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0013A - Auto loading system - Google Patents

Auto load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013A
KR20050040013A KR1020030075115A KR20030075115A KR20050040013A KR 20050040013 A KR20050040013 A KR 20050040013A KR 1020030075115 A KR1020030075115 A KR 1020030075115A KR 20030075115 A KR20030075115 A KR 20030075115A KR 20050040013 A KR20050040013 A KR 20050040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oading
crane
push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1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86323B1 (en
Inventor
정호성
Original Assignee
(주)삼연엔지니어링
정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연엔지니어링, 정호성 filed Critical (주)삼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3007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323B1/en
Publication of KR2005004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0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3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jibs the effective length of which is variable in operation, e.g. longitudinally displaceable, exten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와 크레인 붐을 이용한 자동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컨베이어상에 일측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래치이송부를 설치하여 모든 화물이 자동적으로 이송되는 한편 컨베이어상에 화물이 밀집되게 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측면에는 아암에 의해 이송되는 아암이송부를 설치하여 화물을 밀집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크레인 붐의 하부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도록 수평실린더, 수직실린더, 크레인베이스 및 슬라이딩부를 설치하여, 크레인 붐의 높이 및 전후방향 위치를 트럭에 맞게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에는 모터 및 워엄기어등을 설치하여 상기 모터에 투입되는 전력을 제어함에 의해 모터의 출력속도를 조정하여 적재부의 푸셔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자동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oading system using a conveyor and a crane boom, by installing a latch transfer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only in one direction on the conveyor so that all the cargo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and the cargo is concentrated on the conveyor. And, the side of the conveyor is installed by the arm transfer unit transported by the arm to move the cargo while maintaining a dense state, the lower portion of the crane boom horizontal cylinder, vertical cylinder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By installing a crane base and a sliding part, the height and the front-rear position of the crane boom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truck, and the motor and worm gears are installed in the loading part for loading the truck into the motor Pusher of the load by adjusting the output speed of the motor by controlling the power It relates to an automatic loading system that can easily adjust the speed of.

Description

자동 적재 시스템{AUTO LOADING SYSTEM}Automatic loading system {AUTO LOADING SYSTEM}

본 발명은 컨베이어와 크레인 붐을 사용하는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컨베이어상에 일측 방향으로만 화물을 밀어줄 수 있는 래치 이송부를 설치하여 모든 화물을 밀집된 상태로서 자동적으로 이송되게 하고, 상기 크레인 붐의 하부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수평실린더, 수직실린더 및 내부에 롤러 가이드가 구비된 크레인베이스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크레인붐을 적은 힘으로 정확하게 이동하게 하기 위한 슬라이딩부를 설치하여, 상기 크레인 붐의 단부에 설치되는 적재부의 위치를 트럭의 적재함과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하며, 상기 적재부에는 모터와 워엄기어등을 설치하여 상기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정함에 의해 화물을 밀어주는 푸셔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적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loading device using a conveyor and a crane boom, and in particular, by installing a latch transfer unit that can push the cargo in one direction only on the conveyor to automatically transport all the cargo in a dense state, The lower part of the crane boom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cylinder, a vertical cylinder and a crane base provided with a roller guide therein so as to be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and a sliding part for precisely moving the crane boom with a small force. The position of the loading part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rane boom can be easily matched with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the pusher for pushing the cargo by adjust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by installing a motor and worm gear, etc. The automatic loading system that can easily control the speed of .

일반적으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화물을 이송한 후 상기 이송된 화물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리고 나서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하고 있는데, 근래에는 상기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화물을 트럭에 용이하게 싣기 위하여 크레인의 길이가 신축이 가능한 크레인 빔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load a cargo, a conveyor is used to transfer the cargo, and then the transferred cargo is lifted by a crane, and then loaded into a loading box of a truck. In recent years, the cargo carried by the crane is easily loaded onto a truck. In order to load, the crane beam which can expand and contract the length of a crane is used.

상술한 크레인 빔을 사용하는 종래의 자동적재장치는 상기 크레인을 트럭에 맞추기 위하여 상기 크레인 빔의 하부에 한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이 고정되는 베이스로 구성된다. 상기 한쌍의 프레임은 상기 크레인 빔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힌지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에도 힌지로 설치되는 일종의 링크구조에 의하게 된다. 상술한 링크구조에서 프레임이 베이스에 고정된 힌지중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게되고, 상기 원운동에 의해 상기 크레인 빔의 높낮이와 전후방향위치가 조정되게 된다.The conventional automatic loading apparatus using the above-mentioned crane beam is composed of a pair of frames and a base on which the frame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rane beam to fit the crane to the truck. The pair of frames is installed on a hinge that is rotatably fixed to the crane beam and is based on a kind of link structure that is installed as a hinge on the base. In the above-described link structure, the frame is circularly moved to the center of the hinge fixed to the base, and the height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s of the crane beam are adjusted by the circular motion.

또한, 상기 종래의 적재부에는 화물을 밀어내기 위해 푸셔가 설치되는데, 상기 푸셔는 유압에 의해 전후방향 이동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load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usher to push the cargo, the pusher is moved back and forth by the hydraulic pressure.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자동적재장치에 사용되는 컨베이어의 경우 화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는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컨베이어의 경우 화물을 계속적으로 이송하는 경우에는 뒤따라 오는 화물이 선행하는 화물을 밀어주기 때문에 컨베이어와 연결되는 적재부까지 이송이 가능하다. 그러나, 화물의 마지막부분을 이송하는 경우 뒤에서 밀어주는 화물이 없기 때문에 컨베이어상의 마지막 부분에서 멈추게 되고 적재부까지 이송이 되지 않아 인력이나 또다른 장치에 의해 적재부에 다시 올려놓아야 해서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는 한편, 상술한 종래의 컨베이어에 의한 경우 작업자가 화물을 컨베이어에 놓는 경우 컨베이어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놓게 되므로 화물이 상기 컨베이어상에 밀집되지 않고 띄엄띄엄 있게 되어 트럭에 적재하는 경우 밀집된 상태로 적재하지 못하므로 적은 수의 화물이 처리되어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yor used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automatic loading device is composed of a conveyor belt for transferring cargo and a motor for driving the conveyor belt. In the case of a conveyor of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cargo is continuously transported, the following cargo pushes up the preceding cargo, so that the conveyor can be transported to a loading part connected to the conveyor. However, when the last part of the cargo is transported, there is no cargo to be pushed behind, so it stops at the last part on the conveyor and cannot be transported to the loading part, so it has to be put back on the loading part by manpower or another device. 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conveyor described above, when the worker puts the cargo on the conveyor, the conveyor is placed in the operating state, so that the cargo is not crowded on the conveyor but is spaced up and loaded on the truck. Since it can not be loaded in a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a small number of cargoes are processed to reduce processing efficiency.

