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8260A -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8260A
KR20050048260A KR20030082147A KR20030082147A KR20050048260A KR 20050048260 A KR20050048260 A KR 20050048260A KR 20030082147 A KR20030082147 A KR 20030082147A KR 20030082147 A KR20030082147 A KR 20030082147A KR 20050048260 A KR20050048260 A KR 20050048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access
user
phone
mobile ban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82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371B1 (ko
Inventor
이재경
김재두
조영익
장영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세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세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세통신
Priority to KR20030082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37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371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폰뱅킹 및 모바일뱅킹을 실행할 수 있는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및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정 은행의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행하는 접속요청을 수신하여,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검색한다. 다음에, 사용자의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가 확인한다.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 경우 유선번호인지 무선번호인지 확인하여 유선번호로 확인되면,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상기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폰뱅킹에 접속시킨다. 한편, 무선번호로 확인되면, 모바일뱅킹용 URL을 사용자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발신자에게 SMS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SMS로 전송된 상기 URL을 이용하여 모바일뱅킹에 접속하면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모바일뱅킹을 수행한다.

Description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Processing method of phonebanking and mobilebanking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유선 전화 및 휴대전화(Mobile Phone)를 이용하여 금융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는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통신 이용자들 사이에서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쉽게 금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 오프라인에서의 금융서비스 이용 시 은행통장이나 카드의 부재에 의한 불편함이나 계좌번호를 몰라 번거로웠던 부분을 해소시킴으로서 이미 구축된 유무선 인프라 내에서 유무선 통신을 활성화하고, 금융서비스를 누구나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선전화 및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부연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조회, 이체 및 공과금납부 등과 같은 은행업무를수행할 수 있는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더욱 인터넷 시장이 급속하게 확대되는 것과 함께, 무선통신 시장 또한 급격하게 사용자 층이 두터워지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증대된 무선통신 시장의 컨텐츠 등 서비스 부분에 대한 요구 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무선통신의 경우 IMT-2000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면서 무선 인프라는 이미 많은 준비로 구축되어 있으나 사용자 입장에서 무선통신이 제공하는 질적, 양적 서비스는 이제야 준비를 하고 있는 과정에 있으며, 여러 면에서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아직까지 무선통신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되고 있는 부분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통화, 문자서비스, 무선인터넷 정도로 제한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이용하는 금융서비스 방법에는 우선 오프라인에서 은행 등의 해당 금융기관을 방문하여 창구에서 직접 은행계좌와 연관된 계좌이체 및 입/출금 등의 결제관리를 통한 금융서비스를 하는 방법이 있고, 창구에 많은 대기인원이 있는 경우 ATM기나 CD기를 통해 빠른 금융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두 가지 방법 모두 사용자가 오프라인에서 관련 금융기관을 찾아가거나 또는 창구보다는 좀더 수월할 수는 있지만 마찬가지로 ATM기나 CD기를 오프라인에서 찾아 이용해야 한다.
이 경우 두 가지 방법 모두 시간적, 공간적 제한 요소의 적용을 받아 정해진 시간이외에 기기나 금융기관이 있어야 이용할 수 있다는 제한 때문에 많이 불편하다.
오프라인 방법이외에 인터넷 뱅킹을 통한 금융서비스 이용방법이 있으며, 이 인터넷 뱅킹은 인터넷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서비스로 각 금융기관이 앞 다투어 구축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인터넷 뱅킹의 경우 아직은 그 사용자 층이 컴퓨터나 인터넷 환경에 익숙한 젊은 계층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터넷 사용 환경이 특히 여러 사람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일 때 보안과 관련하여 본인 확인을 위한 인증서 설치 등이 다소 인터넷 환경에 익숙하지 않는 사용자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진다는 불편함이 있고, 또 전자금융사고 예방 등 보안성을 기한다는 이유로 ID 및 비밀번호가 서너 개 필요한 점도 번거로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뱅킹으로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인증관련 번거로움 외에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이 즉시 필요할 때 사용환경으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며, 사용자가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계좌번호를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도 불편함을 준다.
