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2369A -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2369A
KR20050052369A KR1020040097762A KR20040097762A KR20050052369A KR 20050052369 A KR20050052369 A KR 20050052369A KR 1020040097762 A KR1020040097762 A KR 1020040097762A KR 20040097762 A KR20040097762 A KR 20040097762A KR 20050052369 A KR20050052369 A KR 20050052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audio
limit level
reproduced
au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카바야시히데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52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36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7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of digital or cod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음성 재생부(15)와, 상기 음성 재생부(15)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에 대한 제한 레벨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부(20∼23)와, 상기 음성 재생부(15)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의 레벨이 상기 설정부(20∼23)에 의해 설정된 제한 레벨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18)와, 상기 검출부(18)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재생부(15)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에 대하여 제한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한부를 포함하는 음성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출력 방법 {AUDIO OUTPUTTING APPARATUS AND AUDIO OUTPUTTING METHOD}
본 발명은 입력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복원하여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예컨대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시청 중에는 효과음 등에 의해 또는 프로그램 내용이 본 방송에서 상업용으로 전환되는 경우 등에 음량이 급격히 증가되어, TV 시청자층은 즉각적으로 음량을 저하시킬 수밖에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5-226953호에는 비선형의 입력 및 출력 특성을 갖는 압축기(compressor)에 의해 큰 레벨의 음성 입력에 대하여 출력 음성 레벨을 작게 제어하여, 음량을 소정의 범위 내로 제어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5-226953호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모든 레벨의 입력 음성이 압축기에 의해 제어되고 작은 레벨의 입력 음성이 더욱 작은 레벨로 제어됨으로서, 전술한 구성은 실용화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급격한 음량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충분히 실용화에 적합한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입력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음성 재생부와, 상기 음성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에 대한 제한 레벨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부와, 상기 음성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의 레벨이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제한 레벨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에 대하여 제한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한부를 포함하는 음성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입력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에 대한 제한 레벨을 설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설정된 제한 레벨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에 대하여 제한 처리를 실시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안테나(11)에 의해 수신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신호는 튜너(12)에 공급되어 특정 채널 신호가 선택된다.
이 튜너(12)에서 선택된 방송 신호는 신호 처리부(13)에 공급된다. 이 신호 처리부(13)는 입력된 방송 신호에 대하여 에러 정정 처리, 스크램블 해제 처리 및 전송 스트림(TS; Transport Stream) 패킷 변환 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신호 처리부(13)는 각 패킷마다 영상 신호를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영상 재생부(14)에 출력하고, 각 패킷마다 음성 신호를 MPEG 음성 재생부(15)에 출력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MPEG 영상 재생부(14)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압축 부호화 처리에 대응하는 디코딩 처리를 실시하고,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재생하여, OSD(On Screen Display)부(16)에 출력하고 있다. 이 OSD부(16)는 입력된 영상 신호에 특정 OSD 신호를 중첩하여, CRT(Cathode Ray Tube)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17)에 출력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MPEG 음성 재생부(15)는 입력된 음성 신호에 압축 부호화 처리에 대응하는 디코딩 처리를 실시하고,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재생하여, 음성 제어부(18)에 출력하고 있다.
이 음성 제어부(18)는 입력된 음성 신호의 레벨이 사용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한 레벨보다도 높아진 경우, 그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의 음성 신호에 대하여 레벨을 억제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이 음성 제어부(18)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가 스피커(19)에 공급되어 음성이 재생된다. 이에 따라, 음량이 미리 설정된 음량보다도 커지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이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는 상기한 동작을 포함하는 모든 동작을 CPU(Central Processing Unit)(20)에 의해 통상적으로 제어되고 있다. 이 CPU(20)는 원격 제어기(21)로부터 전송된 조작 정보를 수신부(22)를 통해 수신하여, 그 조작 내용이 반영되도록 각 부를 각각 제어하고 있다.
