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118A -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2118A
KR20050042118A KR1020050030554A KR20050030554A KR20050042118A KR 20050042118 A KR20050042118 A KR 20050042118A KR 1020050030554 A KR1020050030554 A KR 1020050030554A KR 20050030554 A KR20050030554 A KR 20050030554A KR 20050042118 A KR20050042118 A KR 20050042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ose
plug
ma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2696B1 (ko
Inventor
고영호
Original Assignee
고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호 filed Critical 고영호
Priority to KR1020050030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2696B1/ko
Publication of KR2005004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2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2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된 호스의 끝단부를 상기 매트의 끝단부와 일치하도록 절단하여 호스가 매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이 호스의 끝단부에 플러그를 설치하되, 상기 플러그에는 온수공급장치와 연결된 호스를 원터치방식으로 착탈되는 소켓을 설치함에 따라 매트와 온수공급장치가 연결된 온수호스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상기 플러그와 소켓을 분리시에도 호스 내부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호스가 매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수호스가 매트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온수호스에 세팅된 온도를 유지하는 온수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가 구비된 온수매트에 있어서, 상기 온수호스의 끝단부를 상기 매트의 끝단부와 일치하도록 절단하여 온수호스가 매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하고, 상기 온수호스의 끝단부에는 온수공급장치와 연결된 온수호스를 원터치방식으로 착탈되는 플러그가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가 설치된 매트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보호하는 보호캡이 설치되고, 상기 온수공급장치에 연결된 온수호스의 끝단부에는 상기 플러그와 원터치방식으로 착탈되는 소켓이 설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hose of hot-water mat}
본 발명은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된 호스의 끝단부를 상기 매트의 끝단부와 일치하도록 절단하여 호스가 매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이 호스의 끝단부에 플러그를 설치하되, 상기 플러그에는 온수공급장치와 연결된 호스를 원터치방식으로 착탈되는 소켓을 설치함에 따라 매트와 온수공급장치가 연결된 온수호스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상기 플러그와 소켓을 분리시에도 호스 내부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호스가 매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에 많이 사용되는 전기장판은 실내의 전체 난방을 피하고 국부적으로 난방을 하거나, 보온유지를 하기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시간 내에 보온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지닌 것으로 일반적으로 대중화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해오고 있는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는 그것이 갖는 전기적 특성으로 인하여 유해 전자파가 발생되어 그 전자파가 인체에 매우 해를 주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 연구기관에서 학술적으로 밝혀져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춘 전기장판과 그 유사한 용품이 시판되어 오기도 하였으나, 유해 전자파에 대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거나, 차단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등 그 개선 효과가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전기를 열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난방하는 전기장판 기능과는 다른 방식으로, 고온의 물에서 발산하는 열 에너지를 난방의 주 열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유해 전자파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등 인체에 전혀 무해하다는 장점을 지닌 온수매트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온수매트는 가열히터에서 1차 물을 데우면 고온의 물이 되고 그 물이 호스 내부를 순환하여 매트를 통해 열을 방출 후 저온으로 되돌아오는 방식으로 유해 전자파를 발생하는 전열선 대신에 고온의 물을 사용하므로 전혀 유해 