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1785A -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1785A
KR20050051785A KR1020030085421A KR20030085421A KR20050051785A KR 20050051785 A KR20050051785 A KR 20050051785A KR 1020030085421 A KR1020030085421 A KR 1020030085421A KR 20030085421 A KR20030085421 A KR 20030085421A KR 20050051785 A KR20050051785 A KR 20050051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data
content data
evalua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5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8621B1 (ko
Inventor
장재석
서인욱
김훈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30085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8621B1/ko
Publication of KR2005005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1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8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웹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한 후, 무료 또는 저가로 제공되는 공개 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무선 인터넷 이용자에게 공개 서비스를 제공하고, 공개 서비스를 무선 인터넷 이용자의 평가 점수 또는 접속 횟수에 따라 공개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우선 순위가 높은 공개 서비스 순으로 상용 서비스화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 개발자들이 신규로 개발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위한 베타 서비스 공간을 제공하고, 무선 인터넷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평가에 따라 상용 서비스 채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arious contents in wireless Internet service}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 개발자가 개발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제공을 용이하게 하고,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 부담을 제거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는 다양한 서비스를 접해볼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발전과 경제 수준의 향상은 이동 통신 기술의 개발 및 이동 통신 서비스 이용자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동 통신 서비스는 종래의 전화통화 기술에서 발전하여 문자 메시지 송수신 서비스뿐 아니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까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즉, 이동 통신 서비스 이용자는 동일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중의 전화 통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 등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정보 검색, 멀티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벨소리, 캐릭터, 멜로디 등) 다운로드, 게임 등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 등으로 다양하다. 그러나, 특정 이동통신 사업자를 통해 컨텐츠 또는 신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컨텐츠 개발자는 다양한 포맷으로 해당 컨텐츠 또는 신규 서비스를 구성하여야 한다.
즉, KTF의 경우에는 마크업 언어로서 mHTML을 채택하고 이미지 포맷으로는 nBMP 포맷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SK 텔레콤의 경우에는 마크업 언어로서 SK-WML을 채택하고 이미지 포맷으로는 wBMP 포맷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LG 텔레콤의 경우에는 마크업 언어로서 UP-WML을 채택하고 이미지 포맷으로는 BMP 포맷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이동 통신 사업자가 표준으로 채택한 마크업 언어나 이미지 포맷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컨텐츠 개발자는 각 업체에 상응하는 포맷으로 컨텐츠를 제작할 필요가 있으며, 모든 이동 통신 사업자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사한 작업을 복수회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물론, 최근 마크업 언어의 변환 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고는 하나 여전히 상술한 불편함은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컨텐츠 개발자들에 대한 이동통신 사업자의 진입 장벽이 높은 문제점도 있었다. 즉, 종래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은 컨텐츠 개발자가 개발이 완료된 컨텐츠나 서비스를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제안하면, 그 제안에 대해 이동 통신 사업자는 평가를 수행하고, 평가에서 적합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에만 상용 서비스로 채택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서비스 이용자들이 아무리 흥미로워하고 필요로 하는 서비스일지라도 이동 통신 사업자의 경제성 평가 등에서 나쁜 평가를 받게되면 서비스의 가능성이 희박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개발자들이 신규로 개발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위한 베타 서비스 공간을 제공하고, 무선 인터넷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평가에 따라 상용 서비스 채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규 콘텐츠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실질적인 소비자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용 서비스 채택 여부에 대한 평가 작업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없어 이동 통신 사업자의 역량을 분산시키지 않고, 최적의 고객 서비스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이동 통신 사업자의 요구 포맷에 맞춰 개발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일지라도 별도의 마크업 언어 변환 작업없이 즉시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컨텐츠 개발자의 불필요한 반복 작업을 제거할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텐츠 개발자들의 노력에 의해 신규로 개발된 컨텐츠 등이 무의미하게 소멸됨을 방지하고, 서비스 제공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개발자들의 컨텐츠 개발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들이 다양한 서비스를 무료로(또는 저가에) 이용해볼 수 있어, 서비스 이용자들의 다양한 컨텐츠 이용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웹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웹 서버는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이고, 상기 접속 관계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설정 상태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임의의 웹 서버에 상응하는 서비스 요청 또는 컨텐츠 데이터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구성 포맷이 미리 지정된 표준 