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7446A -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7446A
KR20050047446A KR1020030081284A KR20030081284A KR20050047446A KR 20050047446 A KR20050047446 A KR 20050047446A KR 1020030081284 A KR1020030081284 A KR 1020030081284A KR 20030081284 A KR20030081284 A KR 20030081284A KR 20050047446 A KR20050047446 A KR 20050047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exterior panel
fixture
build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1968B1 (ko
Inventor
이순호
Original Assignee
이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호 filed Critical 이순호
Priority to KR102003008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1968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1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1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석재 등과 같은 외장패널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구의 적어도 한쪽 면을 절개 절곡시켜 고정날을 형성함으로써 단열재를 덧붙인 벽면에 외장패널을 설치할 때 단열재에 관계없이 고정구의 고정 날이 벽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고정구와 고정구에 의해 벽면에 고정된 외장패널의 흔들림이나 밀림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Wrapping panel fixing JI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석재 등과 같은 외장패널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구의 적어도 한쪽 면을 절개 절곡시켜 고정날을 형성함으로써 단열재를 덧붙인 벽면에 외장패널을 설치할 때 단열재에 관계없이 고정구의 고정 날이 벽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고정구와 고정구에 의해 벽면에 고정된 외장패널의 흔들림이나 밀림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의 외장공사를 위한 외장패널(석재 패널이나 유리 패널 등을 말한다.)의 마감처리공법으로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들 수 있다.
전자의 습식 공법은 건물 벽과 외장패널에 시멘트 몰타르를 부어 시공하는 공법으로서, 이는 시멘트의 양생시간이 길고 작업성 및 시공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으로 인해 각종 건물들이 대형화 고급화되어가고 있는 현재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후자의 건식 공법(dry wall fixing)은 상기와 같은 시멘트 몰타르를 이용하지 않고 금속으로 된 고정구를 매개로 석재나 유리 등과 같은 외장패널을 건물 벽에 설치하는 공법으로서 작업성 및 시공성이 매우 좋을 뿐더러 다양한 재질로 풍부한 형태나 모양을 구현할 수 있어 대형화 고급화되어가는 최근의 건물들은 이러한 건식공법을 주로 사용하는 추세이다.
도1은 상기한 건식 공법을 이용한 외장패널의 설치 예시도로서 일정한 크기로 제조(제단)된 석재나 유리 등과 같은 외장패널(300)이 금속으로 된 다수의 고정구(100)들에 의해 건물 벽(200)에 설치된다. 도1에서는 외장패널(300) 1장당 2개의 고정구(100)가 설치되어 외장패널(300)의 무게하중을 지지하고, 외장패널(300)의 크기 및 무게하중에 따라 고정구(100)는 3개 혹은 그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2를 참조하면 종래의 고정구(100)는 평평한 판재를 주재료로 하는 것으로서, 수직부(103)와 수평부(104)가 앵글 형태로 굽혀져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103)에 체결장공(102a)이 형성되어 건물 벽(200)에 앵커체결수단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받침앵글(101)과, 평판 재료로서, 평면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체결장공(11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받침앵글(101)의 체결장공(102a)이 형성된 수평부(104)에 위치되어 고정받침앵글(101)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수단으로 고정받침앵글(101)에 고정되고, 일단에 형성된 핀 구멍(110)을 통해 설치된 핀 부재(111)가 외장패널(300)의 설치 홈(117)에 삽입되어 외장패널(300)을 지지하는 패널 받침편(109)으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 체결수단으로는 통상의 앵커 볼트(105)와 상기 앵커 볼트(105)에 삽입되는 쐐기관(106)과, 상기 앵커 볼트(105)에 체결되는 와셔(107) 및 너트(108) 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으로는 통상의 볼트(112)와 와셔(114) 및 너트(115) 등을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구(100)를 이용하여 도3과 같이 건물 벽(200)에 설치홈(117)을 갖는 외장패널(300)을 고정하고 나서 외장패널(300) 사이의 공간에 실리콘(118)을 주입시켜 마무리한다.
최근 들어 건축물의 내벽뿐만 아니라 단열을 위해 건축물의 외벽에도 단열재를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다시 말해 도3에서와 같이 건물 벽(200)에 단열재(119)를 덧붙인 후 그 위에 외장패널(300)을 부착한다.