전자파의 방출이 없을 뿐만 아니라, 낮은 전력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자동차의 배터리 혹은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옥외에서도 휴대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성이 있음으로 인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즉, 도 1은 종래의 온수매트를 도시한 것으로서, 다수의 쿠션재가 적층 및 봉합되어 이루어진 매트(8) 내부에는 온수의 순환경로를 갖는 온수호스(7a)(7b)가 일정한 간격으로 매설되고, 상기 온수호스(7a)(7b)는 일정 길이 만큼 매트(8)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 온수호스(7a)(7b)의 종단부에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금속 재질의 연결너트(6a)(6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호스(7a)(7b)를 통해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10)의 일측에는 외측에 나사난이 형성되어 연결너트(6a)(6b)와 결합되는 금속 재질의 유입구(4) 및 배출구(5)가 설치되며, 상기 온수공급장치(10)는 내장된 콘트롤러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구성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종래의 온수매트는 온수공급장치(10)와 매트(8)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 온수호스(7a)(7b)가 매트(8) 외부로 일정한 길이 만큼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매트(8)를 이동하거나, 청소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온수호스(7a)(7b)와 온수공급장치(10)를 서로 분리한 상태에서 매트(8)를 이동시켜야 하나, 이럴 경우 상기 매트(8) 외부에 노출된 호스까지 함께 이동하여야 하므로 무게의 가중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될 뿐만 아니라, 특히 이동시 매트(8) 내부에 설치된 온수호스(7a)(7b)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온수호스(7a)(7b)와 온수공급장치(10)를 서로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해서는 금속재질의 연결너트(6a)(6b)를 유입구(4) 및 배출구(5)에 나사체결로서 연결 및 분리하도록 되어 있으나, 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온수호스(7a)(7b)와 온수공급장치(10)의 분리시 인체에 화상을 입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하기 위해 매트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된 호스의 끝단부를 상기 매트의 끝단부와 일치하도록 절단하여 호스가 매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이 호스의 끝단부에 플러그를 설치하되, 상기 플러그에는 온수공급장치와 연결된 호스를 원터치방식으로 착탈되는 소켓을 설치함에 따라 매트와 온수공급장치가 연결된 온수호스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상기 플러그와 소켓을 분리시에도 호스 내부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호스가 매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온수호스가 매트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온수호스에 세팅된 온도를 유지하는 온수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가 구비된 온수매트에 있어서, 상기 온수호스의 끝단부를 상기 매트의 끝단부와 일치하도록 절단하여 온수호스가 매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하고, 상기 온수호스의 끝단부에는 온수공급장치와 연결된 온수호스를 원터치방식으로 착탈되는 플러그가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가 설치된 매트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보호하는 보호캡이 설치되고, 상기 온수공급장치에 연결된 온수호스의 끝단부에는 상기 플러그와 원터치방식으로 착탈되는 소켓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호스연결구의 결합단면도이며, 도 4는 도3에 도시된 호스연결구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5의 (가), (나)는 도 4에 도시된 호스연결구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호스연결구(100)는 매트(8)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온수호스(7a)(7b)의 끝단부에 연결되는 플러그(110)와, 상기 플러그(110)에 원터치방식으로 착탈되고 온수공급장치(10)에 연결된 온수호스(7a)(7b)와 결합되는 소켓(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110)는 매트(8) 상면에 설치된 보호캡(9)에 의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110)는 전후방이 관통된 관체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작동공간(116)을 형성한 플러그몸체(111)의 후방에 호스삽입관부(11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플러그몸체(111)의 전방에는 선단부 외주연에 패킹(113)이 삽입되고 후단부 외주연에 걸림홈(114)이 형성된 삽입관부(115)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관부(115)의 