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911A - 혈액 정화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혈액 정화 장치 및 그 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911A
KR20050054911A KR1020057002043A KR20057002043A KR20050054911A KR 20050054911 A KR20050054911 A KR 20050054911A KR 1020057002043 A KR1020057002043 A KR 1020057002043A KR 20057002043 A KR20057002043 A KR 20057002043A KR 20050054911 A KR20050054911 A KR 20050054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torage container
blood
replenishment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2083B1 (ko
Inventor
소이찌로우 오까자끼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카세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카세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카세이 메디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02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2083B1/ko
Publication of KR20050054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2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61M2205/3382Upper leve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61M2205/3393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by weighing the reservo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환자의 제수량과 함께 환자에의 공급량도 한층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고, 특히 지속 완서식 혈액 정화법에 이용하는 데 적합한 혈액 정화 장치 및 그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지속 완서식 혈액 정화법에 의한 혈액 정화 장치(50)는 배액 수단(C)과 투석액 공급 수단(A)과 보충액 공급 수단(B)이, 각각 액체 이송 펌프(5, 6, 7)와 일정 용량을 저류할 수 있는 저류 용기(8, 9, 10)와 액면 검출기(11, 12, 13)를 구비하고, 또한 각 저류 용기(8, 9, 10)를 일괄해서 계측할 수 있는 하나의 중량계(20)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혈액 정화 장치 및 그 운전 방법{BLOOD PURIFY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혈액 정화 장치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속 완서식(持續緩徐式) 혈액 정화법으로 총칭되는 지속적 혈액 여과법, 지속적 혈액 투석법 및 지속적 혈액 여과 투석법에 적합한 혈액 정화 장치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부전 환자는, 통상 신장 기능의 저하에 의해 소변량이 감소되고, 수분과잉이 되는 경우가 많고, 환자의 혈액을 체외 순환시켜 체내의 수분을 가능한 한 정상적으로 가까운 상태로 시정시키는 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이 체내의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제수」라 한다. 그리고, 해당 치료 중 총체액 변화량이 제수량으로서 관리되기 때문에, 이 제수량은 환자 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가 된다.
여기서, 최근 극심한 순환기계의 합병증을 갖는 신장질환이나 다장기부전 등의 치료에는, 구급ㆍ집중 치료 영역에 있어서 지속 완서식 혈액 정화법이라 총칭되는, 지속적 혈액 여과법(continuous hemofiltration)(이하 간단히「CHF」라 함), 지속적 혈액 투석법(continuous hemodialysis)(이하 간단히「CHD」라 함), 혹은 지속적 혈액 여과 투석법(continuous hemodiafiltration)(이하 간단히「CHDF」라 함)의 각 지속 완서식 혈액 정화법이 효과를 올릴 수 있다.
상기 CHF는 반투막을 수용한 혈액 정화기에 혈액을 흐르게 하고, 여과막을 통해 노폐물이 포함된 수분을 배출하는 한편, 보충액을 체내에 보충하는 것을 지속적이면서 서서히 시행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CHD는 침투에 의해 산염기 평형 등을 수행하는 투석을 지속적이면서 서서히 시행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CHDF는 상기 CHF의 소분자량 제거 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혈액 정화기 내의 여과액측에 투석액을 흐르게 하고, 투석 효과를 얻을 수 있게 상기 CHF와 상기 CHD를 복합시킨 것이다. 어느 쪽의 혈액 정화법에 있어서도,「지속 완서식」이라 불리우는 대로, 통상 1회의 치료에 수일이 걸리면서, 서서히 혈액 정화가 수행되는 점이 이 치료의 특징이며, 1회의 치료 시간이 4 내지 5 시간인 단순한 혈액 투석이나 혈액 여과와는 시간의 스케일에 있어서 크게 다르다.
상기 지속 완서식 혈액 정화법에 의한 혈액 정화 장치가 적합한 제1 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9-239024호 공보에는 혈액 투석용의 투석액 공급 수단과 혈액 여과용의 보충액 공급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과, 배액 수단과, 혈액 순환로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각 수단은 각각 저류 용기와 액체 이송 펌프와 저류 용기를 계량하는 복수개의 중량계를 구비하고 있고, 각 중량계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 액체 이송 펌프 유량이 각각 제어되도록 한 혈액 정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CHF 혹은 CHD에 적합한 다른 예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4-70909호 공보에는 혈액 투석용의 투석액 공급 수단과 혈액 여과용의 보충액 공급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과, 배액 수단과, 혈액 순환로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각 수단은 각각 저류 용기와 액체 이송 펌프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 저류 용기에는 저류 용기의 저류량의 상한과 하한을 검출하는 액량 검출기가 있고, 또한 2개의 저류 용기를 일괄해서 계량하는 1개의 중량계를 구비하고, 중량계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 액체 이송 펌프 유량이 각각 제어되도록 한 혈액 정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도3은, 상기한 제1 예의 지속 완서식 혈액 정화법에 의한 혈액 정화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며, 이 혈액 정화 장치(50')는 혈액 순환로를 구성하는 채혈(採血) 라인(3) 및 반혈(返血) 라인(4)과, 노폐물이 포함되는 수분을 배출하는 배출액 라인(23)과, 보충액을 환자에게 주입하기 위해, 반혈 라인(4)에 접속되는 보충액 라인(25)과, 혈액 정화기(2) 내의 여과액측에 투석액을 공급하는 투석액 공급 라인(24)으로 구성된다. 채혈 라인(3)에는 혈액 펌프(1)가 배치되고, 채혈 라인(3)과 반혈 라인(4) 사이에는 여과막(M)을 수용한 혈액 정화기(2)가 배치된다.
배출액 라인(23)에는 혈액 정화기(2)로부터의 여과액 및 투석 배출액을 배출하는 배출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5)와, 배출액 이송 펌프(5)의 출구측에서 분기한 배출액 분기관로(17)에 접속한 배출액 저류 용기(8)와, 분기부보다도 하류측의 배출액 이송 라인(23)에 부착한 차단 밸브(14)를 구비한다. 또한, 배출용 저류 용기(8)에는 배출액 계량용 중량계(26)가 설치된다.