이러한 인터넷 기반의 금융서비스 이외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유선전화선을 이용한 폰뱅킹이 있다. 폰뱅킹으로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인터넷 뱅킹과 유사하게 서너 개의 비밀번호를 필요로 하므로 이용에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더하여, 인터넷 뱅킹이나 폰뱅킹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각각 별도의 신청과정을 거쳐야 하고, 각각 별도의 인증번호, 비밀번호를 등을 부여받아야만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하면서 시간적, 공간적 제한을 적게 받을 수 있는 뱅킹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폰뱅킹 및 모바일뱅킹을 실행할 수 있는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모바일뱅킹을 실행할 수 있는 모바일뱅킹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폰뱅킹을 실행할 수 있는 폰뱅킹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에게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폰뱅킹 및 모바일뱅킹을 실행할 수 있는 폰/모바일뱅킹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 따른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은,
a) 사용자 단말로부터 계좌접속 전화번호- 특정 금융기간의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부여됨-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가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 경우 유선번호인지 무선번호인지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유선번호로 확인되면,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상기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폰뱅킹에 접속하는 단계;
f) 상기 d) 단계에서 무선번호로 확인되면, 모바일뱅킹 접속용 URL을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g) 모바일뱅킹에 접속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모바일뱅킹 접속용 URL을 SMS로 전송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접속이 허용되는 발신자번호는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c) 단계 후에, 사용자가 상기 계좌의 명의인(名義人) 인지를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 단계는, 특정 인증번호를 상기 URL에 삽입하여 SMS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모바일뱅킹 접속용 URL을 이용한 접속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발신자 단말의 발신자번호와 접속 시 발신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번호가, 발신자 단말로 상기 URL을 SMS로 전송할 때의 SMS수신자번호 및 상기 SMS에 포함된 인증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 후 모바일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번호 및 인증번호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특징에 따른 모바일뱅킹 처리방법은,
a) 사용자 단말로부터 계좌접속 전화번호-특정 금융기간의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부여됨-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가능한 번호인가 확인하는 단계;
d) 모바일뱅킹용 URL을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URL에 특정 인증번호를 삽입하여 사용자에게 SMS로 전송하는 단계;
e) 사용자 단말로부터, SMS로 전송된 상기 URL을 이용한 모바일뱅킹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f) 접속을 요청하는 발신자번호 및 접속시 전송되는 인증번호가 SMS전송 시의 SMS수신자번호 및 상기 URL에 삽입된 인증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에서 동일하다고 확인되면,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모바일뱅킹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 단계 후에, 사용자가 상기 계좌의 명의인 인지를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신자번호 및 인증번호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특징에 따른 폰뱅킹 처리방법은,
a)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은행의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가능한 번호인가 확인하는 단계;
d) 접속이 가능한 번호가 확인된 후, 사용자가 상기 계좌의 명의인 인지를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상기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폰뱅킹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네 번째 특징에 따른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은,
a)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은행의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가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계좌의 명의인 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e) 사용자가 명의인 이라고 인정된 경우,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상기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따라 사용자가 폰뱅킹 또는 모바일뱅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특징에 따른 폰/모바일뱅킹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정보, 특정 은행의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 모바일뱅킹 접속용 URL 및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접속을 허용하는 발신자번호를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데이터베이부;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사용자의 상기 계좌번호를 저장 관리하는 계좌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이 접속이 허용되는 발신자번호인지를 확인하고, 접속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계좌관리서버로부터 해당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단말이 폰뱅킹 또는 모바일뱅킹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교환부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기 계좌의 명의인 인지를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하는 인증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환부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어 상기 계좌번호에 