내부에는 폐쇄된 후단부 외주연에 패킹(117)이 삽입되고 패킹(117) 전방측 관체부분의 사방에 통공(118)을 형성한 내부관(119)을 삽입 설치하되, 이 내부관(119)의 후단부는 플러그몸체(111)의 작동공간(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에 스프링(120)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선단부는 삽입관부(115)의 선단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소켓(130)은 전후방이 관통된 관체형으로 형성되며 소켓몸체(131)의 전방에 호스삽입관부(13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소켓몸체(131)의 내부에는 환형 걸림턱(133)을 기준으로 걸림턱(133)의 전후방에 전방공간부(134)와 삽입공간부(135)가 각각 형성되며, 삽입공간부(135)에는 폐쇄된 선단부 외주연에 패킹(136)이 삽입되고 몸통의 외주연 사방과 후방이 개방되며 후단부 외주연에 스프링걸림턱(137)을 형성한 개폐구(138)를 삽입 설치하되, 패킹(136)이 삽입된 선단부는 걸림턱(133)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후단 스프링걸림턱(137)과 걸림턱(133)의 사이에는 스프링(140)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켓몸체(131)의 후방 상부에는 상부와 후방이 개방된 작동공간부(141)가 형성되고, 소켓몸체(131)의 후면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안내홈(142)이 형성되며, 소켓몸체(131)의 후면 하부에는 말단부에 소직경홈(143)이 전둘레에 형성되고 그 선단에 소직경홈(143) 보다 직경이 확대된 대직경부(144)를 형성한 해제버튼(145)이 스프링홈(146)에 스프링(147)을 설치한 상태로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켓몸체(131)의 후면 양측에 내향 형성된 안내홈(142)에는 전체적으로 "ㄱ"자형으로 절곡되며 수직면에 플러그(110)의 삽입관부(115)가 삽입될 크기의 통공(148)이 형성되고 이 통공(148)의 중앙 하부에 해제버튼(145)이 통과할 넓은홈(149)과 작은홈(150)이 상하로 연결되게 형성된 잠금판(151)을 삽입 설치하되, 상측의 수평으로 절곡된 누름버튼부(152)는 작동공간부(141) 내부로 삽입되며 누름버튼부(152)의 저면과 작동공간부(141)의 상면 사이에 스프링(153)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 관계를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매트(8)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온수호스(7a)(7b)와 연결된 플러그(110)와 온수공급장치(10)에 연결된 온수호스(7a)(7b)의 단부에 연결된 소켓(130)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의 (가)와 같이 잠금판(151)의 수직부에 형성된 통공(148)과 소켓몸체(131) 후방의 삽입공간부(135)가 서로 일치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잠금판(151)의 수직부에 형성된 통공(148)과 소켓몸체(131) 후방의 삽입공간부(135)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누름버튼부(152)를 누르게 되면, 이 잠금판(151)은 누름버튼부(152)을 누르는 누름력에 의해 수직부분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 잠금판(151)의 수직부 양측은 소켓몸체(131)의 후면 양측에 내향 형성된 안내홈(142)에 삽입되어 그 하강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잠금판(151)이 하강할 때 통공(148)의 중앙하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넓은홈(149)과 작은홈(150)도 함께 내려가면서 상측의 넓은홈(149)에 해제버튼(145)이 삽입된 상태가 되는데, 이때 해제버튼(145)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링홈(146) 내의 스프링(147)의 탄력에 의해 후방측으로 노출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누름버튼부(152)를 눌렀다 놓으면 하측으로 하강하였던 잠금판(151)이 누름버튼부(152)의 하단에 설치된 스프링(153)의 탄력으로 잠금판(151)을 상측으로 다시 상승시키게 되나, 넓은홈(149)의 내부에서 해제버튼(145)이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해제버튼(145)의 대직경부(144)의 하측에 넓은홈(149)의 하부가 걸려서 잠금판(151)은 상측으로 올라가지 못하고 잠금판(151)의 통공(148)과 소켓몸체(131)의 삽입공간부(135)이 일치하게 된다.
위와 같이 잠금판(151)의 통공(148)과 소켓몸체(131)의 삽입공간부(135)이 일치된 상태에서 플러그(110)의 선단 삽입관부(115)를 서로 일치된 통공(148)과 삽입공간부(135)으로 삽입시키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삽입공간부(135)로 삽입되는 삽입관부(115)의 선단부가 소켓(130) 내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개폐구(138)를 전방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렇게 소켓(130) 내부의 개구부(139)가 전방측으로 밀리면서 개폐구(138)의 원통형 몸통의 중간부분의 사방에 형성된 개구부(139)가 온수가 들어와 있는 전방공간부(134)와 통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전방측으로 밀려들어가는 플러그(110)의 플러그몸체(111) 선단부가 삽입관부(115) 보다 외경이 확대되었으므로 그 확대된 직경을 가진 플러그몸체(111)의 선단부가 소켓몸체(131)의 후면 하측에 후방으로 돌출된 해제버튼(145)를 눌러주게 된다.
