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115A - 필기 획순 원리에 따른 한글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필기 획순 원리에 따른 한글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2115A
KR20050042115A KR1020050030047A KR20050030047A KR20050042115A KR 20050042115 A KR20050042115 A KR 20050042115A KR 1020050030047 A KR1020050030047 A KR 1020050030047A KR 20050030047 A KR20050030047 A KR 20050030047A KR 20050042115 A KR20050042115 A KR 20050042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ke
strokes
consonant
keys
syl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용
Original Assignee
김세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용 filed Critical 김세용
Priority to KR102005003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2115A/ko
Publication of KR2005004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11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를 포함하여 키의 수와 상관없이 여러 키의 조합으로 운용되는 축소형 자판부에 한글 입력을 위한 자음과 모음의 코드를 발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코드 발생 장치는 자음을 필기할 때에 사용하는 가로획(ㅡ), 세로 획(ㅣ), 점획(.), 꺾은 획(ㄱ,ㄴ), 비스듬한 획(/,\)과 둥근 획(ㅇ)을 키패드에 배정하고, 필기 획순에 따라 키를 선택하면 키 조합에 대응하는 자음의 코드를 발생한다. 상기 획들을 키패드에 배정할 때 하나의 키에 하나의 획이 대응되는 것이 아니라 가로획, 세로획, 점획과 비스듬한 획 두 가지를 모두 함께 1개의 키에 배정하거나 꺾은 획의 두 가지를 함께 1개의 키에 배정함으로써 사용하는 키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모음의 코드는 모음을 필기할 때에 사용하는 점획(.), 가로획(ㅡ) ,세로획(ㅣ)으로 구성된 세 키와 점획(.)의 기능을 보완한 키를 포함하여 총 4개의 키를 사용하며 자음과 마찬가지로 필기 획순에 따라 키를 선택하면 키 조합에 대응하는 모음의 코드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 배열에 대한 숙지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원하는 한글 문자를 입력할 수 있고, 기존의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의 수인 12개 이하로도 구성이 가능하여 전자식 전화기 외에 여러 제품에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필기 획순 원리에 따른 한글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 Based on the Order of Handwriting}
본 발명은 한글의 필기 획순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식 전화기 키패드를 포함하여 키의 수와 상관없이 여러 키의 조합으로 운용되는 축소형 자판부에 한글 입력을 위한 자음과 모음의 코드를 발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0' ∼ '9'까지의 키에 각각 여러 개의 문자를 대응시켜서 원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토글' 방식이 있고, 자음은 각 키에 배정하고 모음은 천지인(ㆍ, ㅡ, ㅣ)을 이용하여 조합 입력하는 '천지인' 방식과 기본 자음 및 모음을 각 키에 배정하고 그들을 변형시켜서 나머지 자모음을 입력하는 '나랏글' 방식 등이 있다. 특히, 상기 천지인 방식이나 나랏글 방식은 상기 토글 방식에 비하여 문자 입력에 필요한 키 조작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많은 단말기들이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입력방식들은 자음 또는 모음의 일부만 필기 획순에 따라 입력하고 나머지 자음 또는 모음에 대해서는 별도의 법칙에 의해 입력하게 되어 있어서 입력 법칙에 일관성이 부족하다. 