포맷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표준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포맷은 마크업 언어 포맷, 이미지 포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변환된 표준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상응하는 평가 점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의 접속 관계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장치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비스 또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등록 요청을 상용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서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청을 이용하여 임의의 웹 서버에 대한 접속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접속 횟수에 대해 미리 지정된 제1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평가 점수에 대해 미리 지정된 제2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각각의 가중치가 적용된 상기 접속 횟수 및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평가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은 평가 데이터에 상응하는 보상 기준을 미리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데이터 및 보상 기준을 이용하여 각각의 웹 서버에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베타 서비스를 수행하는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웹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 관계를 구성하는 접속 설정부-여기서, 상기 웹 서버는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이고, 상기 접속 관계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설정 상태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임의의 웹 서버에 상응하는 서비스 요청 또는 컨텐츠 데이터 제공 요청과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상응하는 평가 점수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구성 포맷이 미리 지정된 표준 포맷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표준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여기서, 상기 포맷은 마크업 언어 포맷, 이미지 포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변환된 표준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수신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갱신하는 평가 데이터 관리부; 상기 평가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평가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의 접속 관계를 차단하는 접속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는 상기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비스 또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부; 및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등록 요청을 상용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등록 요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이용하여 임의의 웹 서버에 대한 접속 횟수를 산출하는 접속 횟수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평가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접속 횟수 및 상기 평가 점수 각각에 대해 미리 지정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각각의 가중치가 적용된 상기 접속 횟수 및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평가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a, 110b - 이하 110으로 통칭함), 망 연동 장치(120),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130), 포털 상용 서비스 서버(140), 복수의 상용 컨텐츠 서버(145a, 145b, ... , 145n - 이하 145로 통칭함),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 및 복수의 공개 서비스 서버(155a, 155b, ... , 155n - 이하 155라 칭함)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망 연동 장치(120)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 노트북만이 도시되었으나 개인 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아무런 제한없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망 연동 장치(120)는 음성 통화망에 추가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 및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망 연동 장치(120)에는 2G망에서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장치인
무선 망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 동기 3G망에서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장치인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 Packet Data Switching Node), 비동기 3G망에서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장치인 패킷 관문 교환 장치(GGSN : Gateway GPRS Support Nod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즉, 무선 데이터 서비스 장치)이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130)는 프로토콜 변환(Protocol Conversion), 컨텐츠의 부호화/복호화(Encoding/Decoding), 접근 제어(Access Control), 보안(Security)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130)의 기능은 당업자에게 주지의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포털 상용 서비스 서버(140)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평가를 통해 상용 서비스로서 채택된 컨텐츠 제공자들의 상용 컨텐츠 서버들(145)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는 컨텐츠 개발자들이 새롭게 개발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공개 서비스 서버(155)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의 구성은 이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망 연동 장치(120),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130), 포털 상용 서비스 서버(140),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이동 통신 시스템은 이외에도 기지국(BTS), 교환기(MSC)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는 송수신부(210), 저장부(220), 컨텐츠 변환부(230), 평점 관리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물론,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웹 서버일 수 있다.
송수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임의의 공개 서비스 서버(155)로의 접속 요청을 수신하고, 해당 공개 서비스 서버(155)로부터 수신하여 컨텐츠 변환부(230)에 의해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130)로 전송한다.
