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8245A - 오존 분해장치 - Google Patents

오존 분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8245A
KR20050048245A KR1020030082123A KR20030082123A KR20050048245A KR 20050048245 A KR20050048245 A KR 20050048245A KR 1020030082123 A KR1020030082123 A KR 1020030082123A KR 20030082123 A KR20030082123 A KR 20030082123A KR 20050048245 A KR20050048245 A KR 20050048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cylinder
oxygen
filter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5326B1 (ko
Inventor
김옥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2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326B1/ko
Publication of KR2005004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3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6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10Single element gases other than halogens
    • B01D2257/106Ozo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을 완전하게 분해하여 인체에 무해한 산소의 상태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오존분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오존분해장치는, 상부에 오존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산소 배출구가 형성된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갖는 통체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오존을 분해하기 위해 설치되며, 내부에 망간과 구리 와 카본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촉매제가 코팅된 세라믹 재질의 다공성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존 분해장치{AN ozone destructor}
본 발명은 오존 분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존을 완전하게 분해하여 인체에 무해한 산소의 상태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오존 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존(O3)은 산소(O2)의 동소체로서, 연푸른 색의 기체이다. 상기 오존은 건조한 기상 산소중에서 방전하는 경우와, 플로우르(F)와 물(H2O)이 작용할 경우와, 염(鹽)이 산화될 경우와, 산소를 가열할 경우와, 황산(H2SO4)의 전해와 자외선이나 음극선 등을 공기에 접촉시킬 경우 발생되게 된다.
상기 오존은 산화력이 강하여 고독, 표백, 산화등에 사용되며, 독작용이 강하고, 진한 것은 호흡기를 침해하며, 특히 소량이라도 장시간 흡입하면 인체에 대단히 유해하다.
이러한 오존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다공성의 활성탄을 이용한 필터를 사용하였다.
종래의 필터는 단순히 다공질의 활성탄 사이로 오존을 통과시켜 활성탄에 형성된 공극 사이에 오존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활성탄 필터는 오존을 완전하게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오존을 흡입함으로써 인체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오존을 완전하게 분해하여 인체에 무해한 산소의 상태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오존분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오존분해장치는, 상부에 오존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산소 배출구가 형성된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갖는 통체와; 상기 통체의 내부에 오존을 분해하기 위해 설치되며, 내부에 망간과 구리 카본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촉매제가 코팅된 세라믹 재질의 다공성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오존분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존 분해장치가 내장 설치된 케이스의 외관 측면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존 분해장치가 케이스에 내장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존 분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존 분해장치의 구성중 분해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존 분해장치에 지지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존 분해장치는 크게 통체(10)와, 필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통체(10)는 상부에 오존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산소 배출구(12)가 형성된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갖는다.
상기 통체(10)의 형상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대략 원통 형상을 갖으며, 상하부가 개구된 통체부(10a)와, 상기 통체부(10a)의 상하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상,하 덮개부(10b,10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 덮개부(10b)는 후술하는 통체(10)의 상단 또는 상측 내벽면을 의미하고, 상기 하 덮개부(10c)는 후술하는 통체(10)의 하단 내벽면을 의미한다.
상기 필터(20)는 상기 통체(10)의 내부에 오존을 분해하기 위해 설치되는 다공성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다공을 형성하는 이유는 오존의 반응 접촉 면적을 확대시켜 주기 위함이다.
상기 필터(20)의 내부에는 망간과 구리와 카본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촉매제가 코팅되어 있다.
상기 촉매제의 코팅 방법은 상기 망간과 구리와 카본이 액체 상태로 혼합된 후, 이를 분무 상태로 분사하여 코팅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촉매제는 필터(20)의 다공 내벽에 코팅되는 것이다.
상기 다공성 필터(20)는 상기 통체(10)의 내부에 다수개 적층되어 설치되고, 상기 다공성 필터(20)중 최상단 필터(21)와 상기 통체(10)의 상단 내벽면 사이에는 일정한 상부 공간(S1)이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필터(20)중 최하단 필터(22)와 상기 통체(10)의 하단 내벽면 사이에는 일정한 하부 공간(S2)이 형성되며, 상기 최하단 필터(20)는 상기 통체(10)의 내벽면에 설치된 링부재(3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다공성 필터(20)들은 서로 다수개의 지지봉(25)들에 의해 연결 결합된다.
미설명 부호 25a는 지지봉(25)이 압입 결합되도록 필터(20)에 형성된 압입공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통체(10)의 상부 공간(S1)내에는 상기 오존 유입구(11)을 통해 유입되는 오존이 분산되도록 상기 통체(10)의 상측 내벽면에 다수개의 오존 분산공(41)이 구비된 오존 분산부재(40)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통체(10)의 하부 공간(S2)내에는 오존이 분해된 산소가 상기 산소 배출구(12)로 안내되도록 상기 통체(10)의 하단 내벽면에는 다수개의 안내공(51)을 갖는 산소 안내부재(50)가 더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오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오존은 오존 분산부재(
40)의 오존 분산공(41)을 통해 상부 공간(S1)내로 유입된다.
상기 상부 공간(S1) 내부로 유입된 오존은 통체(10)의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다수개의 필터(20)를 거치면서 분해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20)를 경유하면서 오존이 산소로 분해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필터(20)의 다공 내부를 통과하면서 상기 촉매제에 의해 활성화되어 오존은 분해된다.
상기와 같이, 오존은 세라믹 필터(20)를 경유하면서 최종적으로는 분해되어 산소만 하부 공간(S2)에 남게 되며, 결국에는 산소 안내부재(50)의 안내공(51)을 통해 산소 배출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오존은 인체에 무해한 산소로 분해되어 대기중에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오존을 사용하는 반도체 제조 공정 또는 오존이 발생되는 프린터, 복사기등의 사무용품에서 오존을 인체에 무해한 산소로 분해시킬 수 있게 되어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존분해장치에 따르면, 오존을 완전하게 분해하여 인체에 무해한 산소의 상태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존 분해장치가 내장 설치된 케이스의 외관 측면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존 분해장치가 케이스에 내장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존 분해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존 분해장치의 구성중 분해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존 분해장치에 지지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통체
11 : 오존 유입구
12 : 산소 배출구
20 : 다공성 세라믹
21 : 최상단 필터
22 : 최하단 필터
S1 : 상부 공간
S2 : 하부 공간
30 : 링부재
25 : 지지봉
40 : 오존 분산부재
41 : 오존 분산공
50 : 산소 안내부재
51 : 안내공