투석액 라인(24)에는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2) 내의 여과액측에 공급하는 투석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6)와, 투석액 이송 펌프(6)의 입구측에서 분기한 투석액 분기관로(18)에 접속한 투석액 저류 용기(9)와, 분기부보다도 상류측의 투석액 이송 라인(24)에 부착한 차단 밸브(15)를 구비한다. 투석액용 저류 용기(9)에는 투석액 계량용 중량계(27)가 설치된다.
보충액 라인(25)에는 보충액을 환자에게 공급하는 보충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7)와, 보충액 이송 펌프(7)의 입구측에서 분기한 보충액 분기관로(19)에 접속한 보충액 저류 용기(10)와, 분기부보다도 상류측의 보충액 이송 라인(25)에 부착한 차단 밸브(16)를 구비한다. 보충액용 저류 용기(10)에는 보충액 계량용 중량계(28)가 설치된다.
혈액 펌프(1)에 의해 환자로부터 취출된 혈액은 채혈 라인(3)을 통해, 여과막(M)이 수용된 혈액 정화기(2)에 도입되어 노폐물 등이 제거된다. 혈액 정화기(2) 내에서는 투석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6)에 의해 투석액이 공급되어 산염기 평형 등이 이루어지고, 여과액 및 투석 배출액은 배출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5)에 의해 배출된다. 혈액 정화기(2)에서 여과 및 투석이 실시된 혈액은 반혈 라인(4)을 통해 환자에게 되돌아갈 때, 상기 여과액과 거의 동일 양의 보충액이 보충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7)에 의해 가해져 환자에게 주입된다.
이 장치에서는, 스탭에 의한 빈번한 계량 및 조절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적절하게 환자의 체액량 관리를 수행하면서 안전하게 치료를 계속할 수 있고, 또한 투석액 저류부(21)나 보충액 저류부(22)의 교환 및 여과액과 투석 배출액을 탱크 등에 저류한 경우의 탱크의 교환은 제수량 계측에 직접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또한 치료를 정지하지 하는 일 없이 임의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액체 이송 펌프는 어느 정도의 이송 오차를 수반한다. 그 오차에 의한 영향을 가능한 한 적게 하기 위해, 상기 장치에서는 각 저류 용기(8, 9, 10)의 각각에 중량계(26, 27, 28)를 배치하고, 각 중량계로부터의 데이터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이송하도록 하고 있다. 제어 장치는, 각 중량계(26, 27, 28)의 데이터를 항상 감시하고, 단위 시간당의 중량 변화로부터 실유량을 계산한다. 그리고, 실유량과 설정 유량 사이에 차가 있으면, 각 액체 이송 펌프(5, 6, 7)의 모터의 회전수를 각각 자동적으로 조정하고, 설정 유량과 실유량이 같게 되도록 제어하여 유량 정밀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장치는 높은 유량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지만, 중량 센서 및 계측용 전자 회로의 온도 특성, 경시 변화, 제조시의 조정 방법, 각 저류 용기의 형상 변화 등의 요인으로부터, 실작동에 있어서 각 액체 이송 펌프의 유량 정밀도가 약 1 % 정도의 오차를 수반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부전 환자의 제수량은 중요한 파라미터로서 관리되는 것이며, 제수량 ΔV(L)는 다음 식 (1)에서 구해진다.
ΔV = VF - VC - VD … (1)
또, 식 (1)에 있어서, VF(L)는 배출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5)로 배출된 배출액량, VC(L)는 보충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7)로 공급된 보충액량, VD(L)는 투석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6)로 공급된 투석액량이다.
종래, 상기 CHDF의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 액체 이송 펌프의 유량은 1L/hr 정도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예를 들어 배출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5)의 유량을 1L/hr, 보충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7)의 유량을 0.5L/hr, 투석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6)의 유량을 0.5L/hr로 설정된 경우, 각 액체 이송 펌프의 유량 오차가 1 % 정도이면, 24 시간에서는 VF = 24 ± 0.24(L), VC = 12 ± 0.12(L), VD = 12 ± 0.12(L)가 되기 때문에, 식 (1)에 의거하여 제수량 ΔV를 계산하면 ΔV = 0 ± 0.48(L)이 되고, 제수 오차로서는 배출액량 VF의 2 %에 상당하는 0.48(L) 정도 이하로 억제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혈액 정화 장치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혈액 정화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3은 종래의 혈액 정화 장치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최근, CHDF 등의 치료를 수행하는 경우보다 효율적으로 치료를 수행하기 위해, 액체 이송 펌프의 유량을 10L/hr 정도의 고유량으로 수행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 경우, 종래의 장치와 같이 각 액체 이송 펌프의 유량 오차가 1 % 정도인 방식의 것에서는, 예를 들어 배출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5)의 유량을 10L/hr, 보충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7)의 유량을 5L/hr, 투석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6)의 유량을 5L/hr로 설정된 경우에, 각 액체 이송 펌프의 유량 오차가 1 % 정도라 하면, 24 시간에서는 VF = 240 ± 2.4(L), VC = 120 ± 1.2(L), VD = 120 ± 1.2(L)가 되기 때문에, 식 (1)에 의거하여 제수량 ΔV를 계산하면 ΔV = 0 ± 4.8(L)이 되고, 제수 오차로서는 배출액량 VF의 2 %에 상당하는 4.8L 정도로 되어 버린다.