저장부(220)는 공개 서비스 서버(155)들에 대한 관리 데이터(예를 들어, URL, IP 주소, 등록 여부 등),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의 운용 프로그램, 공개 서비스 서버(155)들에 대한 평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컨텐츠 변환부(230)는 공개 서비스 서버(155)에서 제공하는 제1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10)가 인식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제2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로 변환하여 송수신부(21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선택한 표준 포맷이 mHTML 및 nBMP 포맷이고 임의의 공개 서비스 서버(155)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데이터가 WML 언어이고 wBMP 포맷으로 구성된 경우, WML 언어 등으로 구성된 컨텐츠 데이터를 mHTML 언어 및 nBMP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는 각 언어간의 태그 변환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당업자에게 공지의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평점 관리부(240)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들이 특정 공개 서비스 서버(155)에 얼마나 접속했는지, 해당 공개 서비스 서버(155)의 서비스에 대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사용자들의 평가 점수 등을 관리한다. 접속 횟수 정보, 평가 점수 등은 저장부(220)에 저장되거나 평점 관리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평점 관리부(240)는 일정 기준치 이하의 평가 점수 또는 접속 횟수를 가지는 공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개 서비스 서버(155)의 연결(또는 등록)을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평점 관리부(240)는 평가 점수 또는 접속 횟수가 높은 공개 서비스 서버(155)가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지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비스부터 포털 상용 서비스 서버(140)를 통한 상용 서비스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가 컨텐츠 개발자가 개발한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공개 서비스 공간(즉, 베타 서비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송수신부(210), 저장부(220), 컨텐츠 변환부(230) 및 평점 관리부(24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서비스 이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서비스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서비스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서비스 평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는 컨텐츠 개발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공개 서비스 서버 등록 요청에 상응하여 공개 서비스 서버 등록을 수행한다. 컨텐츠 개발자가 자신의 개발한 서비스를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에 등록(또는 연결)하기 위한 제안서 양식이 도 3b에 예시되어 있다. 도 3b의 제안서 양식은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또는 이에 상응하는 웹 서버)에 접속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된 제안서 양식에 관련 정보를 입력하여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 등으로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제안서 양식은 제안분야 영역, 제안 일반 내역 영역, 제안 내용 요약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안분야 영역은 제안 형태 항목, 제안 분류 항목, 서비스 형태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제안 일반 내역 영역은 제안명 항목, 제안자 정보 항목, URL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안 내용 요약 영역은 요약 항목, 첨부 파일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공개 서비스 서버(155)의 IP 주소를 입력하기 위한 영역, 서비스 이용료 지정 영역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안서 양식이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경우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는 제안명 항목, URL, IP 주소 등을 이용하여 해당 공개 서비스 서버(155)와 자동으로 연결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를 통해 제공되는 공개 서비스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됨을 원칙으로 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우선 순위가 높거나 접속 횟수가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에게 일정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315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공개 서비스 이용 요청을 입력받고, 해당 공개 서비스 이용 요청을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로 전송한다.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는 단계 320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공개 서비스 이용 요청을 수신하고, 공개 서비스 이용 요청에 상응하는 공개 서비스 목록을 추출한다. 그리고 단계 325로 진행하여 추출된 공개 서비스 목록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단계 330에서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로부터 공개 서비스 목록을 수신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고, 단계 335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공개 서비스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받고 당해 공개 서비스 항목 선택 정보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로 전송한다.
