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815A - 레일링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레일링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815A
KR20050049815A KR1020030083558A KR20030083558A KR20050049815A KR 20050049815 A KR20050049815 A KR 20050049815A KR 1020030083558 A KR1020030083558 A KR 1020030083558A KR 20030083558 A KR20030083558 A KR 20030083558A KR 20050049815 A KR20050049815 A KR 20050049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rail
bottom plate
precast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8832B1 (ko
Inventor
김성운
김영진
김인규
박세진
정철헌
심창수
이한주
현병학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03-008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883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8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 사이의 간격재로서의 기능과 충전재의 밀봉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바닥판 거치시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거더 위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거치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거더(40)의 상부 플랜지 상면의 양쪽 외측에는, 곡선형태의 오목한 홈(11)이 형성되어 있는 암레일(10)이 일체로 설치되며, 거더(40)의 상부에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30)의 하면에는, 상기 암레일(10)의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오목한 홈(11)에 위치하게 될 볼록부(21)가 형성되어 있는 숫레일(20)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30)이 거더(40)의 상부에 거치될 때, 상기 숫레일(20)의 볼록부(21)가 상기 암레일(10)의 홈(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30)과 거더(40) 사이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베딩층을 형성할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충전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숫레일(20)과 암레일(10)의 결합에 의하여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30)과 거더(40)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레일링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Precast Deck and Girder Using Railing System}
본 발명은 레일링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의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거더 위에 설치함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 사이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링 시스템을 설치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6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구조에 따라 프리캐스트 바닥판(30)이 교량의 거더(40)에 놓여진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 바닥판(30)을 현장으로 이송하여 교량의 거더(40) 위에 가설함에 있어서는, 도시된 것처럼 프리캐스트 바닥판(30)과 거더(40) 사이에 소정 간격의 베딩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간격재(31)가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베딩층에는 무수축 모르타르와 같은 충전재(33)를 타설하여 채우게 되는데, 타설된 충전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거더(40)의 상부 플랜지(41) 가장자리에는 조인트 필러(32)가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 조인트 필러(32)는 통상 탄성재로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구조에서는 프리캐스트 바닥판(30)과 거더(40) 사이에 베딩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간격재(31)와 조인트 필러(32)라는 별도의 부속품이 각각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만일 조인트 필러(32)의 높이가 간격재(31) 보다 낮으면 충전재의 밀봉효과를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충전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조인트 필러(32)의 높이를 간격재(31)의 높이에 맞추어 제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뒤따르게 된다.
특히, 위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프리캐스트 바닥판(30)을 공중으로 들어 올려 해당되는 거더(40)의 위에 정확하게 내려놓아 거치하여야 하므로, 그만큼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고, 따라서 상당한 작업 숙련도와 설비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구조가 가지는 여러 가진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교량의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 사이의 간격재로서의 기능과 충전재의 밀봉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프리캐스트 바닥판 거치시의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여 거더 위에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거치하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바닥판과 거더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거더의 상부 플랜지 상면의 양쪽 외측에는, 곡선형태의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암레일이 일체로 설치되며, 거더의 상부에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하면에는, 상기 암레일의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오목한 홈에 위치하게 될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숫레일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거더의 상부에 거치될 때, 상기 숫레일의 볼록부가 상기 암레일의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 사이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베딩층을 형성할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충전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숫레일과 암레일의 결합에 의하여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므로써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 설치구조에 채용된 레일링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A-A에 따른 단면도로서 레일링 시스템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편의상 바닥판(30)과 거더(40)는 은선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설치구조에 채용된 레일링 시스템은, 거더(40)의 상부 플랜지 상면 외측에 각각 설치되는 오목한 형상의 암레일(10)과, 상기 암레일(10)의 설치위치에 대응하여 프리캐스트 바닥판(30)의 하면에 설치되는 볼록한 형상의 숫레일(20)로 구성된다.
