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4174A - 호스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호스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4174A
KR20050054174A KR1020030087510A KR20030087510A KR20050054174A KR 20050054174 A KR20050054174 A KR 20050054174A KR 1020030087510 A KR1020030087510 A KR 1020030087510A KR 20030087510 A KR20030087510 A KR 20030087510A KR 20050054174 A KR20050054174 A KR 20050054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ody
fixed
coupling
movable body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2755B1 (ko
Inventor
김남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7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54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4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중간의 힌지부(31)를 통해 탄력적인 접힘과 펼쳐짐의 동작이 가능한 고정몸체(32) 및 가동몸체(33)와, 상기 고정몸체(3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차체측으로 결합되어지는 돌기부(34)와, 상기 고정몸체(32)와의 사이에 결합홈(32a)이 형성되도록 상기 돌기부(34)로부터 이격된 고정몸체(32)의 외주면에서 굴곡 형성되고 결합구멍(35a)이 형성되는 고정몸체플랜지(35)와, 상기 가동몸체(33)의 자유단에서 탄력을 갖출 수 있게 굴곡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구멍(35a)으로 끼워지는 결합돌기(36a)를 구비한 가동몸체플랜지(36)와, 상기 결합홈(32a)내에 위치되면서 일단이 결합홈(32a)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압축스프링(37)으로 구성되어져, 전체적인 부피의 축소가 가능하여 엔진룸과 같이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호스의 고정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작동이 원터치 방식에 의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호스 고정용 클립{clip for fixing hose}
본 발명은 호스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협소한 공간내에서도 장착이 용이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호스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구성하는 조향장치나 제동장치 및 엔진의 냉각계, 오일계, 흡기계등에는 고온고압의 유체가 통과하는 호스(hose)들이 설치되는 바, 이러한 호스들은 통상 클립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거나 또는 실링(sealing)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호스를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클립(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의 띠모양으로 형성된 제1몸체(11) 및 제2몸체(13)가 이들을 연결하는 힌지부(15)를 통해 접힘과 펼쳐짐의 작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몸체(11)의 끝단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제1결합치(11a)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13)의 끝단에는 기역(??)자 모양의 플랜지(13a) 및 상기 제1결합치(11a)와 이빨물림이 가능한 제2결합치(13b)가 플랜지(13a)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1)의 외주면 중간부위에는 클립(10)전체를 차체측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돌기부(17)가 일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3)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펼친 상태에서 그 사이로 호스(도시않됨)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제1몸체(11)와 제2몸체(13)를 오므려주게 되면 제1결합치(11a)와 제2결합치(13b)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맞물림되어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호스에 클립(10)의 조립이 완료되고, 계속해서 돌기부(17)를 차체의 관통구멍으로 끼워주게 되면 돌기부(17)와 일체로 형성된 날개부(19)가 차체패널에 밀착되면서 호스의 고정작업이 종료되게 된다.
이후, 제1,2몸체(11,13)를 서로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제1몸체(11)의 누름부(11c)와 제2몸체(13)의 누름부(13c)를 가압하여 서로 이맞물림되어진 제1,2결합치(11,13)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힌지부(15)를 이용해 상기 제1,2몸체(11,13)를 서로 벌려줌으로써 그 동작이 완료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립(10)은 호스의 직경과 상관없는 제1몸체(11)의 누름부(11c) 및 제2몸체(13)의 플랜지(13a)로 인해 전체적인 외형의 부피가 너무 과도하여 엔진룸과 같이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는 작업성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서로 결합되어진 제1,2몸체(11,13)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제1,2몸체(11,13)가 지닌 자체의 탄력보다 