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6001A -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6001A
KR20050056001A KR1020030089077A KR20030089077A KR20050056001A KR 20050056001 A KR20050056001 A KR 20050056001A KR 1020030089077 A KR1020030089077 A KR 1020030089077A KR 20030089077 A KR20030089077 A KR 20030089077A KR 20050056001 A KR20050056001 A KR 20050056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group
substituted
unsubstituted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8103B1 (ko
Inventor
박상훈
이수형
김상열
손준모
김동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9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8103B1/ko
Priority to US10/995,299 priority patent/US7348072B2/en
Priority to CNB2004101000556A priority patent/CN1322019C/zh
Priority to JP2004357449A priority patent/JP4884668B2/ja
Publication of KR20050056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8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8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10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romatic carbon atoms, e.g. polyphen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08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416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41Heterocyclic
    • C09K2211/1475Heterocyclic containing nitrogen and oxygen as heteroato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로안트라센 구조를 갖는 인데노플루오로렌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스피로플루오렌 타입의 청색 발광 고분자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휘도 및 효율 특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Light-emitting polymer polymer and organo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기로는 청색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하여 휘도 및 효율 특성이 향상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유기막 형성재료의 특성과 제작 공정 면에서 크게 저분자를 이용한 소자와 고분자를 이용한 소자로 분류될 수 있다. 저분자를 이용한 소자 제조시에는 진공 증착을 통하여 박막을 형성하며, 발광 재료의 정제와 고순도화가 용이하고 컬러 화소를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실질적인 응용을 위해서는 양자 효율의 향상과 박막의 결정화 방지 및 색순도의 향상 등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한편, 고분자를 이용한 전계발광 소자에 대한 연구는, π-공액 고분자인 폴리(1,4??페닐렌비닐렌)(PPV)에 전기를 가했을 때 빛이 발광한다는 사실이 보고된 이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π-공액 고분자는 단일 결합(혹은 σ결합)과 이중 결합(혹은 π 결합)이 교대로 있는 화학 구조를 가지고 있어, 편재화되지 않고 결합 사슬을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π 전자를 가지고 있다. π 고분자는 이러한 반도체적인 성질로 인하여 그들을 전계발광 소자의 발광층에 적용시 HOMO-UMO 밴드갭(band-ap)에 해당하는 전 가시광 영역의 빛을 분자 설계를 통하여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스핀 코팅 혹은 프린팅 방법으로 간단히 박막을 형성할 수 있어 소자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기계적 성질의 박막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고분자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경우, 색순도 저하, 높은 구동전압, 저효율 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현재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 일례로, 폴리(9,9-알킬플루오렌)(PAF) 또는 플루오렌 함유하는 공중합체(참조: 미국 특허 제 6,169,163호)는 발광효율이 높고 색상면에서도 공중합을 통해 고효율의 특성을 얻을 수 있었지만, 광산화와 고분자 주쇄 내의 결함 등에 의한 재료 자체의 수명 향상 정도가 미흡하여, 발광 고분자 특히 청색 발광 고분자의 짧은 수명이 고분자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개발 속도를 저해해 왔다.
한편, 청색 발광 고분자로서 스피로플루오렌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미국 특허 제5,621,131호 및 제5,763,636호 및 일본 특개평 02/32696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전하 이동성과 우수한 발광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한 발광 고분자와 이를 이용하여 효율 및 휘도 특성이 개선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발광 고분자에 의하여 달성된다.
[화학식 1]
상기식중, X 및 U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일결합을 의미하거나 -O-, -S-, -CO-, -Si( R')(R")-, -N(R')-, -C( R')(R")-이고, 단, X 및 U가 동시에 단일결합인 경우는 제외되며,
A, B, C, D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20의 고리형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 R2,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일치환(mono-substituted) 또는 다치환된(multi-substituted) 작용기로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20의 고리형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기,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과 R"은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탄소수 1-30의 알킬기, 탄소수 6-30의 아릴기,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탄소수 3-20의 고리형 알킬기를 나타내고,
m은 중합도로서, 5 내지 1000의 실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유기막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상술한 발광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발광 고분자를 제공한다. 그리고 Ar1 반복단위와 Ar2 반복단위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발광 고분자를 제공한다.