또한, 종래의 자동적재장치에서 적재부를 구동하는 크레인붐의 경우 고정된 베이스에 설치된 후 힌지와 프레임으로 연결된 링크 구조에 의해 상하 또는 전후로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는 경우 상기 크레인 붐은 원운동을 하게 되어 트럭과의 위치와 높낮이를 맞추기가 곤란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 붐은 높낮이와 전후방향위치가 동시에 변하기 때문에 만일 트럭과의 간격을 맞추어도 높낮이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있거나 혹은 그 반대의 경우가 있어 트럭에 적재하기가 곤란한 문제가 있는 한편, 대형트럭의 경우 적재함이 길어 상기 링크구조의 크레인의 경우 전,후방향의 이동거리가 짧아 대형트럭의 적재함 가장 안쪽부터 적재하지 못하고 중간에 적재하게 되어 인력이나 다른 장치에 의해 다시 옮겨야 해서 시간과 노력의 낭비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rane boom driving the loading unit in the conventional automatic loading device is installed in a fixed base and is moved up and down or back and forth by the link structure connected by the hinge and the fram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crane boom has a circular motion, making it difficult to match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truck. 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rane boom is at the same time the height and the front and rear position changes at the same time, if the height is not matched or even vice versa,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load on the truck In the case of large trucks, the stacker is long, and the link-type crane has a short moving distan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 was a problem of wasted effort.

한편, 종래의 적재부에 설치되는 푸셔의 경우 유압을 이용하여 푸셔를 구동하는 실린더를 작동시키고 상기 실린더에 의해 푸셔가 전,후방향 구동되게 되는데, 이때 유압의 특성상 상기 실린더의 운동속도를 신속히 변화시키기가 곤란하여 일정한 속도로 구동되게 되어 저속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트럭에 신속이 적재하지 못하므로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고속으로 구동하는 경우에는 그 관성에 의해 상기 푸셔가 트럭등과 충돌될 우려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Meanwhile, in the case of a pusher installed in a conventional loading unit, a cylinder for driving the pusher is operated by using hydraulic pressure, and the pusher is driven forward and backward by the cylinder. At this time, the movement speed of the cylinder is changed rapid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draulic pressure. If it is difficult to make it, it is driven at a constant speed, and if it is driven at a low speed, the truck cannot be loaded quickly. Therefore, when the engine is driven at a high speed, the pusher may collide with the truck due to its inertia.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베이어상에 일측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래치이송부를 설치하여 모든 화물이 자동적으로 이송되는 한편 컨베이어상에 화물이 밀집된 상태로 이송가능하게 하는 자동적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latch transfer unit that can transfer power only in one direction on the conveyor in which all the cargo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while the cargo is concentrated on the conveyor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loading system that enables transpor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크레인 붐의 하부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도록 수평실린더, 수직실린더, 크레인베이스 그리고 슬라이딩부를 설치하여, 크레인 붐의 높이 및 전후방향 위치를 트럭에 맞게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자동적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horizontal cylinder, a vertical cylinder, a crane base and a sliding por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rane boom so as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to easily adjust the height and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crane boom to the truck. It is to provide an automatic loading system that can be adjusted.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에는 모터 및 워엄기어등을 설치하여 적재부의 푸셔의 속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자동적재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loading system that can easily adjust the speed of the pusher of the loading unit by installing a motor and a worm gear in the loading unit for loading cargo on a truc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은 컨베이어에 의해 화물이 이송된 후 상기 화물을 운송수단에 적재하는 적재시스템에 있어서,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상에 설치되는 래치이송부로 되는 제1이송부와, U자 형상의 이송 가이드와 아암 이송장치로 되는 제2이송부와, 크레인붐과 상기 크레인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실린더와 상기 크레인붐의 상승시 가이드 역할을 하는 크레인 베이스와 상기 크레인베이스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실린더와 상기 크레인 베이스하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슬라이딩부로 되는 크레인구동부와, 상기 크레인붐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적재부로 구성되는 자동적재장치로서, 상기 래치이송부는 탄성연결부로 연결된 래치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래치 이송판이 컨베이어상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에 의해 화물을 한쪽 방향으로만 이송하게 하고, 상기 크레인붐은 슬라이딩부상에 설치되어 전,후방향 운동이 가능한 자동적재시스템에 있다.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oading system for loading the cargo on a transport means after the cargo is transported by a conveyor, the first conveying portion which is a conveyor and a latch conveying unit installed on the conveyor; A second conveying part serving as a U-shaped conveying guide and an arm conveying device, a vertical cylinder for moving the crane boom and the crane boom in a vertical direction, a crane base serving as a guide when the crane boom is raised, and the crane base An automatic loading device comprising a horizontal cylinder for moving in a direction, a crane driving portion which is installed under the crane base to be a sliding portion to facilitate horizontal movement, and a loading portion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rane boom. Latch transfer plate is installed on the conveyor through The crane boom is only to, and transported to one of the cargo by the latch direction is in the automatic loading system which is installed on the sliding portion ago, the backward movement.

이러한 자동적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적재판의 전면에는 트럭의 적재함과의 높이와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재부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닥판의 하면에는 롤러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uch an automatic loading system, it is preferable to mount a sensor on the front of the loading plate of the loading unit to measure a height and a distance from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and to install a roll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loading unit. It is prefera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화물의 이송과 트럭에의 적재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본 발명은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제1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된 화물을 적재부(400)로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부(200), 상기 적재부(400)를 구동하기 위한 크레인 구동부(300), 그리고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40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ransfer of cargo and loading on a truck is automatically performed is performed by the first transfer unit 100 for transferring cargo using a conveyor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transferred cargo to the loading unit 400. 200, a crane driving unit 300 for driving the loading unit 400, and a loading unit 400 for loading cargo into a truck.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의 이송을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1 will be described the transfer of carg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이송할 화물을 컨베이어(110)에 올려놓게된다. 상기 컨베이어(100)은 종래의 컨베이어와 같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모터등의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First, the cargo to be transported is placed on the conveyor 110. The conveyor 100 is supported by a supporter like a conventional conveyor and driven by a driver such as a motor.

