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9356A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9356A
KR20050049356A KR1020040093560A KR20040093560A KR20050049356A KR 20050049356 A KR20050049356 A KR 20050049356A KR 1020040093560 A KR1020040093560 A KR 1020040093560A KR 20040093560 A KR20040093560 A KR 20040093560A KR 20050049356 A KR20050049356 A KR 20050049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lever
base
pair
buck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772B1 (ko
Inventor
요시구치마나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5004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 A44B1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turnable clamp with strap tightening mean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과제) 축구멍으로의 축부의 끼워맞춤에 의한 버클 베이스와 버클 레버의 조립시에 방향성을 없앤다.
(해결수단) 버클 베이스(1)에 형성된 축구멍(12)에 버클 레버(2)에 형성된 축부(22)를, 버클 베이스(1)의 1쌍의 측판부(11,11) 사이로 버클 레버(2)를 압입함에 의해서 일단 1쌍의 측판부(11,11) 사이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넓히고, 상기 축구멍(12)으로의 축부(22)의 끼워맞춤이 허용되는 압입위치에서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끼워맞춤으로써, 버클 베이스(1)에 대해서 버클 레버(2)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버클 베이스(1)가 버클 레버(2)의 회동조립위치를 중심으로 한 좌우의 형상을 이 회동조립위치를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x)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버클 베이스와 이 버클 베이스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버클 레버를 구비하고 있으며, 버클 레버의 협지 돌출부와 버클 베이스의 협지 판부와의 사이로 끼워진 띠 형상체를 상기 버클 레버의 도복(倒伏)에 의해서 상기 협지 돌출부와 협지 판부와의 사이에 끼워 붙이고, 이 끼워 붙임에 의해서 상기 띠 형상체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사용되는 버클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를 구비한 버클이 있다. 이 버클은 버클 베이스(100)와 이 버클 베이스(10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버클 레버(11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버클 레버(110)의 조작편(111)을 기립시킨 회동위치에서 상기 버클 레버(110)의 협지 돌출부(112)와 버클 베이스(100)의 협지 판부(103)와의 사이로 끼워진 띠 형상체를 상기 버클 레버(110)의 도복에 의해서 상기 협지 돌출부(112)와 협지 판부(103)와의 사이에 끼워 붙이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띠 형상체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사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버클 베이스(100)와 버클 레버(110)의 조립은, 버클 베이스(100)의 측판부(101)에 형성된 축구멍(102)에 버클 레버(110)의 측부에 형성된 축부(113)를 끼워맞춤으로써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버클 베이스(100)의 1쌍의 측판부(101,101) 사이로 버클 레버(110)를 압입함에 의해서 일단 버클 베이스(100)의 1쌍의 측판부(101,101) 사이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넓히고, 버클 베이스(100)의 축구멍(102)으로의 버클 레버(110)의 축부(113)의 끼워맞춤이 허용되는 버클 레버(110)의 압입위치에서의 상기 1쌍의 측판부(101,101)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상기 축구멍(102)에 축부(113)를 끼워맞춤으로써, 버클 베이스(100)에 대해서 버클 레버(110)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버클에 있어서는, 상기 축구멍(102)이 버클 베이스(100)의 협지 판부(103)의 길이방향의 중간정도의 위치보다도 이 협지 판부(103)의 일단부(103a)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버클 베이스(100)에 대한 버클 레버(110)의 조립은, 버클 레버(110)의 조작편(111)의 선단(111a)을 상기 협지 판부(103)의 타단부(103b)측으로 향하게 한 방향에서만 할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주된 문제점은, 상기한 종류의 버클에 있어서, 축구멍으로 축부의 끼워맞춤에 의한 버클 베이스와 버클 레버의 조립시에 방향성을 없앰으로써, 양자를 잘못 조립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버클이 이하의 ①∼④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① 1쌍의 측판부와, 상기 1쌍의 측판부의 하부 사이에 걸치는 협지 판부를 가지는 버클 베이스와,