대한 폰뱅킹을 수행하는 폰뱅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환부는 모바일뱅킹에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모바일뱅킹 접속용 URL을 사용자 단말에게 SMS로 전송하는 SMS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SMS로 전송된 상기 모바일뱅킹 접속용 URL를 이용하여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모바일뱅킹을 실행하는 모바일뱅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서버는 모바일뱅킹의 인증을 위한 인증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증번호는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URL에 삽입되어 상기 SMS전송부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뱅킹부는, 수신된 URL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면, 접속요청된 발신자번호 및 인증번호가 상기 SMS전송부에서 전송한 SMS의 수신자번호 및 인증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특징에 따른 기록매체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은행의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가 확인하는 기능;
상기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계좌의 명의인 인지를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하는 기능;
발신자번호가 유선번호인지 무선번호인지 확인하는 기능;
유선번호로 확인되면,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상기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폰뱅킹에 접속하는 기능;
무선번호로 확인되면, 모바일뱅킹용 URL을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기능; 및
모바일뱅킹에 접속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에게 SMS로 전송하여 상기 URL을 전송하는 기능
을 수행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폰/모바일뱅킹 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폰/모바일뱅킹 처리스시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폰/모바일뱅킹 처리스시템은, 사용자데이터베이부(110), 교환부(120), 폰뱅킹부(130), SMS전송부(140), 모바일뱅킹부(150), 인증서버(160), 계좌관리서버(170)를 포함한다.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는 사용자의 신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와 성명, 주소, 주민번호 등의 사용자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계좌접속 전화번호는 사용자의 신청에 의해 부여되는 것으로, 이른바 평생번호 또는 원넘버라고 일컬어지며 통신업체가 제공하는 통신접속용 전화번호에 사용자 명의의 은행계좌번호를 연계한 전화번호이다.
또한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는 또한 접속이 허용되는 발신자번호로서 폰뱅킹이 가능한 유선전화번호 및 모바일뱅킹이 가능한 무선전화번호를 저장 관리하며 또한 모바일뱅킹 접속용 도메인 정보 즉 URL을 저장하여 관리한다.
교환부(120)는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통하여 호를 수신하고 이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색한다. 또한, 교환부(120)는 사용자의 단말기가 접속된 망이 유무선망인지를 구별하여 호를 처리하며, 사용자의 발신자번호가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어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접속이 허용되는 발신자번호인지를 판단하여 호접속을 통제한다.
폰뱅킹부(130)는 사용자의 발신자번호가 유선전화번호인 경우, 즉 발신자가 유선전화를 이용하여 계좌접속 전화번호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폰뱅킹을 수행한다.
SMS전송부(140)는 사용자의 발신자번호가 무선전화번호인 경우, 즉 발신자가 무선전화를 이용하여 계좌접속 전화번호로 접속을 시도하는 경우, 모바일뱅킹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의 URL을 SMS로 접속 사용자의 단말에 전송해 준다.
모바일뱅킹부(150)는 전송된 URL을 이용하여 해당 인테넷 사이트에 접속하여 모바일뱅킹을 수행한다.
인증서버(160)는 모바일뱅킹을 위하여 접속하는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은행 계좌번호의 명의인(名義人)임을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하며 모바일뱅킹을 위하여 인증번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명의인 임을 확인하는 본인확인은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신청할 때 계좌명의인에게만 부여되는 비밀번호카드(secret card)를 이용할 수 있다.
계좌관리서버(170)에는, 할당된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결되는 은행 계좌번호를 저장 관리하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되는 계좌번호를 관리하고 이 계좌번호에 대한 금융거래 내역을 관리한다.
다음으로, 폰/모바일뱅킹 처리스시템(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교환부(120)는 사용자의 단말기(200)로부터 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단말기(200)에 입력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서 검색한다. 이 계좌접속 전화번호가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 존재하지 않는 번호인 경우 교환부(120)는 입력한 번호가 결번임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된 번호이면, 교환부(120)는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를 검색하여 수신된 사용자의 발신자번호(caller identification; CID)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임이 확인되면, 교환부(120)는 다시 인증서버(160)를 통하여 사용자가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결된 계좌의 명의인 임을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계좌 명의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교환부(120)는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본인확인이 되면, 교환부(120)는 사용자의 발신자번호전화가 유선전화번호인지 모바일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유선번호인 경우, 교환부(120)는 폰뱅킹부(130)로 연결한다. 폰뱅킹부(130)는 해당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계좌관리서버(170)에서 검색한다. 따라서 폰뱅킹부(130)에 의해 검색된 계좌번호에 대한 폰뱅킹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무선 모바일 번호인 경우, 교환부(120)는 모바일뱅킹부(150)에 접속할 수 있는 URL을 추출하고 이 URL에 인증서버(170)에서 생성된 임의의 인증번호를 삽입하여 SMS전송부(140)에 전달한다. SMS전송부(14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인증번호가 삽입된 URL을 전송한다.