이 경우, CPU(20)는 메모리부(23)를 이용하고 있다. 즉, 이 메모리부(23)는 CPU(20)에 의해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 판독 전용 메모리, CPU(20)에 작업 영역을 제공하는 판독 및 기록 메모리, 각종 설정 정보 및 제어 정보 등이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상기 원격 제어기(21)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이 원격 제어기(21)에는 주로 전원 키(24), 원터치 선택 키 그룹(25), 수신 모드 전환 키 그룹(26), 채널 업다운 키(27), 음량 조정 키(28), 복귀 키(29), 종료 키(30), 이동 키(31), 결정 키(32) 및 메뉴 키(33) 등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음성 제어부(18)에 의한 음성 신호의 레벨 제어를 실시하도록 할지 여부에 대해서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21)의 메뉴 키(33)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부(17)에 표시된 메뉴로부터 소정의 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음성 제어 선택 메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 음성 제어 선택 메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제어」라는 항목(34)과, 「음성 제어하지 않음」이라고 하는 항목(35)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21)의 이동 키(31)를 조작하여 어느 한 항목(34, 35)을 선택하여, 사전 결정된 결정 키(32)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는 음성 제어부(18)에 의한 음성 신호의 레벨 제어를 수행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제어 선택 메뉴에 의해 「음성 제어」의 항목(34)이 선택되면, CPU(20)는 음량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7)에 표시할 수 있다. 이 음량 설정 메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량이 「0」인 상태가 일단에 대응하고, 음량이 「최대」인 상태가 많은 단에 대응하는 막대 형상의 아이템(36)과, 상기 음량에 대응하는 아이템(36)을 따라 이동하는 지표(37)를 표시하고 있고, 그에 따라서 음량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실제로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음성을 들으면서 음량 조정 키(28)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이것으로 좋다고 판단된 음량으로 결정되면, 사용자는 결정 키(32)를 조작한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량 설정 지표(38)가 아이템(36) 상에 표시되고, 이 때 레벨을 제어해야 할 음량이 설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레벨을 제어해야 하는 음량이 설정되면, CPU(20)는 설정된 음량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의 진폭 레벨을 산출하고, 또한 CPU(20)는 그 산출 결과를 제한 레벨로서 메모리부(23)의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유지시킨다.
그렇게 하면, 음성 제어부(18)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된 음성 신호의 진폭 레벨을 제한 레벨과 비교하여, 제한 레벨을 실질적으로 초과하는 진폭 레벨을 갖는 음성 신호를, 제한 레벨에 클립핑하여 출력시키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 제어 선택 메뉴에 의해 「음성 제어하지 않음」의 항목(35)이 선택된 상태, 즉 상기 음성 제어부(18)에 의해 음성 신호의 레벨 제어를 실시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음성 제어부(18)는 입력된 음성 신호를 그대로 통과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7은 전술한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주요 동작을 포함하는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처리가 개시(단계 S1)되면, CPU(20)는 단계 S2에서 음성 제어를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제어를 실시하도록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NO)에는, CPU(20)는 음성 제어부(18)를 제어할 수 있고, 단계 S10에서 음성 제어부(18)에 음성 신호를 출력시키며, CPU(20)는 처리를 종료시킨다(단계 S11).
또한, 상기 단계 S2에서 음성 제어를 수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YES)에는, CPU(20)는 단계 S3에서 제한 레벨이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한 레벨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NO)에는, CPU(20)는 단계 S4에서 상기 음량 설정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7)에 표시시키고, 단계 S5에서 사용자에 의해 음량이 설정되면, 단계 S6에서 설정된 음량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의 진폭 레벨, 즉 제한 레벨을 산출하여, 메모리부(23)의 비휘발성 메모리 등에 유지시킨다.
단계 S6 후, 또는 상기 단계 S3에서 제한 레벨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된 경우(YES)에는, CPU(20)는 단계 S7에서 음성 제어부(18)에 레벨 제어 동작을 실시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성 제어부(18)는 단계 S8에서 입력되고 있는 음성 신호의 진폭 레벨이 제한 레벨을 실질적으로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되어 있는 음성 신호의 진폭 레벨이 제한 레벨을 실질적으로 초과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YES)에는, 음성 제어부(18)는 단계 S9에서 제한 레벨을 실질적으로 초과하는 진폭 레벨을 갖는 음성 신호를 제한 레벨에 클립핑할 수 있다.