또한, 이러한 입력방식들은 대부분 12개의 키를 거의 또는 모두 활용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자음과 모음에 해당하는 각 키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키의 수가 12개보다 적어질 경우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MP3 플레이어, PDA나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어서 이러한 기기에 대해서도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나 공간 또는 디자인 문제 등으로 휴대용 전화기의 키패드와 같이 다수의 키를 사용할 수 없어서 기존 입력방식들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별도로 개발된 입력방식들을 사용할 수밖에 없으나 현재 개발된 입력방식 또한 사용방식의 불편함 등으로 인해 상용화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상용화가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사용하는 기기에 따라 별도의 입력방식을 익혀야 하는 불편함을 겪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기 획순이라는 한가지 원칙으로 입력 규칙에 일관성을 부여하고, 입력하는 데 사용되는 키패드의 수를 4개에서 12개까지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서 한 가지의 한글 입력 방식만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음은 필기할 때에 사용하는 가로획(ㅡ), 세로 획(ㅣ), 점획(.), 꺾은 획(ㄱ,ㄴ), 비스듬한 획(/, \)과 둥근 획(ㅇ)을 키패드에 배정하여 필기 획순에 따라 키를 선택하게 하고, 모음은 점획(.), 가로획(ㅡ) ,세로획(ㅣ)으로 구성된 3개의 키와 점획(.)의 기능을 보완한 키를 포함하여 총 4개의 키를 사용하여 자음과 마찬가지로 필기 획순에 따라 키를 선택하게 하여 입력 규칙에 일관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가로획(ㅡ), 세로 획(ㅣ), 점획(.)과 비스듬한 획(/, \)을 1개의 키에 배정하고 꺾은 획(ㄱ,ㄴ)의 두 가지를 1개의 키에 배정하는 방법을 통하여 자음에 활용되는 키의 수를 3개까지 단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한글입력에 사용되는 키의 수를 총 4개까지 줄일 수도 있게 하였으며, 12개의 키패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기존의 입력방식보다 불편하거나 입력속도가 늦어지지 않도록 배정되지 않은 키를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효과 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기 획순 원리에 기반하여 자음과 모음을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필기 획을 휴대용 전화기의 키패드에 배열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전화기의 숫자 키패드(10)를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자음군 입력부(20),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군 입력부(30), 띄어쓰기 기능을 위한 조절용 키(40)로 분류하고 나머지 키는 확장 기능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자음군 입력부(20)는 꺾은 획인 ‘ㄱ’, ‘ㄴ’을 위한 2개의 키, 둥근 획인 ‘ㅇ’을 위한 1개의 키와, 가로획(ㅡ), 세로획(ㅣ), 점획(.), 비스듬한 획(/, \) 모두에 해당하는 1개의 키(50)로 구성되어 있다. 나머지 획 모두에 해당하는 키(50)의 부호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서 ‘&’를 사용하였으나 다른 부호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각 키의 위치는 변경이 가능하나 ‘ㄹ’ 입력의 용이성을 위해서 도 1과 같이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음군 입력부(30)는 세로획(ㅣ), 점획(.). 