사용자는 전송된 URL을 이용하여 손쉽게 모바일뱅킹부(150)에 접속하여 모바일뱅킹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뱅킹부(150)에 접속되면, 인증서버(160)는, 접속된 발신자번호 및 인증번호가, SMS전송부(140)에 의해 전송된 인증번호가 삽입된 URL의 수신자번호 및 인증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발신자번호 및 인증번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모바일뱅킹 접속이 차단되고, 접속 거절 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
동일한 경우, 모바일뱅킹부(150)는 계좌관리서버(17)에서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모바일뱅킹이 실행된다.
이와 같이 미리 부여받은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함으로써 폰뱅킹 및 모바일뱅킹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며, 주민번호, 계좌번호 등을 입력하는 번거로운 작업 없이 금융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번호 및 인증번호를 동시에 사용하여 사용자를 인증함으로써 복잡한 절차 및 보안성 취약의 문제점이 보다 확실하게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한을 받지않고 금융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다음,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는 미리 부여받은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단말기에 입력하면 교환기(120)는 사용자로부터 접속요구신호를 수신한다(S100).
교환부(110)는 단말기로부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된 번호인지를 확인한다(S200). 확인결과, 등록된 번호가 아닌 경우 결번임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S210).
등록번호라고 확인되면,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는 발신자번호가 접속을 허용하도록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된 발신자번호인지를 확인한다(S300).
발신번호가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된 발신자번호와 다른 경우, 교환부(120)는 접속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출할 수 있다(S210).
접속이 허용되는 발신자번호라고 확인되는 경우, 교환부(120)는 다시 인증서버(160)를 통하여 사용자가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결된 계좌의 명의인 임을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한다(S310). 이 때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부여받을 때 발행된 비밀번호카드에 기재된 해당 번호를 입력하게 함으로써 본인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계좌 명의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교환부(120)는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본인확인이 되면, 교환부(120)는 사용자의 발신자번호전화가 유선전화번호인지 무선전화번호인지 확인한다(S400).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유선번호인 경우, 폰뱅킹부(130)가 해당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계좌관리서버(170)에서 추출한다 (S500). 이렇게 하여 폰뱅킹을 실행하게 된다(S510).
단계(S400)에서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무선번호인 경우, 교환부 (120)는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서 모바일뱅킹부(150)의 URL를 추출한다 (S600)
다음, 이 URL에 인증서버(160)가 생성한 임의의 인증번호를 삽입하여 이를 SMS전송부(140)로 전달하고, SMS전송부(140)는 인증번호가 삽입된 URL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S610).
사용자는 수신된 URL를 이용하여 모바일뱅킹부(150)에 접속한다(S620). 사용자의 접속 요구가 있으면, 인증서버(160)는 사용자의 발신자번호, URL에 삽입된 인증번호가 SMS전송부(140)에서 전송한 것과 동일한 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 (S630).
단계(S630)에서 판단한 결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 인증서버(160)는 접속을 차단하고 접속 거절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S640). 즉 사용자가 직접 모바일뱅킹 URL을 입력하여 접속하면 인증서버(160)에서 인증번호가 검증이 안된 것으로 인지하여 접속이 차단된다.
단계(S630)에서 판단한 결과 동일한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뱅킹부(150)에 접속되고, 모바일뱅킹부(150)는 계좌관리서버(170)에서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계좌번호를 추출한다(S650). 추출된 계좌번호에 대하여 모바일뱅킹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S660).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뱅킹 처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뱅킹 처리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미리 부여받은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단말기에 입력하면 교환기 (120)는 사용자로부터 접속요구신호를 수신한다(S700).
교환부(110)는 단말기로부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된 번호인지를 확인한다(S710). 확인결과, 등록된 번호가 아닌 경우 결번임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S720).