이러한 큰 오차를 수반하면, 혈액 정화에 의한 치료 효과보다도 환자의 체액 밸런스가 이상해질 위험 쪽이 증대된다는 문제가 발생할지도 모른다. 실제로는 서로 피드백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는 일은 없어 환자에게 악영향을 끼치는 일은 없지만, 그와 같은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는 일 없이 제수 오차를 작게 유지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자들은 지속 완서식 혈액 정화법에 있어서, 제수량을 종래에 비해 보다 정확하게 관리하기 위해, 각 액체 이송 펌프의 유량을 보다 높은 정밀도로 계산 제어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이 필요하다는 것의 새로운 견해를 얻었지만,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각각의 액체 이송 펌프마다 유량 정밀도가 유지되어 있는 것이고, 제수량을 한층 정확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액체 이송 펌프마다의 유량 정밀도를 0.1 % 정도로 해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최근 기술에서는 유량 정밀도는 1 % 정도가 한계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4-70909호 공보에 기재된 혈액 정화 장치에서는, 2개의 저류 용기를 일괄해서 계량하는 1개의 중량계를 구비하고 있고, 그 중량계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각 액체 이송 펌프 유량이 각각 제어되도록 한 것이므로, 각각 2개의 중량계를 배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상기한 유량 오차의 정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 혈액 정화 장치에서는 혈액 여과 투석을 수행할 때에는 종래의 투석 장치를 조합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로 인해, 제수량의 유량 정밀도를 만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게다가 장치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있으므로, 더욱 개량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신장 질환 및 다장기부전 등의 환자를 치료할 때, 환자의 제수량과 함께, 환자로의 공급량도 한층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고, 특히 지속 완서식 혈액 정화법에 이용하는 데 적합한 혈액 정화 장치 및 그 운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정화 장치는 이하와 같다.
1. 투석액 공급 수단(A), 보충액 공급 수단(B), 배액 수단(C), 혈액 정화기(2) 및 혈액 순환로로서의 채혈 라인(3)과 반혈 라인(4)으로 구성되는 혈액 정화 장치(50)이며,
투석액 공급 수단(A)은, 일 단부측을 혈액 정화기(2)에 접속하고 다른 단부측을 투석액 저류부(21)에 접속하는 투석액 이송 라인(24)과, 라인 도중에 배치한 투석액 이송 펌프(6)와, 투석액 이송 펌프(6)의 입구측에서 분기한 투석액 분기관로(18)에 접속한 투석액 저류 용기(9)와, 분기부보다도 상류측의 투석액 이송 라인(24)에 부착한 차단 밸브(15)를 구비하고 있고,
보충액 공급 수단(B)은, 일 단부측을 반혈 라인(4)에 접속하고 다른 단부측을 보충액 저류부(22)에 접속하는 보충액 이송 라인(25)과, 라인 도중에 배치한 보충액 이송 펌프(7)와, 보충액 이송 펌프(7)의 입구측에서 분기한 보충액 분기관로(19)에 접속한 보충액 저류 용기(10)와, 분기부보다도 상류측의 보충액 이송 라인(25)에 부착한 차단 밸브(16)를 구비하고 있고,
배액 수단(C)은, 일 단부측을 혈액 정화기(2)에 접속하고 다른 단부측은 개방한 배출액 라인(23)과, 라인 도중에 배치한 배출액 이송 펌프(5)와, 배출액 이송 펌프(5)의 출구측에서 분기한 배출액 분기관로(17)를 접속한 배출액 저류 용기(8)와, 분기부보다도 하류측의 배출액 이송 라인(23)에 부착한 차단 밸브(14)를 구비하고 있는 혈액 정화 장치(50)에 있어서,
상기 3가지의 저류 용기(8, 9, 10)에는 액면 검출기(11, 12, 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3가지의 저류 용기(8, 9, 10)를 일괄해서 계량하는 1개의 중량계(20)를 갖고 있고, 또한 각 차단 밸브(14, 15, 16)의 개폐 제어와 각 액체 이송 펌프(6, 7, 5)의 펌프 유량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장치(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정화 장치.
2. 각 액면 검출기(11, 12, 13)가, 각 저류 용기(8, 9, 10)에 있어서의 액체의 상한을 검출하는 것인 상기의 혈액 정화 장치.
3. 배출액 저류 용기(8)의 액면 검출기(11)가 배출액 저류 용기(8)에 있어서의 액체의 하한을 검출하고, 투석액 저류 용기 및 보충액 저류 용기의 액면 검출기(12, 13)가 투석액 저류 용기(9) 및 보충액 저류 용기(10)에 있어서의 액체의 상한을 검출하는 것인 상기의 혈액 정화 장치.
4. 지속 완서식의 혈액 정화 장치인 상기의 혈액 정화 장치.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정화 장치의 운전 방법은 이하와 같다.
5. 상기 각 차단 밸브(15, 16, 17)를 개방함으로써, 투석액 저류 용기(9)와 보충액 저류 용기(10)에 액체를 각각 충전하면서 동시에 배출액 저류 용기(8)로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제1 페이즈와, 그에 이어서, 상기 각 차단 밸브(15, 16, 17)를 폐쇄하여 장치의 운전을 수행하고, 그 사이에 투석액 저류 용기(9)와 보충액 저류 용기(10)와 배출액 저류 용기(8)의 총액량의 변화를 중량계(20)로부터의 정보로부터 획득하여 제수량을 계량하는 제2 페이즈로 이루어지는「제수량 계량 페이즈」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페이즈의 과정에서 원하는 제수량을 얻을 수 있게 제어 장치(30)는 각 액체 이송 펌프(6, 7, 5)에 대한 유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혈액 정화 장치의 운전 방법.
6. 상기 각 차단 밸브(15, 16, 17)를 개방함으로써, 투석액 저류 용기(9)와 보충액 저류 용기(10)에 액체를 각각 충전하면서 동시에 배출액 저류 용기(8)로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제3 페이즈와, 그에 이어서, 투석액 공급 수단(A)의 차단 밸브(15)와 보충액 공급 수단(B)의 차단 밸브(16)만을 폐쇄하여 장치의 운전을 수행하고, 그 사이에 투석액 저류 용기(9)와 보충액 저류 용기(10)와 배출액 저류 용기(8)의 총액량의 변화를 중량계(20)로부터의 정보로부터 얻어「보충액량 + 투석액량」인 공급량을 계량하는 제4 페이즈로 이루어지는「공급량 계량 페이즈」를 수행하고, 상기 제4 페이즈의 과정에서 원하는 공급량을 얻을 수 있도록, 제어 장치(30)는 각 액체 이송 펌프(6, 7, 5)에 대한 유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혈액 정화 장치의 운전 방법.