[화학식 2]
상기식중, X 및 U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일결합을 의미하거나 -O-, -S-, -CO-, -Si( R')(R")-, -N(R')-, -C( R')(R")-이고, 단, X 및 U가 동시에 단일결합은 제외되며,
A, B, C, D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20의 고리형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 R2,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일치환(mono-substituted) 또는 다치환된(multi-substituted) 작용기로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20의 고리형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기,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과 R"은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탄소수 1-30의 알킬기, 탄소수 6-30의 아릴기,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탄소수 3-20의 고리형 알킬기를 나타내고,
Ar1 및 Ar2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m은 중합도로서, 5 내지 1000의 실수이고,
a는 0 내지 20 몰%이고, b는 60 내지 99몰%이고, c는 0 내지 20몰%이고, a와 c가 동시에 0몰%인 경우는 제외된다.
상술한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발광 고분자는 그 스피로안트라센 구조를 갖는 인데노플루오렌 반복단위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화학 구조적인 특징으로 말미암아 용이한 전하 이동성과 발광 특성 특히 청색 발광 특성을 가지며,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본 발명의 청색 전계발광 고분자의 주쇄를 구성하는 상기 Ar1 반복단위와 Ar2 반복단위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그룹중에서 선택된다.
[화학식 3]
상기식에서, R4 및 R5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30의 알킬기, 탄소수 1-30의 알콕시기, 탄소수 6-30의 아릴기,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R' 및 R"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14의 아릴기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발광 고분자의 예로서, 하기 화학식 6 및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화학식 6]
상기식중, R' 및 R"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m은 5 내지 1,000의 실수이다.
[화학식 7]
상기식중, R, R' 및 R"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m은 5 내지 1000의 실수이고, b는 80 내지 99 몰%이고, c는 1 내지 20몰%이다.
상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고분자의 예로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고분자를 들 수 있다.
[화학식 4]
상기식중, m은 5 내지 1000의 실수이다.
상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발광 고분자의 구체적인 예로서,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고분자를 들 수 있다.
[화학식 5]
상기식중, m은 5 내지 1000의 실수이고, b는 80 내지 99 몰%이고, c는 1 내지 20 몰%이고,
m은 5 내지 1,000의 실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발광 고분자의 합성스킴에 대한 일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에 나타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색 발광 고분자에서 중합도인 m은 5 내지 1,000의 실수이고, 특히 1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청색 발광 고분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약 1만 내지 20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분자의 중량평균 분자량의 하한을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이유는 전계발광 소자 제작시 고분자의 분자량이 박막형성 특성 및 소자의 수명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특히 분자량이 지나치게 작을 경우에는 소자 제작 및 구동시에 결정화 등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반면, 최고 분자량을 20만으로 한정하는 이유는 통상 Pd(O) 또는 Ni(O)-매개 아릴 커플링 반응에 의해 생산되는 고분자의 분자량이 20만을 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편, 발광 고분자의 분자량 분포(MWD)는 가능한 좁을 수록 여러 전계발광 특성(특히, 소자의 수명)에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1.5 내지 5의 범위로 제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중합도 m은 5 내지 1,000의 실수로서, 특히 1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펜틸, iso-아밀, 헥실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진, 히드라존, 카르복실기나 그의 염, 술폰산기나 그의 염, 인산이나 그의 염, C1-C12의 알킬기, C1-C12의 알콕시기, C1-C12의 알케닐기, C1-C12의 알키닐기, C6-C14의 아릴기, C7-C14의 아릴알킬기, C2-C14의 헤테로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 등으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콕시기는 구체적인 예로서, 메톡시, 에톡시, 페닐옥시, 시클로헥실옥시, 나프틸옥시, 이소프로필옥시, 디페닐옥시 등이 있고, 이들 알콕시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는 상술한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20의 고리형 알킬기의 예로는 사이클로헥실기, 사이클로펜틸기 등이 있고, 사이클로알킬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술한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기는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어, 하나 이상의 고리를 포함하는 탄소원자수 6 내지 30개의 방향족 탄소 고리를 시의미하며 상기 고리들은 펜던트 방법으로 함께 부착되거나 또는 융합될 수 있다. 