상기 컨베이어(110)상에 올려진 화물은 컨베이어(110)가 구동됨에 따라 이송되게 된다. 상기 화물은 컨베이어(110)의 끝까지 이송되고, 상기 화물에 뒤따르는 화물이 상기 화물을 밀어줌으로서 제2이송부(200)까지 이송된다.The cargo on the conveyor 110 is transported as the conveyor 110 is driven. The cargo is transported to the end of the conveyor 110, the cargo following the cargo is transported to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by pushing the cargo.

화물이 계속 이송되다가 마지막 화물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화물을 뒤에서 밀어주는 화물이 없어 컨베이어(110)의 마지막 부분에서 멈추게 되는데, 이때, 래치 이송부(120)에 의해 제2이송부(200)으로 옮겨진다. 또한, 화물이 컨베이어(110)상에 밀집되어 배치되지 못하므로 상기 래치이송부(120)의 이송에 의해 화물이 밀집되게 된다. 상기 래치 이송부(120)는 후술하기로 한다.If the cargo continues to be transported and the last cargo is transported, there is no cargo that pushes the cargo from the back and stops at the last portion of the conveyor 110. In this case, the latch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veying unit 200 by the conveying unit 120. In addition, since the cargo is not dense and arranged on the conveyor 110, the cargo is concentrated by the transfer of the latch transfer part 120. The latch transfer unit 12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2이송부(200)의 이송가이드(220)상에 옮겨진 화물은 아암(210)의 이동에 의해 적재부(400)로 옮겨지고, 결국 트럭에 적재되게 된다.The cargo transferred on the transfer guide 220 of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is transferred to the loading unit 400 by the movement of the arm 210, and eventually loaded on the truck.

이때 크레인 구동부(300)에 의해 적재부(400)가 트럭내부로 들어가서 화물을 적재하게 되는데, 상기 크레인 구동부(300)에 대하여 도 2a 내지 도 2b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case, the loading unit 400 enters the inside of the truck by the crane driving unit 300 and loads the cargo. The crane driving uni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B.

상기 크레인 구동부(300)은 길이가 신축가능한 크레인 붐(310)과 상기 크레인 붐(31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수직실린더(330)와 전,후로 이동시키는 수평실린더(340) 그리고 상기 크레인 붐(310)을 지지하는 크레인 베이스(320)로 구성되어 있다. 도 2a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재부(400)을 트럭의 높낮이 맞추기 위해 상기 수직실린더(330)를 작동하여 크레인 붐(310)을 밀어올리는 경우 상기 크레인 베이스(320)내의 실린더(322)가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크레운 붐(310)의 상승방향이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상승해야 하는데 이것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21)내에 롤러가이드(321b)를 설치하게 된다. 만일 적재부에 있는 화물의 무게등에 의해 크레인 붐(310)에 모멘트가 작용되게 되고 이런 경우 상기 크레인 붐(310)이 휘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진동이 생기게 되고 결국 작업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것을 물론 파손의 위험도 있는 것이다.The crane driving unit 300 has a telescopic crane boom 310, a vertical cylinder 330 for raising or lowering the crane boom 310, a horizontal cylinder 340 for moving back and forth, and the crane boom 310 ) Is composed of a crane base 320 for supporting. As shown in FIG. 2A, when the vertical cylinder 330 is operated to push up the crane boom 310 to raise the height of the truck 400, the cylinder 322 in the crane base 320 rises accordingly. Done. At this time, the rising direction of the crown boom 310 should rise exactly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secure this, the roller guide 321b is installed in the housing 321. If the moment is acting on the crane boom 310 by the weight of the cargo in the loading portion, in this case, the crane boom 310 is subjected to a force in the bending direction, the vibration is generated, and eventually the accuracy of the work is of course damaged There is also a risk.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21)내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롤러가이드(321b)를 설치하여 상기 실린더(322)가 상승할때 접촉되어 회전됨으로서 상기 실린더(322)의 수직상승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roller guide 321b fixed and rotated in the housing 321 is installed to maintain vertical rise of the cylinder 322 by being rotated in contact with the cylinder 322 when it is raised. .

상기 크레인 베이스(3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 실린더(340)에 의해 전, 후로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지지판(360)상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크레인 베이스(3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부(350)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정확한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하여 트럭과의 위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The crane base 320 is configured to move back and forth by the horizontal cylinder 340 as described above, which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late 360 is installed below the crane base 320 The sliding unit 35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a small force, and at the same time to enable a precise linear movement to easily match the position with the truck.

또한, 대형 트럭과 같이 적재함이 상당히 긴 경우에도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하여 충분히 대형 트럭의 적재함 깊은 곳부터 적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even if the loading box is quite long, such as a large truck, it i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rearward enough to be able to load from the deep of the loading box of a large truck.

이상 상술한 크레인 구동부(300)의 구성에 의해 트럭의 높낮이를 맞추는 경우 수직실린더(330)의 상승과 그에 따른 크레인 베이스(320)의 실린더(322)의 상승에 의해 용이하게 트럭의 높낮이와 맞출 수 있고, 상기 수평실린더(340)에 의해 트럭과의 간격을 맞추는 것을 물론 대형트럭인 경우에도 적재함의 가장 안쪽부터 적재할 수 있다. When the height of the truck is adjusted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crane driving unit 300, the height of the truck can be easily matched by the height of the vertical cylinder 330 and thereby the cylinder 322 of the crane base 320. In addition, the horizontal cylinder 340 can be loaded from the innermost side of the stacking box even in the case of a large truck, as well as the interval with the truck.

상기 크레인 베이스(320)의 외벽(321a)사이에는 한 쌍의 보호막(321d)를 설치하여 하우징(321)내부로 이물질이나 혹은 작업자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A pair of protective films 321d are installed between the outer walls 321a of the crane base 32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or workers from entering the housing 321.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제1이송부(100)의 래치 이송부(14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latch transfer unit 140 of the first transfer unit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래치 이송부(120)는 화물을 밀어주는 래치(121)와 상기 래치(121)가 설치되는 래치 이송판(125) 그리고 상기 래치 이송판(125)을 이동시키는 실린더(129)로 구성된다.The latch transfer part 120 is composed of a latch 121 for pushing the cargo, a latch transfer plate 125 on which the latch 121 is installed, and a cylinder 129 for moving the latch transfer plate 125.