7. 상기「제수량 계량 페이즈」에 의한 운전 방법과 상기「공급량 계량 페이즈」에 의한 운전 방법을 임의로 조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혈액 정화 장치의 운전 방법.
8. 상기「제수량 계량 페이즈」에 의한 운전 방법과 상기「공급량 계량 페이즈」에 의한 운전 방법을 교대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혈액 정화 장치의 운전 방법.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혈액 정화 장치 및 그 운전 방법에서는, 각각의 저류 용기[투석액 저류 용기(9)와 보충액 저류 용기(10)와 배출액 저류 용기(8)]를 일괄해서 하나의 중량계로 계량하도록 한 것에 의해, 제수량의 오차를 후기하도록, 배출액량의 0.2 % 정도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래 알려져 있는 저류 용기마다 계량하는 방식의 장치에서는, 배출액량의 2 % 정도가 한도였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오차가 작아진다. 또한 공급량의 오차도 종래 장치와 같은 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중량계를 하나밖에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어 장치를 포함한 전체의 비용도 매우 유리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혈액 정화 장치를 실시 형태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혈액 정화 장치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장치(50)는, 기본적으로 도3에 도시한 것으로 마찬가지의 지속적 혈액 여과법(CHF)과 지속적 혈액 투석법(CHD)을 복합시킨 지속적 혈액 여과 투석법(CHDF)에 의한 혈액 정화 장치의 구성 개념도이다. 또, 도1에 있어서 도3에 각 구성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혈액 정화 장치(50)는, 도3에 도시한 종래의 장치와 마찬가지로, 혈액 순환로를 구성하는 채혈 라인(3) 및 반혈 라인(4)과, 노폐물이 포함된 수분 등을 배출하는 배액 수단(C)과, 보충액을 환자에게 주입하기 위해 반혈 라인(4)에 접속되는 보충액 공급 수단(B)과, 혈액 정화기(2) 내의 여과액측에 투석액을 공급하는 투석액 공급 수단(A)으로 구성된다. 채혈 라인(3)에는 혈액 펌프(1)가 배치되고, 채혈 라인(3)과 반혈 라인(4) 사이에는 여과막(M)을 수용한 혈액 정화기(2)가 배치된다.
배액 수단(C)은 혈액 정화기(2)로부터의 여과액 및 투석 배출액을 배출하는 수단이며, 일 단부측을 혈액 정화기(2)에 접속하고 다른 단부측은 개방한 배출액 라인(23)과, 라인 도중에 배치한 배출액 이송 펌프(5)와, 배출액 이송 펌프(5)의 출구측에서 분기한 배출액 분기관로(17)에 접속한 배출액 저류 용기(8)와, 분기부보다도 하류측의 배출액 이송 라인(23)에 부착한 차단 밸브(14)를 구비한다. 배출액 저류 용기(8)에는 액면 검출기(11)가 구비되어 배출액 저류 용기(8)의 충전량을 검지한다. 또, 배출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5)는 본 장치를 상기 CHF로서 사용하는 경우로서는 여과액을, 상기 CHD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투석 배출액을 배출한다.
투석액 공급 수단(A)은 투석액을 혈액 정화기(2) 내의 여과액측에 공급하는 수단이며, 일 단부측을 혈액 정화기(2)에 접속하고 다른 단부측을 투석액 저류부(21)에 접속하는 투석액 이송 라인(24)과, 라인 도중에 배치한 투석액 이송 펌프(6)와, 투석액 이송 펌프(6)의 입구측에서 분기한 투석액 분기관로(18)에 접속한 투석액 저류 용기(9)와, 분기부보다도 상류측의 투석액 이송 라인(24)에 부착한 차단 밸브(15)를 구비한다. 투석액 저류 용기(9)에도 액면 검출기(12)가 구비되어 투석액 저류 용기(9)의 충전량을 검지한다. 또, 투석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6)는 본 장치를 상기 CHD로서 사용하는 경우라도, 혈액 정화기(2) 내의 여과액측에 투석액을 공급하도록 작동하지만, 상기 CHF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지 상태가 된다.
보충액 공급 수단(B)은 보충액을 환자에게 공급하는 수단이며, 일 단부측을 반혈 라인(4)에 접속하고 다른 단부측을 보충액 저류부(221)에 접속하는 보충액 이송 라인(25)과, 라인 도중에 배치한 보충액 이송 펌프(7)와, 보충액 이송 펌프(7)의 입구측에서 분기한 보충액 분기관로(19)에 접속한 보충액 저류 용기(10)와, 분기부보다도 상류측의 보충액 이송 라인(25)에 부착한 차단 밸브(16)를 구비한다. 보충액 저류 용기(10)에도 액면 검출기(13)가 구비되어 보충액 저류 용기(10)의 충전량을 검지한다. 또, 보충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7)는 본 장치를 상기 CHF로서 사용하는 경우라도, 혈액 정화기(2)로부터의 혈액에 보충액을 공급하는 데 반해, 상기 CHD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지 상태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저류 용기(8, 9, 10)는 각각 액면 검출기(11, 12, 13)를 구비하고 있다. 