② 상기 버클 베이스의 1쌍의 측판부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회동조립위치를 사이에 두고서 일방측에 조작편을 타방측에 협지 돌출부를 구비하고, 조작편을 기립시킨 회동위치에서 협지 돌출부의 측면과 협지 판부와의 사이로 끼워진 띠 형상체를 조작편을 도복시킨 회동위치에서 협지 돌출부의 돌출단부와 협지 판부와의 사이에 끼워 붙이도록 구성된 버클 레버를 구비한 버클로서,
③ 버클 베이스와 버클 레버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축구멍에 이것들의 타측에 형성된 축부를, 버클 베이스의 1쌍의 측판부 사이로 버클 레버를 압입함에 의해서 일단 상기 1쌍의 측판부 사이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넓히고, 상기 축구멍으로의 축부의 끼워맞춤이 허용되는 버클 레버의 압입위치에서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끼워맞춤으로써, 버클 베이스에 대해서 버클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도록 되어 있으며,
④ 또한, 버클 베이스가 버클 레버의 회동조립위치를 중심으로 한 좌우의 형상을, 버클의 정면, 배면, 평면 및 저면에 있어서 각각 상기 회동조립위치를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축구멍으로의 축부의 끼워맞춤에 의한 버클 베이스와 버클 레버의 조립시에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잘못 조립하는 일이 없다. 즉, 버클 베이스의 1쌍의 측판부 사이로 버클 레버를, 이 버클 레버의 조작편의 돌출단부를 버클 베이스의 협지 판부의 일단부측으로 향하게 한 방향에서 압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더라도, 혹은 이 버클 레버의 조작편의 돌출단부를 버클 베이스의 협지 판부의 타단부측으로 향하게 한 방향에서 압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더라도, 조립후의 버클을 완전히 동일한 형상의 것으로서 완성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버클 베이스에 있어서의 버클 레버의 회동조립위치를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을 사이에 둔 대칭위치에 각각 띠 형상체 내지는 끈 형상체의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두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상기 관통구멍에 꿰어진 띠 형상체나 끈 형상체와, 버클 레버의 도복조작에 의해서 이 버클 레버의 협지 돌출부와 버클 베이스의 협지 판부와의 사이에 끼워 붙여진 띠 형상체를 버클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을 그 대칭위치에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버클 베이스에 대해서 버클 레버를 어느 방향에서 조립하더라도, 도복위치에 있는 버클 레버의 조작편의 돌출측에 반드시 하나의 관통구멍이 있도록 하여 둘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21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 및 도 4 내지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을 각각 나타내고, 도 2는 상기 버클을 구성하는 버클 베이스(1)와 버클 레버(2)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고, 도 3은 상기 버클의 사용상태를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다{상기한 각 도면에서는 버클 레버(2)의 조작편(20)이 도복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도 10 내지 도 15는 버클 베이스(1)를 각각 나타내고, 도 16 내지 도 21은 버클 레버(2)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은 버클 베이스(1)와 이 버클 베이스(1)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버클 레버(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버클 레버(2)의 조작편(20)을 기립시킨 회동위치에서 상기 버클 레버(2)의 협지 돌출부(21)와 상기 버클 베이스(1)의 협지 판부(10)와의 사이로 끼워진 띠 형상체(W)를 상기 버클 레버(2)의 도복에 의해서 협지 돌출부(21)와 협지 판부(10)와의 사이에 끼워 붙이고, 이 끼워 붙임에 의해서 상기 띠 형상체(W)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버클 베이스(1)는 1쌍의 측판부(11,11)와 이 1쌍의 측판부(11,11)의 하부 사이에 걸치는 협지 판부(10)를 가지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협지 판부(10)가 대략 장방형상의 판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1쌍의 측판부(11)는 상기 협지 