가로획(ㅡ)을 위한 3개의 키와, 점획(.)의 기능을 보완한 1개의 키(60)로 구성되어 있다. 띄어쓰기 기능을 위한 조절용 키(40)는 띄어쓰기 기능뿐만 아니라 제1음절의 종성과 제2음절의 초성을 분리하는 기능이 있으며 두 기능 모두 동일하게 1회 눌러서 작동한다. 확장 기능을 위해 남긴 키들은 자음과 모음 입력을 보완하는 기능 또는 기호문자 입력 기능 등으로 활용 가능한 부분이다. 만약, 확장 기능을 위해 남긴 키들과 조절용 키(40)를 모두 받침을 위한 자음군 입력부로 변경할 경우 초성, 중성과 종성의 입력 키들이 모두 다른 세벌식으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자음의 입력은 필기 획순에 따라 각 획에 대한 키를 선택하면 키들의 조합에 해당하는 자음코드를 생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입력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키 조합 중 일부를 생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음 ‘ㄹ’의 경우 필기 획순이 꺾은 획(ㄱ), 가로획(ㅡ), 꺾은 획(ㄴ) 순서이므로 ‘ㄱ’을 입력하고 가로획에 해당하는 ‘&’를 입력한 후 ‘ㄴ’을 입력하며, 단축하여 사용할 경우 꺾은 획(ㄱ)과 꺾은 획(ㄴ)만을 입력한다. 상기한 입력방법은 표 1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모음의 입력은 자음과 동일하게 필기 획순에 따라 각 획에 대한 키들을 조합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입력의 용이성을 위해서 점획(.)의 기능을 보완한 키(60)를 추가로 사용한다. 상기 키(60)는 ‘ㅛ’,‘ㅠ’,‘ㅕ’,‘ㅑ’와 같은 모음을 입력할 때 점획(.)을 두 번 입력하지 않고 한 번만 누름으로써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데 사용할 뿐만 아니라. ‘ㅐ’와‘ㅔ’를 입력하는 데 사용하여 ‘ㅙ’,‘ㅞ’와 같이 입력하기 어려운 모음을 입력할 때도 사용한다. 모음에 대한 입력방법은 표 2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 키패드와 같이 12개의 키가 있는 축소형 자판부 뿐만 아니라 12개보다 적은 수의 키가 있는 축소형 자판부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2a와 도 2b는 키의 수가 5개인 축소형 자판부에 필기 획순 원리에 기반하여 자음과 모음을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필기 획을 배열한 예시도이다. 12개의 키를 사용할 때와 달리 자음 획과 모음 획에 해당되는 키가 구별되어 있지 않은 것이 특징으로, 자음을 위한 꺾은 획 ‘ㄱ’, ‘ㄴ’, 둥근 획 ‘o’과 기타 획용 ‘&’를 각각 4개의 키에 배정하고 동일한 4개의 키에 모음을 위한 ‘ㅣ’, ‘ㅡ’, ‘..’와 ‘.’를 배정한다. 나머지 1개의 키에는 조절용 키(70)를 배정한다. 자음과 모음의 입력 방법은 12개의 키를 사용할 때와 동일하게 표 1, 표 2와 같이 입력한다.
상기와 같이 자음과 모음을 동일한 키에 배정할 경우에 키의 입력 방법은 두 가지로, 자음과 모음으로 구별하여 입력받는 방법과 초성, 중성과 종성으로 구별하여 입력받는 방법이 있다.
자음과 모음으로 구별하여 입력받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처음 문자를 입력받을 때의 상태는 자음 입력 상태로, 키에서 신호를 입력받은 후 조절용 키(70)가 1회 눌러지면 모음 입력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키에서 입력된 신호는 키 조합에 대응하는 자음코드로 해석된다. 다시 추가로 키에서 신호를 받은 후 조절용 키(70)가 1회 눌러지면 자음 입력 상태로 전환되면서 키에서 추가로 입력된 신호는 키 조합에 대응하는 모음코드로 해석된다. 계속해서 키에서 신호를 받은 후 조절용 키(70)가 일정 시간 내에 연속해서 2회 눌러지면 마지막으로 받은 신호는 자음코드로 해석되며 초성, 중성과 종성을 모두 갖춘 제 1음절이 완성된다. 하지만, 조절용 키(70)가 1회만 눌러질 경우 앞서 받은 신호는 자음코드로 인식되기는 하지만 앞의 경우와 달리 제 2음절의 초성으로 인식되고 제 1음절은 초성과 중성만을 갖춘 음절이 된다. 도 3은 상기 내용을 순서도로 설명한 것이다.