도 3c에 사용자가 특정 공개 서비스를 선택하여 공개 서비스 항목 선택 정보를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로 전송하는 경우의 화면 표시의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을 위해 멀티팩이라는 기능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기(110) 표시부에는 무선 인터넷 접속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화면 390에서와 같이 무선 인터넷 접속 화면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공개 서비스 아이콘을 선택하여 전송한다(단계 315). 물론 당해 사용자가 공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메뉴 구성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공개 서비스 아이콘을 선택하여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110) 표시부에는 화면 395와 같이 다수의 공개 서비스 항목이 디스플레이된다(단계 330). 사용자는 임의의 공개 서비스 항목(예를 들어, 1. 운세보기)을 선택하여 전송한다(단계 335). 사용자 단말기(110) 표시부에 표시되는 공개 서비스 항목은 각각의 공개 서비스에 대한 접속자 수와 평가 점수가 함께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접속자수]/[평가점수]로서 50/13)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3a를 참조하면, 단계 340에서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공개 서비스 항목 선택을 수신하고, 서비스 데이터 요청을 해당 공개 서비스 서버(155)(즉, 사용자가 1. 운세보기를 선택한 경우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개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단계 345에서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는 해당 공개 서비스 서버(155)로부터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데이터를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표준 포맷으로 변환한다. 즉,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서 선택하고 당해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동작 가능한 서비스 데이터의 표준 포맷이 mHTML 및 nBMP 포맷인 경우, 당해 공개 서비스 서버(155)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데이터가 WML 언어이고 wBMP 포맷으로 구성되었다면 이를 mHTML 언어 및 nBMP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이다. 서비스 데이터를 구성하는 각 마크업 언어간에는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용이한 포맷 변환이 가능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단계 350에서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는 변환된 서비스 데이터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단계 355에서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로부터 변환된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종료 명령 또는 다른 서비스로의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서비스 종료 요청을 이동 통신망을 통해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평가 점수를 함께 전송한다. 평가 점수의 입력 단계는 서비스 데이터 내에 평가 프로세스를 삽입함으로써 특정 공개 서비스가 종료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평가 점수의 입력을 요청하여 함께 전송하도록 하거나, 서비스 종료 요청을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로 전송하여 공개 서비스가 종료된 후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의 요청에 의해 평가 점수를 입력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서비스 종료 요청과 평가 점수를 함께 전송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d에 임의의 공개 서비스에 대한 평가 점수 입력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도 3d의 화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즉시 표시되도록 하거나, 서비스 종료 요청을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로 전송하여 공개 서비스를 종료시킨 후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로부터 평가 요청이 수신된 경우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이용을 종료한 공개 서비스에 대한 평가 점수(예를 들어, 30)를 입력받고 사용자의 전송 명령에 따라 입력된 평가 점수를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로 전송한다.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는 단계 365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서비스 종료 요청 및 평가 점수를 수신하고, 해당 공개 서비스를 종료하며, 수신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해당 공개 서비스에 대한 평가 점수를 갱신한다.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는 평가 점수 외에 사용자들의 임의의 공개 서비스에 대한 접속 횟수 정보를 더 관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접속 횟수 정보와 평가 점수를 각각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종합 점수를 산정하고, 종합 점수를 이용하여 공개 서비스의 우선 순위를 관리할 수도 있다.
이후,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150)는 단계 370에서 기준 점수 이하의 공개 서비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준 점수 이하의 공개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 375로 진행하여 해당 공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개 서비스 서버와의 연결을 차단한다. 기준 점수는 종합 점수, 평가 점수, 접속 횟수 등을 조합하거나 어느 하나의 점수로 책정될 수 있으며, 서비스 이용자들이 원하지 않는 서비스는 자동으로 서비스 중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일정 기간 동안 기준 점수를 미리 지정된 횟수만큼 충족시키지 못한 서비스의 경우에만 차단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기준 점수 이하의 공개 서비스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서비스 이용자들의 서비스 이용 중에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매 분기마다 미리 지정된 시점에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다만, 기준 점수 이하의 공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개 서비스 서버(155)와의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공개 서비스 이용자가 없는 시점에 차단을 수행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서비스 이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10)로 안내 메시지(예를 들어, 해당 서비스는 5분 후에 서비스 종료됩니다)를 전송한 후 차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a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미리 지정된 기간 동안 기준 점수를 꾸준히 초과하거나 평가 점수가 우수한 서비스 등과 같이 우수한 평가를 받는 서비스들 중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서비스 순으로 포털 상용 서비스 서버(140)에 등록되도록 할 수 있다. 