BD의 신뢰도 지수가 재조정되어 값이 감소되게 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0'으로 초기화)
도 5c 는 신뢰도 지수가 두번째로 높은 엔트리 A에 의해 생성된 엔트리 D의 연락처 정보(AD)를 사용하여 연락을 수행하여 성공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신뢰도 지수의 값은 재조정되어 값이 증가하게 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100'으로 초기화)
만약 상기 탐색 실행자(401)가 상기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의 회원이고 엔트리 E로 표현될 수 있다면, 위와 같은 탐색의 결과를 반영하여 새로운 연락처 정보인 ED를 신뢰도 지수 100의 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연락처 정보를 다단계로 탐색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해한 다단계 탐색과정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탐색 실행자(401)가 탐색 대상자(402)인 엔트리 D의 연락처 정보를 입수하고자 탐색을 시작한다. 엔트리 D는 자신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갱신하지 않아서 상기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에 남아있는 연락처 정보로는 연락할 수 없는 상태이다. 또한, 다른 엔트리들에 의해 생성된 연락처 정보도 전혀 없는 상태이다. (방향성 그래프에서 목적지로 지정된 원호가 하나도 없음) 그 대신 엔트리 D에 의해 연락처 정보가 생성되어 있는 엔트리는 B와 D가 있다. 탐색의 제 1 단계는 인적 네트워크 상의 주변인으로 판단가능한 엔트리 B와 엔트리 D에 대해 먼저 탐색을 수행하는 것이고, 제 2 단계는 엔트리 D에 대한 갱신된 연락처 정보에 근거해서 탐색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엔트리 B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추출한 결과, 신뢰도 지수(CI)가 80 인 연락처 정보(DB)가 검출된다. 이를 이용하여 엔트리 B를 중간탐색 대상자(403)로 결정하고, 엔트리 B에게 엔트리 D에 대한 최신 연락처 정보의 제공 또는 생성 또는 갱신을 요청하고 회신 또는 승인을 받는다.
도 6b는 엔트리 B로의 연결이 성공하였고, 그 결과 엔트리 D에서 엔트리 B로 향하는 원호의 신뢰도 지수가 80에서 100으로 재조정되었으며, 엔트리 B로부터 엔트리 D에 대한 연락처 정보를 신뢰도 지수 80의 값으로 갱신받았음을 보여준다.
도 6c는 엔트리 B로부터 제공받은 엔트리 D의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에 성공하였음을 나타내며, 엔트리 B에서 엔트리 D로 향하는 원호의 신뢰도 지수가 100으로 재조정되었음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뢰도 지수에 따라 복수개의 연락처 정보를 생성하고 유지함으로써 본인에 의한 정보 변경이 없이도 항상 정확성이 높은 연락처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타인에 의한 연락처 정보의 생성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 또는 단체의 연락처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락처 정보 탐색 실행자에 의한 탐색과정의 결과가 본 발명의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갱신 과정에 반영되므로 연락처 정보 탐색 실행의 횟수가 많아질 수록 전체 정보의 정확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정보 생성 및 변경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0)의 엔트리 테이블의 자료구조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120)의 관계(relation) 테이블의 자료구조도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30)의 주소록 테이블의 자료구조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 생성된 연락처 정보의 분포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의 연락처 정보의 방향성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연락처 정보를 탐색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해한 탐색과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연락처 정보를 다단계로 탐색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해한 다단계 탐색과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의 관리서버
120 :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130 :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주소록 데이터베이스
200 :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301 : 방향성 그래프의 절점(node)
302 : 방향성 그래프의 단방향 원호(arc)
303 : 방향성 그래프의 양방향 원호(arc)
401 : 탐색 실행자
402 : 탐색 대상
403 : 다단계 탐색과정에서의 중간탐색대상

Claims (4)