등록번호라고 확인되면,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는 발신자번호가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된 발신자번호로서 접속이 가능한 번호인지를 확인한다(S730).
발신자번호가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된 발신자번호와 다른 경우, 교환부(120)는 접속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출할 수 있다(S720).
접속이 허용되는 발신자번호라고 확인되는 경우, 교환부(120)는 다시 인증서버(160)를 통하여 사용자가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결된 계좌의 명의인 임을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한다(S735).
사용자가 계좌 명의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교환부(120)는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S720).
본인확인이 된 경우, 교환부(120)는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서 모바일뱅킹부(150)의 URL를 추출한다(S740)
인증서버(160)가 생성한 임의의 인증번호를 이 URL에 삽입하여 이를 SMS전송부(140)로 전달하고, SMS전송부(140)는 인증번호가 삽입된 URL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S750).
사용자는 수신된 URL를 이용하여 모바일뱅킹부(150)에 접속한다(S760).
사용자의 접속 요구가 있으면, 인증서버(160)는 사용자의 발신자번호, URL에 삽입된 인증번호가 SMS전송부(140)에서 전송한 것과 동일한 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한다(S770).
단계(S770)에서 판단한 결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 인증서버(160)는 접속을 차단하고 접속 거절메시지를 송출할 수 있다(S780). 즉 사용자가 직접 모바일뱅킹 URL을 입력하여 접속하면 인증서버(160)에서 인증번호가 검증이 안된 것으로 인지하여 접속이 차단된다.
단계(S770)에서 판단한 결과 동일한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뱅킹부(150)에 접속되고, 모바일뱅킹부(150)는 계좌관리서버(170)에서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계좌번호를 추출한다(S790).
이렇게 함으로써 특정 은행의 계좌번호에 대하여 모바일뱅킹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S800).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폰뱅킹 처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폰뱅킹 처리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미리 부여받은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단말기에 입력하면 교환기(120)는 사용자로부터 접속요구신호를 수신한다(S900).
교환부(110)는 단말기로부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된 번호인지를 확인한다(S910). 확인결과, 등록된 번호가 아닌 경우 결번임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송출할 수 있다(S920).
등록번호라고 확인되면, 현재 사용자가 사용하는 발신자번호가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된 발신자번호로서 접속이 가능한 번호인지를 확인한다(S930).
발신자번호가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된 발신자번호와 다른 경우, 교환부(120)는 접속할 수 없음을 알리는 안내방송을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출할 수 있다(S920).
발신자번호가 사용자데이터베이스(110)에 등록된 발신자번호인 경우, 교환부(120)는 다시 인증서버(160)를 통하여 사용자가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결된 계좌의 명의인 임을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한다(S925).
사용자가 계좌 명의인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교환부(120)는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S930).
본인확인이 되면, 폰뱅킹부(130)가 해당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사용자의 계좌번호를 계좌관리서버(170)에서 추출한다(S940).
이렇게 함으로써 특정 은행의 계좌번호에 대하여 폰뱅킹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S950).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폰/모바일 처리시스템가 뱅킹폰뱅킹부 및 모바일뱅킹부를 포함하여 폰뱅킹 및 모바일뱅킹을 수행할 수 있지만, 폰뱅킹부 및 모바일뱅킹부는 해당 금융기관에서 관리하는 뱅킹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폰/모바일 처리시스템은 사용자가 해당 금융기관의 폰뱅킹부에 접속하도록 연결시킨다. 또는 폰/모바일 처리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모바일뱅킹부에 접속할 수 있는 인증번호가 삽입된 모바일접속용 URL을 SMS로 전송하는 한편, 사용자에게 전송된 인증번호를 해당 금융기관의 모바일뱅킹부에도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신된 SMS를 이용하여 모바일뱅킹에 접속을 요청하면, 모바일뱅킹부는 인증번호를 확인한 후에 뱅킹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에 의해 온라인 뱅킹의 이용 방법이 수월해짐과 동시에 보안성도 한층 강화됨에 따라 온라인 뱅킹이 활성화되어 고객편익이 증대됨과 동시에 은행의 경영 효율도 높아지게 된다.
