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861Y1 - 장식석판 고정구 - Google Patents

장식석판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861Y1
KR200149861Y1 KR2019970000154U KR19970000154U KR200149861Y1 KR 200149861 Y1 KR200149861 Y1 KR 200149861Y1 KR 2019970000154 U KR2019970000154 U KR 2019970000154U KR 19970000154 U KR19970000154 U KR 19970000154U KR 200149861 Y1 KR200149861 Y1 KR 200149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wall
decorative
fixing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0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910U (ko
Inventor
엄태윤
Original Assignee
엄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태윤 filed Critical 엄태윤
Priority to KR2019970000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861Y1/ko
Publication of KR9700139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9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장 또는 외장에 사용되는 장식석판을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식석판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석판 고정구는, 벽체고정대(11)와 석판고정대(21) 및 상기 벽체고정대(11)와 상기 석판고정대(2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나사부(31)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고정대(11)가 지지간(13)의 일측단부에 벽체삽입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간(13)의 타측단부에 제1나사부(1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석판고정대(21)가 가변지지간(23)의 일측단부에 석판삽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지지간(23)의 타측단부에 제2나사부(2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벽체(1)의 미장을 위한 장식석판(3)을 상기 벽체(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에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상방으로 직립시켜 용이하게 적조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고정구 자체의 부식의 발생가능성을 줄여 부식에 의한 장식석판(3)의 오염이나 기계적 성질의 저하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식석판 고정구
본 고안은 장식석판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 외장하는데 사용되는 장식석판을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식석판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형 건물들의 건축에 많이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 라멘조의 건축물들은 벽체 자체가 철근을 중심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이 벽체의 내벽 및 외벽을 장식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 중, 장식석판을 사용하여 내장 및 외장을 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장식석판으로는 천연의 대리석을 판상으로 가공한 것 또는 인조대리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식석판들은 두께가 상당히 두껍고, 그 자체로서 중량이 너무 많이 나가기 때문에 건축물을 구성하고 있는 벽체에 직접 부착시킬 수는 없고, 벽체의 기울기와는 무관하게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기 벽체로부터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하여 이격된 채로 벽체와 나란하게 배열시켜 직립시켜야 하며, 이를 위하여는 벽체에 대하여 장식석판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가 사용되어야 한다. 동선과 석고받침대를 사용하는 종래의 장식석판의 건물 벽체에의 고정방법을 도1에 측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식석판의 건물의 벽체에의 고정방법은 우선 건축물을 구성하는 벽체(1)에 하방으로 경사지게 경사홀(2)을 천공하고, 상기 벽체(1)에 대하여 나란히 세워지는 장식석판(3)의 상단에도 수직하방으로 고정홀(4)을 천공한 후, 상기 장식석판(3)을 상기 벽체(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수직으로 직립시킨 상태에서 상기 장식석판(3)의 상단과 상기 벽체(1) 사이에 석고반죽을 사용하여 석고받침대(5)를 형성하고, 동선(6)을 사용하여 그 일측단부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벽체(1)에 형성된 경사홀(2)내로 삽입시키고, 그 타측단부는 수직으로 절곡시켜 상기 장식석판(3)에 형성된 고정홀(4)에 삽입시켜 동선(6)이 상기 석고받침대(5)에 받쳐진 상태로 되도록 하여 상기 벽체(1)의 경사홀(2)과 상기 장식석판(3)의 고정홀(4) 모두에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벽체(1)에 대하여 상기 장식석판(3)이 좌우로 가변되지 않도록 고정시켜 직립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상기 벽체(1)에 대하여 상기 장식석판(3)을 고정시키는 수단인 고정구로서, 일반적인 동선(6)을 절단 및 절곡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재료 자체의 수득 및 취급은 간편하다고 할 수 있으나, 반면에 동선(6)의 양단부를 각각 벽체(1)의 경사홀(2) 및 장식석판(3)의 고정홀(4)에 삽입시키는 작업과정에서 장식석판(3)들이 정확하게 수직으로 정렬되어 배열되고, 직립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며, 대개의 경우, 장식석판(3)들이 정확한 수직상태에서 약간씩 이탈된 상태로 직립되며, 극히 고도로 숙련된 자만이 거의 정확하게 수직상태로 직립시킬 수 있었을 뿐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식석판(3)이 수직상태에서 약간이라도 이탈된 상태로 직립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장식석판(3) 자체의 중량으로 인하여 동선(6)에 상당한 하중이 가해지며, 그에 따라 연성 및 전성이 높은 동선(6)이 쉽게 인장될 뿐만 아니라 동선(6)을 지지하고 있는 석고받침대(5)에도 과다한 하중이 가해져 석고받침대(5)가 손상 및 파손되며, 결국 장식석판(3)이 수직상태에서 이탈되어 장식석판(3) 자체가 파손되거나, 또는 돌출되어 수선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장식석판(3)을 벽체(1)에 고정시켜 직립시키기 위한 새로운 고정구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지면에 대하여 정확하게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장식석판을 벽체에 나란히 배열시켜 용이하게 직립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식석판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장식석판의 건물 벽체에의 고정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석판 고정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석판 고정구를 사용하여 장식석판을 건물 벽체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벽체 2 : 경사홀