  1. 개인 또는 단체의 이름과 고유의 식별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엔트리(entry) 테이블; 과 상기 엔트리 테이블의 레코드(record; row data)간의 연관 관계를 방향성 그래프로 표시하기 위한 관계(relation) 테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엔트리 테이블의 레코드(record; row data)의 고유한 식별항목의 값을 생성자(creator) 항목과 객체(object) 항목의 값으로 가지며 탐색 대상자의 이름과 전화번호와 팩스번호와 전자우편주소와 오프라인 우편주소와 실시간 메신저(MSN 메신저, ICQ 메신저) 아이디와 홈페이지 주소 등을 포함하는 통신매체의 접속수단에 대한 정보와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의 상기 관계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생성자와 상기 탐색 대상자간의 방향성 정보와 본인 또는 주변인에 의해 생성되고 참조되고 지지되고 소통 또는 불통 확인된 정보들에 의해 계산되는 신뢰도 지수 정보를 포함하는 주소록 테이블;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소록 데이터베이스; 및
    회원 가입과 회원 로그인과 회원 로그아웃과 본인 및 주변인 연락처 정보 생성과 변경과 삭제와 조회 등을 포함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
  2. 연락처 정보 처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탐색 대상자의 연락처를 확보하고 연락을 수행하며 갱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탐색 대상자의 이름을 선정하고 상기 인적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탐색 대상자 본인과 주변인의 정보를 확보하는 단계(S1); 및
    상기 주소록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탐색 대상자의 연락처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신뢰도 지수에 따라 정렬하여 작업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S2); 및
    상기 작업 리스트로부터 신뢰도 지수가 높은 순서대로 차례로 선택하여 상기 탐색 대상자의 연락처 정보에 근거하여 연락을 수행하는 단계(S3); 및
    상기 연락 수행 단계가 성공인지 실패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 및
    만약 상기 연락 수행 단계가 성공이면 소통 확인 정보를 갱신하고 신뢰도 지수를 증가시키는 단계(S5); 및
    만약 상기 연락 수행 단계가 실패이면 불통 확인 정보를 갱신하고 신뢰도 지수를 감소시키고, 상기 주변인에게 상기 탐색 대상자의 연락처 정보와 추가적인 주변인 정보를 요청하고 회신받은 다음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갱신하는 단계(S6);
    만약 상기 연락 수행 단계가 실패이면 상기 작업 리스트에 남은 항목이 있는지를 판단한 후, 상기 작업 리스트의 다음 항목에 대한 탐색과정으로 되돌아가는 단계(S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락처 정보 생성 및 변경 방법.
  3. 개인 또는 단체의 이름과 고유의 식별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엔트리(entry) 테이블 구조; 및
    상기 엔트리 테이블의 레코드(record; row data)간의 연관 관계를 방향성 그래프로 표시하기 위한 관계(relation) 테이블 구조; 및
    상기 엔트리 테이블의 레코드(record; row data)의 고유한 식별항목의 값을 생성자(creator) 항목과 객체(object) 항목의 값으로 가지며 탐색 대상자의 이름과 전화번호와 팩스번호와 전자우편주소와 오프라인 우편주소와 실시간 메신저(MSN 메신저, ICQ 메신저) 아이디와 홈페이지 주소 등을 포함하는 각각의 통신매체의 접속수단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정보와 상기 관계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생성자와 상기 탐색 대상자간의 방향성 정보와 본인 또는 주변인에 의해 생성되고 참조되고 지지되고 소통 또는 불통 확인된 정보들에 의해 계산되고 상기 각각의 통신매체의 접속수단에 대응하는 신뢰도 지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주소록 테이블 구조;
    를 가지는 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4. 제 1 항 또는 2 항 또는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도 지수는,
    1) 모든 연락처 정보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노후화 된다. 생성시점에서 신뢰도 지수는 최고값이 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한다. [ T: 시간변수 ]
    2) 본인에 의한 연락처 정보의 신뢰도 지수가 가장 높다. [ I : 본인변수 ]
    3) 주변인에 의해 생성된 연락처 정보의 경우, 보다 많은 사람들에 의해 참조된 정보의 신뢰도 지수가 높다. [ R : 참조변수 ]
    4) 주변인에 의해 생성된 연락처 정보의 경우, 보다 많은 사람들에 의해 지지된 정보의 신뢰도 지수가 높다. [ S : 지지변수 ]
    5) 주변인에 의해 생성된 연락처 정보의 경우, 보다 많은 사람들에 의해 소통 확인된 정보는 신뢰도 지수가 높고, 보다 많은 사람들에 의해 불통 확인된 정보는 신뢰도 지수가 낮다. [ C : 소통확인변수, D : 불통확인변수 ]
    6) 주변인에 의해 생성된 연락처 정보의 경우, 대상자와 생성자의 관계가 친밀하고 교류가 빈번할 수록 신뢰도 지수가 높다. [ F : 친밀도변수 ]
    를 포함하는 변수들의 상호관계로부터 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뢰도 지수 계산 방법.