이와 별도로 초성, 중성과 종성으로 구별하여 입력받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처음 문자를 입력받을 때의 상태는 초성의 입력 상태로, 키에서 신호를 입력받은 후 조절용 키(70)가 1회 눌러지면 중성의 입력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키에서 입력된 신호는 키 조합에 대응하는 자음코드로 해석된다. 다시 추가로 키에서 신호를 받은 후 조절용 키(70)가 1회 눌러지면 종성의 입력 상태로 전환되면서 키에서 추가로 입력된 신호는 키 조합에 대응하는 모음코드로 해석된다. 계속해서 키에서 신호를 받은 후 조절용 키(70)가 1회 눌러지면 다시 초성의 입력 상태로 전환되면서 마지막으로 받은 신호는 자음코드로 해석되며 초성, 중성과 종성을 모두 갖춘 제 1음절이 완성된다. 하지만, 키에서 신호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조절용 키(70)가 1회 눌러질 경우 종성이 없는 제 1음절이 완성된다. 도 4는 상기 내용을 순서도로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의 수가 4개일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도 5a와 도 5b는 키 4개인 축소형 자판부에 필기 획순 원리에 기반하여 자음과 모음을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필기 획을 배열한 예시도이다. 자음을 위한 꺾은 획 ‘ㄱ’과 ‘ㄴ’ 을 1개의 키에 함께 배정한 것이 특징이며, 모음에서는 ‘..’을 사용하지 않는다. 입력방법은 5개의 키를 사용할 때와 동일하지만 ‘ㄱ’과 ‘ㄴ’을 같은 키로 사용하기 때문에 모호한 입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자음을 입력할 때 사용하던 단축형을 일부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은 버튼을 사용하는 키뿐만 아니라 조그셔틀(Jog/Shuttle) 키나 조이스틱(Joystick)과 같은 조작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도 6은 필기 획순 원리에 기반하여 자음과 모음을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필기 획을 조이스틱(Joystick)에 적용한 예시도이다. 버튼을 사용할 때와 달리 버튼에 직접 자음 획과 모음 획을 배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 하, 좌, 우 방향에 자음 획과 모음 획을 배정하여 상, 하, 좌, 우의 이동 방향의 조합에 의해 자음 및 모음코드를 발생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출원 내용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출원내용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출원내용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에서 고려할 때, 당 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 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모두 귀속됨은 명백하다.
생성 문자 필기 획순 기본 조합 순서 단축 조합 순서 실제 입력 버튼(기본 기준)
(ㄱ) (ㄱ) 1
(ㄴ) (ㄴ) 7
ㅡㄴ (&)(ㄴ) (&)(ㄴ) 47
ㄱㅡㄴ (ㄱ)(&)(ㄴ) (ㄱ)(ㄴ) 147
ㅣㄱㅡ (&)(ㄱ)(&) (&)(ㄱ) 414
ㅣㅣㅡㅡ 또는 ㅣㅡㅣㅡ (&)(&)(&) (&)(&)(&) 444
/ \ (&)(&) (&)(&) 44
(ㅇ) (ㅇ) *
ㄱ의 변형 \ (ㄱ)(ㄱ)(&) (ㄱ)(ㄱ) 114
.ㄱ의 변형 \ (&)(ㄱ)(ㄱ)(&) (&)(ㄱ)(ㄱ) 4114
ㄱㅡ (ㄱ)(&) (ㄱ)(&) 14
ㅡㅡㄴ 또는 ㅡㄴㅡ (&)(&)(ㄴ) 또는 (&)(ㄴ)(&) (&)(&)(ㄴ) 447 또는 474
ㅡㅣㅣㅡ (&)(&)(&)(&) (&)(&)(&)(&) 4444
.ㅡㅇ (&)(&)(ㅇ) (&)(ㅇ) 44*
생성 문자 필기 획순 기본 조합 순서 점획을 보완한 조합 순서 실제 입력 버튼(기본 기준)
ㅣ. (ㅣ)(.) (ㅣ)(.) 25
ㅣ.. (ㅣ)(.)(.) (ㅣ)(..) 255
.ㅣ (.)(ㅣ) (.)(ㅣ) 52
..ㅣ (.)(.)(ㅣ) (..)(ㅣ) 522
.ㅡ (.)(ㅡ) (.)(ㅡ) 58
..ㅡ (.)(.)(ㅡ) (..)(ㅡ) 558
ㅡ. (ㅡ)(.) (ㅡ)(.) 85
ㅡ.. (ㅡ)(.)(.) (ㅡ)(..) 855
(ㅡ) (ㅡ) 8
(ㅣ) (ㅣ) 2
ㅣ.ㅣ (ㅣ)(.)(ㅣ) (..) 252
ㅣ..ㅣ (ㅣ)(.)(.)(ㅣ) (..)(.) 2552
.ㅣㅣ (.)(ㅣ)(ㅣ) (.)(..) 522
..ㅣㅣ (.)(.)(ㅣ)(ㅣ) (..)(..) 5522
.ㅡㅣ. (.)(ㅡ)(ㅣ)(.) (.)(ㅡ)(.) 5825
.ㅡㅣ.ㅣ (.)(ㅡ)(ㅣ)(.)(ㅣ) (.)(ㅡ)(..) 58252
.ㅡㅣ (.)(ㅡ)(ㅣ) (.)(ㅡ)(ㅣ) 582
ㅡ..ㅣ (ㅡ)(.)(.)(ㅣ) (ㅡ)(..)(ㅣ) 8552
ㅡ..ㅣㅣ (ㅡ)(.)(.)(ㅣ)(ㅣ) (ㅡ)(.)(..) 85522
ㅡ.ㅣ (ㅡ)(.)(ㅣ) (ㅡ)(.)(ㅣ) 852