이처럼 플러그몸체(111)의 선단부가 해제버튼(145)를 눌러줌에 따라 해제버튼(145)이 스프링홈(146)으로 밀려들어 가면서 잠금판(151)의 넓은홈(149)에 걸려있던 대직경부(144)도 스프링홈(146)으로 함께 밀려 들어가서 잠금판(151)의 수직부 선상에는 해제버튼(145)의 소직경홈(143)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잠금판(151)은 누름버튼부(152)의 하측에 설치된 스프링(153)의 탄력에 의해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도 5의 (나)와 같이 작은홈(150)이 함께 상승하여 소직경홈(143)에 작은홈(150)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잠금판(151)이 상승하면서 소직경홈(143)에 작은홈(150)이 끼워지게 될 때, 통공(148)의 하측 내주면이 플러그(110)의 삽입관부(115) 후단에 형성된 걸림홈(114)에 끼워지면서 플러그(110)와 소켓(130)간의 삽입 결합이 완료되며, 통공(148)의 하측 내주면이 걸림홈(114)에 끼워짐에 따라 플러그(110)와 소켓(130)이 견고하게 록킹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플러그(110)와 소켓(130)이 견고하게 록킹 결합되게 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구(138)의 원통형 몸통 중간부분의 사방에 형성된 개구부(139)가 온수가 들어와 있는 전방공간부(134)와 통하게 되고, 삽입관부(115)를 삽입공간부(135)의 내부로 삽입시킬 때 삽입관부(115)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관부(115)의 선단부로 돌출된 내부관(119)의 선단부가 개폐구(138)의 후단에 걸리면서 후방 작동공간(116)측으로 후퇴하여 개폐구(138)의 내부공간과 내부관(119)의 내부공간이 통하게 되며, 이 내부관(119)의 관체부분의 후방측 사방에 형성된 통공(118)이 플러그몸체(111)의 내부 작동공간(116)과 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켓(130)과 플러그(110)를 연결 조립시켰을 때 소켓(130)의 호스삽입관부(132)에서부터 전방공간부(134), 개폐구(138)의 내부공간, 내부관(119)의 내부공간, 플러그몸체(111)의 내부 작동공간(116), 그리고 호스삽입관부(112)의 내부가 모두 통하게 되어 도 3의 화살표와 같이 온수공급장치(10)에서 공급되는 온수가 소켓(130)과 플러그(110)가 연결된 호스연결구(100)를 통하여 매트(8) 내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온수호스(7a)(7b)로 유입되어 매트를 난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난방을 하던 매트(8)를 세탁이나 보관을 위하여 소켓(130)과 플러그(11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누름버튼부(152)를 눌러서 잠금판(151)이 하강시키게 되면, 잠금판(151)이 하강하면서 해제버튼(145)의 중심부에 잠금판(151)의 넓은홈(149)과 일치하고, 그와 동시에 삽입관부(115)의 걸림홈(114)에 걸려 있던 통공(148)의 하측 내주면이 빠지면서 걸림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렇게 해제버튼(145)의 중심부에 잠금판(151)의 넓은홈(149)과 일치할 때 해제버튼(145)는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태이므로 스프링(147)의 탄력으로 후방으로 돌출되게 되며, 이렇게 돌출되는 해제버튼(145)이 플러그몸체(111)를 밀어서 소켓(130)에 삽입되었던 플러그(110)가 간편하게 원터치형식으로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러그(110)와 소켓(130)이 서로 분리될 경우 밀폐상태가 되어 온수호스(7a)(7b)에 유입된 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즉, 플러그(110)와 소켓(130)이 서로 분리될 경우 플러그(110)의 스프링(120)의 복원력에 의해 내부관(119)을 밀게 되며, 이로 인해 패킹(117)이 플러그몸체(111)를 막게됨으로써 유입된 물을 유출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플러그(110)와 소켓(130)이 서로 분리될 경우 소켓(130) 내부 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구(138)를 밀게되며, 이로 인해 패킹(136)이 걸림턱(133)과 밀착됨으로써 호스에 유입된 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호스연결구(1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단지 다른점은 플러그(110)의 전방에 형성된 삽입관부(115)가 삽탈하게 되는 소켓(130) 후면의 소켓몸체(131) 후방측 구조와 잠근판(150)의 구조만 상이하므로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므로 상기와 같이 일실시예와 달라진 부분에 대하서만 설명한다.