상기 래치 이송판(125)은 가로방향이 긴 직사각형형상으로서 상기 직사각형 형상중 상부변과 하부변은 아래측으로 꺾여 "ㄷ"형상이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ㄷ"형상부분이 컨베이어(110)부분에 결합되게 된다.The latch transfer plate 125 i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ectangular shape are bent downward to face the "c" shape. The "c" shape portion is to be coupled to the conveyor (110) portion.

상기 래치 이송판(125)상에는 래치(121)가 관통되어 설치되는 래치관통슬롯(128)이 한쌍으로서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래치 이송판(125)을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129)가 고정되는 실린더 고정홀(1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래치 이송판(125)의 상하변 단부 즉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래치 고정홀(127)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latch feed plate 125, a latch through slot 128 through which the latch 121 penetrates is formed at a uniform interval as a pair, and a cylinder 129 for moving the latch feed plate 125 is provided. A cylinder fixing hole 126 to be fixed is formed, and a latch fixing hole 127 is formed at an upper and lower end portion of the latch feed plate 125, that is, formed in a "c" shape.

상기 래치(121)는 육면체로서 일측 단부가 라운드처리되어 있는 부분상에 삼각형 형상의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래치 이송판(125)상의 래치관통슬롯(128)을 관통하여 돌출되게된다. 상기 돌출부는 화물이송방향으로 높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하면이 육면체에는 삽입홀(12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홀(122)에 연결봉(123)이 연결되어 한쌍의 래치가 고정되고, 상기 삽입홀(122)을 관통한 연결봉(123)이 상기 래치 이송판(125)의 측면에 형성되는 래치 고정홀(127)에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latch 121 is a hexahedron and is formed as a triangular protrusion on a portion where one end is rounded. The protrusion is protruded through the latch through slot 128 on the latch feed plate (125).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that increases in the cargo transport direction.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hexahedron, the insertion hole 122, the connecting rod 123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hole 122, a pair of latches are fixed, the connecting rod penetrating the insertion hole 122 ( 123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latch fixing hole 127 formed on the side of the latch transfer plate 125.

상기 연결봉(123)과 삽입홀(122)사이에는 코일스프링(124)이 상호 고정되어 있다. 상기 코일 스프링(124)에 의해 상기 래치(121)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coil spring 124 is fixed between the connecting rod 123 and the insertion hole 122. The coil spring 124 provides a restoring force to the latch 121.

즉, 화물이 이송되는 경우 상기 화물이 상기 래치(121)를 누르면서 지나가게 된다. 이는 상기 래치(121)의 형상이 화물 이동방향으로 높아지게 경사져 있기때문이다. 상기 화물이 래치(121)를 지나간 경우 상기 래치(121)는 상기 코일 스프링(124)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올라오게 된다. That is, when the cargo is transported, the cargo passes while pressing the latch 121. This is because the shape of the latch 121 is inclined so as to increase in the cargo moving direction. When the cargo passes through the latch 121, the latch 121 is raised agai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il spring 124.

상술한 바와 같이 화물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래치(121)를 누르면서 지나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rgo moves continuously, the cargo passes while pressing the latch 121.

그러나, 화물의 마지막 부분이 이송되는 경우에는 뒤에서 밀어주는 화물이 없기 때문에 제2이송부(200)로 옮겨갈 수 없다. 이 경우 상기 래치 이송부(140)에 의해 상기 제2이송부(200)로 옮길 수 있다. However, when the last portion of the cargo is transported because there is no cargo to be pushed behind it can not be moved to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In this case, the latch transfer unit 140 may move to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즉, 마지막 화물이 상기 래치 이송부(120)상에 도달한 경우 상기 마지막 화물의 뒷면에는 래치(121)의 수직 경사면이 접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래치 이송판(125)이 실린더(129)에 의해 움직이면, 상기 수직 경사면이 상기 화물을 밀게 되어 결국 제2이송부(200)로 상기 화물을 옮기게 된다.That is, when the last cargo reaches the latch transfer unit 120, the back of the last cargo is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inclined surface of the latch 121. At this time, when the latch transfer plate 125 is moved by the cylinder 129, the vertical inclined surface pushes the cargo and eventually transfers the cargo to the second transfer part 200.

또한, 일반적으로 컨베이어에 화물을 놓는 경우 컨베이어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화물을 놓기 때문에 화물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화물이 제2이송부(200)에 옮겨갈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래치이송부(120)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이 컨베이어상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경우 상기 래치이송부(120)가 후진하여 뒷쪽 화물을 앞쪽으로 옮기고 다시 후진하여 그 뒤쪽 화물을 옮겨 결국 컨베이어의 최종부분에 밀집되게 할 수 있는 한편 상기 밀집된 화물을 제2이송부(200)로 이송되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general, when the load is placed on the conveyor, because the load is placed in the conveyor operating state there is often a gap between the cargo.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argo may not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transfer part 200. The latch transfer part 120 may be used to prevent this phenomenon. For example, if the cargo is arranged at intervals on the conveyor, the latch conveying unit 120 may be reversed to move the rear cargo forward and back again to move the cargo behind and eventually to be concentrated on the final part of the conveyor. The dense cargo is to be transferred to the second transfer part 200.

이는 화물을 밀집된 상태로 만들어 줌으로서 제2이송부(200)로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밀집된 상태로 이송되게 해주어서 한꺼번에 많은 양의 화물을 이송할 수 있게되고 그에 따라 작업효율이 상승하는 효과도 있다.This facilitates the transfer to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by making the cargo in a dense state, and allows the transfer in a dense state so that a large amount of cargo can be transported at once,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이송부(100)에 의해 제2이송부(200)로 옮겨진 후 적재부(400)에 이송된 후 크레인 구동부(300)에 의해 트럭에 적재되게 되는 본 발명에서, 도 4을 참조하여 제2이송부(200)를 설명하기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o be moved to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by the first transfer unit 100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ransferred to the loading unit 400 and then loaded on the truck by the crane drive unit 300, see FIG.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will be described.

제2이송부(200)는 화물의 이동방향을 잡아주는 가이드(220)와 상기 가이드(220)상의 화물을 적재부(400)로 이동시켜 주는 아암 이송장치(210)로 구성되어 있다.The second transfer unit 200 is composed of a guide 220 for holdi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argo and an arm transfer device 210 for moving the cargo on the guide 220 to the loading unit 400.