공개 서비스 서버(155)는 포털 상용 서비스 서버(140)에 등록(또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면 해당 시점부터 유료 서비스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컨텐츠 개발자들이 신규로 개발한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위한 베타 서비스 공간을 제공하고, 무선 인터넷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평가에 따라 상용 서비스 채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콘텐츠 또는 서비스에 대한 평가가 실질적인 소비자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상용 서비스 채택 여부에 대한 평가 작업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필요가 없어 이동 통신 사업자의 역량을 분산시키지 않고, 최적의 고객 서비스 수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이동 통신 사업자의 요구 포맷에 맞춰 개발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일지라도 별도의 마크업 언어 변환 작업없이 즉시 서비스가 가능하므로 컨텐츠 개발자의 불필요한 반복 작업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개발자들의 노력에 의해 신규로 개발된 컨텐츠 등이 무의미하게 소멸됨을 방지하고, 서비스 제공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개발자들의 컨텐츠 개발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들이 다양한 서비스를 무료로(또는 저가에) 이용해볼 수 있어, 서비스 이용자들의 다양한 컨텐츠 이용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서비스 이용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서비스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서비스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개 서비스 평가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a, 110b : 사용자 단말기
120 : 망 연동 장치
130 :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
140 : 포털 상용 서비스 서버
145a, 145b, ... , 145n : 상용 컨텐츠 서버
150 :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
155a, 155b, ... , 155n :공개 서비스 서버
210 : 송수신부
220 : 저장부
230 : 컨텐츠 변환부
240 : 평점 관리부
250 : 제어부

Claims (8)

  1.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무선 인터넷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베타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웹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웹 서버는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이고, 상기 접속 관계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설정 상태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임의의 웹 서버에 상응하는 서비스 요청 또는 컨텐츠 데이터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구성 포맷이 미리 지정된 표준 포맷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표준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포맷은 마크업 언어 포맷, 이미지 포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변환된 표준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상응하는 평가 점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의 접속 관계를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비스 또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단계; 및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등록 요청을 상용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청을 이용하여 임의의 웹 서버에 대한 접속 횟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접속 횟수에 대해 미리 지정된 제1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평가 점수에 대해 미리 지정된 제2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각각의 가중치가 적용된 상기 접속 횟수 및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평가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평가 데이터에 상응하는 보상 기준을 미리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데이터 및 보상 기준을 이용하여 각각의 웹 서버에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5.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의 베타 서비스를 수행하는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웹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 관계를 구성하는 접속 설정부-여기서, 상기 웹 서버는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이고, 상기 접속 관계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설정 상태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임의의 웹 서버에 상응하는 서비스 요청 또는 컨텐츠 데이터 제공 요청과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상응하는 평가 점수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구성 포맷이 미리 지정된 표준 포맷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표준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부-여기서, 상기 포맷은 마크업 언어 포맷, 이미지 포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변환된 표준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수신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갱신하는 평가 데이터 관리부;
    상기 평가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평가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의 접속 관계를 차단하는 접속 차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서비스 또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 우선 순위 설정부; 및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등록 요청을 상용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등록 요청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개 서비스 관리 서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요청을 이용하여 임의의 웹 서버에 대한 접속 횟수를 산출하는 접속 횟수 관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평가 데이터 관리부는
