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4179A -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4179A
KR20050044179A KR1020030078768A KR20030078768A KR20050044179A KR 20050044179 A KR20050044179 A KR 20050044179A KR 1020030078768 A KR1020030078768 A KR 1020030078768A KR 20030078768 A KR20030078768 A KR 20030078768A KR 20050044179 A KR20050044179 A KR 20050044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folder
speaker
terminal folder
s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720B1 (ko
Inventor
황시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7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4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4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단말기 폴더의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 폴더를 선회시키는 선회 기구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폴더 내에 단말기 폴더의 전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전후 양방향으로 각각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양면 스피커와; 상기 단말기 폴더의 선회(swivel) 여부를 감지하는 선회 감지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단말기 폴더가 선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양면 스피커 중 상기 단말기 폴더의 후면을 향하는 스피커에 의하여 작은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단말기 폴더가 180°선회된 상태에서는 상기 양면 스피커 중 상기 단말기 폴더의 전면을 향하는 스피커에 의하여 큰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간편하게 스피커를 통하여 나오는 음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며, 단면 스피커를 적용함에 따른 상대방 음성의 왜곡 등을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상대방 음성을 명료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2-WAY SPEAKER APPARATUS IN FOLDER TYPE MOBILE PHONE}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간편하게 스피커폰으로 전환하도록 음량이 조절되는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무선의 음성 통신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나,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과 함께 보다 개선된 높은 음질을 갖는 벨소리를 찾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고, 그 기능 영역이 다양화됨에 따른 멀티미디어 등의 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음질을 개선한 스피커가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 내지 도4는 종래의 단면 스피커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1은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4는 도1의 스피커로부터의 음파 진행 경로를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와, 단말기 본체(10)를 개폐하는 단말기 폴더(20)와, 단말기 본체(10)에 대하여 단말기 폴더(20)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고정하는 힌지부(30)와, 피사체의 상을 촬영하는 회전형 카메라(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본체(10)는 그 상면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된 키패드(11)와, 휴대 단말기의 통신 제어 등을 위하여 형성된 회로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본체 케이스(12)와, 본체 케이스(12)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충방전되는 배터리(13)와, 통화시 상대방에게 음성을 송신하도록 마이크로 형성된 송화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폴더(20)는 각종 정보를 화상으로 표시하는 액정 화면(21)과, 액정 화면(21)을 감싸도록 형성된 폴더 케이스(22)와, 통화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부터 변환하는 스피커(23)와, 스피커(23)로부터의 상대방 음성을 전달하는 수화부(24)와, 단말기 폴더(20)의 전면에 관통 형성된 음파 전달공(25)과, 단말기 폴더(20) 전면에 형성된 휴대 단말기의 기본 정보를 표시하는 보조 액정 화면(24)을 구비한다.
여기서, 단말기 폴더(20)의 폴더 케이스(22) 내에 내장된 스피커(23)로부터의 음파가 외부로 원활히 전달되기 위하여 스피커(23)로부터 외부에 이르는 음파 전달 경로상에 위치한 폴더 케이스(22)에 음파 전달공(25)이 형성되어, 스피커(23)로부터의 음파가 외부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형 카메라(40)는 피사체의 상을 모으는 카메라 렌즈(41)와,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고 손가락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 원통(42)을 구비한다.