액면 검출기(11, 12, 13)는 저류 용기(8, 9, 10)의 액면의 변위를 검출하는 것이지만, 검출 원리는 특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공지된 플로트 스위치, 광전 센서, 초음파 투과형 기포 검지기,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각 액면 검출기(11, 12, 13)는 각 저류 용기(8, 9, 10) 내에 있어서의 액면의 상한을 검출하여 오버플로우를 방지하는 것이면 바람직하고, 각 저류 용기(8, 9, 10)의 상부에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각 저류 용기(8, 9, 10) 내의 액면을 일정 레벨까지 오르내리면서 계량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즉, 저류 용기의 상부와 하부의 양쪽에 액면 검출기가 있고, 계량의 개시와 종료에 액면 검지기를 사용하면, 유량에 의존하여 액면의 변위 속도가 변하기 때문에, 고유량시와 저유량시에서는 1번의 계량 시간이 크게 다르고, 결과적으로 계량 시간이 긴 저유량시에서는 추종이 늦어지고, 계량 시간이 짧은 고유량시에는 계측 정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액면의 상한만을 액면 검출기(11, 12, 13)에 의해 기계적으로 검출하고, 하한에 대해서는 사용시의 유량에 따라서 액체의 감소량이나 감소 시간을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저류 용기의 용량도 가미하여 액체의 감소율 등을 미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액면 검출기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저류 용기의 용량을 바꾸는 일 없이, 모든 유량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지속 완서식 요법과 같은 저유량으로부터 고유량까지의 폭 넓은 사용에 적합하다. 또, 후기하는 바와 같이 배출액 저류 용기(8)에 부착하는 액면 검출기(11)는 액체의 하한을 검출하는 형태의 것이 적합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도3에 도시한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혈액 펌프(1)에 의해 환자로부터 취출된 혈액은 채혈 라인(3)을 통해, 여과막(M)이 수용된 혈액 정화기(2)에 도입되어 노폐물 등이 제거되고, 또한 혈액 정화기(2) 내에서는 투석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6)에 의해 투석액이 공급되어 침투에 의한 산염기 평형 등이 이루어진다. 여과액 및 투석 배출액은 배출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5)에 의해 배출된다. 한편, 혈액 정화기(2)에서 여과 및 투석이 실시된 혈액은 반혈 라인(4)을 통해 환자에게 되돌아갈 때, 상기 여과액과 거의 동일 양의 보충액이 보충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7)에 의해 가해져 환자에게 주입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혈액 정화 장치(50)는 상기 각각의 저류 용기, 즉 배출액 저류 용기(8)와, 투석액 저류 용기(9)와, 보충액 저류 용기(10)를 일괄해서 계량하는 중량계(20)를 구비하고 있다. 중량계(20)는, 다음과 같은 설계 기준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다. 즉, 배출액 저류 용기(8)에 W(g)의 액체를 넣고, 투석액 저류 용기(9)와 보충액 저류 용기(10)는 비워 두었을 때의 중량계(20)의 계측치를 W8(g)로 하고, 투석액 저류 용기(9)에 W(g)의 액체를 넣어 배출액 저류 용기(8)와 보충액 저류 용기(10)를 비워 두었을 때의 중량계(20)의 계측치를 W9(g)로 하고, 보충액 저류 용기(10)에 W(g)의 액체를 넣어 배출액 저류 용기(8)와 투석액 저류 용기(9)를 비워 두었을 때의 중량계(20)의 계측치를 W10(g)으로 하였을 때, (W8 - W9)/W, (W8 - W10)/W 및 (W9 - W10)/W 중 어느 하나의 값도 예를 들어 약 1/1000 이하 정도의 작은 값이 되도록 설계한다. 또, (W - W8)/W, (W - W9)/W 혹은 (W - W10 )/W 등의 실제의 중량에 대한 오차는 약 5/100 이하로 충분하다. 즉, 저류 용기(8, 9, 10) 중 어느 하나에 액체를 넣었다고 해도 계측치가 흐트러지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저류 용기(8, 9, 10)의 모두를 동일한 중량계(20)에서 계측하고 있기 때문에, (W8 - W9)/W, (W8 - W10)/W 및 (W9 - W10 )/W의 값을 약 1/1000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혈액 정화 장치(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동작에는, 각 차단 밸브(14, 15, 16)의 개폐에 의해, 제1 페이즈와 제2 페이즈로 이루어지는「제수량 계량 페이즈」와, 제3 페이즈와 제4 페이즈로 이루어지는「공급량 계량 페이즈」가 있고, 이들이 적절하게 조합되어 장치(50)의 운전이 수행해진다.
제1 페이즈에서는, 각 차단 밸브(14, 15, 16)를 개방한다. 각 차단 밸브(14, 15, 16)를 개방하고, 혈액 펌프(1) 및 각 액체 이송 펌프(5, 6, 7)를 설정한 유량으로 운전한다. 그에 의해, 배출액 저류 용기(8)에 저류되어 있었던 여과액은 낙차에 의해 배출액 분기관로(17) 및 라인(23)을 통해 배출되는 동시에, 투석액 저류 용기(9) 및 보충액 저류 용기(10)에는 낙차에 의해, 각각 투석액 저류부(21) 및 보충액 저류부(22)로부터, 투석액 분기관로(18) 및 보충액 분기관로(19)를 통해 투석액 및 치환액이 충전된다.
액면 검출기(12)가 투석액 저류 용기(9)에의 소정량의 충전이 종료된 것을 검출하면 그 신호는 제어 장치(30)에 이송되고, 그 이후 차단 밸브(15)의 개방과 폐쇄를 반복하여 투석액 저류 용기(9) 내의 액량을 보유 지지한다. 마찬가지로, 액면 검출기(13)가 보충액 저류 용기(10)에의 소정량의 충전이 종료된 것을 검출하면 그 신호는 제어 장치(30)에 이송되고, 그 이후 차단 밸브(16)의 개방과 폐쇄를 반복하여 보충액 저류 용기(10) 내의 액량을 보유 지지한다. 액면 검출기(12, 13)가 저류 용기(9, 10)의 충전 완료를 검지하고, 그 후 차단 밸브(14)를 일정 시간 개방함으로써, 제1 페이즈는 종료하여 제2 페이즈로 이행한다.
제2 페이즈에서는, 각 차단 밸브(14, 15, 16)를 폐쇄한다. 차단 밸브(14, 15, 16)를 폐쇄하면 배출액 저류 용기(8)에는 배출액이 배출액용 액체 이송 펌프(5)의 유량에 따라서 충전된다. 한편, 투석액 저류 용기(9) 및 보충액 저류 용기(10)의 액은 각각의 액체 이송 펌프(6, 7)의 유량에 따라서 배출된다.