    상기 접속 횟수 및 상기 평가 점수 각각에 대해 미리 지정된 가중치를 적용하고, 각각의 가중치가 적용된 상기 접속 횟수 및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평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평가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8.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웹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웹 서버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웹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 관계를 구성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웹 서버는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 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장치이고, 상기 접속 관계는 상기 웹 서버로부터 신규 컨텐츠 또는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설정 상태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임의의 웹 서버에 상응하는 서비스 요청 또는 컨텐츠 데이터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는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구성 포맷이 미리 지정된 표준 포맷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표준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포맷은 마크업 언어 포맷, 이미지 포맷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변환된 표준 포맷의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상응하는 평가 점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데이터가 미리 지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또는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웹 서버와의 접속 관계를 차단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30085421A 2003-11-28 2003-11-28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58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421A KR100588621B1 (ko) 2003-11-28 2003-11-28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5421A KR100588621B1 (ko) 2003-11-28 2003-11-28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1785A true KR20050051785A (ko) 2005-06-02
KR100588621B1 KR100588621B1 (ko) 2006-06-14

Family

ID=3724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5421A KR100588621B1 (ko) 2003-11-28 2003-11-28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8621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3160A3 (en) * 2011-07-20 2013-03-14 Sonos, Inc. Web-based music partner systems and methods
US9524339B2 (en) 2014-07-30 2016-12-20 Sonos, Inc. Contextual indexing of media items
US9679054B2 (en) 2014-03-05 2017-06-13 Sonos, Inc. Webpage media playback
US9690540B2 (en) 2014-09-24 2017-06-27 Sonos, Inc. Social media queue
US9723038B2 (en) 2014-09-24 2017-08-01 Sonos, Inc. Social media connec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playback information
US9860286B2 (en) 2014-09-24 2018-01-02 Sonos, Inc. Associating a captured image with a media item
US9874997B2 (en) 2014-08-08 2018-01-23 Sonos, Inc. Social playback queues
US9959087B2 (en) 2014-09-24 2018-05-01 Sonos, Inc. Media item context from social media
US10097893B2 (en) 2013-01-23 2018-10-09 Sonos, Inc. Media experience social interface
US10331736B2 (en) 2014-03-21 2019-06-25 Sonos, Inc. Facilitating streaming media access via a media-item database
US10360290B2 (en) 2014-02-05 2019-07-23 Sonos, Inc. Remote creation of a playback queue for a future event
US10621310B2 (en) 2014-05-12 2020-04-14 Sonos, Inc. Share restriction for curated playlists
US10645130B2 (en) 2014-09-24 2020-05-05 Sonos, Inc. Playback updates
KR102109885B1 (ko) * 2019-08-02 2020-05-12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블록체인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US10873612B2 (en) 2014-09-24 2020-12-22 Sonos, Inc. Indicating an association between a social-media account and a media playback system
US11190564B2 (en) 2014-06-05 2021-11-30 Sonos, Inc.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11223661B2 (en) 2014-09-24 2022-01-11 Sonos, Inc. Social media connec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playback information

Cited B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1185A (ja) * 2011-07-20 2014-08-25 ソノ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ウェブベースの音楽パートナー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WO2013013160A3 (en) * 2011-07-20 2013-03-14 Sonos, Inc. Web-based music partner systems and methods
US10341736B2 (en) 2013-01-23 2019-07-02 Sonos, Inc. Multiple household management interface
US11032617B2 (en) 2013-01-23 2021-06-08 Sonos, Inc. Multiple household management
US11889160B2 (en) 2013-01-23 2024-01-30 Sonos, Inc. Multiple household management
US11445261B2 (en) 2013-01-23 2022-09-13 Sonos, Inc. Multiple household management
US10097893B2 (en) 2013-01-23 2018-10-09 Sonos, Inc. Media experience social interface
US10587928B2 (en) 2013-01-23 2020-03-10 Sonos, Inc. Multiple household management
US10872194B2 (en) 2014-02-05 2020-12-22 Sonos, Inc. Remote creation of a playback queue for a future event
US11182534B2 (en) 2014-02-05 2021-11-23 Sonos, Inc. Remote creation of a playback queue for an event
US11734494B2 (en) 2014-02-05 2023-08-22 Sonos, Inc. Remote creation of a playback queue for an event
US10360290B2 (en) 2014-02-05 2019-07-23 Sonos, Inc. Remote creation of a playback queue for a future event
US11782977B2 (en) 2014-03-05 2023-10-10 Sonos, Inc. Webpage media playback