강한 힘을 사용해야 하고 또한 제1,2몸체(11,13)를 벌려주는 동작이 필히 수반되어야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호스의 직경과 상관없는 부위의 부피를 축소하여 전체적인 외형의 부피를 축소시키고, 이에 따라 엔진룸과 같이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호스의 고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또한 원터치 방식을 이용해 호스의 분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하는 호스 고정용 클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립은, 중간의 힌지부를 통해 탄력적인 접힘과 펼쳐짐의 동작이 가능한 고정몸체 및 가동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차체측으로 결합되어지는 돌기부와, 상기 고정몸체와의 사이에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돌기부로부터 이격된 고정몸체의 외주면에서 굴곡 형성되고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고정몸체플랜지와, 상기 가동몸체의 자유단에서 탄력을 갖출 수 있게 굴곡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구멍으로 끼워지는 결합돌기를 구비한 가동몸체플랜지와, 상기 결합홈내에 위치되면서 일단이 결합홈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클립(30)은 차량의 조향장치나 제동장치 및 엔진의 냉각계, 오일계, 흡기계등에 사용되는 호스(hose)들을 차체측으로 고정시키는데 사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클립(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의 띠모양으로 형성된 고정몸체(32) 및 가동몸체(33)가 이들을 연결하는 힌지부(31)를 통해 접힘과 펼쳐짐의 작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32)의 외주면에는 차체측에 형성된 결합구멍(도시않됨)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클립(30) 전체를 차체측에 고정시키는 돌기부(3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34)로부터 이격된 고정몸체(32)의 외주면(즉, 상기 고정몸체의 자유단과 근접한 부위의 외주면)에는 기역(??)자 모양으로 굴곡 형성된 고정몸체플랜지(35)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몸체플랜지(35)에는 대략 사각형 모양의 결합구멍(35a)이 형성되는 바, 상기 고정몸체플랜지(35)를 통해 상기 고정몸체(32)와의 사이에는 단면이 디귿(e)의 모양을 갖는 결합홈(3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몸체(33)에는 자유단으로부터 굴곡 연장되는 가동몸체플랜지(36)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몸체플랜지(36)에는 상기 결합구멍(35a)으로 끼워지는 결합돌기(36a)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36a)의 끝에는 걸림턱부(36a-1)가 일체로 절곡 형성되는 바, 상기 걸림턱부(36a-1)는 결합돌기(36a)가 결합구멍(35a)으로 끼워질 때 상기 결합구멍(35a)을 완전히 관통하면서 고정몸체플랜지(35)의 면에 걸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몸체(32)와 가동몸체(33)는 서로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몸체플랜지(36)는 가동몸체(33)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지만 서로간에는 이격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동몸체플랜지(36)는 자체적으로 일정한 힘의 탄력을 갖추고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32a)에는 가동몸체(33)의 연결부(33a)에 의해 압축되어지는 압축스프링(37)이 설치되는 바, 상기 압축스프링(37)은 그 일단이 상기 결합홈(32a)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홈(32a)의 개구부쪽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진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스프링(37)은 가동몸체(33)가 고정몸체(32)로부터 분리되는 작동을 할 때 상기 연결부(33a)를 탄력적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상기 가동몸체(33)는 고정몸체(32)로부터 수월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34a는 돌기부(34)에 일체로 형성된 날개부(34a)이며, 이 날개부(34a)는 상기 돌기부(34)가 차체의 관통구멍으로 끼워질 때 차체패널에 밀착되어 그 위치에서 클립(3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몸체(32)와 가동몸체(33)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펼친 상태에서 그 사이로 호스(도시않됨)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가동몸체(33)를 고정몸체(32)쪽으로 회전시키면서 연결부(33a)를 결합홈(32a)으로 삽입시켜 주게 되면, 상기 결합홈(32a)내의 압축스프링(37)은 연결부(33a)에 의해 눌려지면서 압축동작을 하게 되고, 동시에 가동몸체플랜지(36)에 형성된 결합돌기(36a)는 고정몸체플랜지(35)에 형성된 결합구멍(35a)으로 삽입되면서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36a)의 걸림턱부(36a-1)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멍(35a)을 완전히 관통하여 고정몸체플랜지(35)에 걸려지게 되면, 상기 고정몸체(32)와 가동몸체(33)는 서로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가 되며, 계속해서 돌기부(34)를 차체의 관통구멍으로 끼워주게 되면 돌기부(34)와 일체로 형성된 날개부(34a)가 차체패널에 밀착됨으로써, 전체적인 호스의 고정작업은 종료되게 된다.
