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0045A -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 지지대 - Google Patents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045A
KR20050040045A KR1020030075165A KR20030075165A KR20050040045A KR 20050040045 A KR20050040045 A KR 20050040045A KR 1020030075165 A KR1020030075165 A KR 1020030075165A KR 20030075165 A KR20030075165 A KR 20030075165A KR 20050040045 A KR20050040045 A KR 20050040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upport
casing
constru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2024B1 (ko
Inventor
한동덕
Original Assignee
한동덕
주식회사 씨엠파트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2419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4004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한동덕, 주식회사 씨엠파트너 filed Critical 한동덕
Priority to KR10-2003-0075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02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 기초 또는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하여 지반 천공후 H-형강 등의 컬럼(Column)을 관입하여 설치함에 있어서, 정확하고 견고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케이싱 상단에 설치하는 가설구조물로서, 케이싱 내로 컬럼을 삽입하는 과정이나 기초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컬럼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지지대는 각각 한 쌍의 지지편이 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과, 이들 지지판이 평행을 이루며 고정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고, 지지편과 고정판 사이의 간격은 지지편조절구, 지지판 조절구, 조절볼트 및 조절너트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케이싱 상단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거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고정판에 고정볼트를 구성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지하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컬럼의 설치위치나 수직도 등의 정밀성 확보 뿐 아니라, 여타 구조부재와의 연결을 위한 컬럼볼트나 브래킷 등의 부착물이 기 설치된 컬럼을 굴착공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착물 설치시 지하작업으로 인한 오류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정밀한 시공과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 지지대{COLUMN SUPPORTER INSTALLED AT THE TOP OF CASING}
본 발명은 구조물 기초 또는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하여 지반 천공후 H-형강 등의 컬럼(Column)을 관입하여 설치함에 있어서, 정확하고 견고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케이싱 상단에 설치하는 가설구조물로서, 케이싱 내로 컬럼을 삽입하는 과정이나 기초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서 컬럼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조물의 기초 또는 지하구조물에 있어서, 수직부재로서 설치되는 컬럼은 통상 항타를 통하여 지반에 관입되거나, 지반천공기에 의하여 기 천공된 구멍에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항타로 인한 충격으로 주변 구조물에 피해을 줄 우려가 있으므로, 도심을 비롯한 인구밀집지역의 공사에 있어서는 대부분 후자의 방법이 사용된다.
또한, 도시화와 인구밀도증가로 인하여 토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서,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지중구조물의 건설이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지중구조물의 건설공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중구조물의 건설에 있어서, 주변 건물에의 피해을 최소화하고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중이며, 이에 따라 지반천공후 관입되는 H-형강 형태의 컬럼이 기초와 구조물 자체의 수직부재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고, 지하구간 시공에 있어서도 개착(開鑿)이 완료된 후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이 아니라 굴착과 구조물 시공을 병행하는 탑-다운(Top-Down)공법 등, 굴착면적과 굴착으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다양한 공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초 또는 지중구조물의 시공은 측량과 검측이 어려울 뿐 아니라, 시공이 잘못되면 수정이 매우 어려워서, 지상시공에 비하여 공기가 길 뿐 아니라 공사비 또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지반천공 후 컬럼을 설치함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어서, 지반천공후 컬럼을 삽입하는 과정이나, 하부 기초콘크리트의 양생과정에 있어서, 컬럼이 계획위치를 벗어나는 경우가 빈발하였으며, 이 경우 전체 구조물을 해체 후 재시공하여야 하므로 공기가 지연되고 추가 공사비가 소요되는 등, 막대한 손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케이싱 상단의 지지대로서, 지반천공시 공벽유지를 위하여 관입되는 케이싱(Casing)상단에 설치되어 컬럼의 삽입과 기초콘크리트의 양생기간동안 컬럼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지지대는 각각 한 쌍의 지지편이 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과, 이들 지지판이 평행을 이루며 고정되는 고정판으로 구성되며, 지지편과 고정판 사이의 간격은 지지편조절구, 지지판 조절구, 조절볼트 및 조절너트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지지대를 케이싱 상단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거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고정판에 고정볼트를 구성하여 케이싱에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싱(300) 상단에 설치되는 가설구조물로서, 케이싱(300) 내부로 H-형강 등의 컬럼(Column)(200)을 삽입, 거치하는 과정 및 하부 기초콘크리트(310) 양생과정에 있어서 컬럼(200)이 소정의 계획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지반천공에 있어서 토사층의 굴착시, 오거드릴(Auger drill) 등의 지반천공기(301)의 굴착장비와 케이싱(300)을 동시 또는 연속적으로 지반에 관입하게 되는 데, 이 때 케이싱(300)은 굴착공의 공벽(孔壁)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지하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천공이 완료되면 굴착공 하단부에 기초콘크리트(310)를 타설하고 수직부재인 컬럼(200)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러한 컬럼(200)의 삽입 및 기초콘크리트(310)의 양생과정에서 컬럼(200)이 움직이지 않도록 케이싱(300)의 상단에 본 발명을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지지판(120) 및 이들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고정판(110), 그리고, 각각의 지지판(120)에 설치되는 지지편(130)으로 구성되며, 지지판(120) 및 지지편(130)이 직사각형의 내부공간을 이루되, 그 내부공간이 컬럼(200)의 단면과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지지판(120)을 고정판(110)에 설치함에 있어는 고정판(110)에 종방향의 지지판조절구(111)를 형성하고, 여기에 조절볼트(151)와 조절너트(152)를 통하여 지지판(120)을 설치함으로써, 지지판(120) 사이의 간격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지지편(130)을 지지판(120)에 설치함에 있어서도, 지지판(120)에 종방향의 지지편조절구(121)를 형성하여 지지편(130)을 설치함으로써, 지지편(130)의 위치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지지대를 케이싱(300) 상단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용접을 통하여 고정하거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고정판(110)에 고정볼트(112)를 구성하여 케이싱(30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지지편(130)을 지지판(120)과 같이 한 쌍의 평행판으로 구성하지 않고, 각각의 지지판(120)에 설치되는, 절곡물로 구성하는 이유는 도 3에서와 같이 컬럼(200)에 설치되는 각종 부착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즉, 컬럼(200)에는 하부 기초콘크리트(310)와의 부착력을 증대하기 위한 컬럼볼트(201)와 수평부재의 연결을 위한 브래킷(202) 등의 부착물이 설치될 수 있는데,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는 두 쌍의 수평판으로 지지대를 설치할 경우, 이러한 부착물이 지지대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단순히 컬럼(200)을 정확한 위치로 유지하는 역할 뿐 아니라, 각종 부착물을 컬럼(200)에 미리 설치한 후 케이싱(300)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착물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지하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요지는 한 쌍의 지지판(120)이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고정판(110)에 설치되고, 각각의 지지판(120)에는 한 쌍의 지지편(130)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양측 지지판(120) 및 이들에 설치된 지지편(130)들 사이로 컬럼(200)이 삽입 및 거치될 수 있도록 케이싱(300) 상단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 지지대로서,
고정판(110)에는 종방향의 지지판조절구(111)가 형성되어 지지판(120)의 양 단부가 지지판조절구(111)에 조절볼트(151) 및 조절너트(152)를 통하여 설치되고, 지지판(120)에는 종방향의 지지편조절구(121)가 형성되어 지지편(130)이 지지편조절구(121)에 조절볼트(151) 및 조절너트(152)를 통하여 설치되며, 고정판(110)에는 다수의 고정볼트(112)가 설치되어 고정볼트(112)를 조이면 케이싱(300)을 압박하여 고정판(110)이 케이싱(30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 지지대 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지하 구조물의 시공에 있어서, 시공의 정밀도는 물론 공기와 공사비 또한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컬럼의 설치위치나 수직도 등의 정밀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여타 구조부재와의 연결을 위한 컬럼볼트(201)나 브래킷(202) 등의 부착물이 기 설치된 컬럼을 굴착공에 삽입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착물 설치시 지하작업으로 인한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컬럼볼트 등을 통한 기초콘크리트와의 부착력 증대를 통하여 컬럼의 지지력을 증대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고 견고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부착물이 설치된 컬럼에 적용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4는 고정볼트가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이용한 시공과정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 고정판
111 : 지지판조절구
112 : 고정볼트
120 : 지지판
121 : 지지편조절구
130 : 지지편
151 : 조절볼트
152 : 조절너트
200 : 컬럼(Column)
201 : 컬럼볼트
202 : 브래킷(Bracket)
300 : 케이싱(Casing)
301 : 지반천공기
310 : 기초콘크리트