즉, 다른 실시예에서 소켓(130) 후면의 소켓몸체(131) 후방측 구조는 일실시예의 소켓몸체(131) 후면 하측에 설치되었던 스프링홈(146)과 스프링홈(146)에 스프링(147)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된 해제버튼(145)이 제거되고, 그 해제버튼(145)에 대응하는 잠근판(150)의 넓은홈(149)과 작은홈(150)이 제거된 것으로, 그 대신에 이실시예에서는 잠근판(150)의 수직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148)의 하부측 내주면에 플러그몸체(111) 선단부의 삽입관부(115) 선단부가 경사접촉하여 잠근판(150)이 수직방향으로 하강하게 하고 잠근판(150)이 하강한 상태에서 걸림홈(114)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하는 경사면(148a)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소켓몸체(131)는 전방에 호스삽입관부(13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소켓몸체(131)의 내부에는 환형 걸림턱(133)을 기준으로 걸림턱(133)의 전후방에 전방공간부(134)와 삽입공간부(135)가 각각 형성되며, 삽입공간부(135)에는 폐쇄된 선단부 외주연에 패킹(136)이 삽입되고 몸통의 외주연 사방과 후방이 개방되며 후단부 외주연에 스프링걸림턱(137)을 형성한 개폐구(138)을 삽입 설치하되, 패킹(136)이 삽입된 선단부는 걸림턱(133)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후단 스프링걸림턱(137)과 걸림턱(133)의 사이에는 스프링(140)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켓몸체(131)의 후방 상부에는 상부와 후방이 개방된 작동공간부(141)가 형성되고, 소켓몸체(131)의 후면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잠근판(150)의 승하강을 안내하는안내홈(142)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몸체(131)의 후면 양측에 내향 형성된 안내홈(142)에는 전체적으로 "ㄱ"자형으로 절곡되며 수직면에 플러그(110)의 삽입관부(115)가 삽입될 크기의 통공(148)이 형성되고 이 통공(148)의 중앙하부에 내주면에 경사면(148a)이 형성된 잠근판(150)이 설치하되, 상측의 수평으로 절곡된 누름버튼부(152)는 작동공간부(141) 내부로 삽입되며 누름버튼부(152)의 저면과 작동공간부(141)의 상면 사이에 스프링(153)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호스연결구(10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작용관계로서, 상기 호스연결구(100)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단지 다른점은 일실시예의 소켓몸체(131) 후면 하측에 설치되었던 해제버튼(145)이 제거되고, 그 해제버튼(145)에 대응하는 잠근판(150)의 넓은홈(149)과 작은홈(150)이 제거되었으며, 그 대신에 이실시예에서는 잠근판(150)의 수직부에 관통되게 형성된 통공(148)의 하부측 내주면에 경사면(148a)이 형성된 것만 상이하므로 상기와 같이 일실시예와 달라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이실시예에서 소켓(130) 후면으로 플러그(110)를 조립시킬때 밀어넣는 플러그(110)의 삽입관부(115)의 선단부 하측이 잠근판(150)의 경사면(148a)을 밀어주어 잠근판(150)은 안내홈(142)을 따라 하강하게 되며, 계속적으로 밀어 넣는 삽입관부(115)의 선단부는 경사면(148a)을 넘어서면서 잠근판(150)의 통공(148)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렇게 삽입되는 삽입관부(115) 후단의 걸림홈(114) 부분이 하강하였던 잠근판(150)의 경사면(148a)과 일치하게 되면, 잠근판(150)은 상측이 스프링(153)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서 상측으로 올라가게 되어 상기 경사면(148a)이 걸림홈(114)에 끼워져서 소켓(130)에 플러그(110)가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연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결되어 사용하던 (103)에서 플러그(11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소켓(130)의 누름버튼부(152)을 누르면 잠근판(150)이 하강하면서 잠근판(150)의 통공(148) 하측 내주연에 형성된 경사면(148a)이 플러그(110)의 걸림홈(114)에서 이탈되어 소켓(130)과 플러그(110)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플러그(110)의 내부관(119)은 작동공간(116)의 내부에 탄력적우로 설치된 스프링(120)에 탄력적우로 지지된 상태이므로, 이 스프링(120)의 탄력으로 걸림상태가 해제된 소켓(130)와 플러그(110)가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다른 실시예의 호스연결구(100) 