단계 S9 후, 또는 상기 단계 S8에서 입력되고 있는 음성 신호의 진폭 레벨이 제한 레벨을 실질적으로 초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NO)에는, 음성 제어부(18)는 단계 S10에서 음성 신호를 출력하고, CPU(20)는 처리를 종료시킬 수 있다(단계 S11).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신호의 진폭 레벨을 미리 설정된 제한 레벨과 비교하여 제한 레벨을 실질적으로 초과하는 진폭 레벨을 갖는 음성 신호를 제한 레벨에 클립핑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급격한 음량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한 레벨을 실질적으로 초과하는 진폭 레벨을 갖는 음성 신호를 제한 레벨에 클립핑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한 레벨을 실질적으로 초과하지 않는 진폭 레벨의 음성 신호는 어떤 레벨 제어도 제공되는 일이 없이 그대로 음성 재생에 제공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음성 신호는 충분히 실용화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한 레벨을 실질적으로 초과하는 진폭 레벨을 갖는 음성 신호를 제한 레벨에 클립핑하도록 하였지만, 이들 클립핑으로 한정하지 않고, 제한 레벨을 실질적으로 초과하는 진폭 레벨을 갖는 음성 신호를 뮤팅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레벨 제어와 관련해서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어 전술한 MPEG 음성 재생부(15)로부터 디지털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그 디지털 음성 신호에 대하여 레벨 제어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량이 「0」에서 「최대」까지가 「0000000000000000」으로부터 「1111111111111111」까지의 16 비트의 디지털 음성 신호에 대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제한 레벨을 예컨대 「0000111000011101」등으로 설정해 두면, 이 제한 레벨을 실질적으로 초과하는 값을 갖는 디지털 음성 신호를 감쇠기에 의해 감쇠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감쇠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래의 출력 음성 파형을 역 위상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설치해 두고, 설정값을 실질적으로 초과한 만큼의 디지털 음성 신호에 그 역 위상의 신호를 부가하여 음량을 낮추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을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에 채택해서 사용한 경우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테이프, 반도체 메모리,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각종 장치와, 음성 방송을 수신하는 장치 등에 본 발명을 폭넓게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그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들을 여러 가지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수도 있다. 예컨대, 실시예의 모든 구성 요소들 중에서 일부의 구성 요소를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을 적절히 결합해서 구현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발명에 따르면, 재생된 음성 신호의 레벨이 설정된 제한 레벨을 초과한 상태에서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에 대하여 음성 신호의 레벨을 낮추는 처리를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급격한 음량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고, 충분히 실용화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동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의 원격 제어기를 도시하는 외관도.
도 3은 동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에 의해 표시된 음성 제어 선택 메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동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에 의해 표시된 음량 설정 메뉴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동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에 의해 표시된 음량 설정 메뉴에 음량이 설정된 상태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동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에 의해 실시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진폭 레벨 제한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동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에 의해 실시되는 주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동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의 음량과 디지털 음성 신호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9는 동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 수신기에 의해 실시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에 대한 레벨 제한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안테나
12 : 튜너
13 : 신호 처리부
14 : MPEG 영상 재생부
15 : MPEG 음성 재생부
16 : OSD부
17 : 디스플레이부
18 : 음성 제어부
19 : 스피커
20 : CPU
21 : 원격 제어기
22 : 수신부
23 : 메모리부
24 : 전원 키
25 : 원터치 선국 키 그룹
26 : 수신 모드 전환 키 그룹
27 : 채널 업다운 키
28 : 음량 조정 키
29 : 복귀 키
30 : 종료 키
31 : 이동 키
32 : 결정 키
33 : 메뉴 키
34, 35 : 항목
36 : 아이템
37 : 지표
38 : 음량 설정 지표

Claims (10)

  1. 입력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재생하도록 구성된 음성 재생부와;
    상기 음성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에 대한 제한 레벨을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부와;
    상기 음성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의 레벨이 상기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제한 레벨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에 대하여 제한 처리를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한부
    를 구비한 음성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음성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에 대하여 음성 신호의 레벨을 낮추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인 음성 출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음성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을 뮤팅하는 처리와;
    상기 음성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을 감쇠시키는 처리와;
    상기 음성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에 그 부분의 역 위상의 신호를 부가하는 처리와;
    상기 음성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을 클립핑하는 처리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인 음성 출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는,
    음량 조정 조작에 의해 설정된 음량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의 레벨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산출부와;
    상기 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레벨을 상기 제한 레벨로서 유지하도록 구성된 기억부를 포함하는 것인 음성 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로 하여금 상기 음성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에 대하여 레벨 제한을 실시할지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음성 출력 장치.