판부(1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양 측단부의 전 길이에 걸쳐서 이 협지 판부(10)의 일면(상면)측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버클 레버(2)는 상기 버클 베이스(1)의 1쌍의 측판부(11,11)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이 회동조립위치를 사이에 두고서 일방측에 조작편(20)을 타방측에 협지 돌출부(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조작편(20)을 기립시킨 회동위치에서 협지 돌출부(21)의 측면(21a)과 협지 판부(10)와의 사이로 끼워진 띠 형상체(W)를 상기 조작편(20)을 도복시킨 회동위치에서 협지 돌출부(21)의 돌출단부(21b)와 협지 판부(10)와의 사이에 끼워 붙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조작편(20)과 협지 돌출부(21)는 상기 버클 레버(2)의 회동중심(S)이 되는 개소에서 조작편(20)의 후단부와 협지 돌출부(21)의 기단부가 일체로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회동중심(S)으로부터의 조작편(20)의 돌출방향에 대해서 협지 돌출부(21)의 돌출방향이 교차하는 방향이 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회동중심(S)으로부터의 조작편(20)의 돌출방향에 대해서 협지 돌출부(21)의 돌출방향이 거의 직교하는 방향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 버클 베이스(1)의 협지 판부(10)의 일면은 버클 레버(2)가 회동하였을 때의 그 협지 돌출부(21)의 돌출단부(21b)의 이동궤적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버클 레버(2)의 조작편(20)을 버클 베이스(1)의 협지 판부(10)의 일면에 대해서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립시킨 상태에서는 버클 레버(2)의 협지 돌출부(21)의 측면(21a)이 협지 판부(10)의 일면과 서로 대향되도록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협지 돌출부(21)의 측면(21a)과 협지 판부(10)의 일면과의 사이로 띠 형상체(W)를 저항없어 끼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띠 형상체(W)를 끼운 상태에서 버클 레버(2)의 조작편(20)을 협지 판부(10)의 일면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켜 가면, 상기 버클 레버(2)의 협지 돌출부(21)의 돌출단부(21b)가 협지 판부(10)의 일면에 접근하여 감으로써, 상기 돌출단부(21b)와 협지 판부(10)의 일면과의 사이의 피치가 점차 좁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 버클 레버(2)의 협지 돌출부(21)의 돌출단부(21b)와 협지 판부(10)의 일면과의 사이의 피치는, 상기 버클 레버(2)의 회동중심(S) 직하에 협지 돌출부(21)의 돌출단부(21b)가 위치한 회동위치에서 가장 좁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끼워진 띠 형상체(W)를 버클 레버(2)의 협지 돌출부(21)의 돌출단부(21b)와 버클 베이스(1)의 협지 판부(10)의 일면과의 사이에 확실하게 끼워 붙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3).
상기한 바와 같이 띠 형상체(W)를 끼워 붙인 상태에서 버클 레버(2)의 조작편(20)을 기립시키는 방향으로 버클 레버(2)를 회동시키면, 협지 돌출부(21)의 돌출단부(21b)와 협지 판부(10)의 일면과의 사이의 피치가 다시 넓어지게 됨으로써, 상기 띠 형상체(W)를 끼워 붙인 상태가 해제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조작편(20)의 돌출단부(20a)의 내측면에 그 외측면을 향해서 오목하고 또한 선단 외측으로 개방된 손가락 걸이 오목부(20b)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손가락 걸이 오목부(20b)를 이용하여 도복위치에 있는 조작편(20)을 기립위치를 향해서 일으켜 세우는 조작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또, 버클 베이스(1)와 버클 레버(2)는, 버클 베이스(1)와 버클 레버(2)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축구멍에 이것들의 타측에 형성된 축부를, 버클 베이스(1)의 1쌍의 측판부(11,11) 사이로 버클 레버(2)를 압입함에 의해서 일단 상기 1쌍의 측판부(11,11) 사이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넓히고, 상기 축구멍에 대한 축부의 끼워맞춤이 허용되는 버클 레버(2)의 압입위치에서의 상기 1쌍의 측판부(11,11)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끼워맞춤으로써, 버클 베이스(1)에 대해서 버클 레버(2)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버클 베이스(1)를 구성하는 1쌍의 측판부(11,11)에 원형상의 축구멍(1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측판부(11,11) 중 일측에 형성된 축구멍(12)과 타측에 형성된 축구멍(12)은 동일한 가상의 직선(x)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 협지 판부(10)의 일면으로부터의 