역시 플러그(110)와 소켓(130)이 서로 분리될 경우 밀폐상태가 되어 온수호스(7a)(7b)에 유입된 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매트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매설된 호스의 끝단부를 상기 매트의 끝단부와 일치하도록 절단하여 호스가 매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이 호스의 끝단부에 플러그를 설치하되, 상기 플러그에는 온수공급장치와 연결된 호스를 원터치방식으로 착탈되는 소켓을 설치함에 따라 매트와 온수공급장치가 연결된 온수호스와의 착탈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상기 플러그와 소켓을 분리시에도 호스 내부에 유입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호스가 매트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온수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호스연결구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호스연결구의 분해단면도.
도 5의 (가), (나)는 도 4에 도시된 호스연결구의 작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호스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호스연결구의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온수공급장치 7a, 7b : 온수호스 8 : 매트
100 : 호스연결구 110 : 플러그 111 : 플러그몸체
112 : 호스삽입관부 113 : 패킹 114 : 걸림홈
115 : 삽입관부 116 : 작동공간 117 : 패킹
118 : 통공 119 : 내부관 120 : 스프링
130 : 소켓 131 : 소켓몸체 132 : 호스삽입관부
133 : 걸림턱 134 : 전방공간부 135 : 삽입공간부
136 : 패킹 137 : 스프링걸림턱 138 : 개폐구
139 : 개구부 140 : 스프링 141 : 작동공간부
142 : 안내홈 143 : 소직경홈 144 : 대직경부
145 : 해제버튼 146 : 스프링홈 147 : 스프링
148 : 통공 148a : 경사면 149 : 넓은홈
150 : 작은홈 151 : 잠금판 152 : 누름버튼부
153 : 스프링

Claims (3)

  1. 온수호스(7a)(7b)가 매트(8) 내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온수호스(7a)(7b)에 세팅된 온도를 유지하는 온수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10)가 구비된 온수매트에 있어서,
    상기 온수호스(7a)(7b)의 끝단부를 상기 매트(8)의 끝단부와 일치하도록 절단하여 온수호스(7a)(7b)가 매트(8)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하고,
    상기 온수호스(7a)(7b)의 끝단부에는 온수공급장치(10)와 연결된 온수호스(7a)(7b)를 원터치방식으로 착탈되는 플러그(110)가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110)가 설치된 매트(8)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충격을 보호하는 보호캡(9)이 설치되고,
    상기 온수공급장치(10)에 연결된 온수호스(7a)(7b)의 끝단부에는 상기 플러그(110)와 원터치방식으로 착탈되는 소켓(1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10)는,
    전후방이 관통된 관체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작동공간(116)을 형성한 플러그몸체(111)의 후방에 호스삽입관부(11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몸체(111)의 전방에는 선단부 외주연에 패킹(113)이 삽입되고 후단부 외주연에 걸림홈(114)이 형성된 삽입관부(115)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부(115)의 내부에는 폐쇄된 후단부 외주연에 패킹(117)이 삽입되고 패킹(117) 전방측 관체부분의 사방에 통공(118)을 형성한 내부관(119)이 삽입 설치되고,
    상기 내부관(119)의 후단부는 플러그몸체(111)의 작동공간(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에 스프링(120)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선단부는 삽입관부(115)의 선단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소켓(130)은 전후방이 관통된 관체형으로 형성되며 소켓몸체(131)의 전방에 호스삽입관부(13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소켓몸체(131)의 내부에는 환형 걸림턱(133)을 기준으로 걸림턱(133)의 전후방에 전방공간부(134)와 삽입공간부(135)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부(135)에는 폐쇄된 선단부 외주연에 패킹(136)이 삽입되고, 몸통의 외주연 사방과 후방이 개방되며 후단부 외주연에 스프링걸림턱(137)을 형성한 개폐구(138)를 삽입 설치하고,