아릴의 예로는 페닐, 나프틸, 테트라히드로나프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아릴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는 상술한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알킬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아릴기에서 수소원자 중 일부가 저급알킬,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등과 같은 그룹으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벤질, 페닐에틸 등이 있다. 상기 아릴알킬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는 상술한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기는 N, O, P 또는 S 중에서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고리원자가 C인 고리원자수 6 내지 70의 1가 모노사이클릭 또는 비사이클릭 방향족 2가 유기 화합물을 의미한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로서, 티에닐, 피리딜, 퓨릴(furyl) 등이 있다. 상기 헤테로아릴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는 상술한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유기막 즉, 발광층을 형성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캐소드/발광층/애노드, 캐소드/버퍼층/발광층/애노드, 캐소드/정공전달층/발광층/애노드, 캐소드/버퍼층/정공전달층/발광층/애노드, 캐소드/버퍼층/정공전달층/발광층/전자전달층/애노드, 캐소드/버퍼층/정공전달층/발광층/정공차단층/애노드 등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버퍼층의 소재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리 프탈로시아닌(copper phthalocyanine), 폴리티오펜 (polythiophene),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페닐렌비닐렌(polyphenylene vinylene),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정공전달층의 소재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트리페닐아민(polytriphenylamin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전자전달층의 소재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사디아졸(polyoxadiazole)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정공차단층의 소재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LiF, BaF2 또는 MgF2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제작은 특별한 장치나 방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통상의 발광 고분자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제작방법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소자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기판 (10) 상부에 애노드(11), 발광층 (12) 및 캐소드 (1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발광층 (12) 형성시 화학식 1 또는 2의 발광 고분자가 이용된다. 이밖에도 화학식 1의 발광 고분자는 발광층이 아닌 다른 유기막 형성시에도 사용가능하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되, 하기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로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합성예: 화합물 (F)의 제조 (도 1 참조)
1) 화합물 (A) 의 제조
디브로모크실렌 13.20 g (50 mmol)을 300 ml THF에 녹인 후 반응기의 온도를
-80 0C로 조절하였다. 이어서, 상기 반응 혼합물에 터트-부틸리튬 10.89 g (0.17 mol)을 적가하였다. 적가가 끝난 후에는 반응기의 온도를 -40 0C로 올린 후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기의 온도를 다시 -80 0C로 낮춘 후 2-이소프로폭시-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레인 31.63 g (0.17 mol)를 주입한 후 서서히 상온으로 올렸다.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으로 중화시킨 후, 에테르를 이용하여 추출을 실시하였다. 추출된 유기층을 헥산으로 재결정하여 흰색의 파우더로서 화합물 (A) 8.95 g(수율:50 %)을 얻었다
2) 화합물 (B)의 제조
화합물 (A) 7.16 g (20mmol)과 디브로모벤젠 141.54 g(0.6mol)을 600 ml THF에
녹인 후, 여기에 2 M K2CO3 수용액 400 ml 을 넣고 12시간 가열환류시켰다. 그 후, 반응물을 농축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승화정제하여 과량의 디브로모벤젠을 제거한 다음, 다시 장치를 셋업(setup)하여 승화정제하여 흰색의 파우더 상태로 화합물 (B) 8.32 g(수율: 70 %)를 얻었다.
3) 화합물 (C)의 제조
플라스크에 KMnO4 8.0 g 및 물 10 ml 부가한 후, 화합물 (B)와 피리딘 250 ml을 넣고 환류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KMnO4 수용액 4.5 g/ 10 ml H2O를 30분 간격으로 4번 부가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더 반응시킨 후 물을 250 ml 더 첨가하고 나서 환류시켰다. 상기 반응 혼합물중 MnO2를 여과하고 뜨거운 물로 세척한 후, 여액을 증발시키고 남은 고체를 물에 용해하였다. 상기 결과물에 2 M HCl을 넣어 침전시킨 다음,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고 물 및 에테르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여 100 0C에서 진공건조시켰다.
4) 화합물 (D)의 제조
화합물 (C)을 250 ml 황산에 넣은 후 800C에서 환류시킨 다음, 반응 혼합물을 얼음에 부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한 후, 메탄올 및 THF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여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수율 : 화합물 (C), (D)의 2 스텝을 거쳐 75%)
5) 화합물 (E)의 제조
브로모벤질벤젠이 녹아 있는 150 ml의 THF 용액을 플레임 드라이(flame dry)된 Mg에 붓고 1시간동안 환류하였다. Mg가 거의 사라지면 반응기를 다시 상온으로 낮추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질소를 강하게 퍼지하면서 화합물 (D)를 부가한 후 밤새 환류하였다.