레벨이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버클 레버(2)의 조작편(20)과 협지 돌출부(21)는 각각 버클 베이스(1)의 1쌍의 측판부(11,11)의 내면 사이에 거의 밀접하게 수용되는 폭을 가진 판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버클 레버(2)의 양 측부에 있어서의 양자의 접합개소에 각각 측방으로 돌출되는 원기둥형상의 축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클 레버(2)의 1쌍의 축부(22,22)의 선단간의 간격은, 버클 베이스(1)의 1쌍의 측판부(11,11)의 내면간의 간격보다도 약간 크게 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버클 베이스(1)의 1쌍의 측판부(11,11)에 각각 형성된 축구멍(12,12)에 버클 레버(2)의 1쌍의 축부(22,22)를 각각 대향시킨 상태에서 버클 베이스(1)의 1쌍의 측판부(11,11) 사이로 버클 레버(2)를 압입함에 의해서 일단 측판부(11)의 내면에 축부(22)를 맞닿게 하여 1쌍의 측판부(11,11) 사이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넓히고, 상기 측판부(11)에 형성된 축구멍(12)으로의 축부(22)의 끼워맞춤이 허용되는 버클 레버(2)의 압입위치에서의 상기 1쌍의 측판부(11,11)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축구멍(12)에 축부(22)를 끼워맞춤으로써, 버클 베이스(1)에 대해서 버클 레버(2)를 회동 가능한 상태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버클 베이스(1)를 구성하는 1쌍의 측판부(11,11)의 내면에 있어서의 축구멍(12)의 상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측판부(1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개방된 안내홈(13)을 형성함과 아울러, 버클 레버(2)의 축부(22)에 있어서의 협지 돌출부(21)의 돌출측을 향하는 측부에 그 선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이 축부(22)를 가늘게 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22a)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홈(13)과 경사면(22a)에 의해서 버클 베이스(1)의 축구멍(12)으로의 버클 레버(2)의 축부(22)의 끼워맞춤을 안내함과 아울러, 이 끼워맞춤시의 1쌍의 측판부(11,11)측의 탄성변형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버클 베이스(1)의 측판부(11)으로의 소용의 탄성변형특성의 부여는, 전형적으로는 이 버클 베이스(1)를 플라스틱의 사출성형에 의해서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버클 베이스(1)는 버클 레버(2)의 회동조립위치{즉, 상기 회전중심(S)}를 중심으로 한 좌우의 형상을, 버클의 정면, 배면, 평면 및 저면에 있어서 각각 상기 회동조립위치를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x)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버클 베이스(1)의 1쌍의 측판부(11,11)는 각각 협지 판부(10)와의 접합개소에서 폭이 넓고 그 상단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폭이 좁아지게 되고,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단이 만곡된 산(山)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단측에 상기 축구멍(12)을 가지고 있다. 또, 상기 1쌍의 측판부(11,11)는 서로 동일한 치수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각각 상기 축구멍(12)의 중심을 통과하여 협지 판부(10)의 일면에 직교하는 가상의 직선(x)을 중심으로 한 좌우의 형상을 그 정면, 배면, 평면 및 저면에 있어서 각각 상기 가상의 직선(x)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 협지 판부(10)는 상기 가상의 직선(x)과 폭방향을 따르는 일단부와의 사이의 간격과 상기 가상의 직선(x)과 폭방향을 따르는 타단부와의 사이의 간격을 같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에서는, 상기 축구멍(12)으로의 축부(22)의 끼워맞춤에 의한 버클 베이스(1)와 버클 레버(2)의 조립시에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잘못 조립하는 일이 없다. 즉, 버클 베이스(1)의 1쌍의 측판부(11,11) 사이로 버클 레버(2)를, 이 버클 레버(2)의 조작편(20)의 돌출단부(20a)를 버클 베이스(1)의 협지 판부(10)의 일단부측으로 향하게 한 방향에서 압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더라도, 혹은 이 버클 레버(2)의 조작편(20)의 돌출단부(20a)를 버클 베이스(1)의 협지 판부(10)의 타단부측으로 향하게 한 방향에서 압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더라도, 조립후의 버클을 완전히 동일한 형상의 것으로서 완성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클 베이스(1)에 있어서의 버클 레버(2)의 회동조립위치를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x)을 