이후, 서로의 조립이 완료된 고정몸체(32)로부터 가동몸체(33)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에는 결합돌기(36a)를 탄력적으로 변형시키면서 걸림턱부(36a-1)를 결합구멍(35a)의 안쪽으로 눌러주게 되면, 압축스프링(37)을 눌러주고 있던 연결부(33a)는 상기 압축스프링(37)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홈(32a)으로부터 순간적으로 이탈되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가동몸체(33)는 고정몸체(32)로부터 완전히 분리됨으로써 다음번의 작동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하는 본 발명의 클립(30)은 호스의 직경과 상관없는 부위, 즉 고정몸체플랜지(35)의 부피가 종래의 클램프(10)와 비교하여 볼 때 누름부(11c) 및 플랜지(13a)의 부피보다 적게 형성시킬 수 있음이 가능하게 되어, 엔진룸과 같이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호스의 고정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클립(30)은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클립(30)은 고정몸체(32)와 가동몸체(33)의 분리작업이 원터치 방식에 의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잇점이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클립은, 전체적인 부피의 축소가 가능하여 엔진룸과 같이 비교적 협소한 공간에서도 호스의 고정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작동이 원터치 방식에 의해 편리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작업의 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힌지부 32 - 고정몸체
33 - 가동몸체 34 - 돌기부
35 - 고정몸체플랜지 36 - 가동몸체플랜지
36a-1 - 걸림턱부 37 - 압축스프링

Claims (2)

  1. 중간의 힌지부(31)를 통해 탄력적인 접힘과 펼쳐짐의 동작이 가능한 고정몸체(32) 및 가동몸체(33)와, 상기 고정몸체(3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차체측으로 결합되어지는 돌기부(34)와, 상기 고정몸체(32)와의 사이에 결합홈(32a)이 형성되도록 상기 돌기부(34)로부터 이격된 고정몸체(32)의 외주면에서 굴곡 형성되고 결합구멍(35a)이 형성되는 고정몸체플랜지(35)와, 상기 가동몸체(33)의 자유단에서 탄력을 갖출 수 있게 굴곡 형성되면서 상기 결합구멍(35a)으로 끼워지는 결합돌기(36a)를 구비한 가동몸체플랜지(36)와, 상기 결합홈(32a)내에 위치되면서 일단이 결합홈(32a)의 바닥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압축스프링(3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고정용 클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36a)에는 결합구멍(35a)을 관통하여 고정몸체플랜지(35)에 걸려지는 걸림턱부(36a-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고정용 클립.
KR1020030087510A 2003-12-04 2003-12-04 호스 고정용 클립 KR100552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510A KR100552755B1 (ko) 2003-12-04 2003-12-04 호스 고정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7510A KR100552755B1 (ko) 2003-12-04 2003-12-04 호스 고정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4174A true KR20050054174A (ko) 2005-06-10
KR100552755B1 KR100552755B1 (ko) 2006-02-20

Family

ID=37249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510A KR100552755B1 (ko) 2003-12-04 2003-12-04 호스 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7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98B1 (ko) * 2007-09-11 2009-06-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 치료용 레이저 파이버 고정 장치
CN111561611A (zh) * 2020-05-27 2020-08-2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线束管夹以及线束装置
CN113374941A (zh) * 2021-07-28 2021-09-1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钣金件固定管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98B1 (ko) * 2007-09-11 2009-06-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광역학 치료용 레이저 파이버 고정 장치
CN111561611A (zh) * 2020-05-27 2020-08-21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线束管夹以及线束装置
CN113374941A (zh) * 2021-07-28 2021-09-1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钣金件固定管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2755B1 (ko) 200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2363B2 (ja) 電気的な差込コネクタ及び係止用湾曲部材
JP2013500439A (ja) 速作業性パネル締め具
JP2002317891A (ja) 解除用スリーブと、該解除用スリーブを使用する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
JPH0522985U (ja) パイプ接続器
JP2003130268A (ja) 解除用スリーブと、カップリングアセンブリ
KR100552755B1 (ko) 호스 고정용 클립
AU2005208350B2 (en) Coupling assembly with latching sleeve
CN207094002U (zh) 可拆卸的快速连接装置
JP6527738B2 (ja) ダクト
JP2005515374A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ボンデッドピストンシール
KR101857027B1 (ko) 스프링밴드 밀폐형 원터치 배관 커플러
US20220170490A1 (en) Fastening arrangement
JPH09161579A (ja) グロメット
JPH07260071A (ja) 配管接続構造
KR20120090738A (ko) 호스용 클램프
JP4740219B2 (ja) パイプの連結構造
JP5108364B2 (ja) 壁コーナーのジョイント構造
JP4241024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配管接続構造
KR100459005B1 (ko) 가스호스 연결구조물
JP2009006643A (ja) クリップ取付構造
CN220898437U (zh) 连接机构及拼装固定装置
JP3904659B2 (ja) コネクタ
JPH0666392A (ja) 配管結合装置
JP2001235074A (ja) コネクター用配管構造
KR200164726Y1 (ko) 관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