반응 완료후, 반응 혼합물을 HCl 수용액으로 중화시키고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상기 에테르층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한 후 소량의 메틸렌클로라이에 녹인 후 메탄올로 침전물을 형성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침전물을 아세트산에 부가한 후, 여기에 몇 방울의 HCl을 첨가하고 2시간동안 환류하였다.
반응 완료 후 온도가 내려가면 생성물이 침전물 형태로 얻어졌다. 이를 여과한 후, 핫 클로로포름에 용해한 후, 메탄올을 부가하여 재결정을 실시하였다 (수율 약 25 %).
6) 화합물 (F)의 제조
화합물 (E)를 THF에 녹인 후 6 당량의 도데실 브로마이드와 18-크라운-6을 넣고 과량의 KH를 부가하여 40 0C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완료 후 반응 혼합물에 메탄올을 첨가하여 활성을 없애고 HCl 수용액을 부가하고 에테르를 이용하여 추출을 실시하였다. 상기 결과물을 컬럼 분리(용리액: 헥산)를 실시하여 화합물 (F)를 얻었다 (수율: 약 40 %). 화합물 (F)의 구조는 도 3의 1H-NM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합성예 2: 청색 발광 고분자의 제조 (도 2 참조)
1)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DSP)의 제조
슈렝크 플라스크(Schlenk flask) 내부를 수회 진공화, 질소환류시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비스 1,5-시클로옥타디엔 니켈{Bis(1,5-cyclooctadiene)nickel(O); 이하 "Ni(COD)"라 함} 880mg(3.2mmol)과 바이피리달(bipyridal) 500mg(3.2mmol)을 글로브 박스(glove box) 안에서 투입한 다음, 다시 수회 플라스크 내부를 진공화, 질소환류시켰다. 이어서, 질소 기류하에서 무수 디메틸퓨란(DMF) 10ml와 1,5-시클로옥타디엔(COD) 346mg(3.2mmol), 및 무수 톨루엔 10ml를 첨가하였다. 80 0C 에서 30분간 교반시킨 후,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F) 2.25 g(0.16mmol)을 톨루엔 10ml에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기벽에 묻어있는 물질들을 모두 씻어주면서 톨루엔 10ml를 첨가한 후, 80 0C 에서 4일 동안 교반시켰다. 교반이 완료된 후,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60 0C로 낮춘 다음 HCl:아세톤:메탄올=1:1:2 용액에 부어 침전을 형성시켰다. 침전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서 다시 침전을 형성한 다음 속슬렛(soxhlet)을 실시하여 흰색의 파우더 상태로 화학식 4의 고분자 490mg을 수득하였다. 상기 고분자를 GPC로 분석한 결과,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76,000이고, 분자량 분포(MWD)는 2.13 이었다.
2) 화학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DSP-9)의 제조
슈렝크 플라스크(Schlenk flask) 내부를 수회 진공화, 질소환류시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비스 1,5-시클로옥타디엔 니켈{Bis(1,5-cyclooctadiene)nickel(O); 이하 "Ni(COD)"라 함} 880mg(3.2mmol)과 바이피리달(bipyridal) 500mg(3.2mmol)을 글로브 박스(glove box) 안에서 투입한 다음, 다시 수회 플라스크 내부를 진공화, 질소환류시켰다. 이어서, 질소 기류하에서 무수 디메틸퓨란(DMF) 10ml와 1,5-시클로옥타디엔(COD) 346mg(3.2mmol), 및 무수 톨루엔 10ml를 첨가하였다. 800C에서 30분간 교반시킨 후,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수득한 화합물 (F) 2.03 g(1.44mmol)과 페녹사진 유도체인 화합물 (G) 87mg(0.16mmol)을 톨루엔 10ml에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기벽에 묻어있는 물질들을 모두 씻어주면서 톨루엔 10ml를 첨가한 후, 80 0C에서 4일 동안 교반시켰다. 교반이 완료된 후,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600C로 낮춘 다음 HCl:아세톤:메탄올=1:1:2 용액에 부어 침전을 형성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침전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서 다시 침전을 형성한 다음 속슬렛(soxhlet)을 실시하여 노란색의 파우더 상태로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고분자 400mg을 수득하였다. 상기 고분자를 GPC로 분석한 결과, 중량평균분자량(Mw)은 81000이고, 분자량분포(MWD)는 2.37 이었다.