상기 아암 이송장치(210)는 상기 가이드(220)의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5)상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 아암 이송장치(210)은 화물을 밀어주는 아암(211)과 상기 아암(211)을 이동시키는 체인(213), 상기 체인(213)을 구동하는 모터(214), 상기 아암(211)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아암(211) 하부에 슬라이딩부(212)가 설치되어 있다.The arm transfer device 210 is to be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215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guide 220. The arm transfer device 210 is an arm 211 for pushing a load, a chain 213 for moving the arm 211, a motor 214 for driving the chain 213, the arm 211 is smoothly A sliding part 212 is provided below the arm 211 so as to move easily.

상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모터(214)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이 체인(213)을 구동하게 되고, 상기 체인(213)이 상기 아암(2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슬롯에 물려 구동됨에 따라 결국 상기 아암(211)이 상기 슬라이딩부(212)상에서 이동하게되고 그 결과로 가이드(220)상에 있는 화물을 적재부(400)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아암(211)을 사용하여 적재부(400)로 화물을 옮기는 경우 화물이 밀착된 상태로 이송이 되어 적재부에 옮겨지므로 한번에 많은 화물을 이송할 수 있어 작업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motor 214 drives the chain 213, and the chain 213 is driven by a slot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rm 211, and eventually the arm is driven. 211 is moved on the sliding portion 212 and as a result pushes the cargo on the guide 220 to the loading portion 400. In this case, when the cargo is moved to the loading unit 400 by using the arm 211, the cargo is transported in a state in which the cargo is in close contact, and thus is transferred to the loading unit. Thus, many cargoes can be transferred at a time,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

상술한 바와 같이 적재부(400)로 이송된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게 되는데, 이하 첨부된 도 5를 참고하여 상기 적재부(400)을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argo transferred to the loading unit 400 is loaded on the truck, and the loading unit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적재부(400)은 화물을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푸셔(410)과 상기 푸셔(410)를 지지하는 푸셔베이스(420), 그리고 상기 푸셔(410)를 구동하는 푸셔구동부(430)으로 구성된다.Loading unit 400 is composed of a pusher 410 to push the cargo, a pusher base 420 for supporting the pusher 410, and a pusher driving unit 430 for driving the pusher 410.

상기 푸셔베이스(420)는 한 쌍의 "ㄴ"자 형상의 지지프레임(421)사이에 수평방향의 수평프레임(422)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421)사이에는 수직방향의 프레임이 다수 설치되어있다. 상기 지지프레임(421)의 수평부상에는 바닥판(423)이 설치되는데, 상기 바닥판(423)상에 화물이 실리게 된다.The pusher base 420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frame 42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pair of "b" shaped support frame 421, respectively, and the vertical frame between the support frame 421 There are a number of installed. The bottom plate 423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421, the cargo is loaded on the bottom plate 423.

상기 바닥판(423)의 평평한 형상의 판 형상이나 그 끝부분은 아랫방향으로 꺾여져 있는 형상이다. 상기 꺾여져 있는 부분의 양측 끝부분에는 상기 바닥판(423) 앞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체크하는 장래물 감지 센서(423a)를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423)과 트럭의 높낮이를 비교하여 체크하는 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423b)가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는 100mm용과 300mm용 2가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우선 300mm용 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에 의해 적재위치로 부터 300mm 까지 근접할때까지 고속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100mm용 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에 의해 100mm까지 근접함이 인식된 경우 저속으로 이동하여 이송의 효율과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이다.The flat plate shape or the end portion of the bottom plate 423 is b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bent portion, a future detection sensor 423a is installed to check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423, and the bottom plate 423 is compared with the height of the truck. Position proximity confirmation sensor 423b is install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wo types of proximity sensor for 100mm and 300mm for the reason, first, by moving at high speed until 300mm from the loading position to 300mm by the proximity sensor for 300mm. If the proximity to 100mm is recognized by the 100mm loading position proximity sensor, it is to move at low speed to promote the efficiency and safety of transportation.

또한, 트럭높낮이감지센서(423c)를 설치하여 상기 바닥판(423)과 트럭의 높낮이를 맞추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truck height sensor 423c was installed to match the height of the bottom plate 423 and the truck.

이때 상기 센서의 배열은 양측에 장애물감지센서(423a)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2개의 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423b)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트럭높낮이감지센서(423c)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of the sensor is prefer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obstacle sensor 423a, between the two loading position proximity confirmation sensor 423b, between the truck height sensor 423c is preferably installed between. .

한편 상기 바닥판(423)의 하면에는 롤러(423d)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트럭의 적재함내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plate 423 is provided with a roller 423d, which is intended to be able to move more easily in the loading compartment of the truck.

상술한 바와 같이 화물을 올려놓은 후 트럭에 밀어넣기 위해 크레인 구동부(300)와 연결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지지프레임(421)사이의 하부에 설치되는 수평프레임(422)상에 설치되는 연결프레임(424)와 상기 연결프레임(424)상에 설치되는 연결판(425)에 의해 크레인붐(310)의 단부와 연결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t is connected to the crane driving unit 300 to push the cargo and put it on the truck, which is connected to the frame 424 is installed on the horizontal frame 422 is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frame 421 And the connection plate 425 installed on the connection frame 424 to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rane boom 310.

상기 바닥판(423)상에 올려진 화물은 상기 적재부(400)가 트럭의 적재위치에 도착한 후 상기 적재부(400)가 후진함과 동시에 상기 푸셔(410)가 전진함에 의해 밀려서 트럭에 적재되게 된다. 상기 푸셔(410)는 사각형 형상의 외부프레임(411)과 상기 외부프레임(411)의 내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내부프레임(412)와 후술하는 푸셔구동부(430)와 연결되는 푸셔연결프레임(413)으로 구성되어 화물을 밀어내게 되고 결국 트럭에 적재되게 된다.The cargo loaded on the bottom plate 423 is pushed by the pusher 410 as it moves forward with the loading unit 400 moving backward after the loading unit 400 arrives at the loading position of the truck and loaded on the truck. Will be. The pusher 410 is connected to a pusher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411 of the rectangular shape and the inner frame 412 is installed a plurality of at regular intervals inside the outer frame 411 and the pusher driving unit 430 to be described later It consists of a frame 413 to push the cargo out and eventually load it into the truck.