그러나 이 경우 앵커볼트(105)에 너트(108)를 완벽하게 조였음에도 불구하고 고정구(100)와 건물 벽(200)이 완벽하게 밀착되지 않아 고정구(100)의 패널 받침편(109)에 가해지는 외장패널(300)의 하중에 의해 고정구(100)의 고정받침앵글(101)이 흘러내리거나 흔들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외장패널(300)을 정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없을뿐더러 하나의 외장패널(300)이 흘러내리거나 흔들리게 되면 흘러내리거나 흔들린 외장패널(300)의 하중이 다른 외장패널에 가해져 건물 벽에 고정된 모든 외장패널이 흔들리거나 흘러내릴 우려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탁탁(견고)하지 않은 단열재가 건물 외벽에 부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정구와 고정구에 의해 벽면에 고정된 외장패널의 흔들림이나 밀림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는, 수직부와 수평부가 앵글 형태로 굽혀진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에 체결장공이 형성되어 건물 벽에 앵커체결수단을 매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받침앵글과, 상기 고정받침앵글의 체결장공이 형성된 수평부에 위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체결장공이 형성되어 고정받침앵글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받침앵글에 고정되고 일단에 설치되는 핀 부재가 외장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받침편으로 구성된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앵글수직부의 각 측면이 한 곳 또는 두 곳이 일정깊이로 절개되어 수직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후방으로 절곡된 고정 날이 형성되어서, 단열재가 덧붙은 건물 벽에 외장패널을 고정구로 고정할 때 고정구의 고정 날이 단열재를 압착하면서 건물 벽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외장 패널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 날은 상기 고정받침앵글 수직부의 양 측면 및/또는 위쪽 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외장 패널 고정구애 있어서, 상기 고정 날은 사각형상이나 삼각형상으로 절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4 및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10)는, 스테인레스강 등과 같은 금속재질의 판재가 직각으로 절곡된 것으로서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건물 벽에 고정되는 고정받침앵글(11)과, 상기 고정받침앵글(11) 위에 결합되며 외장패널을 실질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패널 받침편(19)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받침앵글(11)은 수직부(17)와 수평부(13)가 앵글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수직부(17)과 수평부(13)의 중앙에는 상하 또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체결장공(12)(28)이 형성되고, 수직부(17)의 좌우 혹은 상측면에는 수직부(17)의 각 측면이 한 곳 또는 두 곳이 일정깊이로 절개되어 수직부(17)와 직각을 이루도록 후방으로 절곡된 고정 날(26)(27)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날(26)(27)은 사각형상이나 삼각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절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는 도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29)가 덧붙은 건물 벽(30)에 외장패널(32)을 고정구(10)로 고정할 때 고정구(10)의 고정 날(26)(27)이 단열재(29)를 압착하면서 건물 벽(30)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직부(17)의 후방, 즉 체결장공(12)의 후방에는 쐐기관(15)이 끼워진 앵커 볼트(14)가 위치하고, 이에 대응되게 수직부(17)의 전방에 앵커 볼트(14)에 결합되는 와셔(16)와 너트(18)가 위치하고 있어, 쐐기관(15)이 끼워진 앵커 볼트(14)를 건물 벽(30)의 앵커 구멍(31)에 고정한 후 건물 벽(30) 전방으로 노출된 앵커 볼트(14)에 체결장공(12)을 끼워 고정받침앵글(27)의 높이를 조절하고 앵커 볼트(14)에 와셔(16)와 너트(18)를 결합해서 고정받침앵글(11)의 높이를 건물 벽에 고정하고자 하는 외장패널의 높이를 감안하여 소정 높이로 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패널 받침편(19)은 소정 형상으로 가공된 금속재질의 판재로서, 고정받침앵글(11)의 수평부(13)에 안착될 때 수평부(13)와 맞닿는 패널 받침편(19)의 후방(도 5에서)에는 수평부(13)의 체결장공(28)과 동일하게 너비를 갖는 체결장공(2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받침앵글(11) 수평부(13)와 패널 받침편(19), 즉 체결장공(28)과 체결장공(21)은 두 개의 체결장공(28)(21)을 관통해서 결합되는 볼트(23)에 와셔(24)와 너트(25)가 체결됨으로써 결합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건물 벽(30)에 고정되는 고정받침앵글(11)과 마찬가지로 서로 같은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체결장공(21)(28)에 삽입된 볼트(23)의 위치, 즉 패널 받침편(19)을 전후(도면에서)로 이동시켜 수직부(17)와 핀 구멍(22), 즉 건물 벽(30)과 외장패널(32)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패널 받침편(19)의 전방(도5에서)에는 핀 구멍(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외장패널(32)의 설치홈(33)에 결합된 핀 부재(20)를 고정시켜 패널 받침편(19) 위에 외장패널(32)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6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고정구(10)를 이용해서 외장패널(32)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표면에 일정두께를 갖는 단열재(29)가 부착된 건물 벽(30)에 쐐기관(15)의 직경 정도에 해당하는 앵커 구멍(31)을 형성한 다음 앵커 볼트(14)가 삽입된 쐐기관(15)을 앵커 구멍(31)에 삽입시키고 앵커 볼트(14)에 고정받침앵글(11)을 체결장공(12)을 통해 위치시킨 다음 이 고정받침앵글(11)의 높이를 조절하고 와셔(16)와 너트(18)를 앵커 볼트(14)에 체결하여 조임에 따라 앵커 볼트(14)에 형성된 경사 쐐기부가 쐐기관(15)을 확대시킴으로써 고정되어 고정받침앵글(11)이 건물 벽(30)에 고정된다.