사이에 둔 대칭위치에 각각 띠 형상체(W) 내지는 끈 형상체의 관통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버클 베이스(1)의 협지 판부(10)에, 1쌍의 측판부(11,11)의 내면간에 걸치는 길이를 구비한 슬릿형상을 이루는 2개의 관통구멍(14,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관통구멍(14,14)이 상기 가상의 직선(x)을 사이에 둔 대칭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2개의 관통구멍(14,14)은 서로 동일한 치수,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버클에서는, 상기 관통구멍(14)에 끼워진 띠 형상체(W)나 끈 형상체와, 버클 레버(2)의 도복조작에 의해서 이 버클 레버(2)의 협지 돌출부(21)와 버클 베이스(1)의 협지 판부(10)와의 사이에 끼워 붙여진 띠 형상체(W)를 버클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14)을 그 대칭위치에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버클 베이스(1)에 대해서 버클 레버(2)를 어느 방향에서 조립하더라도, 도복위치에 있는 버클 레버(2)의 조작편(20)의 돌출측에 반드시 하나의 관통구멍(14)이 있도록 하여 둘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2개의 관통구멍(14) 사이에 있는 협지 판부(10)의 중앙부가 이 협지 판부(10)의 다른 부분의 상면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중앙부에 있어서의 관통구멍(14)측을 향하는 양 가장자리부에, 이 가장자리부의 전 길이에 걸쳐서 융기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편(20)을 도복시킨 버클 레버(2)의 회동위치에서 상기 2개의 융기부(15,15) 사이에 협지 돌출부(21)의 돌출단부(21b)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기립위치로 조작편(20)을 회동시킨 상태에서 협지 돌출부(21)의 측면(21a)과 협지 판부(10)와의 사이로 끼워진 띠 형상체(W)에 대해서 조작편(20)을 도복위치로 회동시킴에 의해서 상기 띠 형상체(W)를 끼워 붙인 상태에서는, 상기 띠 형상체(W)를 3개소에서 굴곡방향을 번갈아 바꿔가면서 굴곡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끼워붙임상태를 보다 강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버클 레버(2)의 협지 돌출부(21)의 돌출단부(21b)에는, 이 협지 돌출부(21)의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절결부(21c,21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복수의 절결부(21c,21c,…) 사이에 남아 있는 톱니 형상부(21d)를 상기한 끼워붙임상태에서 띠 형상체(W)에 강하게 파고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버클에서는, 축구멍으로의 축부의 끼워맞춤에 의한 버클 베이스와 버클 레버의 조립시에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잘못 조립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버클의 조립시에 각별한 배려를 기울일 필요가 없어 조립 작업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검품이 불필요하게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버클의 사시도
도 2는 버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버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버클의 평면도
도 5는 버클의 저면도
도 6은 버클의 정면도
도 7은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버클의 좌측면도
도 9는 버클의 우측면도
도 10은 버클 베이스(1)의 평면도
도 11은 버클 베이스(1)의 저면도
도 12는 버클 베이스(1)의 정면도
도 13은 도 10의 B-B선 단면도
도 14는 버클 베이스(1)의 좌측면도
도 15는 도 10의 C-C선 단면도
도 16은 버클 레버(2)의 평면도
도 17은 버클 레버(2)의 저면도
도 18은 버클 레버(2)의 좌측면도
도 19는 버클 레버(2)의 우측면도
도 20은 버클 레버(2)의 정면도
도 21은 도 18의 D-D선 단면도
도 22는 종래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 구성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버클 베이스 10 - 협지(挾持) 판부
11 - 측판부 12 - 축구멍
2 - 버클 레버 20 - 조작편
21 - 협지 돌출부 21a - 측면
21b - 돌출단부 x - 가상의 직선
W - 띠 형상체

Claims (2)

1쌍의 측판부와, 상기 1쌍의 측판부의 하부 사이에 걸치는 협지 판부를 가지는 버클 베이스와,
상기 버클 베이스의 1쌍의 측판부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회동조립위치를 사이에 두고서 일방측에 조작편을 타방측에 협지 돌출부를 구비하고, 조작편을 기립시킨 회동위치에서 협지 돌출부의 측면과 협지 판부와의 사이로 끼워진 띠 형상체를 조작편을 도복시킨 회동위치에서 협지 돌출부의 돌출단부와 협지 판부와의 사이에 끼워 붙이도록 구성된 버클 레버를 구비한 버클로서,