이용 고객은 종래의 폰뱅킹 이용 시에 필요한 절차들, 주민번호 입력, 계좌번호 입력 등의 복잡한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발신자번호(CID)에 의하여 접속을 통제하므로 보안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뱅킹은 음성망과 데이터망이 결합되어 수행되므로, 즉 음성망에서 인증을 거친 후 데이터망으로 접속하는 기술이용되므로, 해킹이 원천적으로 봉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폰/모바일뱅킹 방법에는, 타인의 계좌를 도용하거나 해킹하려는 도용자가 종래의 은행에서 수행하는 인증과정을 통과하여야한다는 점 외에,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알아야하고 접속이 허용되는 발신자번호의 전화기를 이용하여야 하며 뱅킹수행전의 음성망에서의 본인확인과정을 통과하여야만 한다는 난점이 존재한다. 또한, 모바일뱅킹을 이용할 경우, 도용자는 실시간으로 확인되는 URL에 삽입된 인증번호를 알아야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폰/모바일뱅킹의 보안은 종래의 폰/모바일뱅킹에 비하여 대폭 강화되어 안정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바일뱅킹에 따르면, 별도의 전용단말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모바일뱅킹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시간적, 공간적 제한을 더욱 적게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폰/모바일뱅킹 처리스시템(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뱅킹 처리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폰뱅킹 처리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Claims (20)

  1. a) 사용자 단말로부터 계좌접속 전화번호- 특정 금융기간의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부여됨-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가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 경우 유선번호인지 무선번호인지 확인하는 단계;
    e) 상기 d) 단계에서 유선번호로 확인되면,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상기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폰뱅킹에 접속하는 단계;
    f) 상기 d) 단계에서 무선번호로 확인되면, 모바일뱅킹 접속용 URL을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g) 모바일뱅킹에 접속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모바일뱅킹 접속용 URL을 SMS로 전송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이 허용되는 발신자번호는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되어 저장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사용자가 상기 계좌의 명의인(名義人) 인지를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특정 인증번호를 상기 URL에 삽입하여 SMS로 전송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모바일뱅킹 접속용 URL을 이용한 접속요청신호가 수신되면,
    발신자 단말의 발신자번호와 접속 시 발신자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번호가, 발신자 단말로 상기 URL을 SMS로 전송할 때의 SMS수신자번호 및 상기 SMS에 포함된 인증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 후 모바일접속을 수행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번호 및 인증번호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7. a) 사용자 단말로부터 계좌접속 전화번호-특정 금융기간의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부여됨-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가능한 번호인가 확인하는 단계;
    d) 모바일뱅킹용 URL을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URL에 특정 인증번호를 삽입하여 사용자에게 SMS로 전송하는 단계;
    e) 사용자 단말로부터, SMS로 전송된 상기 URL을 이용한 모바일뱅킹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f) 접속을 요청하는 발신자번호 및 접속시 전송되는 인증번호가 SMS전송 시의 SMS수신자번호 및 상기 URL에 삽입된 인증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에서 동일하다고 확인되면,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모바일뱅킹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뱅킹 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후에, 사용자가 상기 계좌의 명의인 인지를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뱅킹 처리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번호 및 인증번호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모바일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뱅킹 처리방법.
  10. a)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은행의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가능한 번호인가 확인하는 단계;
    d) 접속이 가능한 번호가 확인된 후, 사용자가 상기 계좌의 명의인 인지를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상기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폰뱅킹에 접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폰뱅킹 처리방법.