KR1020040051826A 2004-07-05 2004-07-05 신뢰도 지수에 기반한 연락처 정보 생성 및 변경 방법 및시스템 KR200500561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826A KR20050056113A (ko) 2004-07-05 2004-07-05 신뢰도 지수에 기반한 연락처 정보 생성 및 변경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1826A KR20050056113A (ko) 2004-07-05 2004-07-05 신뢰도 지수에 기반한 연락처 정보 생성 및 변경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113A true KR20050056113A (ko) 2005-06-14

Family

ID=3725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1826A KR20050056113A (ko) 2004-07-05 2004-07-05 신뢰도 지수에 기반한 연락처 정보 생성 및 변경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611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574A2 (ko) * 2011-06-28 2013-01-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
WO2019125060A1 (ko) * 2017-12-21 2019-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화번호 연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413654A (zh) * 2019-06-20 2019-11-05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确定客户可信联系信息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2574A2 (ko) * 2011-06-28 2013-01-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
WO2013002574A3 (ko) * 2011-06-28 2013-04-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
US9774567B2 (en) 2011-06-28 2017-09-26 Sk Planet Co., Ltd. System, server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generating a user affinity-based address book, and method for generating a user affinity-based address book
WO2019125060A1 (ko) * 2017-12-21 2019-06-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화번호 연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413654A (zh) * 2019-06-20 2019-11-05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确定客户可信联系信息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0413654B (zh) * 2019-06-20 2023-11-21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确定客户可信联系信息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3969B2 (en) Identifying relationships in an online social network
US9703879B2 (en) Graph server querying for managing social network information flow
CN101438279B (zh) 包括信任网络的集成有用户判断的搜索系统和方法
US7099862B2 (en) Programmatic discovery of common contacts
US8108414B2 (en) Dynamic location-based social networking
US8140561B2 (en) Service recommendation system and service recommendation method
EP14579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interaction
US2015020584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act Management
US20090012833A1 (en) Search engine for most helpful employees
US20110191717A1 (en) Presenting Suggestions for User Input Based on Client Device Characteristics
JP2014513826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データベース及びそれらの使用
CN101495991A (zh) 用于社会映射的系统和方法
US201300545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arch relevancy in communication initiation searches
JP5221630B2 (ja) サーバ、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する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16196004A1 (en) Joining semantically-related data using big table corpora
JP2003108592A (ja) 検索方法および検索装置
KR100469900B1 (ko) 네트워크를 통한 커뮤니티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36165A (ja) 口コミ情報共有装置
KR20050056113A (ko) 신뢰도 지수에 기반한 연락처 정보 생성 및 변경 방법 및시스템
JP5165722B2 (ja) 情報提供サーバ、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789336B1 (ko) 인맥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3050974A (ja) 情報提供サーバ、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Tsubouchi et al. Unvisited Out-Of-Town POI Recommendation with Simultaneous Learning of Multiple Regions
JP2010176263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活性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