3 : 장식석판 4 : 고정홀
5 : 석고받침대 6 : 동선
11 : 벽체고정대 12 : 벽체삽입부
13 : 지지간 14 : 제1나사부
21 : 석판고정대 22 : 석판삽입부
23 : 가변지지간 24 : 제2나사부
31 : 연결나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식석판 고정구는, 벽체고정대와 석판고정대 및 상기 벽체고정대와 상기 석판고정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고정대가 지지간의 일측단부에 벽체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간의 타측단부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석판고정대가 가변지지간의 일측단부에 석판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지지간의 타측단부에 제2나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석판고정대의 가변지지간의 길이는 1 내지 120cm의 범위내에서 선택된 길이를 갖도록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나사부의 길이는 그에 나합되는 상기 벽체고정대의 제1나사부 또는 상기 석판고정대의 제2나사부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체고정대와 석판고정대 및 상기 연결나사부들은 모두 기계적 성질 및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석판 고정구는 벽체(1)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경사홀(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벽체고정대(11)와 석판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고정홀(4)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석판고정대(21) 및 상기 벽체고정대(11)와 상기 석판고정대(2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나사부(31)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벽체고정대(11)는 지지간(13)의 일측단부에 벽체삽입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간(13)의 타측단부에 제1나사부(1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에서 벽체삽입부(12)는 벽체(1)에 경사지게 천공되어 형성된 경사홀(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향하여 상기 벽체(1)에 형성되는 경사홀(2)과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사전에 벽체삽입부(12)를 상기 지지간(13)에 대하여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하방으로 절곡시켜 형성시키고, 장식석판(3)이 시공될 벽체(1)에 상기 지지간(13)에 대한 벽체삽입부(12)의 각도와 동일한 각도를 이루도록 하여 벽체(1)에 경사홀(2)을 천공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벽체삽입부(12)의 벽체(1)의 경사홀(2)에의 삽입에 의하여 상기 벽체고정대(11)의 지지간(13)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그리고 상기 벽체(1)에 대하여는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벽체(1)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간(13)은 상기한 벽체고정대(11)를 이루는 기준으로서 언급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간(13)의 일측단부를 하방으로 향하여 절곡시키고, 그 타측단부에 나사구조를 형성시켜 제1나사부(14)를 형성시키는 기준이 되며, 상기 제1나사부(14)는 상기 연결나사부(31)에 의하여 상기 석판고정대(21)와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석판고정대(21)는 가변지지간(23)의 일측단부에 석판삽입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지지간(23)의 타측단부에 제2나사부(24)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에서 석판삽입부(22)는 상기 장식석판(3)에 수직하게 천공되어 형성된 고정홀(4)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향하여 상기 장식석판(3)에 형성되는 고정홀(4)과 동일하게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사전에 석판삽입부(22)를 상기 가변지지간(23)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하여 하방으로 절곡시켜 형성시키고, 장식석판(3)에 상기 가변지지간(23)에 대한 석판삽입부(22)의 각도와 동일하게 수직을 이루도록 하여 장식석판(3)에 고정홀(4)을 천공시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석판삽입부(22)의 장식석판(3)의 고정홀(4)에의 삽입에 의하여 상기 석판고정대(21)의 가변지지간(23)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을, 그리고 상기 장식석판(3)에 대하여는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장식석판(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변지지간(23)은 상기한 석판고정대(21)를 이루는 기준으로서 언급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변지지간(23)의 일측단부를 하방으로 향하여 수직으로 절곡시키고, 그 타측단부에 나사구조를 형성시켜 제2나사부(24)를 형성시키는 기준이 되며, 상기 제2나사부(24)는 상기 연결나사부(31)에 의하여 상기 벽체고정대(11)와 결합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나사부(31)는 상기 벽체고정대(11)의 제1나사부(14) 및 상기 석판고정대(21)의 제2나사부(24) 모두에 동시에 나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것으로서, 이 연결나사부(31)가 상기 벽체고정대(11)의 제1나사부(14) 및 상기 석판고정대(21)의 제2나사부(24) 모두에 동시에 나합되어 상기 벽체고정대(11)와 상기 석판고정대(21)를 서로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석판고정대(21)의 가변지지간(23)의 길이는 1 내지 120cm의 범위내에서 선택된 길이를 갖도록 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변지지간(23)의 길이는 벽체(1)의 지면에 대한 기울기의 정도에 따라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직립되는 장식석판(3)의 벽체(1)로부터의 이격되는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대개의 경우, 장식석판(3)의 벽체(1)로부터의 이격되는 정도는 1 내지 110cm의 범위가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석판고정대(21)의 가변지지간(23)의 길이도 1 내지 120cm의 범위이내에서 선택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 연결나사부(31)의 길이는 그에 나합되는 상기 벽체고정대(11)의 제1나사부(14) 또는 상기 석판고정대(21)의 제2나사부(24)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짧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최대로 상기 벽체고정대(11)의 지지간(13)의 길이와 상기 석판고정대(21)의 가변지지간(23)의 길이의 합이 상기 벽체(1)와 상기 벽체(1)로부터 이격되어 수직하여 직립되는 장식석판(3) 간의 간격과 동일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부(14)와 제2나사부(24)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단지 이들을 나합, 고정시켜 길이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부터 상기 석판고정대(21)의 가변지지간(23)의 