    상기 패킹(136)이 삽입된 선단부는 걸림턱(133)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후단 스프링걸림턱(137)과 걸림턱(133)의 사이에는 스프링(140)이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소켓몸체(131)의 후방 상부에는 상부와 후방이 개방된 작동공간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소켓몸체(131)의 후면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안내홈(142)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몸체(131)의 후면 하부에는 말단부에 소직경홈(143)이 전둘레에 형성되고 그 선단에 소직경홈(143) 보다 직경이 확대된 대직경부(144)를 형성한 해제버튼(145)이 스프링홈(146)에 스프링(147)을 설치한 상태로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소켓몸체(131)의 후면 양측에 내향 형성된 안내홈(142)에는 전체적으로 "ㄱ"자형으로 절곡되며 수직면에 상기 플러그(110)의 삽입관부(115)가 삽입될 크기의 통공(148)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48)의 중앙 하부에 해제버튼(145)이 통과할 넓은홈(149)과 작은홈(150)이 상하로 연결되게 형성된 잠금판(151)을 삽입 설치하고,
    상기 작동공간부(141)에는 수평으로 절곡된 누름버튼부(152)가 설치되고,
    상기 누름버튼부(152)의 저면과 작동공간부(141)의 상면 사이에 스프링(153)이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130)은,
    소켓몸체(131) 전방에 호스삽입관부(132)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소켓몸체(131)의 내부에는 환형 걸림턱(133)을 기준으로 걸림턱(133)의 전후방에 전방공간부(134)와 삽입공간부(135)가 각각 형성되며, 삽입공간부(135)에는 폐쇄된 선단부 외주연에 패킹(136)이 삽입되고 몸통의 외주연 사방과 후방이 개방되며 후단부 외주연에 스프링걸림턱(137)을 형성한 개폐구(138)을 삽입 설치하되, 패킹(136)이 삽입된 선단부는 걸림턱(133)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후단 스프링걸림턱(137)과 걸림턱(133)의 사이에는 스프링(140)이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소켓몸체(131)의 후방 상부에는 상부와 후방이 개방된 작동공간부(141)가 형성되고, 소켓몸체(131)의 후면 양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잠근판(150)의 승하강을 안내하는안내홈(142)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몸체(131)의 후면 양측에 내향 형성된 안내홈(142)에는 전체적으로 "ㄱ"자형으로 절곡되며 수직면에 플러그(110)의 삽입관부(115)가 삽입될 크기의 통공(148)이 형성되고 이 통공(148)의 중앙하부에 내주면에 경사면(148a)이 형성된 잠근판(150)이 설치하되, 상측의 수평으로 절곡된 누름버튼부(152)는 작동공간부(141) 내부로 삽입되며 누름버튼부(152)의 저면과 작동공간부(141)의 상면 사이에 스프링(153)이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110)는 전후방이 관통된 관체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작동공간(116)을 형성한 플러그몸체(111)의 후방에 호스삽입관부(11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플러그몸체(111)의 전방에는 선단부 외주연에 패킹(113)이 삽입되고 후단부 외주연에 걸림홈(114)이 형성된 삽입관부(115)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부(115)의 내부에는 폐쇄된 후단부 외주연에 패킹(117)이 삽입되고 패킹(117) 전방측의 관체부분의 사방에 통공(118)을 형성한 내부관(119)을 삽입 설치하되, 이 내부관(119)의 후단부는 플러그몸체(111)의 작동공간(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방에 스프링(120)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선단부는 삽입관부(115)의 선단부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KR1020050030554A 2005-04-13 2005-04-13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KR100772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554A KR100772696B1 (ko) 2005-04-13 2005-04-13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554A KR100772696B1 (ko) 2005-04-13 2005-04-13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118A true KR20050042118A (ko) 2005-05-04