도 3에는 거더(40)의 상부에 암레일(10)이 설치된 형상이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암레일(10)은 거더(40)의 상부 플랜지 상면의 양측에서 거더(4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암레일(10)의 중앙에는 후술할 숫레일(20)의 볼록부(21)가 놓여지도록 곡선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11)이 거더(4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레일(10)은 상기 거더(40)에 일체로 부착되어 설치되는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거더인 경우에는 암레일(10)의 바닥에 연결재(1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연결재(12)가 거더(40) 내에 매립되어 거더(40)와 일체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개략도로서, 암레일(10) 및 후술할 숫레일(20)에 구비된 연결재(12, 22)의 형태가 판형태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봉형상의 연결재(12, 22) 및 도 4에 도시된 판형상의 연결재(12, 22)는 연결재의 일 실시예로서, 연결재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가지는 연결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암레일(10)의 재질에 따라서는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거더(40)에 일체로 부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특히, 거더(40)가 강재 빔으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암레일(10)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거더(40)에 일체로 설치된다. 물론, 강재 빔으로 이루어진 거더(40)의 경우에도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암레일(1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프리캐스트 바닥판(30)에 숫레일(20)이 설치되는 형상이 도시되어 있는데, 편의상 프리캐스트 바닥판(30)의 하면이 위로 보이도록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암레일(10)의 오목부(11)에 대응되는 볼록부(21)를 가진 숫레일(20)이, 프리캐스트 바닥판(30)에 설치된다. 즉, 상기 암레일(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거더(4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상기 바닥판(30)에 숫레일(20)이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숫레일(20) 역시 앞서 암레일(10)을 거더(40)에 일체로 설치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프리캐스트 바닥판(30)에 설치할 수 있다. 요컨대, 프리캐스트 바닥판(30)의 제작시에 숫레일(20)을 일체로 설치할 수도 있고, 프리캐스트 바닥판(30)의 제작이 완료된 후에 숫레일(20)을 부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숫레일(20)의 연결재(22)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암레일(10)과 숫레일(20)은 강재, 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숫레일(20)과 암레일(10)이 결합하게 되면, 숫레일(20)의 볼록부(22)가 암레일(10)의 홈(12) 안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암레일(10)과 숫레일(20)의 결합 높이만큼 바닥판(30)과 거더(40)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게 되고, 그 간격에 의한 공간에 무수축 모르타르 등의 충전재를 채워 베딩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암레일(10)과 숫레일(20)의 결합은 종래의 간격재의 기능뿐만 아니라, 조인트 필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므로, 베딩층에 충전재를 채웠을 때 충전재가 좌우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암레일(10)의 홈(12) 안에 놓여진 숫레일(20)의 볼록부(22)는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숫레일(20)이 설치된 바닥판(30)을 암레일(10)이 설치된 거더(40) 위에 거치함에 있어서, 종래의 경우처럼, 바닥판(30)을 위에서부터 거더(40) 위로 수직하게 내려놓을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숫레일(20)이 암레일(10) 상에서 거더(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장점을 이용하여 바닥판(30)을 더욱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교량의 단부에 바닥판(30)을 거치한 후 교량의 중앙지점이나 반대쪽 단부 방향으로 바닥판(30)을 밀어 내면, 바닥판(30)에 구비된 숫레일(20)이 암레일(10) 위를 슬라이딩 하여 원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바닥판(30)의 거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프리캐스트 바닥판(30)의 숫레일(20)과 거더(40)의 암레일(10)의 결합구조를 가지며, 암레일(10)과 숫레일(20)의 결합은 종래의 간격재의 기능과 조인트 필러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간격재와 조인트 필러를 각각 별개로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번거로움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조인트 필러를 간격재의 높이에 맞추어야 하고, 간격재의 높이도 각각의 거더에 모두 일치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번거로움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종래에는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거치함에 있어서, 바닥판을 공중으로 들어올려 거더의 상부로부터 거더 위로 내려놓는 방법 밖에는 사용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숫레일(20)이 암레일(10) 상에서 슬라이딩 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교량의 단부에 바닥판(30)을 거치한 후 교량의 중앙지점이나 반대쪽 단부 방향으로 바닥판(30)을 밀어 내면, 바닥판(30)에 구비된 숫레일(20)이 암레일(10) 위를 슬라이딩 하여 원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바닥판(30)의 거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상승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 설치구조에 채용된 레일링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A-A에 따른 단면도로서 레일링 시스템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거더의 상부에 암레일이 설치된 형상이 도시된 개략도 및 부분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개략도로서, 암레일 및 숫레일에 구비된 연결재의 형태가 판형태로 이루어진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프리캐스트 바닥판에 숫레일이 설치되는 형상을 보여주기 위하여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하면이 위로 보이도록 도시한 개략도 및 부분 상세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일반적인 구조에 따라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교량의 거더에 놓여진 부분의 개략적인 단면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암레일 20 : 숫레일