길이가 상기 벽체(1)와 상기 벽체(1)로부터 이격되어 수직하여 직립되는 장식석판(3) 간의 간격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부(14)와 제2나사부(24)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단지 이들을 나합, 고정시켜 길이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벽체고정대(11)와 석판고정대(21) 및 상기 연결나사부(31)들은 모두 기계적 성질 및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이나 기울기의 약간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장식석판 고정구에 어느 정도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그 외력에 대하여 충분하게 기계적으로 버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구의 길이의 변화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립한 장식석판(3)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정구의 우수한 내식성은 대기 중의 수분 기타 오염물에 의하여 고정구 자체가 부식되어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녹물의 발생에 의한 장식석판(3)의 오염의 방지 뿐만 아니라 고정구 자체의 기계적 성질의 저하에 따른 고정구의 길이의 변화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벽체(1)의 미장을 위한 장식석판(3)을 상기 벽체(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에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상방으로 직립시켜 용이하게 적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고정구 자체를 구성하는 재료의 특성에 기인하여 장식석판(3)과 벽체(1) 사이의 간격의 변화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부식의 발생가능성을 줄여 부식에 의한 장식석판(3)의 오염이나 기계적 성질의 저하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벽체고정대와 석판고정대 및 상기 벽체고정대와 상기 석판고정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나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고정대는 지지간의 일측단부에 벽체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간의 타측단부에 제1나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석판고정대는 가변지지간의 일측단부에 석판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지지간의 타측단부에 제2나사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석판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판고정대의 가변지지간의 길이가 1 내지 120cm의 범위내에서 선택된 길이를 갖도록 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식석판 고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나사부의 길이가 그에 나합되는 상기 벽체고정대의 제1나사부 또는 상기 석판고정대의 제2나사부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짧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식석판 고정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고정대와 석판고정대 및 상기 연결나사부들이 모두 기계적 성질 및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식석판 고정구.
  5.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벽체고정대와 석판고정대 및 상기 연결나사부들이 모두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식석판 고정구.
KR2019970000154U 1997-01-08 1997-01-08 장식석판 고정구 KR200149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154U KR200149861Y1 (ko) 1997-01-08 1997-01-08 장식석판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0154U KR200149861Y1 (ko) 1997-01-08 1997-01-08 장식석판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910U KR970013910U (ko) 1997-04-28
KR200149861Y1 true KR200149861Y1 (ko) 1999-06-15

Family

ID=1949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0154U KR200149861Y1 (ko) 1997-01-08 1997-01-08 장식석판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8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703B1 (ko) * 2015-03-12 2015-07-01 유성용 건축용 석재 위치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425B1 (ko) * 2008-06-30 2011-04-14 (주)해주석재 건축물 외장용 석재판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703B1 (ko) * 2015-03-12 2015-07-01 유성용 건축용 석재 위치고정장치
WO2016144132A1 (ko) * 2015-03-12 2016-09-15 유성용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910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1968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구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US20060059789A1 (en) Rooftop structure supporting stand
RU2317764C2 (ru) Система, зажимной элемент и запира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профи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KR200149861Y1 (ko) 장식석판 고정구
EA199700007A1 (ru) Железобетонная стойка,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здания, собранная из указанных стоек, и опалуб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оек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KR100961434B1 (ko) 자연석의 체결 구조
KR930006458Y1 (ko) 신축건물의 문틀고정구
KR200241654Y1 (ko) 거푸집 고정대
JPH0247461A (ja) タイル壁面施工方法
EP0495824B1 (en) Building wall construction
KR960001027Y1 (ko) 건축 내외장판재의 부착설치를 위한 시공 구조물
US5722176A (en) Brick alignment apparatus
KR950008947Y1 (ko) 천정 판재 조립구
KR100422090B1 (ko) 거푸집 고정대
KR20020072363A (ko)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KR970000177Y1 (ko) 천정판 고정장치
KR200371472Y1 (ko) 외측면에 패널고정철물을 구비한 건축물의 벽체 마감 패널
JP2502915B2 (ja) 建築用足場の固定方法
KR200194928Y1 (ko) 천정재 부착 구조
KR200353133Y1 (ko) 조립식 구조물용 엠링크
KR100462148B1 (ko) 천장틀
JP2005314881A (ja) 足場つなぎ用金具
JPH0473371A (ja) 住宅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