KR100772696B1 KR100772696B1 (ko) 2007-11-02

Family

ID=3724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554A KR100772696B1 (ko) 2005-04-13 2005-04-13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26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93B1 (ko) * 2006-03-23 2007-06-14 (주)황토가좋은사람들 가변적 조립사용 기능을 갖는 사계절용 건강보조 매트
KR20150143959A (ko) * 2014-06-13 2015-12-24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 매트 장치의 체결 유닛
CN108497821A (zh) * 2017-02-28 2018-09-07 长沙柏汉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加热床垫系统
KR20190001410A (ko) *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227B1 (ko) 2013-06-17 2015-03-31 세방전지(주) 일체형 벤트호스 커넥터를 구비한 축전지용 상부커버
KR200473859Y1 (ko) 2014-02-24 2014-08-07 김창건 온수순환기용 원터치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조인트
KR102621728B1 (ko) * 2018-04-19 2024-01-05 코웨이 주식회사 매트리스용 냉온수 커넥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98300B2 (ja) * 1988-05-11 1997-04-09 ニッタ・ムアー株式会社 コレットを用いた管継手
KR950033775U (ko) * 1994-05-26 1995-12-18 구진섭 농업기구용 호스 원터치 소켓
KR200194421Y1 (ko) * 1999-09-14 2000-09-01 이승기 온수온돌매트
CN1225801C (zh) * 2000-02-09 2005-11-02 日本光源股份有限公司 光源装置
JP4531934B2 (ja) 2000-06-12 2010-08-25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接続器具
KR100491661B1 (ko) 2001-09-04 2005-05-27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유체 차단 커플러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93B1 (ko) * 2006-03-23 2007-06-14 (주)황토가좋은사람들 가변적 조립사용 기능을 갖는 사계절용 건강보조 매트
KR20150143959A (ko) * 2014-06-13 2015-12-24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 매트 장치의 체결 유닛
CN108497821A (zh) * 2017-02-28 2018-09-07 长沙柏汉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加热床垫系统
KR20190001410A (ko) * 2017-06-27 2019-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2696B1 (ko) 200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696B1 (ko)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KR101555956B1 (ko) 전기 콘센트
CN215522396U (zh) 快速连接器
KR101790173B1 (ko) 청소용 스팀 장치
CN112481983B (zh) 衣物护理机
CN108613368B (zh) 一种防干烧即热模块
CN201599658U (zh) 多用途照明灯
KR101851340B1 (ko) 축열식 유기액상 찜질기
CN211212886U (zh) 手持式吸尘器
CN108967387B (zh) 大功率诱捕灯
CN211212626U (zh) 一种电加热烧水容器的蒸汽泄压装置
CN212066480U (zh) 一种家用电水壶
CN210611870U (zh) 一种茶炉
CN213507706U (zh) 便携型手持式挂烫机
KR20210000150U (ko) 과열 방지 장치가 설치된 휴대용 가스 토치
KR20160002171U (ko) 온수공급장치와 온수매트를 연결하는 커넥터
KR101899516B1 (ko) 냉온풍 기능을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CN216673657U (zh) 一种电力工程用防雷柜
CN109893043A (zh) 蒸汽发生器及无线蒸汽拖把
CN205863522U (zh) 透水防潮安全插座
CN213940268U (zh) 一种内置式供风装置及使用其的风暖床垫
CN219640415U (zh) 接水组件及冷风扇
KR200447867Y1 (ko) 온수매트의 호스 커넥터
CN207368322U (zh) 一种防水插座结构
CN216794148U (zh) 一种具备防误插报警功能的新能源汽车用的充电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