상술한 바와 같이 푸셔(410)를 밀어내기 위해 푸셔구동부(430)가 설치된다. 상기 푸셔구동부(430)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431)와 상기 모터(431)에 의해 구동되는 워엄기어(432), 상기 워엄기어(432)에 연결되는 피니언기어(433), 상기 워엄기어(432)의 구동을 도와주는 베어링(435), 그리고 상기 피니언기어(433)에 연결되어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 랙기어(434), 그리고 상기 랙기어(434)의 직선운동을 보장하는 직선운동가이드(436)로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usher driver 430 is installed to push the pusher 410. The pusher driver 430 may include a motor 431 generating power, a worm gear 432 driven by the motor 431, a pinion gear 433 connected to the worm gear 432, and the worm gear ( Bearing 435 to help drive the 432, and the rack gear 434 connected to the pinion gear (433) for a linear motion, and a linear motion guide to ensure the linear motion of the rack gear (434) 436).

상기 모터(431)에 의해 발생한 동력이 우선 워엄기어(432)로 전달되어 워엄기어(432)가 구동된다. 상기 워엄기어(432)를 사용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워엄기어에 의해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보다 큰 힘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워엄기어(432)의 동력이 피니언 기어(433)에 전달되고난 후, 랙기어(434)로 전달된다. 상기 랙기어(434)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랙기어(434)는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데, 상기 랙기어(434)는 길이가 길어 외부의 조그만 충격에도 흔들려서 정밀한 직선운동을 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정밀한 직선운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랙기어(434)의 밑에 직선운동가이드(436)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직선운동가이드(436)은 상기 랙기어(43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맞물려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434)가 직선운동가이드(436)을 따라 운동을 하게 되어 정밀한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된다.Power generated by the motor 431 is first transmitted to the worm gear 432 to drive the worm gear 432. The reason why the worm gear 432 is used is that a large reduction ratio can be obtained by the worm gear in general, and thus a larger force can be obtained. Power of the worm gear 432 is transmitted to the pinion gear 433, and then to the rack gear 434. The rack gear 434 is a gear used to convert rotational motion into linear motion. As described above, the rack gear 434 is a linear movement, the rack gear 434 is a long length it may be difficult to perform a precise linear movement by shaking even a small impact from the outside.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precise linear motion, the linear motion guide 436 is installed under the rack gear 434. The linear motion guide 436 is installed in engagemen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rack gear 434 so that the rack gear 434 moves along the linear motion guide 436 to enable precise linear motion.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셔(410)는 모터와 기어의 구성에 의해 구동되는데, 모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속도를 조정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usher 4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by the configuration of the motor and the gear, because the use of the motor is easy to adjust the speed.

즉, 종래와 같이 유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압의 특성상 신속한 속도변화가 어렵다. 따라서 거의 일정한 속도로 상기 푸셔(410)가 운동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저속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작업속도가 늦어 작업효율이 저하되고, 반대로 고속인 경우 상기 푸셔(410)의 관성에 의해 주변부와 충돌의 위험이 있다.That is, when using hydraulic pressure as in the prior ar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speed quickl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draulic pressure. Accordingly, the pusher 410 moves at a substantially constant speed. For example, when the pusher 410 moves at a low speed, the work speed is lowered, and the work efficiency is lowered. On the contrary, at the high speed, the pusher 410 collides with the peripheral part due to the inertia of the pusher 410. There is a danger.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423)의 꺾여진 부분에 100mm용과 300mm용 2가지의 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423b)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적재위치로 부터 적재위치로부터 100mm 거리에 도달한 경우 모터(431)에 투입되는 전력을 감압하여 속도를 낮추어서 저속으로 구동하게 되고, 300mm 거리에 도달할때까지는 모터(431)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푸셔(410)을 고속으로 구동하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wo stacked position proximity sensor 423b for 100mm and 300mm in the bent portion of the bottom plate 423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when a distance of 100 mm from the loading position is reached from the loading position, the power input to the motor 431 is reduced to reduce the speed to drive at a low speed. The motor 431 is rotated at high speed until the 300 mm distance is reached. The pusher 410 is driven at a high speed.

이에 의해 적재위치로부터 먼 곳에서는 고속으로 구동하여 작업효율을 꾀하고, 가까운 곳에서는 저속으로 구동하여 안전을 꾀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모터(431)의 특성상 속도변화가 용이한 점을 이용한 것이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drive at high speed in a place far from the loading position and to achieve work efficiency, and to drive at low speed in a near place to ensure safety.

상술한 적재부(400)의 구성에 의해 화물이 트럭에 적재되게 되는데, 이를 좀더 살펴보면, 우선 화물이 제2이송부(200)에 의해 바닥판(423)위에 놓여지고 그 후 상술한 센서들에 의해 트럭의 높이와 맞춘 후 트럭의 적재함내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트럭의 적재함내로 들어간 후 상기 푸셔(410)가 화물을 밀어내는 동시에 상기 바닥판(423)이 후퇴하면서 화물이 트럭에 놓여지게 된다.Cargo is loaded on the truck by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loading unit 400, in more detail, the cargo is first placed on the bottom plate 423 by the second transport unit 200 and then by the above-described sensors It will fit into the truck's height and then enter the truck's loading bin. After entering the loading bin of the truck, the pusher 410 pushes the cargo and at the same time the bottom plate 423 retreats so that the cargo is placed in the truck.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물을 자동적으로 이송하여 트럭에 적재하는 자동적재시스템으로서 화물을 이송하는 제1이송부(100)와 제2이송부(200) 그리고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는 적재부(300)와 상기 적재부(300)를 이동시키는 크레인 구동부(300)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제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load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transports cargo and loads it on a truck, and includes a first transporting part 100 and a second transporting part 200 for transporting cargo and a loading part 300 for loading cargo on a truck. ) And a crane driving unit 300 for moving the loading unit 300. Hereinafter, the actual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D.

도 5a에서 적재부(400)에 화물이 옮겨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적재부(400)에 화물이 실린후 상술한 센서에 의해 트럭의 위치와 높낮이를 감지하여 트럭과 같은 높이로서 트럭의 적재함 앞부분에 위치하게 된다.In FIG. 5A, a state in which cargo is moved to the loading unit 400 is illustrated. After the cargo is loaded on the stacking unit 400,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truck are sensed by the above-described sensor, and the truck is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stacking box of the truck as the height of the truck.

