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801Y1 -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801Y1
KR200236801Y1 KR2020010006843U KR20010006843U KR200236801Y1 KR 200236801 Y1 KR200236801 Y1 KR 200236801Y1 KR 2020010006843 U KR2020010006843 U KR 2020010006843U KR 20010006843 U KR20010006843 U KR 20010006843U KR 200236801 Y1 KR200236801 Y1 KR 200236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ortion
frame
support
ben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규문
Original Assignee
정규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문 filed Critical 정규문
Priority to KR2020010006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8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801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 외벽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단열효과를 제공하는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구조를 간단하게 형성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면서 조립공정의 간소화 및 편리성 그리고 공기(工期)의 단축으로 경제성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벽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는 'L' 형상의 지지프레임의 수평부의 중앙에는 볼트가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에 의해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L' 형상의 고정프레임의 수직부는 상측 일측방향 또는 상하로 어긋나게 양측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절곡선으로부터 또는 직선 상으로 연장된 직선면 끝단이 뾰쪽하게 형성되는 지지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단열판과 단열판 사이에 줄눈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고정프레임의 수평부 양측에 형성되는 받침부와, 고정프레임의 수평부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고정프레임의 수평부 양측 후방에 하향 절곡형성되는 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FIXED MEMBER OF FACE INSULATING BOARD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물의 단열 및 장식을 위하여 벽체 외벽에 설치하는 건축용 단열판을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구의 구조를 개량하여 설치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체는 장식을 위하여 벽돌 또는 대리석 등을 쌓거나 부착하는 방법과, 폴리우레탄 폼 또는 스치로폼 등의 단열재(81)에 보강메시와 몰탈(82)그리고 외장재(83)를 접합하여 일체로 형성한 단열판을 외벽에 부착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상기 방법 중 후자 단열판의 사용이 건물의 단열 및 장식의 효과가 양호하여 점차 건축물의 외장재로서 사용이 급증되는 현실이며, 상기 단열판을 벽의 외부에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고정구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종래의 고정구는 도 1a 및 1b에서와 벽(9)에 앵커볼트(3')로 고정되며 수직부(12) 또는 수평부(13) 중앙에 각각 장공(11,11')이 천공된 'L' 형상의 지지프레임(1)과, 상기 지지프레임(1)에 고정되며 수평부(23) 중앙에 장공(21)이 천공된 수직부(22)를 가지는 'L' 형상의 고정프레임(2) 및 이들을 결합시키는 볼트(3)및 너트(4) 그리고 줄눈(10) 간격을 유지시키는 블록(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고정구는 지지프레임(1)의 장공(11)을 이용하여 벽(9)에 앵커볼트(3')로 부착시킨 다음 벽(9)의 상,하단에는 하나의 고정프레임(2)을 그 외의 부분에는 두 개의 고정프레임(2)을 상하로 대응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2)의 장공(21)과 상기 지지프레임(1)의 장공(11')을 일치시키면서 볼트(3) 및 너트(4)를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고정프레임(2)의 수평부(23)에 블록(7)을 얹은 다음 단열판(8)의 하부를 상기 상향으로 배치된 고정 프레임(2)의 수직부(22)에 꽂아서 끼워 얹히고 단열판(8)의 상부는 하향으로 배치된 고정프레임(2)의 수직부(22)에 꽂혀 수직상태를 유지시키는 과정을 통하여 벽체를 구성한 후 각 단열판(8) 사이에 줄눈(10)으로 마감하여 상호 접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고정구는 벽(9)을 구성하기 위하여 여러 장의 단열판(8)을 상하좌우로 연속하여 배열 부착시키는 과정에서 상부 및 하부를 제외한 곳에는 두 개의 고정프레임(2)이 필요하므로 생산원가의 상승 및 조립이 어렵고, 이들 두 개의 고정프레임(2)을 체결할 때 볼트(3) 및 너트(4)와 함께 파지하기가 어려워 설치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고정프레임(2), 볼트(3), 너트(4) 및 줄눈(10) 그리고 이들을 체결하는 공구 등 많은 부품을 소지하면서 시공 및 이동함으로써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단열판(8)의 상부 및 하부에 꽂히는 고정프레임(2)의 수직부(22)는 직사각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단열판(8)을 찔러 넣을 때 폴리우레탄 폼 또는 스치로폼의 단열재(81)가 파손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선행 작업으로 찔러 넣을 자리에 칼등으로 파낸 후 설치하게 되는 불편과 