버클 베이스와 버클 레버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축구멍에 이것들의 타측에 형성된 축부를, 버클 베이스의 1쌍의 측판부 사이로 버클 레버를 압입함에 의해서 일단 상기 1쌍의 측판부 사이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넓히고, 상기 축구멍으로의 축부의 끼워맞춤이 허용되는 버클 레버의 압입위치에서의 탄성복귀에 의해서 끼워맞춤으로써, 버클 베이스에 대해서 버클 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버클 베이스가 버클 레버의 회동조립위치를 중심으로 한 좌우의 형상을, 버클의 정면, 배면, 평면 및 저면에 있어서 각각 상기 회동조립위치를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청구항 1에 있어서,
버클 베이스에 있어서의 버클 레버의 회동조립위치를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을 사이에 둔 대칭위치에 각각 띠 형상체 내지는 끈 형상체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040093560A 2003-11-21 2004-11-16 버클 KR1005617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91677A JP4206328B2 (ja) 2003-11-21 2003-11-21 バックル
JPJP-P-2003-00391677 2003-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356A true KR20050049356A (ko) 2005-05-25
KR100561772B1 KR100561772B1 (ko) 2006-03-17

Family

ID=3471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560A KR100561772B1 (ko) 2003-11-21 2004-11-16 버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06328B2 (ko)
KR (1) KR100561772B1 (ko)
TW (1) TWI24999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513B1 (ko) * 2019-03-22 2019-07-11 최광용 버클
KR102228961B1 (ko) * 2020-06-16 2021-03-18 채다인 버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32971B4 (de) * 2006-07-17 2008-04-30 Han-Ching Huang Schnalle
JP5600014B2 (ja) * 2010-02-15 2014-10-01 学 佐々木 バンドストッパーを用いたサーフボードキャリア
KR101264984B1 (ko) * 2011-02-10 2013-05-15 김정수 분리형 배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513B1 (ko) * 2019-03-22 2019-07-11 최광용 버클
KR102228961B1 (ko) * 2020-06-16 2021-03-18 채다인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06328B2 (ja) 2009-01-07
KR100561772B1 (ko) 2006-03-17
JP2005152067A (ja) 2005-06-16
TW200524551A (en) 2005-08-01
TWI249996B (en) 200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6601A1 (en) Connector
US20090104818A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latch member
JPH0358883U (ko)
KR100561772B1 (ko) 버클
JPH0448542Y2 (ko)
US6579119B1 (en) Battery holder
US6855007B2 (en) Switch connector and method
US20100029121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ver plate for reducing friction between cover and base
JP2002141124A (ja) 基板取付型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基板取付構造
US5239589A (en) Low profile-pin mount-printed circuit board speaker
US7867043B2 (en) Electrical contact with stopper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he same
US6165028A (en) Card connector and a method of mounting the same on an associated printed circuit board
US4050757A (en) Insulating casing for electrical spade terminal sockets
JP5637631B2 (ja) コネクタ
US20240145955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TWI721615B (zh) 電連接器
JP2561030Y2 (ja) 差込み型コネクタ
JPH0322867Y2 (ko)
JPH0515743Y2 (ko)
JPH0722050Y2 (ja) 圧接コネクタ
JPH055668Y2 (ko)
JPH031905Y2 (ko)
JPH0621175Y2 (ja) バッテリ端子とタブ端子の接続構造
JP2564981Y2 (ja) 液晶表示素子用ホルダ
JPH0766835B2 (ja) 配線器具の刃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