특히, 앵커 볼트(14)에 와셔(16)와 너트(18)를 조임에 따라 수직부(17)에 형성된 고정 날(26)(27)에 압력이 집중적으로 가해져 단열재(29)를 누름으로써 고정받침앵글(11)의 고정 날(26)(27)이 건물 벽(30)에 밀착되면서 시공 중이나 시공 후에 가해지는 외압에도 불구하고 고정받침앵글(11)이 움직이지 않는다.
다음에 패널 받침편(19)을 고정받침앵글(11)의 수평부(13) 위에 안착시키고 체결장공(21)(28)을 통해 수평부(13)에서 길이를 조절한 다음 볼트(23)와 와셔(24) 및 너트(25)로 고정시켜 고정구(1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렇게 고정구(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장패널(32)의 설치홈(33)에 핀부재(20)가 끼워짐으로서 건물 벽(30)에 단열재(29)가 부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견고하지 않은 단열재(29)의 영향을 받지 않고 외장패널(32)이 고정구(10)에 의해 건물 벽(30)에 설치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건물 벽(30)에 설치된 외장패널(32)의 틈새를 실리콘(34)으로 마감하여 방수 처리한다.
물론, 종래기술에서도 설명했듯이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고정구(10)는 외장패널(32) 1장당 2개를 사용할 수도 있을뿐더러 외장패널(32)의 크기나 무게하중에 따라 2개 이상의 고정구(1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에 의하면,
1. 본 발명은 고정구의 적어도 한쪽 면을 절개 절곡시켜 고정 날을 형성함으로써 단열재를 덧붙인 벽면에 외장패널을 설치할 때 단열재에 관계없이 고정구의 고정 날이 벽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고정구와 고정구에 의해 벽면에 고정된 외장패널의 흔들림이나 밀림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1은 건식공법을 이용한 외장패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는 도1의 건식공법에 사용된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은 도2의 고정구를 이용한 외장패널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6은 도4 및 도5의 고정구를 이용한 외장패널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고정구 11 : 고정받침앵글
12, 21, 28 : 체결장공 13 : 수평부
14 : 앵커볼트 15 : 쐐기관
16, 24 : 와셔 17 : 수직부
18, 25 : 너트 19 : 패널 받침편
20 : 핀부재 22 : 핀구멍
23 : 볼트 26, 27 : 고정 날
29 : 단열재 30 : 건물 벽
31 : 앵커 구멍 32 : 외장패널
33 : 설치홈 34 : 실리콘

Claims (3)

  1. 수직부와 수평부가 앵글 형태로 굽혀진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에 체결장공이 형성되어 건물 벽에 앵커체결수단을 매개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받침앵글과, 상기 고정받침앵글의 체결장공이 형성된 수평부에 위치되고 길이방향으로 체결장공이 형성되어 고정받침앵글로부터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수단을 매개로 고정받침앵글에 고정되고 일단에 설치되는 핀 부재가 외장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받침편으로 구성된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받침앵글 수직부의 각 측면이 한 곳 또는 두 곳이 일정깊이로 절개되어 수직부와 직각을 이루도록 후방으로 절곡된 고정 날이 형성되어서, 단열재가 덧붙은 건물 벽에 외장패널을 고정구로 고정할 때 고정구의 고정 날이 단열재를 압착하면서 건물 벽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 패널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날은 상기 고정받침앵글 수직부의 양 측면 및/또는 위쪽 면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날은 사각형상이나 삼각형상으로 절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외장 패널 고정구.