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구의 지지프레임에 고정프레임을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하나의 고정부재의 수직부에는 단열판의 상하부분을 동시에 꽂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평부에는 줄눈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하여 부품 수를 줄이고 설치 공정을 편리하게 하는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프레임의 수평부의 측면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에 볼트로서 체결할 때에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b는 종래 고정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설치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 실시예의 고정구 지지편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단열판을 벽에 부착하는 상태를 일부 생략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고정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 실시예의 고정구 지지편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 및 도 6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단열판을 벽에 부착하는 상태를 일부 생략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8a,b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고정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8c는 도 8a 실시예의 고정구 지지편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a 고정구를 이용하여 단열판을 벽에 부착하는 상태를 일부 생략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0a,b,c,d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들의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프레임 2 : 고정프레임
3 : 볼트 3' : 앵커볼트
4 : 너트 8 : 단열판
9 : 벽 10 : 줄눈
12, 22 : 수직부 14 : 암나사
13, 23 : 수평부 24 : 받침부
25 : 지지편 26 : 절곡선
27 : 직선면 28 : 걸림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벽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며 중앙에 장공이 천공된 수직부 및 수평부를 가지는 'L' 형상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며 중앙에 장공이 천공된 수평부 및 수직부를 가지는 'L' 형상의 고정프레임 그리고 이들을 결합시키는 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수직부에 단열판을 꽂아 설치하는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수평부의 중앙에는 상기 볼트가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의 수직부는 상측 일측 방향 또는 상하로 어긋나게 양측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절곡선으로부터 또는 직선 상으로 연장된 직선면 끝단이 뾰쪽하게 형성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줄눈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고정프레임의 수평부 양측에 형성되는 받침부와, 고정프레임의 수평부에 고정되는 지지프레임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고정프레임의 수평부 양측 후방에 하향 절곡형성되는 걸림편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로서, 부호 1은 지지프레임, 2는 고정프레임이며, 이들은 도 4에서와 같이 벽(9)에 상기 지지프레임(1)이 앵커볼트(3')로 고정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에 고정프레임(2)을 볼트(3)로 체결한 후 고정프레임(2)에 단열판(8)의 상하면을 꽂아서 단열판(8)들을 상하좌우로 배열시킨 후 단열판(8)들 사이에 줄눈(10)을 넣을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면서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1)은 'L' 형상을 이루면서 벽(9)에 접하여 고정되는 수직부(12)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앵커볼트(3')의 축부가 관통되고 머리부가 걸리도록 장공(11)이 천공되며, 직교되는 수평부(13)의 중앙에는 상기 볼트(3)가 체결되도록 암나사(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은 'L'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지지프레임(1)의 수평부(13)에 접하여 고정되는 수평부(23)의 중앙에는 볼트(3)의 축부가 관통되고 머리부가 걸리도록 장공(21)이 천공된다. 또 상기 수평부(23)와 직교되는 수직부(22)는 도 4에서와 같이 단열판(8)과 단열판(8) 사이에 배치될 경우 동시에 지지하여야 함으로써 상하로 어긋나게 양측방향으로 절곡형성하여 지지편(25)을 형성하게 되고, 상측 또는 하측 단열판(8)에 배치되어 지지하고자 할 때에는 일측 방향으로 지지편(25)을 형성하되 절곡선(26)으로부터 끝단이 삼각형태로 뾰쪽하게 형성하게 된다.
상기 고정프레임(2)의 수평부(23)는 벽(9)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프레임(1)의 수평부(13)에 접하여 장공(21)으로 관통되는 볼트(3)의 나사부가 수평부(13)의 암나사(14)에 체결되면서 볼트(3)에 의하여 용이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상태에서 줄눈(10)을 넣기 위한 공간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블록(7)을 고정프레임(2)의 수평부(23)에 개재하게 되며, 이어서 지지프레임(2)의 뾰쪽한 지지편(25)에 단열판(8)의 폴리우레탄 폼 또는 스치로폼의 단열재(81) 부분을 찔러 넣어 상면 및/또는 하면이 접하도록 결합시켜 지지하게 된다.