종래의 스피커를 장착한 휴대 단말기는 폴더 케이스(22)에 음파 전달공(25)을 구비하여 폴더 케이스(22)에 내장된 스피커(23)로부터 휴대 단말기의 외부에까지 원활히 음파가 전달되어 벨소리 인식에 유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스피커(23)가 단말기 폴더(20)의 전면을 향하도록 위치하여 휴대 단말기가 닫혀있는 상태나 열린 상태에 관계없이 도면번호 50에 표시된 음파 경로를 따라 항상 한 방향으로만 음파가 진행되므로, 단말기 폴더(20)를 연 상태에서의 통화시 스피커(23)가 사용자의 위치로부터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상대방의 음성이 작게 들리고 음의 왜곡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휴대 단말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간편하게 스피커폰으로 전환하도록 음량이 조절되고, 단면(單面) 스피커를 적용한 경우에 발생하는 상대방 음성의 왜곡 등을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상대방 음성을 명료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를 개폐하는 단말기 폴더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 폴더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단말기 폴더의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 폴더를 선회시키는 선회 기구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폴더 내에 상기 단말기 폴더의 전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전후 양방향으로 각각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양면 스피커와; 상기 단말기 폴더의 선회(swivel) 여부를 감지하는 선회 감지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단말기 폴더가 선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양면 스피커 중 상기 단말기 폴더의 후면을 향하는 스피커에 의하여 작은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단말기 폴더가 180°선회된 상태에서는 상기 양면 스피커 중 상기 단말기 폴더의 전면을 향하는 스피커에 의하여 큰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가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 명료하게 상대방의 음성을 인지하기 용이하도록 휴대 단말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간편하게 스피커폰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무의식중에 수화부 또는 음파 전달공에 귀를 가져간 상태에서 큰 음량의 음향이 출력될 경우 사용자의 고막이 손상될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 폴더가 5°를 초과하여 175°미만의 각만큼 선회된 경우에는 작은 음량으로 출력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회 감지 기구는, 상기 단말기 폴더의 일측 하단부에 내설된 N극, S극을 각각 감지하는 자기 감지 센서와; 상기 힌지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 N극 영구 자석과 S극 영구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며, 상기 단말기 폴더의 일측 하단부에 내설된 자기 감지 센서와; 상기 힌지부의 타측에 고정 설치된 영구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폴더가 180°선회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양면 스피커 중 상기 단말기 폴더의 후면을 향하는 스피커에 의하여 큰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지령하는 음량 조절 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사용자 편의상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동일 상당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5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스피커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7은 도5의 선회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도5의 단말기 폴더의 선회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9는 도5의 스피커의 음량 조절 및 작동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스피커 장치가 장착된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회로부를 내장한 단말기 본체(110)와, 단말기 본체(110)를 개폐하는 단말기 폴더(120)와,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단말기 폴더(120)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130)와, 단말기 폴더(120)의 길이 방향의 축(120a)을 중심으로 단말기 폴더(120)를 선회시키는 선회 기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본체(110)는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회로부를 감싸도록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된 본체 케이스(111)와, 각종 정보를 입력하도록 단말기 본체(110)의 전면에 형성된 키패드(112)와, 사용자의 음성을 상대방에게 전송하도록 마이크로 형성된 송화부(113)와,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단말기 본체(11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 배터리(114)와, 양면 스피커(123)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음량 조절 버튼(115)을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 폴더(120)는, 다양한 정보 및 상대방의 모습을 화상으로 표시하는 액정 화면(121)과, 액정 화면(121)을 감싸도록 사출 성형된 폴더 케이스(122)와,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전환시키고 단말기 폴더(120)의 전후 방향을 향하여 각각 음향을 출력할 수 있도록 단말기 폴더(120) 내부에 설치된 양면 스피커(123)와, 사용자가 귀를 대고 통화하는 경우에 양면 스피커(123)의 후면 스피커(123b)로부터 음성이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폴더 케이스(122)의 배면에 관통 형성된 수화부(124)와, 벨소리가 울리거나 높은 음량으로 통화하는 경우에 폴더 케이스(122)의 전면에 전면 스피커(123a)로부터 음향이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폴더 케이스(122)의 전면에 관통 형성된 음파 전달공(125)과, 단말기 폴더(120)의 선회 여부를 감지하도록 단말기 폴더(120)의 일측 하단부에 내설되어 N극과 S극을 각각 감지하는 자기 감지 센서(1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양면 스피커(123)는 영구 자석 끝에 설치한 코일부(123c)에 음성 전류를 흘려 보내어 코일 사이에 있는 철편을 진동시키고 이 진동을 레버에 의해 전면 스피커(123a) 및 후면 스피커(123b)의 진동판에 전달하여 소리를 방사하는 전자기형 스피커로서, 주로 전면 스피커(123a)는 고음량으로 출력하며, 후면 스피커(123b)는 저음량으로 출력한다.