배출액 저류 용기(8)의 액이 충전 완료된 것을 액면 검출기(11)가 검출되었을 때, 제2 페이즈를 종료로 한다. 혹은, 액체 이송 펌프(5)의 설정 유량으로부터 계산하여 배출액 저류 용기(8) 내의 액이 충전 완료시의 소정의 비율 이상, 예를 들어 70 % 이상이 되었을 때, 또는 액체 이송 펌프(6)의 설정 유량으로부터 계산하여 투석용 저류 용기(9) 내의 액이 충전 완료시의 소정의 비율 이하, 예를 들어 30 % 이하가 되었을 때, 또는 액체 이송 펌프(7)의 설정 유량으로부터 계산하여 보충액용 저류 용기(10) 내의 액이 충전 완료시의 소정의 비율 이하, 예를 들어 30 % 이하가 되었을 때에, 제2 페이즈를 종료해도 좋다. 액면을 검지하여 제어하는 전자는, 통상의 투석이나 여과와 같이 액체 이송 펌프의 유량의 설정 범위가 좁을 때에만 바람직하고, 설정치로 제어하는 후자는 CHF, CHD 및 CHDF 요법과 같이 액체 이송 펌프의 유량의 설정 범위가 넓을 때, 예를 들어 0.01L/Hr 내지 12L/Hr와 같은 때에 특히 바람직하다.
제2 페이즈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계측 시간을 ΔT(sec), 배출액용 액체 이송 펌프(5)의 실유량을 Qf(L/sec), 투석액용 액체 이송 펌프(6)의 실유량을 Qd, 보충액용 액체 이송 펌프(7)의 실유량을 Qr이라 하면, 계측 시간 내에 배출액 저류 용기(8) 내의 배출액량은 ΔT × Qf 증량하고, 투석액 저류 용기(9) 내의 투석액량은 ΔT × Qd 감소하고, 보충액 저류 용기(10) 내의 보충액량은 ΔT × Qr 감소한다. 그래서, 각 저류 용기(8, 9, 10)의 총중량의 변화량을 ΔW라 하면 ΔW = ΔT × (Qf - Qr - Qd)가 되고, 이것이 제2 페이즈에 있어서의 제수량이다. 그 ΔW을 중량계(20)로 계측함으로써, 제수량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량의 준비 공정인 제1 페이즈 후에 제수량을 계량하는 제2 페이즈를 계속한 것(「제수량 계량 페이즈」)를 1 사이클로 하고, 그것을 자동적으로 반복함으로써 간헐적으로 정확한 제수량의 계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기하는 제3 페이즈와 제4 페이즈로 이루어지는「공급량 계량 페이즈」를, 상기「제수량 계량 페이즈」와 조합함으로써, 제수량의 계측뿐만 아니라「보충액량 + 투석액량」인 공급량의 계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3 페이즈는 상기 제1 페이즈와 매우 동일한 동작을 한다. 액면 검출기(12, 13)가 저류 용기(8, 9)의 충전 종료를 검지하고, 차단 밸브(14)를 일정 시간 개방함으로써, 제3 페이즈는 종료한다.
제4 페이즈는 차단 밸브(14)를 개방하고, 차단 밸브(15, 16)는 폐쇄한다. 차단 밸브(14)를 개방 하면, 배출액 저류 용기(8)에는 액체는 들어 오지 않는다. 한편, 차단 밸브(15, 16)를 폐쇄하면, 투석액 저류 용기(9) 및 보충액 저류 용기(10)의 액체는 각각의 액체 이송 펌프(6, 7)의 유량에 따라서 배출된다. 액체 이송 펌프(6, 7)의 설정 유량으로부터 계산하고, 투석액 저류 용기(9) 혹은 보충액 저류 용기(10) 내의 액체가 충전 완료시의 소정의 비율 이하, 예를 들어 30 % 이하가 되었을 때, 제4 페이즈를 종료한다.
제4 페이즈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을 ΔT(sec), 투석액용 액체 이송 펌프(6)의 실유량을 Qd, 보충액용 액체 이송 펌프(7)의 실유량을 Qr이라 하면, 계측 시간 내에 배출액 저류 용기(8) 내의 배출액량은 그다지 변화하지 않고, 투석액 저류 용기(9) 내의 투석액량은 ΔT × Qd 감소하고, 보충액 저류 용기(10) 내의 보충액량은 ΔT × Qr 감소한다. 상기한 저류 용기(8, 9, 10)의 총중량의 변화량을 ΔW라 하면 ΔW = ΔT × (0 - Qr - Qd)가 되고, ΔT × (Qr + Qd) = -ΔW가 된다. 즉 -ΔW가 제4 페이즈에 있어서의「보충액량 + 투석액량」이다. 그 -ΔW을 중량계(20)로 계측함으로써,「보충액량 + 투석액량」(공급량)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량의 준비 공정인 제3 페이즈 후에「보충액량 + 투석액량」을 계량하는 제4 페이즈를 계속한 것을 1 사이클로 하고, 이를「공급량 계량 페이즈」라 칭한다. 그것을 자동적으로 반복함으로써 간헐적으로 정확한 공급량의 계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 제1 페이즈로부터 제2 페이즈(혹은 제3 페이즈로부터 제4 페이즈)로 이행할 때에는, 다른 실시 형태를 취할 수도 있으므로, 그에 관하여 도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석액 저류 용기(9) 및 보충액 저류 용기(10)의 액면 검출계(12, 13)는 저류 용기(9, 10)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지만, 배출액 저류 용기(8)에 부착하는 액면 검출기(11)는 배출액 저류 용기(8)가 완전히 비어 있는 것을 검출하기 때문에, 배출액 분기관로(17)에 부착되어 있다. 혹은, 도시하지 않지만, 액면 검출기(11)는 배출액 저류 용기(8)의 하한을 검출하기 위해 배출액 저류 용기(8)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있어서, 제1 페이즈에서의 투석액 저류 용기(9) 및 보충액 저류 용기(10)의 액면 검출기(12, 13)가 소정량의 충전이 종료된 것을 검출할 때까지는, 도1에 기초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하여 운전을 수행한다. 그 상태에서 배출액 저류 용기(8)에 부착된 액면 검출기(11)가 액면의 하한을 검지하였을 때에, 제1 페이즈는 종료한 것으로서, 다음에 상기한 제2 페이즈로 이행하도록 한다. 제2 페이즈 이후는 도1에 도시한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수 계량이 실시된다. 본 형태는, 제3 페이즈로부터 제4 페이즈로 이행할 때도, 마찬가지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출액 저류 용기(8)에 저류하고 있는 액체가 완전히 배출된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제1 페이즈에 있어서 시간 단축의 이점이 생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제 운전에 있어서는, 상기한「제수량 계량 페이즈」와「공급량 계량 페이즈」를 조합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액체 이송 관리가 가능해진다. 이를 2가지의 페이즈의 조합에는 특히 한정될 필요는 없고, 임의로 조합하면 좋다. 예를 들어,「제수량 계량 페이즈」와「공급량 계량 페이즈」를 교대로 반복하는 시퀀스나, 한 쪽의 페이즈를 계속한 후에 다른 쪽의 페이즈를 조립하는 시퀀스, 완전하게 무작위한 시퀀스 등, 목적이나 장치의 운전 상황에 따라서 선택하면 좋다. 일예로서, 운전 개시 초기는「제수량 계량 페이즈」를 반복하고, 도중으로부터「공급량 계량 페이즈」가 가해지는 시스템 혹은「제수량 계량 페이즈」와「공급량 계량 페이즈」가 3 : 1의 비율로 구성되는 시스템 등을 들 수 있다.