비교합성예 1: 폴리(2',3',6',7'-테트라옥틸옥시 스피로플루오렌)[TS]의 제조
슈렝크 플라스크(Schlenk flask) 내부를 수회 진공화, 질소환류시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Ni(COD) 880mg(3.2mmol)와 바이피리달(bipyridal) 500mg(3.2mmol)을 글로브 박스(glove box) 안에서 투입한 후, 다시 수회 플라스크 내부를 진공화, 질소환류시켰다. 이어서, 질소 기류하에서 무수 DMF 10ml와 COD 346mg(3.2mmol), 및 무수 톨루엔 10ml를 첨가하였다. 80 0C에서 30분간 교반시킨후, 2,7-디브로모 2',3',6',7'-디옥틸옥시스피로플루오렌 1.58g(1.6 mmol)을 톨루엔 10ml에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기벽에 묻어있는 물질들을 모두 씻어주면서 톨루엔 10ml를 첨가한 후, 80 0C에서 4일 동안 교반시켰다. 4일 후, 브로모펜타플루오로벤젠 1ml를 첨가하고 800C에서 하루 정도 교반시켰다.
교반이 완료된 후, 상기 반응액의 온도를 600C로 낮춘 다음 HCl:아세톤:메탄올=1:1:2 용액에 부어 침전을 형성시켰다. 침전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킨 후, 메탄올에서 다시 침전을 형성한 다음 속슬렛(soxhlet)을 실시하여 흰색의 파우더 600mg (수율: 80 %) 수득하였다. 상기 고분자를 GPC 로 분석한 결과, 중량평균분자량(Mw)은 190000 이고, 분자량분포(MWD)는 1.94 이었다.
상기 합성예 2 및 비교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DSP 및 TS)의 UV 흡수 스펙트럼, PL 스펙트럼 및 EL 스펙트럼을 도 5a 내지 5c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피로안트라센 구조를 갖는 인데노플루오렌 구조를 반복단위로 사용된 화합물은 플루오렌 또는 스피로플루오렌 화합물과 유사한 전자상태 및 광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작
먼저 ITO(indium-tin oxide)를 유리기판 위에 코팅한 투명 전극 기판을 깨끗이 세정한 후, ITO를 감광성 수지(photoresist resin)와 에천트(etchant)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패터닝(patterning)하고 다시 깨끗이 세정하였다. 그 위에 전도성 버퍼층으로 Batron P 4083(Bayer社)(PEDOT)을 약 500~1100Å의 두께로 코팅한 후, 1800C 에서 약 1시간 동안 베이킹(baking)하였다.
그 후, 상기 합성예 2에 따라 제조된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고분자(DSP) 0.1 중량부를 톨루엔 99.9 중량부로 용해시켜 제조된 발광층 형성용 조성물을 상기 버퍼층 위에 스핀 코팅(spin coating)하고, 베이킹 처리후에 진공 오븐내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발광층을 형성시켰다. 이 때, 상기 발광층 형성용 조성물은 스핀 코팅에 적용하기 이전에 0.2 mm 필터로 여과되었으며, 발광층의 두께는 상기 조성물의 농도와 스핀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약 50-100 nm의 범위에 들도록 조절되었다. 이어서, 상기 발광층 상부에 진공증착기를 이용하여 진공도를 4 ×10-6 torr 이하로 유지하면서 Ca과 Al을 순차적으로 증착하여 캐소드를 형성하였다. 증착시 막두께 및 막의 성장속도는 크리스탈 센서(crystal sensor)를 이용하여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제작된 EL 소자는 ITO/PEDOT/발광고분자/BaF2/Ca/Al의 구조를 가지는 단층형 소자로서, 개략적인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발광면적은 4 mm2이었다.
실시예 2
발광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상기 합성예 2에 따라 얻은 화학식 4의 고분자대신 상기 비교합성예 1에 따라 얻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고분자 즉, DSP-9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1
발광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시 상기 합성예 2에 따라 얻은 화학식 4의 고분자
대신 상기 비교합성예 1에 따라 얻은 TS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서 제작된 각 소자의 EL (electroluminescence)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여기에서 평가시 구동전압으로는 직류전압으로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forward bias voltage)을 사용하였다.