그 후 상기 크레인 구동부(300)의 크레인 붐(310)의 단부가 늘어나면서 상기 적재부(400)를 트럭의 적재함에 밀어넣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레인 구동부(300)은 전,후방향으로 충분히 이동할 수 있어 대형 트럭인 경우와 같이 적재함의 길이가 길어도 상기 적재함의 가장 안쪽부터 적재할 수 있다.Thereafter, as the end of the crane boom 310 of the crane driving unit 300 extends, the loading unit 400 is pushed into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crane driving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lly mov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even if the length of the loading box is long, such as in the case of a large truck, it can be loaded from the innermost of the loading box.

상기 트럭의 적재함 가장 안쪽에 위치한 상태를 도 6b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때 적재부(400)가 트럭의 적재함 가장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는 상술한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The state located at the innermost side of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is shown in FIG. 6B. In this case, whether the loading unit 400 is located at the innermost side of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may be detected by the above-described sensor.

이 후, 트럭의 적재함에 화물을 놓기 위해서 상기 크레인 구동부(300)의 크레인 붐의 길이가 짧아져서 적재부(400)는 뒤로 후퇴를 함과 동시에 동시에 푸셔(410)는 앞으로 전진하게 되어 결국 화물은 적재함에 놓이게 된다.(도 6c참조)Thereafter, the length of the crane boom of the crane driving unit 300 is shortened to place the cargo in the loading box of the truck so that the loading unit 400 retreats back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pusher 410 moves forward and eventually the cargo is It is placed in the loading box (see Fig. 6c).

그리고나서, 상기 푸셔(410) 또한 후퇴하게 되어 결국 원위치하게 된다.(도 6d 참조)The pusher 410 then also retracts and eventually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see FIG. 6D).

상술한 작동에 의해 화물은 트럭 적재함의 가장 안쪽부터 놓이게 되고 이를 반복하여 화물을 자동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된다.By the above operation, the cargo is placed from the innermost side of the truck loading box, and the cargo can be loaded automatically by repeating this.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베이어상에 일측 방향으로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래치이송부를 설치하여 모든 화물이 자동적으로 이송되는 한편 컨베이어상에 화물이 밀집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크레인 붐의 하부에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도록 수평실린더, 수직실린더 및 크레인베이스를 설치하여, 크레인 붐의 높이 및 전후방향 위치를 트럭에 맞게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크레인 베이스의 하면에 슬라이딩부를 설치하여 적은 힘으로 정확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대형트럭과 같이 적재함이 큰 경우에도 상기 크레인 빔이 상기 크레인 베이스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와 수평실린더에 의해 충분히 전후운동이 가능하여 적재함의 가장 안쪽부터 적재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tch transfer unit capable of transmitting power only in one direction on the conveyor, so that all the cargo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while the cargo is concentrated on the conveyor, and can move. In the lower part of the boom, horizontal cylinders, vertical cylinders, and crane bases ar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respectively, so that the height and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crane boom can be easily adjusted to the truck. The sliding par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linear motion can be precisely performed with a small force. Even when a large truck is loaded like a large truck, the crane beam can be sufficiently moved back and forth by the sliding part and the horizontal cylinder installed on the crane base. Can be loaded from the innermost side of the stacker The rate can be improved.

또한, 화물을 트럭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에는 모터 및 워엄기어등을 설치하여 상기 모터에 투입되는 전력을 제어함에 의해 모터의 출력속도를 조정하여 트럭의 적재함과 가까운 부분에서는 푸셔를 저속으로 구동하여 작업의 안전도를 향상키는 한편 적재함과 먼 곳에서는 고속으로 구동하여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motor and a worm gear in the loading section for loading the cargo on the truck to control the power input to the motor to adjust the output speed of the motor to drive the pusher at a low speed near the truck's loading box It improves the safety of the work while driving at high speed in the distant place with the loading box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베이스의 측면도2a is a side view of a crane bas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크레인 베이스의 상세도.Figure 2b is a detailed view of the crane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치이송부의 상세도.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the latch transf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아암 이송부의 상세도.Figure 4 is a detailed view of the arm transf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부의 상세도.5 is a detailed view of the load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적재 시스템의 작동상태도.6a to 6d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automatic loa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100 : 제1이송부 110 : 컨베이어100: first transfer unit 110: conveyor

120 : 래치이송부 121 : 래치120: latch transfer unit 121: latch

124 : 코일 스프링 125 : 래치이송판124: coil spring 125: latch transfer plate

129 : 실린더 200 : 제2이송부129: cylinder 200: second transfer unit

210 : 아암 이송부 211 : 아암210: arm transfer unit 211: arm

212 : 슬라이딩부 213 : 체인212: sliding part 213: chain

300 : 크레인 구동부 310 : 크레인 붐300: crane driving unit 310: crane boom

320 : 크레인베이스 321 : 하우징320: crane base 321: housing

321a : 외벽 321b : 롤러가이드321a: Outer wall 321b: Roller guide

321c : 슬라이딩고정부 330 : 수직 실린더321c: sliding fixing 330: vertical cylinder

340 : 수평실린더 350 : 슬라이딩부340: horizontal cylinder 350: sliding part

400 : 적재부 410 : 푸셔400: loading part 410: pusher

420 : 푸셔베이스 423 : 바닥판420: pusher base 423: bottom plate

423a : 장애물감지센서 423b : 적재위치근접확인센서423a: Obstacle detection sensor 423b: Loading position proximity confirmation sensor

423c : 트럭높낮이감지센서 423d : 롤러423c: Truck height sensor 423d: Roller

430 : 푸셔구동부 431 : 모터430: pusher driving unit 431: motor

432 : 워엄기어 433 : 피니언기어432: Worm Gear 433: Pinion Gear

434 : 랙기어 435 : 베어링434: rack gear 435: bearing

436 : 직선운동가이드436: Linear motion guide

Claims (4)