  11. a)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은행의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가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계좌의 명의인 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e) 사용자가 명의인 이라고 인정된 경우,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상기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따라 사용자가 폰뱅킹 또는 모바일뱅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12. 사용자정보, 특정 은행의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 모바일뱅킹 접속용 URL 및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접속을 허용하는 발신자번호를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데이터베이부;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사용자의 상기 계좌번호를 저장 관리하는 계좌관리서버;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이 접속이 허용되는 발신자번호인지를 확인하고, 접속이 허용되는 경우 상기 계좌관리서버로부터 해당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단말이 폰뱅킹 또는 모바일뱅킹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교환부
    를 포함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계좌의 명의인 인지를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하는 인증서버를 더 포함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부의 신호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어 상기 계좌번호에 대한 폰뱅킹을 수행하는 폰뱅킹부를 더 포함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부는 모바일뱅킹에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모바일뱅킹 접속용 URL을 사용자 단말에게 SMS로 전송하는 SMS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SMS로 전송된 상기 모바일뱅킹 접속용 URL를 이용하여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모바일뱅킹을 실행하는 모바일뱅킹부를 더 포함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버는 모바일뱅킹의 인증을 위한 인증번호를 생성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번호는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URL에 삽입되어 상기 SMS전송부에 의해 전송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뱅킹부는, 수신된 URL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면, 접속요청된 발신자번호 및 인증번호가 상기 SMS전송부에서 전송한 SMS의 수신자번호 및 인증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는 폰/모바일뱅킹 처리 시스템.
  20.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은행의 계좌번호가 연계되어 부여된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이용한 접속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사용자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 단말의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가 확인하는 기능;
    상기 발신자번호가 접속이 허용되는 번호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계좌의 명의인 인지를 확인하는 본인확인을 수행하는 기능;
    발신자번호가 유선번호인지 무선번호인지 확인하는 기능;
    유선번호로 확인되면, 상기 계좌접속 전화번호에 연계된 상기 계좌번호를 추출하여 폰뱅킹에 접속하는 기능;
    무선번호로 확인되면, 모바일뱅킹용 URL을 상기 사용자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기능; 및
    모바일뱅킹에 접속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에게 SMS로 전송하여 상기 URL을 전송하는 기능
    을 수행하는 기록매체.
KR20030082147A 2003-11-19 2003-11-19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8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82147A KR100585371B1 (ko) 2003-11-19 2003-11-19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82147A KR100585371B1 (ko) 2003-11-19 2003-11-19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260A true KR20050048260A (ko) 2005-05-24
KR100585371B1 KR100585371B1 (ko) 2006-05-30

Family

ID=37247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82147A KR100585371B1 (ko) 2003-11-19 2003-11-19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3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93B1 (ko) * 2006-05-04 2008-04-02 (주)씽크에이티 전화를 이용한 오토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금융거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93B1 (ko) * 2006-05-04 2008-04-02 (주)씽크에이티 전화를 이용한 오토콜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금융거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5371B1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90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a user at an access terminal
WO2008064403A1 (en) Remote service authentication method
JP2004535009A (ja) 話し手の検証を使用した多重形態の認証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80307500A1 (en) User identity management for accessing services
KR100862098B1 (ko) 금융상품 가입 처리방법
CN102299910B (zh) 借助于电话鉴别的防攻击系统
KR100960114B1 (ko) 통합 인증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001829B1 (ko) 수신측 단말기에 발신측 식별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05122266A (ja) カード利用取引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カード利用取引処理用プログラム
KR100997148B1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개인인증 및 결제 장치와 그 방법
KR100714124B1 (ko) 사용자 동의 정보를 이용한 증명서 발급 장치 및 방법
KR100862576B1 (ko) 금융 서버에서의 금융거래 승인방법
KR100585371B1 (ko) 폰/모바일뱅킹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09830A (ko) 이동단말을 이용한 현금출금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548031B1 (ko) 통신망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를인증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08004672A1 (fr) Procédé d'authentification d'utilisateur, système d'authentification d'utilisateur, dispositif d'authentification d'utilisateur et programme d'authentification d'utilisateur
US8027664B2 (en) Media distribu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70076575A (ko) 고객 인증처리 방법
KR100606147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은행 출금 보안 방법
KR20020092047A (ko) 일회용 비밀 번호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그를이용한 일회용 비밀 번호 제공 장치
JP3096874U6 (ja) 会員登録のための装置
JP3096874U (ja) 会員登録のための装置
KR20070077481A (ko) 고객 인증 중계처리 서버
KR20060112167A (ko) 고객 인증중계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서버와기록매체
KR20090006815A (ko) 고객 인증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