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제수량과 공급량이 동일한 비율로 보정되고, 게다가 설정이 용이한 점으로부터「제수량 계량 페이즈」와「공급량 계량 페이즈」를 교대로 반복하는 시퀀스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페이즈 및 제4 페이즈에 있어서의 각 저류 용기(8, 9, 10)의 총중량 변화량을 중량계(20)에 의해 일괄해서 계량하여 계측할 수 있으면 좋고, 그 계측을 위한 밸브류의 제어 방법 등은 상기 동작 설명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혈액 정화 장치에 있어서는 제수량의 계량이 정확한 것이므로, 설정 제수량과 계측된 제수량이 일치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액체 이송 펌프의 회전수를 제어 장치(30)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제수량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제2 페이즈 종료마다 설정 유량으로부터 환산한 설정 제수량 Vref와 계측한 제수 적산량 Vmes를 계산한다. 그리고, (Vref - V mes)가 플러스일 때에는 배출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5)의 회전수를 올리고, (Vref - Vmes)가 마이너스일 때에는 배출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5)의 회전수를 내림으로써 제수량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배출액용 액체 이송 펌프(5)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 대신에, 투석액용 펌프(6) 혹은 보충액용 액체 이송 펌프(7)의 회전수를 내리도록 제어함으로써도 유량 보정이 가능해진다.
또한,「보충액량 + 투석액량」(공급량)의 계량이 정확한 것이므로, 설정 유량과 계측된 유량이 일치하도록 각각의 액체 이송 펌프(6, 7)의 회전수를 내리거나 올리도록 제어함으로써 보충액 및 투석액의 유량 보정도 가능해진다. 또한, 보충액 및 투석액의 유량 보정을 하였을 때 배출액용의 액체 이송 펌프(5)도, 액체 이송 펌프(6, 7)의 보정과 동등한 보정을 함으로써, 제2 페이즈 종료시에 정확하게 제어되어 있는 제수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보정의 타이밍은 예를 들어 제2 페이즈 종료마다 제수량을 보정하고, 제4 페이즈 종료마다 공급량을 보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운전 개시 초기는「제수량 계량 페이즈」를 반복하고, 도중으로부터「공급량 계량 페이즈」가 가해지는 시스템 등으로 바람직하다. 혹은, 일련의 페이즈를 수회 반복하고 나서 보정하는 방법도 예로 들 수 있다. 이 방법은, 유량을 천천히 추종시키고자 할 때 등에 바람직하다. 또한, 일련의 페이즈가 모두 종료되고 나서 공급량과 제수량이 설정치와 일치하도록 액체 이송 펌프(5, 6, 7)를 통합하여 보정하는 방법도 예로 들 수 있다. 이 방법은「제수량 계량 페이즈」와「공급량 계량 페이즈」를 교대로 반복하는 시스템 등으로 바람직하다. 어느 쪽에 있어서도, 보정의 타이밍은 계량 중인 제2 페이즈 중과 제4 페이즈 중 이외이면 특별히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중량계는 1개이며, 거기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제어 장치는 각 액체 이송 펌프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만으로 제수량 혹은 공급량이 정확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제어의 정확성 외에 장치로서의 구성도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CHDF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투석액용 액체 이송 펌프의 유량을 0으로 한 경우에는 CHF가 되고, 보충액용 액체 이송 펌프의 유량을 0으로 한 경우에는 CHD로서 기능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CHDF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명백하다. 물론, 본 발명의 혈액 정화 장치는 상기한 CHDF, CHF 및 CHD 외에도, 통상의 혈액 투석법, 혈액 여과법 및 혈액 여과 투석법의 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 관리에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인 제수량은 당연하며, 공급량에 대해서도 종래의 것보다도 높은 정밀도로 제어할 수 있다. 또, 장치의 구성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장치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로도, 스텝에 의한 횟수가 많은 계량 및 조절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적절하게 환자의 체액량 관리를 수행하면서 안전하게 치료를 계속할 수 있다. 또, 투석액 저류부나 보충액 저류부의 교환 및 여과액과 투석 배출액을 탱크 등에 저류된 경우의 탱크의 교환을 제수량이나 공급량의 계측에 직접 영향을 주는 일 없이, 또한 치료를 정지하는 일 없이 임의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8)

  1. 투석액 공급 수단, 보충액 공급 수단, 배액 수단, 혈액 정화기 및 혈액 순환로로서의 채혈 라인과 반혈 라인으로 구성되는 혈액 정화 장치이고,
    투석액 공급 수단은 일 단부측을 혈액 정화기에 접속하고 다른 단부측을 투석액 저류부에 접속하는 투석액 이송 라인과, 라인 도중에 배치한 투석액 이송 펌프와, 투석액 이송 펌프의 입구측에서 분기한 투석액 분기관로에 접속한 투석액 저류 용기와, 분기부보다도 상류측의 투석액 이송 라인에 부착한 차단 밸브를 구비하고,
    보충액 공급 수단은 일 단부측을 반혈 라인에 접속하고 다른 단부측을 보충액 저류부에 접속하는 보충액 이송 라인과, 라인 도중에 배치한 보충액 이송 펌프와, 보충액 이송 펌프의 입구측에서 분기한 보충액 분기관로에 접속한 보충액 저류 용기와, 분기부보다도 상류측의 보충액 이송 라인에 부착한 차단 밸브를 구비하고,