Claims (2)

  1. 한 쌍의 지지판(120)이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고정판(110)에 설치되고;
    각각의 지지판(120)에는 한 쌍의 지지편(130)이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양측 지지판(120) 및 이들에 설치된 지지편(130)들 사이로 컬럼(200)이 삽입 및 거치될 수 있도록 케이싱(300) 상단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 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판(110)에는 종방향의 지지판조절구(111)가 형성되어 지지판(120)의 양 단부가 지지판조절구(111)에 조절볼트(151) 및 조절너트(152)를 통하여 설치되고;
    지지판(120)에는 종방향의 지지편조절구(121)가 형성되어 지지편(130)이 지지편조절구(121)에 조절볼트(151) 및 조절너트(152)를 통하여 설치되며;
    고정판(110)에는 다수의 고정볼트(112)가 설치되어 고정볼트(112)를 조이면 케이싱(300)을 압박하여 고정판(110)이 케이싱(30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 지지대.
KR10-2003-0075165A 2003-10-27 2003-10-27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 지지대 KR100532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165A KR100532024B1 (ko) 2003-10-27 2003-10-27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165A KR100532024B1 (ko) 2003-10-27 2003-10-27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 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045A true KR20050040045A (ko) 2005-05-03
KR100532024B1 KR100532024B1 (ko) 2005-11-29