ㅡㅣ (ㅡ)(ㅣ) (ㅡ)(ㅣ) 82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한글 입력방법과 달리 자음과 모음을 직접 키에 배정하지 않고 자음과 모음을 필기할 때 사용하는 획을 키에 배정하여 자음과 모음 모두 필기 획순의 원리에 따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키 배열에 대한 숙지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원하는 한글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휴대용 전화기 키패드에 사용할 경우에는 키 패드의 오른쪽 부분을 거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오른손잡이의 경우 한 손으로 입력하는 데에도 불편함이 없다. 또한, 사용하는 키의 수를 4개까지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한글입력 방식을 사용할 수 없었던 MP3 Player, PDA와 디지털 카메라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확대 적용이 가능하며, 손의 사용이 불편한 장애인들을 위한 입력장치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필기 획순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를 휴대용 전화기 키패드에 적용한 예시도,
도 2a는 필기 획순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를 키의 수가 5개인 축소형 문자 자판부에 적용한 예시도,
도 2b는 필기 획순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를 키의 수가 5개인 축소형 문자 자판부에 적용한 또 다른 예시도,
도 3은 자음과 모음을 위한 키를 공유할 때 자음과 모음으로 구별하여 필기 획순 원리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4는 자음과 모음을 위한 키를 공유할 때 초성, 중성과 종성으로 구별하여 필기 획순 원리에 따라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5a는 필기 획순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를 키의 수가 4개인 축소형 문자 자판부에 적용한 예시도,
도 5b는 필기 획순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를 키의 수가 4개인 축소형 문자 자판부에 적용한 또 다른 예시도,
도 6은 필기 획순 원리에 기반한 한글 입력 장치를 조이스틱(Joystick)에 적용한 또 다른 예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휴대용 전화기 키패드, 20: 자음군 입력부
30: 모음군 입력부, 40: 띄어쓰기 기능을 위한 키
50: 가로획(ㅡ), 세로획(ㅣ), 점획(.)과 비스듬한 획(/, \) 모두를 함께 배정한 키,
60: 점획(.)의 기능을 보완한 키,
70: 문자 입력 조절용 키

Claims (7)

  1.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를 포함하여 키의 수와 상관없이 여러 키의 조합으로 운용되는 축소형 자판부에 자음을 필기할 때에 사용하는 가로획(ㅡ), 세로획(ㅣ), 점획(.), 비스듬한 획(/, \), 꺾은 획 두 가지(ㄱ, ㄴ)와 둥근 획(ㅇ)을 키에 일대일, 일대다 또는 다대일 식으로 배정하여, 필기 획순에 따라 키를 선택하면 키 조합에 대응하는 자음 코드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자음을 필기할 때에 사용하는 가로획(ㅡ), 세로획(ㅣ), 점획(.)과 비스듬한 획(/, \)을 모두 함께 1개의 키에 배정하고 꺾은 획 두 가지(ㄱ, ㄴ)와 둥근 획(ㅇ)을 각각 3개의 다른 키에 배정하여, 필기 획순에 따라 키를 선택하면 키의 조합에 대응하는 자음 코드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모음을 위한 세로획(ㅣ), 점획(.)과 가로획(ㅡ)을 각각 배정한 3 개의 키와 점획(.)을 보완한 1개의 키를 이용하여 표 2와 같이 모음 코드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4. 전자식 전화기용 키패드를 포함하여 키의 수와 상관없이 여러 키의 조합으로 운용되는 축소형 자판부에 1개의 조절용 키와 이 조절용 키에 의해 자음 또는 모음 코드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신호를 구별하여 생성할 수 있는 키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음 또는 모음 코드를 생성하는 데 필요한 신호를 발생하는 키를 배정하는 데 있어서 자음을 필기할 때에 사용하는 가로획(ㅡ), 세로획(ㅣ), 점획(.)과 비스듬한 획(/, \)을 모두 함께 1개의 키에 배정하고 둥근 획(ㅇ)을 다른 1개의 키에 배정한 상태에서 꺾은 획 두 가지(ㄱ, ㄴ)를 또 다른 1개의 키에 함께 배정하거나 또 다른 2개의 키에 별도로 배정하여, 필기획순에 따라 키를 선택하면 키의 조합에 대응하는 자음 코드를 발생하는 문자 입력 장치.