Claims (5)

  1. 상부에 오존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산소 배출구(12)가 형성된 상하로 소정 길이를 갖는 통체(10)와;
    상기 통체(10)의 내부에 오존을 분해하기 위해 설치되며, 내부에 망간과 구리와 카본의 촉매제가 코팅된 세라믹 재질의 다공성 필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분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터(20)는 상기 통체(10)의 내부에 다수개 적층되어 설치되고, 상기 다공성 필터(20)중 최상단 필터(21)와 상기 통체(10)의 상단 내벽면 사이에는 일정한 상부 공간(S1)이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필터(20)중 최하단 필터(22)와 상기 통체(10)의 하단 내벽면 사이에는 일정한 하부 공간(S2)이 형성되며, 상기 최하단 필터(20)는 상기 통체(10)의 내벽면에 설치된 링부재(3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분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필터(20)들은 서로 다수개의 지지봉(25)들에 의해 연결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분해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10)의 상부 공간(S1)내에는 상기 오존 유입구(11)을 통해 유입되는 오존이 분산되도록 상기 통체(10)의 상측 내벽면에 다수개의 오존 분산공(41)이 구비된 오존 분산부재(4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분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10)의 하부 공간(S2)내에는 오존이 분해된 산소가 상기 산소 배출구(12)로 안내되도록 상기 통체(10)의 하단 내벽면에는 다수개의 안내공(51)을 갖는 산소 안내부재(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분해장치.
KR1020030082123A 2003-11-19 2003-11-19 오존 분해장치 KR100555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123A KR100555326B1 (ko) 2003-11-19 2003-11-19 오존 분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123A KR100555326B1 (ko) 2003-11-19 2003-11-19 오존 분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126U Division KR200343289Y1 (ko) 2003-11-19 2003-11-19 오존 분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245A true KR20050048245A (ko) 2005-05-24
KR100555326B1 KR100555326B1 (ko) 2006-03-03

Family

ID=3724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123A KR100555326B1 (ko) 2003-11-19 2003-11-19 오존 분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3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3346A (zh) * 2016-06-20 2016-08-31 北京工业大学 一种机舱新风臭氧转换装置
KR102079218B1 (ko) * 2019-08-30 2020-02-19 방의신 오존 처리 장치
KR20220036268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캐스트 오존 분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3346A (zh) * 2016-06-20 2016-08-31 北京工业大学 一种机舱新风臭氧转换装置
CN105903346B (zh) * 2016-06-20 2019-04-12 北京工业大学 一种机舱新风臭氧转换装置
KR102079218B1 (ko) * 2019-08-30 2020-02-19 방의신 오존 처리 장치
KR20220036268A (ko) * 2020-09-15 2022-03-22 주식회사 캐스트 오존 분해 장치
US11826702B2 (en) 2020-09-15 2023-11-28 Cast Co., Ltd. Ozone decomposi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326B1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0747B1 (ko) 오염된 공기의 악취와 휘발성 유기물질 처리방법 및 장치
WO2014185616A1 (ko) 유전체 배리어 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한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555326B1 (ko) 오존 분해장치
KR101700269B1 (ko) 오존 발생 및 오존 제거가 가능한 플라즈마 촉매 흡착 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 방법
KR200343289Y1 (ko) 오존 분해장치
KR100999564B1 (ko) 멀티선회류 및 바이오 필터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VOCs 습식처리 시스템
KR100485756B1 (ko) 오염된 공기의 악취와 휘발성 유기물질 처리장치
CN207012785U (zh) 一种微波无极光氧、等离子、光催化组合废气治理系统
JP4265043B2 (ja) 光触媒を用いた水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648118B1 (ko) 약액주입 토네이도 방식 오염공기정화장치
JP2000279977A (ja) 流体処理方法及び流体処理装置
JP2009207811A (ja) 空気清浄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清浄装置
KR20030034590A (ko) 오염된 공기의 악취와 휘발성 유기물질 처리방법 및 장치
JP3941535B2 (ja) 有機物の分解方法および分解装置
KR20030029415A (ko) 오염된 공기의 악취와 휘발성 유기물질 처리장치
CN216549904U (zh) 基于纳米光触媒降解有机物的悬浮体系反应设备
CN111036053A (zh) 一种高温烟气处理装置
CN216136985U (zh) 一种组合式有机废气净化系统
CN218131049U (zh) 一体式蜂窝沸石分子筛洗涤吸附催化氧化废气净化设备
CN216038804U (zh) 一种臭氧直接氧化和催化氧化一体化污水处理装置
JP2004305889A (ja) 光触媒除害装置
JP2003145182A (ja) 排水処理装置
KR20040010895A (ko) 플라즈마와 흡착제를 이용한 정화장치
CN113941252A (zh) 一种光催化氧化处理有机废气的装置和方法
JPH11221581A (ja) 酸化分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