컨베이어에 의해 화물이 이송된 후 상기 화물을 운송수단에 적재하는 적재시스템에 있어서,In the loading system for loading the cargo on the vehicle after the cargo is transported by a conveyor, 상기 적재시스템은 컨베이어(110)와 래치이송부(120)에 의해 화물을 이송하는 제1이송부(100)와 상기 이송된 화물을 아암(211)에 의해 적재부(400)로 이송하는 제2이송부(200)와 화물을 운송수단에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400) 및 상기 적재부(400)를 화물운송수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크레인 구동부(300)로 구성되는데,The loading system includes a first transfer unit 100 for transferring cargo by the conveyor 110 and a latch transfer unit 120 and a second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transferred cargo to the loading unit 400 by an arm 211 ( 200 and a loading unit 400 for loading the cargo on the vehicle and a crane driving unit 300 for moving the loading unit 400 to the cargo transportation means, 여기서 상기 래치 이송부(120)는 코일 스프링(124)에 의해 고정되는 래치(121)와 상기 래치(121)가 관통되어 고정되는 래치 이송판(125)과 상기 래치 이송판(125)을 이동시키는 실린더(129)로 구성되고,In this case, the latch transfer part 120 includes a latch 121 fixed by the coil spring 124, a latch transfer plate 125 through which the latch 121 penetrates, and a cylinder for moving the latch transfer plate 125. Consisting of 129, 상기 적재부(400)는 화물을 밀어주는 푸셔(410)와, 상기 푸셔(410)를 지지하는 푸셔베이스(420)와, 상기 푸셔(410)를 구동하기 위한 푸셔구동부(430)로 구성되고,The loading unit 400 is composed of a pusher 410 for pushing a load, a pusher base 420 for supporting the pusher 410, and a pusher driving unit 430 for driving the pusher 410, 상기 크레인 구동부(300)는 상기 푸셔베이스(420)와 연결되는 크레인 붐(310)과 상기 크레인 붐(310)을 이동시키는 실린더(330, 340)와 상기 크레인 붐(310)을 지지하는 크레인 베이스(320)와 상기 크레인 베이스(3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부(3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적재시스템.The crane driver 300 includes a crane boom 310 connected to the pusher base 420, cylinders 330 and 340 for moving the crane boom 310, and a crane base for supporting the crane boom 310 ( 320) and the automatic loa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liding portion 350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rane base (3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베이스(320)는 크레인 붐(310)의 하부측과 연결되는 실린더(322)와, 상기 실린더(321)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321b)와 상기 롤러가이드(321b)가 고정되는 외벽(321a)과, 상기 외벽(321a)의 양 측면에 설치되는 보호막(321d)를 구비하는 하우징(32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적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crane base 320 is a cylinder 322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crane boom 310, a roller guide 321b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ylinder 321 and the roller guide And a housing (321) having an outer wall (321a) to which the (321b) is fixed and protective films (321d)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outer wall (321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400)의 바닥판(432)의 단부에는 장애물 감지센서(423a), 적재위치 근접확인센서(423b), 트럭높낮이 감지센서(423c)가 설치되고, 상기 바닥판(432)의 하부에는 롤러(423d)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적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Obstacle detection sensor 423a, loading position proximity confirmation sensor 423b, truck height sensor 423c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bottom plate 432 of the loading unit 400, the floor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432, the automatic loa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423d) is installed.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400)의 푸셔구동부(430)는 모터(431), 워엄기어(432), 피니언기어(433), 랙기어(434)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랙기어(434)의 하면에는 수직운동가이드(4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적재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3, The pusher driving unit 430 of the mounting portion 400, the motor 431, worm gear 432, pinion gear 433, rack gear 434 is sequentially connected Automatic rack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movement guide (436)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rack gear (434).
KR1020030075115A 2003-10-27 2003-10-27 Auto loading system KR1005863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115A KR100586323B1 (en) 2003-10-27 2003-10-27 Auto load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115A KR100586323B1 (en) 2003-10-27 2003-10-27 Auto loading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592U Division KR200343097Y1 (en) 2003-10-27 2003-10-27 Auto load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013A true KR20050040013A (en) 2005-05-03
KR100586323B1 KR100586323B1 (en) 2006-06-09

Family

ID=3724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115A KR100586323B1 (en) 2003-10-27 2003-10-27 Auto load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32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359B1 (en) * 2019-03-14 2019-08-20 (주)성진이엔씨 A rod car that is moving by itself
KR102029202B1 (en) * 2019-03-14 2019-10-07 (주)성진이엔씨 A tunnel excavation apparatus that is moving by itself
CN110654776A (en) * 2019-09-30 2020-01-07 安徽理工大学 Outdoor unmanned intelligent garbage classification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359B1 (en) * 2019-03-14 2019-08-20 (주)성진이엔씨 A rod car that is moving by itself
KR102029202B1 (en) * 2019-03-14 2019-10-07 (주)성진이엔씨 A tunnel excavation apparatus that is moving by itself
CN110654776A (en) * 2019-09-30 2020-01-07 安徽理工大学 Outdoor unmanned intelligent garbage classification device
CN110654776B (en) * 2019-09-30 2023-11-03 安徽理工大学 Outdoor unmanned intelligent garbage classification proces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6323B1 (en) 200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9539B2 (en) Conveyance system for object to be conveyed and conveyance method
KR101032921B1 (en) Transporting apparatus
EP3909888A1 (en) Load handling device
KR20200091450A (en) Modular sliding fork for forklift truck or pallet truck, forklift truck or pallet truck provided with it and how for it
JPH01187112A (en) Automated stockroom
CN112224920A (en) Automatic loading system
KR100586323B1 (en) Auto loading system
CN108974761B (en)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KR200343097Y1 (en) Auto loading system
CN110803436A (en) Horizontal opening and closing cargo stacking correction system
CN112693912B (en) Assembly composite structure
ITGE970072A1 (en) MACHINE FOR HANDLING OBJECTS SUCH AS RAW MATERIALS, SEMI-FINISHED PARTS, AND IN PARTICULAR METAL SHEETS OR
KR100961711B1 (en) Pallet shipment system
CN217350549U (en) Lifting AGV capable of self-adapting to motion guide error
CN215945979U (en) AGV conveying equipment and AGV logistics system
CN214242585U (en) Group base device and solid compound vibration material disk base processing system of metal
CN211569981U (en)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for freight train
CN210824435U (en) Plug feeding device
KR101801818B1 (en) Multi-coupled pallet by link-parts
CN210735630U (en) Stacking device and car loader
CN211768043U (en) A but, loader that level expansion for automatic storage parcel
KR101816715B1 (en) Stacker for bifacial pallet
JP2932221B2 (en) Coupling device
CN217377198U (en) Flying fork device
CN220698545U (en) Automatic feeding and discharging laser mar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