  5. 조그셔틀(Jog Shuttle)이나 조이스틱(Joystick)과 같이 상하좌우 또는 여러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신호를 만들어내는 장치에서 각각의 방향에 자음을 필기할 때에 사용하는 획을 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로획(ㅡ), 세로획(ㅣ), 점획(.)과 비스듬한 획(/, \)을 모두 함께 1개의 방향에, 둥근 획(ㅇ)을 다른 1개의 방향에 배정한 상태에서 꺾은 획 두 가지(ㄱ, ㄴ)를 또 다른 1개의 방향에 함께 배정하거나 또 다른 2개의 방향에 별도로 배정하여, 필기획순에 따라 방향을 선택하면 방향의 조합에 대응하는 자음 코드를 발생하는 문자 입력 장치.
  6. 자음과 모음의 입력 상태를 전환해주는 장치와; 자음을 필기할 때에 사용하는 가로획(ㅡ), 세로획(ㅣ), 점획(.)과 비스듬한 획(/, \) 모두를 함께 배정한 자음 획 신호의 발생장치와; 둥근 획(ㅇ)을 배정한 다른 자음 획 신호의 발생장치와; 꺾은 획(ㄱ, ㄴ) 두 가지를 함께 또는 별도로 배정한 또 다른 1개 또는 2개의 자음 획 신호의 발생장치를 가진 문자 입력 장치에서, 자음 획 신호의 발생 장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자음과 모음의 입력 상태를 전환해주는 장치에 의해 입력 상태 전환 코드를 받아서 모음 입력 상태로 변경하며 전 단계에서 받은 신호들의 조합을 필기획순에 따라 자음코드로 변환하여 제 1음절의 초성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자음 획 신호의 발생 장치로부터 추가로 신호들을 입력받는 단계와; 자음과 모음의 입력 상태를 전환해주는 장치에 의해 입력 상태 전환 코드를 받아서 다시 자음 입력 상태로 다시 변경하며 전 단계에서 입력받은 신호들의 조합을 그에 대응하는 모음코드로 변환하여 제1음절의 중성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자음 획 신호의 발생 장치로부터 계속해서 제 1음절의 종성 또는 제 2음절의 초성으로 간주하는 신호들을 입력받는 단계와; 자음과 모음의 상태를 구별해주는 장치 또는 다른 별도의 장치에 의해 음절 분리 코드가 입력되거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제 1음절의 종성 또는 제 2음절의 초성으로 간주하는 신호들의 조합을 필기획순에 따라 자음코드로 변환하여 제 1음절의 종성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전 단계와 달리 자음과 모음의 입력 상태를 전환해주는 장치에 의해 입력 상태 전환 코드를 입력받아서 제 1음절의 종성 또는 제 2음절의 초성으로 간주하는 신호들의 조합을 제 2음절의 초성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획순 원리의 문자입력 방법.