구분 EL 특성
EL (λmax) 효율(cd/A) @100nit CIE(x,y) @100nit CIE(x,y) @1000nit 구동전압(V)
실시예 1 459, 495 1.78 (@5.9V) 0.16, 0.25 0.16, 0.24 4.5
실시예 2 465 4.8 (@4.5V) 0.17, 0.27 0.17, 0.26 2.4
비교예 1 439, 457 0.53 (@6.6V) 0.18, 0.19 0.17, 0.17 5.5
상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비교예 1의 경우와 비교하여 효율은 3배이상 및 구동전압은 1V의 저전압 구동특성을 보였으며, 실시예 2의 정공수송재료을 도입한 코폴리머의 경우, 향상된 전하주입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압-휘도 관계 및 전류밀도-효율 관계를 도 6 및 도 7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이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비교예 1의 경우와 비교하여 수차례 반복 구동 후에도 초기의 전압 및 전류 밀도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뛰어난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색 발광 고분자는 전하 이동성과 발광 특성이 우수하며, 이를 이용하면 효율 및 휘도 특성이 개선된 유기 전계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합성예 1에 따라 제조된 스피로안트라센 구조를 갖는 인데노플루오렌 구조를 반복단위로 사용된 화합물의 합성스킴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합성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을 이용한 폴리머의 합성경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합성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F)의 1H-NM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합성예 2 및 비교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DSP 및 TS)의 UV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합성예 2 및 비교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DSP 및 TS)의 PL(Potoluminescence)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합성예 2 및 비교합성예 1에서 제조된 고분자(DSP 및 TS)의 전계 발광(Electroluminescence: EL)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압-휘도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류밀도-효율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기판 11… 애노드
12… 발광층 13… 캐소드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발광 고분자:
    [화학식 1]
    상기식중, X 및 U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일결합을 의미하거나 -O-, -S-, -CO-, -Si( R')(R")-, -N(R')-, -C( R')(R")-이고, 단, X 및 U가 동시에 단일결합인 경우는 제외되며,
    A, B, C, D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20의 고리형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 R2,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일치환(mono-substituted) 또는 다치환된(multi-substituted) 작용기로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20의 고리형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기,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과 R"은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탄소수 1-30의 알킬기, 탄소수 6-30의 아릴기,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탄소수 3-20의 고리형 알킬기를 나타내고,
    m은 중합도로서, 5 내지 1,000의 실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Ar1 반복단위와 Ar2 반복단위중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발광 고분자:
    [화학식 2]
    상기식중, X 및 U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일결합을 의미하거나 -O-, -S-, -CO-, -Si( R')(R")-, -N(R')-, -C( R')(R")-이고, 단, X 및 U가 동시에 단일결합은 제외되며,
    A, B, C, D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20의 고리형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R1, R2, R3는 서로 독립적으로 일치환(mono-substituted) 또는 다치환된(multi-substituted) 작용기로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20의 고리형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기,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과 R"은 서로에 관계없이 수소, 탄소수 1-30의 알킬기, 탄소수 6-30의 아릴기,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기, 또는 탄소수 3-20의 고리형 알킬기를 나타내고,
    Ar1 및 Ar2은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3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30의 아릴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30의 헤테로아릴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m은 중합도로서, 5 내지 1,000의 실수이고,
    a는 0 내지 20 몰%이고, b는 60 내지 99 몰%이고, c는 0 내지 20 몰%이고, a와 c가 동시에 0인 경우는 제외된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r1 반복단위와 Ar2 반복단위가 서로에 관계없이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고분자.
    [화학식 3]
    상기식에서, R4 및 R5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30의 알킬기, 탄소수 1-30의 알콕시기, 탄소수 6-30의 아릴기,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R' 및 R"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12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14의 아릴기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1만 내지 20만이고, 분자량 분포(MWD)가 1.5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고분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Mw)이 1만 내지 20만이고, 분자량 분포(MWD)가 1.5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고분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고분자:
    [화학식 6]
    상기식중, R' 및 R"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m은 5 내지 1,000의 실수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고분자:
    [화학식 4]
    상기식중, m은 5 내지 1,000의 실수이다.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고분자
    [화학식 7]
    상기식중, R, R' 및 R"은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m은 5 내지 1,000의 실수이고, b는 80 내지 99 몰%이고, c는 1 내지 20 몰%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고분자:
    [화학식 5]
    상기식중, m은 5 내지 1,000의 실수이고, b는 80 내지 99 몰%이고, c 은 1 내지 20의 몰%이다.