상기 힌지부(130)는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단말기 폴더(120)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는 N극 영구 자석(131)이 타측에는 S극 영구 자석(132)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선회 기구(14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30) 사이에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141)과, 캠돌기(149b)와 접촉하면서 고정 프레임(141)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캠홀더(149)와, 단말기 폴더(120)와 고정되는 고정공(148a)을 구비한 폴더 고정부(148)와, 고정 너트(145)와 캠홀더(149) 사이에 설치되어 캠홀더(149)를 하방(下方)으로 하중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1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설치 기둥(143)은 중공부로 형성되고 설치 기둥(143)의 저면(低面)도 연속하여 관통 형성되어, 단말기 본체(110)와 단말기 폴더(120)를 연결하는 신호선(150)은 관통부를 통과하여 단말기 본체(110)와 단말기 폴더(120) 상호간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캠홀더(149)의 선회에 따라 신호선(150)이 일정량 움직일 여유를 갖도록 고정 프레임(141) 하부에서 한바퀴 꼬인 상태(150a)로 단말기 본체(110)와 단말기 폴더(120)를 연결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42는 선회 기구(140)의 고정 프레임(141)을 단말기 본체(110)에 고정하도록 형성된 관통공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 원리를 상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사용자가 사용 용도에 따라 스피커를 통하여 나오는 음량을 간편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부(124)에 귀를 대고 사용자가 통화하는 일반적인 경우에는, 단말기 폴더(120)는 선회되지 않은 상태로 있게 되어 단말기 폴더(120)의 일측 하단부에 내설된 자기 감지 센서(126)는 힌지부(13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N극 영구 자석(131)을 감지하게 되고, N극을 감지했다는 신호는 단말기 본체(110)에 내장된 회로부 중 오디오 회로부에 전송되어 신호선(150)을 통하여 양면 스피커(123)의 후면 스피커(123b)를 통하여 저음량으로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소음이 심한 장소나 기타 사용자의 필요로 하여 스피커폰과 같이 사용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단말기 폴더(120)를 180°만큼 선회시키면 자기 감지 센서(126)는 힌지부(130)의 타측에 고정 설치된 S극 영구 자석(132)을 감지하게 되고, S극을 감지했다는 신호는 단말기 본체(110)에 내장된 회로부 중 오디오 회로부에 전송되어 신호선(150)을 통하여 양면 스피커(123)의 전면 스피커(123a)를 통하여 고음량으로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여 스피커 폰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단말기 폴더(120)의 선회되는 각도가 약 5°를 초과하여 175°미만의 각만큼 선회되어 자기 감지 센서(126)가 영구 자석(131,132)의 자기장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화부(124) 또는 음파 전달공(125)에 습관적으로 귀를 대어 통화를 하려다가 갑작스런 큰 음량의 음성이 출력되어 사용자의 고막 손상 등의 위험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기 감지 센서(126)가 영구 자석(131,132)의 자기장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불측의 위험을 방지하도록 후면 스피커(123b)를 통하여 저음량으로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회로부에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단말기 폴더(120)가 선회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수화부(124)를 통하여 큰 음량으로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단말기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음량 조절 버튼(115)을 조작함으로써 상기와 동일한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단말기 폴더(120)의 선회를 감지하는 기구는 N극 및 S극을 각각 감지하는 자기 감지 센서(126)와 힌지부 양측에 고정 설치된 N극 영구 자석(131)과 S극 영구 자석(132)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제조 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N극과 S극을 각각 감지하지 않고 자기장만을 감지하는 모노 타입의 자기 감지 센서(126)와, 힌지부(130)의 타측에 영구 자석을 설치함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자기 감지 센서(126)가 180°만큼 선회되지 않아 자기장을 감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양면 스피커(123)의 후면 스피커(123b)를 통하여 저음량으로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고, 자기 감지 센서(126)가 180°만큼 선회되어 자기장을 감지한 경우에만 양면 스피커(123)의 전면 스피커(123a)를 통하여 고음량으로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도록 함에 의하여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 폴더의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 폴더를 선회시키는 선회 기구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 폴더 내에 단말기 폴더의 전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전후 양방향으로 각각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양면 스피커와; 상기 단말기 폴더의 선회(swivel) 여부를 감지하는 선회 감지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단말기 폴더가 선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양면 스피커 중 상기 단말기 폴더의 후면을 향하는 스피커에 의하여 작은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단말기 폴더가 180°선회된 상태에서는 상기 양면 스피커 중 상기 단말기 폴더의 전면을 향하는 스피커에 의하여 큰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간편하게 스피커를 통하여 나오는 음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며, 단면 스피커를 적용함에 따른 상대방 음성의 왜곡 등을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상대방 음성을 명료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를 제공한다.