상기 설치작업에서 볼트(3)가 체결되는 암나사(14)가 지지프레임(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너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체결이 간편하고, 지지프레임(2)의 일 방향 또는 상하로 형성된 지지편(25)의 끝단이 뾰쪽하여 단열판(8)을 찔러 넣을 때 파손이 없이 용이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의 지지편(25)이 상하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때에는 벽(9) 외측에 부착되는 단열판(8)중 상단 및 하단을 제외한 부분에서 상하에 위치되는 두 장의 단열판(8)을 하나의 지지프레임(2)으로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공정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부품 수를 줄이는 이중의 효과를 얻게 된다.
(실시예 2)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 1에서 단열판(8) 사이의 줄눈(10)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블록(7)을 대체하기 위하여 도 5,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2)의 수평부(23) 개방단부 양측에는 수직으로 소정 높이상향 절곡하여 연장시키고, 연이어 수평으로 내향 절곡시켜 줄눈(10)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받침부(24)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24)의 높이는 줄눈(10)의 공간 설정에 따라 5mm 이상으로 설계에 따라 성형하게된다. 또 받침부(24)는 밴딩머신에서 절곡하기 편리하도록 지지편(25)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시켜 지지프레임(2)의 양측면 중앙부분에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프레임(2)의 양측면 전체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받침부(24)가 지지프레임(2)의 양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블록(7)의 준비 및 얹는 공정이 불필요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부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실시예 3)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8a,b 및 도 9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1)에 고정프레임(2)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많은 후 볼트(3)로서 체결할 때 고정프레임(2)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프레임(2)의 수평부(23) 양측 후방에 상기 지지프레임(1)의 수평부(13) 양측면에 끼워져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소정 높이로 하향 절곡형성되는 걸림편(28)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걸림편(28)의 높이는 지지프레임(1)의 두께와 동일 또는 조금 크게형성되어 도 8b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1)의 양측면에 접하면 좌우의 이동이 없도록 고정시키게되므로 고정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받침부(24)가 일체로 형성된 실시예 2의 고정프레임(2)에 걸림편(28)이 형성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받침부(24)가 없는 실시예 1의 고정프레임(2)(미도시)에도 걸림편(28)을 형성하여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실시예 4)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고정프레임(2)의 수직부(22)에 형성되는 지지편(25)을 도 8a, 8c에서와 같이 고정프레임(2)의 절곡선(26)으로부터 소정 높이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직선면(27)을 형성하며, 그 상부 끝단만이 뾰쪽하게 형성되도록 형성하여 단열판(8)에 더욱 깊숙이 꽂혀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지지편(25)의 끝단이 삼각형상으로 뾰쪽하게 형성하고 있으나 도 10a에서와 같이 끝단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일측을 뾰쪽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일측 또는 상하로 형성되는 지지편(25)의 수량이 일측에 3개 또는 상하로 각 3개씩 엇갈리게 대응하도록 형성되었으나, 도 10b, 10c 10d에서와 같이 상하로 엇갈리에 형성하되 서로 수량을 달리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수량에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단열판(8)의 크기 및 무게의 변화에 따라 그 수량 및 길이를 증감시켜 단열판(8)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고정구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공정의 간소화 및 편리성을 이룰 수 있는 것으로서, 지지프레임의 수평부에 암나사를 일체로 형성시킴으로써 고정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볼트의 체결이 용이하며, 수직부의 뾰쪽한 지지편에 의하여 단열판의 파손방지 및 꽂는 작업이 용이한 것이다.