US9679054B2 (en) 2014-03-05 2017-06-13 Sonos, Inc. Webpage media playback
US10762129B2 (en) 2014-03-05 2020-09-01 Sonos, Inc. Webpage media playback
US11481437B2 (en) 2014-03-21 2022-10-25 Sonos, Inc Facilitating streaming media access via a media-item database
US10331736B2 (en) 2014-03-21 2019-06-25 Sonos, Inc. Facilitating streaming media access via a media-item database
US11188621B2 (en) 2014-05-12 2021-11-30 Sonos, Inc. Share restriction for curated playlists
US10621310B2 (en) 2014-05-12 2020-04-14 Sonos, Inc. Share restriction for curated playlists
US11190564B2 (en) 2014-06-05 2021-11-30 Sonos, Inc.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11899708B2 (en) 2014-06-05 2024-02-13 Sonos, Inc.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10095464B2 (en) 2014-07-30 2018-10-09 Sonos, Inc. Contextual indexing of media items
US11294617B2 (en) 2014-07-30 2022-04-05 Sonos, Inc. Contextual indexing of media items
US10809965B2 (en) 2014-07-30 2020-10-20 Sonos, Inc. Contextual indexing of media items
US11768655B2 (en) 2014-07-30 2023-09-26 Sonos, Inc. Contextual indexing of media items
US10552112B2 (en) 2014-07-30 2020-02-04 Sonos, Inc. Contextual indexing of media items
US9524339B2 (en) 2014-07-30 2016-12-20 Sonos, Inc. Contextual indexing of media items
US11360643B2 (en) 2014-08-08 2022-06-14 Sonos, Inc. Social playback queues
US10126916B2 (en) 2014-08-08 2018-11-13 Sonos, Inc. Social playback queues
US11960704B2 (en) 2014-08-08 2024-04-16 Sonos, Inc. Social playback queues
US10866698B2 (en) 2014-08-08 2020-12-15 Sonos, Inc. Social playback queues
US9874997B2 (en) 2014-08-08 2018-01-23 Sonos, Inc. Social playback queues
US10846046B2 (en) 2014-09-24 2020-11-24 Sonos, Inc. Media item context in social media posts
US9959087B2 (en) 2014-09-24 2018-05-01 Sonos, Inc. Media item context from social media
US11431771B2 (en) 2014-09-24 2022-08-30 Sonos, Inc. Indicating an association between a social-media account and a media playback system
US10645130B2 (en) 2014-09-24 2020-05-05 Sonos, Inc. Playback updates
US11451597B2 (en) 2014-09-24 2022-09-20 Sonos, Inc. Playback updates
US11134291B2 (en) 2014-09-24 2021-09-28 Sonos, Inc. Social media queue
US11539767B2 (en) 2014-09-24 2022-12-27 Sonos, Inc. Social media connec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playback information
US10873612B2 (en) 2014-09-24 2020-12-22 Sonos, Inc. Indicating an association between a social-media account and a media playback system
US11223661B2 (en) 2014-09-24 2022-01-11 Sonos, Inc. Social media connec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playback information
US9860286B2 (en) 2014-09-24 2018-01-02 Sonos, Inc. Associating a captured image with a media item
US9690540B2 (en) 2014-09-24 2017-06-27 Sonos, Inc. Social media queue
US9723038B2 (en) 2014-09-24 2017-08-01 Sonos, Inc. Social media connec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playback information
US11880855B2 (en) 2019-08-02 2024-01-23 Clinomics Inc. Block chain-based health data management system and driving method of same
KR102109885B1 (ko) * 2019-08-02 2020-05-12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블록체인 기반의 건강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8621B1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621B1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2334019B1 (en) Push-typ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fer device thereof
EP1026853B1 (en) Charging method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US8130668B2 (en) Managing differences in user devices when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US7849135B2 (en) Sharing content on mobile devices
JP5535067B2 (ja) 3aベースの多様なアプリケーションの状態を提供するユビキタスプレゼンスサービ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426651B2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100420668B1 (ko) 무선 인터넷 사용에 대한 차등 과금 적용 방법 및 시스템
US20030037013A1 (en) Web site access service providing system
JP4360017B2 (ja) サーバ装置
KR100402830B1 (ko)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및 과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30169718A1 (en) System for returning rates back to content providers, gateway used for the system,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KR20050061934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3274455B2 (ja) 情報通信ネットワークの課金方法
JP2004023312A (ja)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提供方法、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制御装置、及び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における課金管理装置
JP2003229852A (ja) 課金情報表示方法及び課金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9003694A (ja) 表示料金通知方法、料金事前算出サーバ、及び表示料金通知システム
KR20040016253A (ko) 왑(wap) 기반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넷 광고방법
KR20090073942A (ko) 메시지 전송 버튼(또는 아이콘) 운용 방법
KR20050061257A (ko) 과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