  6. 입력 신호로부터 음성 신호를 재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에 대한 제한 레벨을 설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의 레벨이 상기 제2 단계에 의해 설정된 제한 레벨을 초과하는지를 검출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에 대하여 제한 처리를 실시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 출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에 대하여 음성 신호의 레벨을 낮추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인 음성 출력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을 뮤팅하는 처리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을 감쇠시키는 처리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에 그 부분의 역 위상의 신호를 부가하는 처리와;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 중 상기 제한 레벨을 초과한 부분을 클립핑하는 처리
    중 어느 하나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인 음성 출력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음량 조정 조작에 의해 설정된 음량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의 레벨을 산출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5 단계에 의해 산출된 레벨을 상기 제한 레벨로서 유지하는 제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음성 출력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 의해 재생되는 음성 신호에 대한 레벨 제한을 실시할지의 여부를 상기 제4 단계가 선택하도록 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음성 출력 방법.
KR1020040097762A 2003-11-28 2004-11-26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출력 방법 KR200500523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00891 2003-11-28
JP2003400891A JP2005167423A (ja) 2003-11-28 2003-11-28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音声出力装置及び音声出力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369A true KR20050052369A (ko) 2005-06-02

Family

ID=34463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762A KR20050052369A (ko) 2003-11-28 2004-11-26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117758A1 (ko)
EP (1) EP1536637A1 (ko)
JP (1) JP2005167423A (ko)
KR (1) KR20050052369A (ko)
CN (1) CN16224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9539B2 (en) * 2006-03-24 2013-02-05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Audio system with parental maximum volume control
JP2009130643A (ja) * 2007-11-22 2009-06-11 Yamaha Corp オーディオ信号供給装置、パラメータ提供システム、テレビ、avシステム、スピーカ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信号供給方法
WO2011148624A1 (ja) * 2010-05-26 2011-12-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量振幅制限装置
EP3490249B1 (en) 2016-05-23 2020-07-22 Funai Electric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3147A (en) * 1992-06-01 1994-11-08 North American Philips Corporation Automatic volume leveler
WO1996016511A1 (fr) * 1994-11-23 1996-05-30 Serge Saadoun Dispositif d'adaptation automatique du niveau sonore moyen d'un recepteur de television
US5822018A (en) * 1996-04-02 1998-10-13 Farmer; James O. Method and apparatus for normalizing signal levels in a signal processing system
KR100196425B1 (ko) * 1996-05-16 1999-06-15 윤종용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사운드 제어 방법
JPH10303663A (ja) * 1997-04-22 1998-11-13 Victor Co Of Japan Ltd 電子機器
AUPQ530500A0 (en) * 2000-01-28 2000-02-17 Right Hemisphere Pty Limited Commercial attenuator
US6552753B1 (en) * 2000-10-19 2003-04-22 Ilya Zhurbinskiy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uniform sound volume for televisions and other systems
JP2003304590A (ja) * 2002-04-10 2003-10-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リモコン装置と音量調整方法および音量自動調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2451A (zh) 2005-06-01
US20050117758A1 (en) 2005-06-02
EP1536637A1 (en) 2005-06-01
JP2005167423A (ja)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22543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US8063989B2 (en) Television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US20060221257A1 (en) Broadcast receiver
KR20070063744A (ko) 타임 쉬프트 진행 바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방송수신기
KR101189733B1 (ko) 음 신호 제어 장치
KR20050052369A (ko)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출력 방법
KR101356483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072202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KR19990042395A (ko) 텔레비젼에서의 방송 탐색 방법
CN1306800C (zh) 用于控制视频信号处理设备的方法和设备
JP2007214678A (ja) 表示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
JP2010258776A (ja) 音声信号処理装置
KR2006013627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및방송처리 장치
US201000534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cture quality compensative based on field intensity
JP4487742B2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KR100863835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별 시청환경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7027975A (ja) テレビ受信機及び電子機器
KR101295304B1 (ko) 영상기기의 오디오 신호 지정 녹화 장치 및 방법
KR0146989B1 (ko) 텔레비젼에서의 채널 선국 방법
KR100933207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에 있어서의 음성 설정 방법 및 그장치
KR101067775B1 (ko) 티브이의 우퍼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5109593A (ja) テレビ放送受信器
JP2007274190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12244319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2005217958A (ja) 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