도1 내지 도4는 종래의 단면 스피커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1은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2의 절단선 Ⅲ-Ⅲ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4는 도1의 스피커로부터의 음파 진행 경로를 도시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5 내지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면 스피커가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절단선 Ⅵ-Ⅵ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7은 도5의 선회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도5의 단말기 폴더의 선회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9는 도5의 스피커의 음량 조절 및 작동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단말기 본체 120: 단말기 폴더
122: 폴더 케이스 123: 양면 스피커
123a: 전면 스피커 123b: 후면 스피커
124: 수화부 125: 음파 전달공
126: 자기 감지 센서 131: N극 영구 자석
132: S극 영구 자석

Claims (5)

  1. 단말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본체를 개폐하는 단말기 폴더와,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 폴더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부와, 상기 단말기 폴더의 길이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단말기 폴더를 선회시키는 선회 기구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폴더 내에 상기 단말기 폴더의 전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전후 양방향으로 각각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양면 스피커와;
    상기 단말기 폴더의 선회(swivel) 여부를 감지하는 선회 감지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단말기 폴더가 선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양면 스피커 중 상기 단말기 폴더의 후면을 향하는 스피커에 의하여 작은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단말기 폴더가 180°선회된 상태에서는 상기 양면 스피커 중 상기 단말기 폴더의 전면을 향하는 스피커에 의하여 큰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폴더가 5°를 초과하여 175°미만의 각만큼 선회된 경우에는 작은 음량으로 출력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감지 기구는,
    상기 단말기 폴더의 일측 하단부에 내설된 N극, S극을 각각 감지하는 자기 감지 센서와;
    상기 힌지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 N극 영구 자석과 S극 영구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감지 기구는,
    상기 단말기 폴더의 일측 하단부에 내설된 자기 감지 센서와;
    상기 힌지부의 타측에 고정 설치된 영구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폴더가 180°선회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양면 스피커 중 상기 단말기 폴더의 후면을 향하는 스피커에 의하여 큰 음량으로 출력하도록 지령하는 음량 조절 버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KR1020030078768A 2003-11-07 2003-11-07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KR100608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768A KR100608720B1 (ko) 2003-11-07 2003-11-07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768A KR100608720B1 (ko) 2003-11-07 2003-11-07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4179A true KR20050044179A (ko) 2005-05-12
KR100608720B1 KR100608720B1 (ko) 2006-08-04

Family

ID=3724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768A KR100608720B1 (ko) 2003-11-07 2003-11-07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7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479B1 (ko) * 2005-10-17 2007-06-12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소정의 소음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사운드크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KR101160359B1 (ko) * 2005-11-08 2012-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CN109005261A (zh) * 2018-08-16 2018-12-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的通话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479B1 (ko) * 2005-10-17 2007-06-12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소정의 소음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통신 단말기의 사운드크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통신 단말기
KR101160359B1 (ko) * 2005-11-08 2012-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부의 사용 방향에 따라 스피커 사용이 가변적인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CN109005261A (zh) * 2018-08-16 2018-12-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的通话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720B1 (ko) 2006-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1900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single output audio transducer
JPH08214050A (ja) 無線電話ヘッドセット
EP1473910A2 (en)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WO2004066599A1 (ja) 耳装着型の通話装置
KR100754681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촬영 모드 감지 방법
KR20120012607A (ko) 착탈 가능한 블루투스 헤드셋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2541736A (ja) 無線通信装置用の聴取保護
JP2003169115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WO2003105450A1 (ja) 折畳式携帯電話機
JP2003125047A (ja) 携帯端末装置
JP3266132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1268187A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の呼出音の鳴動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608720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양면 스피커 장치
KR20020014143A (ko) 외장 액세서리가 착탈가능한 휴대폰
JP4393750B2 (ja) 開閉式携帯端末装置
KR1005757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형 스피커 및 카메라 통합 장치
JP4440289B2 (ja) 開閉式携帯端末装置
JP2001309002A (ja) 携帯型移動通信端末
KR1005843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팝 업 타입 스피커/마이크 장치
KR10054839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JP2003284015A (ja) 携帯電話機
JP2001285428A (ja) 携帯電話機
JP2003143281A (ja) 携帯電話機
JP2007201653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4335739A (ja) 携帯型無線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