KR1020030081284A 2003-11-17 2003-11-17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100561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284A KR100561968B1 (ko) 2003-11-17 2003-11-17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284A KR100561968B1 (ko) 2003-11-17 2003-11-17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058U Division KR200341203Y1 (ko) 2003-11-18 2003-11-18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446A true KR20050047446A (ko) 2005-05-20
KR100561968B1 KR100561968B1 (ko) 2006-03-27

Family

ID=3724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284A KR100561968B1 (ko) 2003-11-17 2003-11-17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196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421B1 (ko) * 2005-12-30 2007-07-20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와샤붙이머리 직결피스 및 그 직결피스를 이용한 건축물의석재판넬 외벽 시공구조
KR101498580B1 (ko) * 2014-04-08 2015-03-04 김학성 단열 및 내진 석재 시공 및 보강방법
KR20160131195A (ko) * 2015-05-06 2016-11-16 (주)태건정공 갱폼 하부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KR102332720B1 (ko) * 2021-01-07 2021-12-02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휨 방지부재가 구비된 칼라강판 벽체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2340483B1 (ko) * 2020-09-17 2021-12-20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Bipv전용 준불연 단열패널을 활용한 건물일체형 태양발전 시스템 시공방법
KR102518731B1 (ko) * 2022-05-20 2023-04-05 주식회사 민사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766B1 (ko) 2011-04-22 2011-08-19 이운형 건축물용 패널
CN104084991A (zh) * 2013-08-17 2014-10-08 都江堰金祥装饰工程有限公司 圆棒机的刀头固定装置
KR101652008B1 (ko) 2014-08-08 2016-08-30 명문석재주식회사 판넬 고정구와 이를 이용한 판넬 고정용 어셈블리 및 시공방법
KR101592905B1 (ko) 2015-10-30 2016-02-12 주식회사 한국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1592903B1 (ko) 2015-11-19 2016-02-11 (주)해승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1638598B1 (ko) 2016-02-26 2016-07-13 에이앤유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용 석재마감벽 고정장치
KR101694682B1 (ko) 2016-08-22 2017-01-10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타일 위치조절 장치
KR101713659B1 (ko) 2016-12-12 2017-03-09 (주)종합건축사 사무소 담 공동주택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1808144B1 (ko) 2017-07-26 2017-12-12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1869695B1 (ko) 2018-01-29 2018-06-21 (주)한국환경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1891627B1 (ko) 2018-04-17 2018-08-27 김용철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1993613B1 (ko) 2018-09-21 2019-06-27 (주)건축사사무소테마공간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2022825B1 (ko) * 2019-03-30 2019-09-18 서형석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
KR102022826B1 (ko) * 2019-03-30 2019-11-04 서형석 도탄 방지용 피탄패널을 이용한 벽부형 탄두수거장치
KR102072965B1 (ko) 2019-09-06 2020-02-04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석재 고정장치
KR102290060B1 (ko) 2021-04-12 2021-08-17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2516970B1 (ko) 2022-02-21 2023-04-04 주식회사 나로이엔씨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2615345B1 (ko) 2023-04-10 2023-12-19 주식회사 솔빛엔지니어링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421B1 (ko) * 2005-12-30 2007-07-20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와샤붙이머리 직결피스 및 그 직결피스를 이용한 건축물의석재판넬 외벽 시공구조
KR101498580B1 (ko) * 2014-04-08 2015-03-04 김학성 단열 및 내진 석재 시공 및 보강방법
KR20160131195A (ko) * 2015-05-06 2016-11-16 (주)태건정공 갱폼 하부케이지 고정용 브라켓
KR102340483B1 (ko) * 2020-09-17 2021-12-20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Bipv전용 준불연 단열패널을 활용한 건물일체형 태양발전 시스템 시공방법
KR102332720B1 (ko) * 2021-01-07 2021-12-02 주식회사 에스에스지에너텍 휨 방지부재가 구비된 칼라강판 벽체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2518731B1 (ko) * 2022-05-20 2023-04-05 주식회사 민사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WO2023224324A1 (ko) * 2022-05-20 2023-11-23 주식회사 민사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1968B1 (ko) 2006-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968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200452381Y1 (ko) 건축물의 외장재 고정장치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101663373B1 (ko) 콘크리트 건축물 외장용 석재패널 긴결장치
KR100771962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US5727355A (en) Stone facing section anchor mounting system
KR200341203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20041078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388922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0380505B1 (ko) 높이조절용 철물을 이용한 바닥단열패널 설치구조 및설치방법
KR200389550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101804943B1 (ko) 건축물용 외장패널 고정구
JP2877794B1 (ja) 根太材とフローリング材との結合金具、フローリング材の敷設方法、及び床構造
KR200224313Y1 (ko) 높이조절용 철물을 이용한 바닥단열패널 설치구조
KR200201273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의 미끄럼 방지구조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KR102407766B1 (ko) 건축용 외장재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외장재 시공방법
JP3117777U (ja) 床材の固定構造
KR100661050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149861Y1 (ko) 장식석판 고정구
JP3117777U7 (ko)
KR200289691Y1 (ko) 천정 및 벽면 패널 고정장치
JPH0723629B2 (ja) 基礎天化粧水切の取付け方法とその装置
KR200175322Y1 (ko) 건축용 거푸집 받침대
RU21058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