  10.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유기막을 포함하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의 발광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소자.
KR1020030089077A 2003-12-09 2003-12-09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18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077A KR100718103B1 (ko) 2003-12-09 2003-12-09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10/995,299 US7348072B2 (en) 2003-12-09 2004-11-24 Light-emitting polymer and organoelectroluminescent display using the same
CNB2004101000556A CN1322019C (zh) 2003-12-09 2004-12-07 发光聚合物及使用该聚合物的有机电致发光显示器
JP2004357449A JP4884668B2 (ja) 2003-12-09 2004-12-09 発光高分子及びそれを利用した有機電界発光ディスプレ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077A KR100718103B1 (ko) 2003-12-09 2003-12-09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001A true KR20050056001A (ko) 2005-06-14
KR100718103B1 KR100718103B1 (ko) 2007-05-14

Family

ID=34632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077A KR100718103B1 (ko) 2003-12-09 2003-12-09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48072B2 (ko)
JP (1) JP4884668B2 (ko)
KR (1) KR100718103B1 (ko)
CN (1) CN1322019C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5105A1 (en) * 2004-12-17 2006-06-22 Doosan Corporation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09139580A2 (ko) * 2008-05-14 2009-11-19 주식회사 두산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7880164B2 (en) 2005-12-19 2011-02-01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Conducting polymer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ayer obtained using the conducting polymer composition
US7887932B2 (en) 2005-08-26 2011-02-15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osiloxane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1028415B1 (ko) * 2008-07-08 2011-04-13 (주)씨에스엘쏠라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소자
US8004177B2 (en) 2005-11-14 2011-08-23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Conducting polymer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ayer obtained using the conducting polymer compos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27891A1 (en) * 2004-08-11 2006-02-22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Polymers for use i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101030010B1 (ko) * 2004-09-18 2011-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청색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4904805B2 (ja) * 2004-12-27 2012-03-28 住友化学株式会社 高分子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KR20090040398A (ko) * 2005-03-18 2009-04-23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US20070176539A1 (en) * 2006-02-01 2007-08-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LED with area defined multicolor emission within a single lighting element
KR101223720B1 (ko) * 2006-06-05 2013-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고분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JP4734571B2 (ja) * 2006-08-17 2011-07-27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新規オルトジホウ素化アレー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8049037A1 (de) * 2008-09-25 2010-04-22 Merck Patent Gmbh Neue Polymere mit niedriger Polydispersität
KR101609275B1 (ko) 2008-12-16 2016-04-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1004406B1 (ko) * 2009-01-20 2010-12-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데노플루오렌아민 화합물의 제조방법
DE102009023156A1 (de) * 2009-05-29 2010-12-02 Merck Patent Gmbh Polymere, die substituierte Indenofluorenderivate als Struktureinheit enthalt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TWI503314B (zh) * 2010-02-12 2015-10-11 Ind Tech Res Inst 有機化合物及包含其之有機電激發光裝置
CN102190618B (zh) * 2010-03-17 2013-09-11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有机化合物及包含其的有机电致发光装置
JP2012020947A (ja) * 2010-07-13 2012-02-02 Canon Inc 新規スピロ(アントラセン−9,9’−フルオレン)−10−オン化合物及びこれを有する有機発光素子
WO2018009861A1 (en) 2016-07-08 2018-01-11 Biolegend Substituted polyfluorene compounds
CN107369773B (zh) * 2017-06-21 2019-05-14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多层电聚合薄膜制备的有机电致发光器件及方法
CN111032823A (zh) * 2017-07-28 2020-04-17 百进生物科技公司 共轭聚合物及其使用方法
US11220628B2 (en) * 2019-02-20 2022-01-11 Aat Bioquest, Inc. Condensed polycyclic conjugated polymers and their use for biological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6461B1 (de) * 1994-04-07 2002-08-14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Spiroverbindungen und ihre Verwendung als Elektrolumineszenzmaterialien
DE4436773A1 (de) * 1994-10-14 1996-04-18 Hoechst Ag Konjugierte Polymere mit Spirozentren und ihre Verwendung als Elektrolumineszenzmaterialien