  7. 초성, 종성과 종성의 입력 상태를 전환해주는 장치와; 자음을 필기할 때에 사용하는 가로획(ㅡ), 세로획(ㅣ), 점획(.)과 비스듬한 획(/, \) 모두를 함께 배정한 자음 획 신호의 발생장치와; 둥근 획(ㅇ)을 배정한 다른 자음 획 신호의 발생장치와; 꺾은 획(ㄱ, ㄴ) 두 가지를 함께 또는 별도로 배정한 또 다른 1개 또는 2개의 자음 획 신호의 발생장치를 가진 문자 입력 장치에서, 자음 획 신호의 발생 장치로부터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초성, 중성과 종성의 입력 상태를 전환해주는 장치에 의해 입력 상태 전환 코드를 받아서 중성의 입력 상태로 변경하며 전 단계에서 받은 신호들의 조합을 필기획순에 따라 자음코드로 변환하여 제 1음절의 초성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자음 획 신호의 발생 장치로부터 추가로 신호들을 입력받는 단계와; 초성, 중성과 종성의 입력 상태를 전환해주는 장치에 의해 입력 상태 전환 코드를 받아서 종성의 입력 상태로 변경하며 전 단계에서 입력받은 신호들의 조합을 그에 대응하는 모음코드로 변환하여 제 1음절의 중성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자음 획 신호의 발생 장치로부터 계속해서 신호들을 입력받는 단계 없이 초성, 중성과 종성의 입력 상태를 전환해주는 장치에 의해 입력 상태 전환 코드를 받아서 초성의 입력 상태로 다시 변경하며 상기 단계에서 결정된 제 1음절의 초성과 중성만으로 제 1음절을 결정하는 단계; 및 전 단계와 달리 상기 자음 획 신호의 발생 장치로부터 계속해서 신호들을 입력받은 후 초성, 중성과 종성의 입력 상태를 전환해주는 장치에 의해 입력 상태 전환 코드를 받아서 초성의 입력 상태로 다시 변경하며 입력받은 신호를 필기 획순에 따라 자음 코드로 변환하여 제 1음절의 종성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제 1음절의 초성, 중성과 종성으로 제 1음절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획순 원리의 문자입력 방법.
KR1020050030047A 2005-04-11 2005-04-11 필기 획순 원리에 따른 한글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50042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047A KR20050042115A (ko) 2005-04-11 2005-04-11 필기 획순 원리에 따른 한글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047A KR20050042115A (ko) 2005-04-11 2005-04-11 필기 획순 원리에 따른 한글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115A true KR20050042115A (ko) 2005-05-04

Family

ID=37243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047A KR20050042115A (ko) 2005-04-11 2005-04-11 필기 획순 원리에 따른 한글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21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549B1 (ko) * 2006-06-01 2006-12-28 박인기 문자 입력장치
KR101308249B1 (ko) * 2006-01-26 2013-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249B1 (ko) * 2006-01-26 2013-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62549B1 (ko) * 2006-06-01 2006-12-28 박인기 문자 입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1227B2 (en) Qwerty type ten-key board based character input device
US7446755B1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data employing a toggle input control
US20080055117A1 (en)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method using numeric key
KR10036484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20050042115A (ko) 필기 획순 원리에 따른 한글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5274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20070012265A (ko)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06972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20060107646A (ko)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KR100679421B1 (ko) 한글 입력용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060095145A (ko) 입력 키 세트를 이용한 문자 입력모드 변환 시스템 및 변환방법
KR100436426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990242B1 (ko) 키패드 어셈블리
KR20040003092A (ko) 새로운 확장형 키패드를 통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457191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50013921A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2010011007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WO2005112407A1 (en) Keypad having ⊂-shaped button arrangement and method of inputting letters using the same
KR20060025256A (ko) 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451191B1 (ko) 휴대단말기용 키 패드의 한글 문자 배열 구조
KR20060091359A (ko) 한글 입력 방법
KR100756428B1 (ko) 휠타입 입력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및장치
KR20120067263A (ko) 5버튼 키보드
KR20020001129A (ko) 제한된 수의 키수단을 이용한 한글입력방법과 컴퓨터의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