    배액 수단은 일 단부측을 혈액 정화기에 접속하고, 다른 단부측은 개방한 배출액 라인과, 라인 도중에 배치한 배출액 이송 펌프와, 배출액 이송 펌프의 출구측에서 분기한 배출액 분기관로에 접속한 배출액 저류 용기와, 분기부보다도 하류측의 배출액 이송 라인에 부착한 차단 밸브를 구비하고 있는 혈액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저류 용기에는 액면 검출기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3개의 저류 용기를 일괄해서 계량하는 1개의 중량계를 갖고 있고, 또한 각 차단 밸브의 개폐 제어와 각 액체 이송 펌프의 펌프 유량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액면 검출기는 각 저류 용기에서의 액체의 상한을 검출하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배출액 저류 용기의 액면 검출기가 배출액 저류 용기에서의 액체의 하한을 검출하고, 투석액 저류 용기 및 보충액 저류 용기의 액면 검출기가 투석액 저류 용기 및 보충액 저류 용기에서의 액체의 상한을 검출하는 것인 혈액 정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속 완서식의 혈액 정화 장치인 혈액 정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혈액 정화 장치에서, 상기 각 차단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투석액 저류 용기와 보충액 저류 용기에 액체를 각각 충전하면서 동시에 배출액 저류 용기로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제1 페이즈와, 그에 이어서, 상기 각 차단 밸브를 폐쇄하여 장치의 운전을 수행하고, 그 사이에 투석액 저류 용기와 보충액 저류 용기와 배출액 저류 용기의 총액량의 변화를 중량계로부터의 정보로부터 획득하여 제수량을 계량하는 제2 페이즈로 이루어지는「제수량 계량 페이즈」를 수행하고, 상기 제2 페이즈의 과정에서 원하는 제수량을 얻을 수 있도록, 제어 장치는 1개 이상의 액체 이송 펌프에 대한 유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정화 장치의 운전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혈액 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차단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투석액 저류 용기와 보충액 저류 용기에 액체를 각각 충전하면서 동시에 배출액 저류 용기로부터 액체를 배출하는 제3 페이즈와, 그에 이어서, 투석액 공급 수단의 차단 밸브와 보충액 공급 수단의 차단 밸브만을 폐쇄하여 장치의 운전을 수행하고, 그 사이에 투석액 저류 용기와 보충액 저류 용기와 배출액 저류 용기의 총액량의 변화를 중량계로부터의 정보로부터 획득하여「보충액량 + 투석액량」인 공급량을 계량하는 제4 페이즈로 이루어지는「공급량 계량 페이즈」를 수행하고, 상기 제4 페이즈의 과정에서 원하는 공급량을 얻을 수 있도록, 제어 장치는 투석액 이송 펌프 및 보충액 이송 펌프에 대한 유량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정화 장치의 운전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혈액 정화 장치에서, 상기 제5항에 기재된「제수량 계량 페이즈」에 의한 운전 방법과 상기 제6항에 기재된「공급량 계량 페이즈」에 의한 운전 방법을 임의로 조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정화 장치의 운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5항에 기재된「제수량 계량 페이즈」에 의한 운전 방법과 상기 제6항에 기재된「공급량 계량 페이즈」에 의한 운전 방법을 교대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정화 장치의 운전 방법.
KR1020057002043A 2002-08-08 2003-08-04 혈액 정화 장치 KR100652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2043A KR100652083B1 (ko) 2002-08-08 2003-08-04 혈액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31007 2002-08-08
KR1020057002043A KR100652083B1 (ko) 2002-08-08 2003-08-04 혈액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911A true KR20050054911A (ko) 2005-06-10
KR100652083B1 KR100652083B1 (ko) 2006-12-01

Family

ID=37250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043A KR100652083B1 (ko) 2002-08-08 2003-08-04 혈액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2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3224A (zh) * 2022-03-25 2022-05-27 深圳市创谷科技发展有限公司 气腹机运行控制方法、装置及气腹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33224A (zh) * 2022-03-25 2022-05-27 深圳市创谷科技发展有限公司 气腹机运行控制方法、装置及气腹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2083B1 (ko) 200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8542B2 (en) Blood purify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460682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ultrafiltr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US8562823B2 (en) Dynamic weight balancing of flow in kidney failure treatment systems
US4728433A (en) Ultrafiltration regulation by differential weighing
EP2293829B1 (en) An extracorporeal blood treatment apparatus
SE523610C2 (sv) Metod vid styrning av dialysanordning
US4735727A (en) Dialysis equipment
JP2516928B2 (ja) 透析装置
JPH09239024A (ja) 血液浄化装置
JP3180309B2 (ja) 持続的血液浄化用装置
JP4337981B2 (ja) 血液浄化装置
JP2000084071A (ja) 除水量制御精度の改良された血液処理装置
KR100652083B1 (ko) 혈액 정화 장치
JP3924449B2 (ja) 血液浄化装置
JPS6329655A (ja) 人工腎臓装置
CN107412895B (zh) 血液净化称重补偿方法及利用该方法的血液净化称重补偿系统
JP2001000541A5 (ko)
JP4172261B2 (ja) 持続的血液浄化装置
JPS6119275B2 (ko)
JPH0622622B2 (ja) 血液浄化装置
CS220475B1 (cs) Zařízení pro řízenou ultrafiltraci, zejména při dialýze
JPH0576870B2 (ko)
JPS5916781B2 (ja) 限外「ろ」過量自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