Family

ID=3724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165A KR100532024B1 (ko) 2003-10-27 2003-10-27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02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176B1 (ko) * 2004-07-08 2006-12-13 석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단부 양생후 케이싱 인발식 현장타설 말뚝공법
KR100900941B1 (ko) * 2008-09-12 2009-06-08 금오전력 주식회사 고정식 집광장치의 설치 방법
US10000903B1 (en) 2017-09-12 2018-06-19 Han Jo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Casing assembly for forming CIP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forming CIP retaining walls using the casing assembly
CN108265711A (zh) * 2017-12-26 2018-07-10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立柱桩垂直度控制新型模具及其施工方法
KR101967693B1 (ko) * 2018-07-20 2019-08-19 강문기 시공이 용이한 cip 벽체
KR20200141714A (ko) * 2019-06-11 2020-12-21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지상거치용 심정 로드 고정대
KR20210105627A (ko) * 2020-02-19 2021-08-27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지반 강화를 위한 기초 파일 지중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069Y1 (ko) * 2010-10-22 2012-03-2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저회처리호퍼 내화물 파쇄기 설치대
KR101279011B1 (ko) * 2011-05-12 2013-07-02 은석건설 주식회사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지지대
CN105735319B (zh) * 2016-01-28 2018-03-06 上海建工二建集团有限公司 一种大直径钢管立柱桩快速定位调垂装置及施工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176B1 (ko) * 2004-07-08 2006-12-13 석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단부 양생후 케이싱 인발식 현장타설 말뚝공법
KR100900941B1 (ko) * 2008-09-12 2009-06-08 금오전력 주식회사 고정식 집광장치의 설치 방법
US10000903B1 (en) 2017-09-12 2018-06-19 Han Joo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Casing assembly for forming CIP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forming CIP retaining walls using the casing assembly
CN109487794A (zh) * 2017-09-12 2019-03-19 韩柱Enc株式会社 形成cip护墙的套管组件和利用套管组件形成cip护墙的方法
WO2019054703A1 (ko) * 2017-09-12 2019-03-21 한주이엔씨 주식회사 Cip벽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8265711A (zh) * 2017-12-26 2018-07-10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立柱桩垂直度控制新型模具及其施工方法
KR101967693B1 (ko) * 2018-07-20 2019-08-19 강문기 시공이 용이한 cip 벽체
KR20200141714A (ko) * 2019-06-11 2020-12-21 대한민국(육군참모총장) 지상거치용 심정 로드 고정대
KR20210105627A (ko) * 2020-02-19 2021-08-27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지반 강화를 위한 기초 파일 지중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2024B1 (ko) 200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805B1 (ko) 케이싱 및 h빔 가이드가 장착된 연속벽체시공을 위한 구조물
KR20170005991A (ko)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532024B1 (ko) 케이싱 상단 설치식 컬럼 지지대
KR100629437B1 (ko) 기둥 시공을 위한 가이드 케이싱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기둥 시공방법
KR20090120100A (ko) 흙막이 벽의 띠장 지지용 브라켓 및 그를 이용한 터파기방법
KR100346622B1 (ko) 영구 구조물의 일부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 지하 구조물 구축방법
JP2005146849A (ja) 擁壁の補強方法及び擁壁
KR101436119B1 (ko) Cft 원형강관 기둥용 거치대와 이를 이용한 cft 원형강관 기둥의 설치방법
US20060233617A1 (en) Placing elements in piles
KR101253841B1 (ko) 편심굴착 보링공 내에 수직으로 삽입하는 기둥 및 그 시공방법
KR100933739B1 (ko) 지하층에 매설되는 기둥 시공용 케이싱을 가이드하는 구조체
KR100635928B1 (ko) 공동주택 기초 흙막이 구조
JPH09291545A (ja) 柱と杭の接合方法
KR20000058238A (ko) 영구 구조체의 철근콘크리트 보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이용하는 지하 구조물 구축방법
JP2019131990A (ja) 構真柱建込み方法および構真柱建込み装置
KR20190142546A (ko) 외곽부 현수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공법
KR102307510B1 (ko) 흙막이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JP3488454B1 (ja) 仮設工用h形鋼杭
KR101952669B1 (ko) 아치형 강판과 가이드 구조물을 이용한 원형 가시설 흙막이 공법
KR20210098162A (ko) 주열식 강관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3890666B2 (ja) 逆打ち工法における構真柱と本体鉄骨と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構造
JP3246321B2 (ja) 柱と杭の接合構造
RU2799933C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шумозащитного экрана
KR102633929B1 (ko) 흙막이 벽체 시공용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방법
KR100515971B1 (ko) 버팀보 수직간격을 증대시키는 대단면 엄지말뚝을 이용한흙막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126

Effective date: 2007071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023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126

Effective date: 2007071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200007112;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515

Effective date: 2007100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710000125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70515

Effective date: 20071005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427

Effective date: 2012083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120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427

Effective date: 201208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524

Effective date: 20120910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1460;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20524

Effective date: 201209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720

Effective date: 20121114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2005;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720

Effective date: 201211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0808

Effective date: 2012111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215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20808

Effective date: 2012111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