30 : 프리캐스트 바닥판 40 : 거더

Claims (1)

  1. 거더(40)의 상부 플랜지 상면의 양쪽 외측에는, 곡선형태의 오목한 홈(11)이 형성되어 있는 암레일(10)이 일체로 설치되며,
    거더(40)의 상부에 거치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30)의 하면에는, 상기 암레일(10)의 설치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오목한 홈(11)에 위치하게 될 볼록부(21)가 형성되어 있는 숫레일(20)이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30)이 거더(40)의 상부에 거치될 때, 상기 숫레일(20)의 볼록부(21)가 상기 암레일(10)의 홈(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하여,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30)과 거더(40) 사이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베딩층을 형성할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충전재가 흘러내리는 것을 숫레일(20)과 암레일(10)의 결합에 의하여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바닥판(30)과 거더(40)의 설치구조.
KR10-2003-0083558A 2003-11-24 2003-11-24 레일링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설치구조 KR100538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558A KR100538832B1 (ko) 2003-11-24 2003-11-24 레일링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558A KR100538832B1 (ko) 2003-11-24 2003-11-24 레일링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815A true KR20050049815A (ko) 2005-05-27
KR100538832B1 KR100538832B1 (ko) 2005-12-26

Family

ID=3866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558A KR100538832B1 (ko) 2003-11-24 2003-11-24 레일링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8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634B1 (ko) * 2011-05-09 2012-04-17 김윤환 지점부 힌지연결 및 우각부 강결방식을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675B1 (ko) 2022-04-05 2023-01-11 주식회사 지케이기술 Pc 슬래브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교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634B1 (ko) * 2011-05-09 2012-04-17 김윤환 지점부 힌지연결 및 우각부 강결방식을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8832B1 (ko) 2005-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2193B2 (ja) U字溝の改修方法
KR101860512B1 (ko) 일체형 거푸집 모듈을 이용한 지상 및 수중 구조물의 단면 증설 보강 공법
JP2018112009A (ja) 鉛直部材設置構造、鉛直部材設置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製鉛直部材
JP6074378B2 (ja) 伸縮装置の取替え方法と仮設覆工版構造
KR10070405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KR101606439B1 (ko)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용 스페이서
KR100535157B1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0538832B1 (ko) 레일링 시스템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거더의설치구조
US6488215B2 (en) Two-block concrete railroad tie for a fixed rail carriageway
KR101625995B1 (ko) 프리캐스트 데크 및 그를 구비하는 교량용 슬래브
KR102139132B1 (ko) 단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강재 거푸집 구조체, 이를 통해 제작된 psc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1639592B1 (ko) 교량용 조립형 경량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0554342B1 (ko) 복공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6665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교의 중간 지점부 연속화구조 및 연속화 방법
JP2004092099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高欄を用いた高欄構築方法、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高欄、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高欄の固定構造
CN213268014U (zh) 一种顶板后浇带超前施工的波纹盖板安装结构
KR20040105940A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CN113293698A (zh) 一种公路桥梁多缝伸缩装置及其安装方法
JP2001073552A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ノロ止め材
KR102578180B1 (ko) 모서리 크랙 방지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창틀용 개구부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체
KR102487499B1 (ko) 프리캐스트 데크 세트를 이용한 교량 바닥판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N212052834U (zh) 一种可拼接的预制钢筋混凝土基础
CN213087166U (zh) 一种装配式t型板楼面端部连接节点结构
KR101958914B1 (ko) 그리드 psc 거더를 이용한 다주형 교량의 시공 방법, 그리드 psc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다주형 교량
KR200395629Y1 (ko) 반단면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갖는 교량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