또한, 고정프레임의 수평부 양측면에 받침부를 일체로 절곡형성시킴으로써 종래와 같이 블록이 불필요하여 부품 수의 감소로 원가의 절감, 공정의 간소화로인건비 절감 그리고 공기(工期)의 단축을 이를 수 있어 매우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정프레임의 수평부 양측면 후방에 걸림편을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프레임에 고정될 때 유동이 없도록 함으로써 더욱 체결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건축물의 벽(9)에 앵커볼트(3')에 의해 고정 부착되며, 중앙 부위에 장공(11,11')이 각각 천공되어 있는 수직부(12) 및 수평부(13)를 가지는 'L' 형상의 지지프레임(1)과, 상기 지지프레임(1)에 면접촉 고정되며 상기 수평부(13)에 천공된 장공(11')에 대응되는 중앙 부위에 장공(21)이 천공된 수평부(23) 및 상기 수평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수직부(22)를 가지는 'L'형상의 고정프레임(2)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수평부(13)에 천공된 장공(11')과 상기 고정프레임(2)의 수평부(23)에 천공된 장공(21)을 관통하여 이들을 결합시키는 볼트(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의 수평부(13)의 중앙에는 상기 장공(11') 대신에 상기 볼트(3)가 체결되는 암나사(1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의 수직부(22)는 상하로 어긋나게 절곡되고 절곡선(26)으로부터 끝단이 뾰쪽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편(2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지지편(25)이 일측방향으로만 절곡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지지편(25)은 절곡선(26)으로부터 소정 높이까지는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직선면(28)을 형성하고 그 상부 끝단만이 뾰쪽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
    상기 고정프레임(2)의 수평부(23) 의 개방단부 양측에는 수직으로 소정 높이상향 절곡 연장되고 연이어 수평으로 내향 절곡되어 줄눈(10)의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받침부(24)가 더욱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단열판의 고정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의 수평부(23) 양측 후방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의 수평부(13) 양측면에 끼워져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소정 높이로 하향 절곡 형성되는 걸림편(28)이 더욱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KR2020010006843U 2001-03-13 2001-03-13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KR200236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43U KR200236801Y1 (ko) 2001-03-13 2001-03-13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843U KR200236801Y1 (ko) 2001-03-13 2001-03-13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227A Division KR20020072363A (ko) 2001-03-09 2001-03-09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801Y1 true KR200236801Y1 (ko) 2001-10-08

Family

ID=7309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843U KR200236801Y1 (ko) 2001-03-13 2001-03-13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8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132B1 (ko) 2009-04-03 2009-08-06 대보하우징 주식회사 연결브라켓 이용한 건물외단열 시공구조
KR102312090B1 (ko) 2021-02-10 2021-10-12 조성원 석재 무늬를 가지는 외벽 단열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132B1 (ko) 2009-04-03 2009-08-06 대보하우징 주식회사 연결브라켓 이용한 건물외단열 시공구조
KR102312090B1 (ko) 2021-02-10 2021-10-12 조성원 석재 무늬를 가지는 외벽 단열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49352A1 (ja) 建築用ブラケット、建物壁構造、および板材施工方法
WO2000070163A1 (en) Surface mounted grid system
JP6301587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JPH02129536U (ko)
KR200236801Y1 (ko)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KR20020072363A (ko) 건축용 외장 단열판의 고정구
KR200358585Y1 (ko)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CN113482266B (zh) 墙砖安装系统
JP6181398B2 (ja)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KR101532709B1 (ko) 치장벽돌 고정용 단열 앵커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174504Y1 (ko) 건축물의 벽판재 부착용 철물
KR200175230Y1 (ko) 콘크리트 옹벽의 치장벽돌 조적구조
CN215829712U (zh) 墙体、挂板栓接体系
CN214272759U (zh) 销挂连接件、挂板销挂组件
KR200351243Y1 (ko) 비드 고정용 브라켓트
KR102576034B1 (ko) 외벽 패널 조립 구조
JPH078685Y2 (ja) 天井パネル用下地材の結合構造
KR200400388Y1 (ko) 시공성이 우수한 방수턱 거푸집용 받침부재
KR20030023315A (ko)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KR20000074520A (ko)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KR200358564Y1 (ko) 건축용 마감재 조립체
KR200332955Y1 (ko) 마감패널 부착용 고정바의 연결구
KR200258316Y1 (ko) 건축물의 단열재 고정구
KR200317010Y1 (ko) 천정 마감패널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