EP0842208B2 (en) 1995-07-28 2009-08-19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2,7-aryl-9-substituted fluorenes and 9-substituted fluorene oligomers and polymers
US5763636A (en) 1995-10-12 1998-06-09 Hoechst Aktiengesellschaft Polymers containing spiro ato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s electroluminescence materials
DE19615128A1 (de) * 1996-04-17 1997-10-30 Hoechst Ag Konjugierte Polymere mit Hetero-Spiroatomen und ihre Verwendung als Elektrolumineszenzmaterialien
JP2003519266A (ja) * 2000-01-05 2003-06-17 ケンブリッジ ディスプレイ テクノロジー リミテッド ルミネッセンス用高分子
KR100377575B1 (ko) * 2000-10-17 2003-03-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청색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사용한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888910B1 (ko) * 2001-03-24 2009-03-1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스피로비플루오렌 단위와 플루오렌 단위를 함유하는 공액중합체 및 이의 용도
JP2002326965A (ja) 2001-05-02 2002-11-15 Sony Corp スピロフルオレン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合成中間体、及びそのスピロフルオレン化合物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DE10143353A1 (de) * 2001-09-04 2003-03-20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Konjugierte Polymere enthaltend Spirobifluoren-Einheiten und deren Verwendung
GB0125621D0 (en) * 2001-10-25 2001-12-19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Polymer preparation
GB0226010D0 (en) * 2002-11-08 2002-12-18 Cambridge Display Tech Ltd Polymers for use i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DE502004009229D1 (de) * 2003-09-19 2009-05-07 Merck Patent Gmbh Organisches elektrolumineszenzelement
DE10350722A1 (de) * 2003-10-30 2005-05-25 Covion Organic Semiconductors Gmbh Metallkomplex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5105A1 (en) * 2004-12-17 2006-06-22 Doosan Corporation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7887932B2 (en) 2005-08-26 2011-02-15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osiloxane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8004177B2 (en) 2005-11-14 2011-08-23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Conducting polymer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ayer obtained using the conducting polymer composition
US7880164B2 (en) 2005-12-19 2011-02-01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Conducting polymer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layer obtained using the conducting polymer composition
WO2009139580A2 (ko) * 2008-05-14 2009-11-19 주식회사 두산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09139580A3 (ko) * 2008-05-14 2010-02-11 주식회사 두산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8395144B2 (en) 2008-05-14 2013-03-12 Doosan Corporation Anthracene derivative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same
KR101028415B1 (ko) * 2008-07-08 2011-04-13 (주)씨에스엘쏠라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84668B2 (ja) 2012-02-29
CN1322019C (zh) 2007-06-20
CN1637114A (zh) 2005-07-13
JP2005171258A (ja) 2005-06-30
US7348072B2 (en) 2008-03-25
US20050123802A1 (en) 2005-06-09
KR100718103B1 (ko) 2007-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103B1 (ko)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4313101B2 (ja) 青色電界発光高分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US7521525B2 (en) Blue luminescent polymer and organo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the same
KR101318070B1 (ko) 전계발광 중합체 및 이의 용도
KR100682860B1 (ko) 스피로플루오렌계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
KR101146976B1 (ko) 청색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4767547B2 (ja) チエノ[3,2−b]インドール系高分子及びそれを利用した有機電界発光素子
JP5702159B2 (ja) 高分子及び該高分子を含む有機発光素子
JP4147778B2 (ja) 高分子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高分子発光素子
KR101243918B1 (ko) 청색 발광 고분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0718104B1 (ko) 스피로사이클로펜타페난트렌플루오렌계 화합물 및 이를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552683B1 (ko) 청색 전계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US9087993B2 (en) Cross-linkable polymer, cross-linked material of the cross-linkable polyme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the cross-linked materia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1202341B1 (ko) 청색 발광 고분자 및 이를 채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3922005B2 (ja) 高分子蛍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KR100537502B1 (ko) 청색 전계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100451440B1 (ko) 주석계 전기발광 고분자
KR100796032B1 (ko) 청색 전계발광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소자
JP4196736B2 (ja) 高分子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分子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