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9753A - 탄화실리콘기판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 Google Patents

탄화실리콘기판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9753A
KR20050039753A KR1020047018527A KR20047018527A KR20050039753A KR 20050039753 A KR20050039753 A KR 20050039753A KR 1020047018527 A KR1020047018527 A KR 1020047018527A KR 20047018527 A KR20047018527 A KR 20047018527A KR 20050039753 A KR20050039753 A KR 20050039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ides
light emitting
layer
iii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8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726B1 (ko
Inventor
리우헝
Original Assignee
루메이 옵토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메이 옵토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루메이 옵토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39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6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 H01L33/30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 H01L33/32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containing nit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5Processes
    • H01L33/0062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 H01L33/0066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 H01L33/007Processes for devices with an active region comprising only III-V compounds with a substrate not being a III-V compound comprising nitride comp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eramic Products (AREA)

Abstract

발광다이오드(100)는 비도핑된 진성SiC기판(101)에 기초를 두고, 이 기판 위에는 절연성버퍼 또는 핵생성(nucleation)구조(102), 발광구조(112), 창(window)층)들(107, 108), 반투과도전층(119), 접합패드접착층(109); p형전극접합패드(110), 및 n형전극접합패드(115)가 성장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판(101)의 발광면(130)은 광의 방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울퉁불퉁하게 된다.

Description

탄화실리콘기판을 갖는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with silicon carbide substrate}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LED)와 그 제조 및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개선된 디자인 및 출력특성들을 가지는 LED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측방향소자구조를 갖는 고 저항률 탄화실리콘기판 상에 형성된 LED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ED)의 효율은 LED소자의 엔지니어들에게는 반복적인 도전이 되는 다수의 요인들에 의해 제약된다. 그 가운데, 발생된 광은 LED를 구성하는 반도체재료의 층들에 의해 흡수될 수 있고, 활성화전류를 소자의 활성영역에 건네주는데 필요한 전극들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비교적 낮은 저항의(즉, 고농도 도핑된) 탄화실리콘(SiC)은 청색, 녹색 및 근자외선 스펙트럼영역에서의 고휘도 LED들을 위한 도전성기판재료로서 통상 사용되어 왔다. 이 스펙트럼영역의 LED들의 경우, 질화갈륨(GaN)이 기본적인 발광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NGaN계 LED구조들은 보통은 일반적으로 금속유기화학적 기상성장공정(MOCVD)인 기상성장공정을 통해 기판 위에 한층씩 성장된다.
도 1은 실질적으로 도전성인 SiC기판(20) 상에 세워진 기존의 LED소자(10) 또는 LED칩의 개략도를 그린 것이다. 2개의 전극들(21, 22)은 옴(ohmic)접촉으로서 소용되는 것들로, 기판(20)의 대향측면들에 배치된다. 전극들 중의 하나(21)는 이하 상단전극(21)이라고 하며, 이 전극(21)은 LED가 세워진 기판(20)의 측면(즉, MOCVD 또는 에피텍셜층의 측)에 위치된다. 다른 전극(22)은 바닥전극(22)이라고 하고, 에피텍셜층 측에 대향하는 기판(20)측에 위치된다. 버퍼층(23)이 SiC기판(20)상에 배치되고, 발광구조(24)가 버퍼층 상에 배치된다. 발광구조(24)는 n형클래드(cladding)층(25) 및 n형클래드층(27)이 측면에 위치된 활성영역(26)을 구비한다.
이 소자 설계에 관련하여 성능상 문제점이 있다. 고품질 GaN재료를 SiC기판 위에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3%의 격자부정합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격자부정합은 결정구조에 인장변형(strain)을 야기하여 성능을 제약하는 결정구조결함들이 생기게 하거나 전자적인 소자신뢰도를 떨어뜨린다.
통상, SiC에 대해 1%만의 격자부정합을 갖는 질화알루미늄(AlN)층이 SiC와 GaN 사이의 전이층에 사용된다. AlN이 저항성이 높으므로, AlN전이층을 가지게끔 만들어진 LED들은 매우 높은 순방향전압을 나타내어 소비전력이 높아지게 하고 효율이 낮아지게 한다.
전이층의 저항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알루미늄-갈륨-질화물(AlGaN)층이 채용될 수 있다. AlGaN은 n형으로 도핑될 수 있고 AlN에 비해 훨씬 높은 도전성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격자부정합문제는 조정되어야 하므로, 사용되는 AlGaN화합물은 여전히 높은 알루미늄(Al)조성을 요구한다. 이는 순방향전압의 개선이 제약되게 한다.
두 번째 문제점은 소자동작 중에 상단전극에서부터 바닥전극까지에 낮은 저항의 전류흐름경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SiC구조가 고농도로 도핑되는 것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기판이 고농도로 도핑된 경우 SiC는 광에너지를 더욱 잘 흡수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약 400~550㎚ 파장의 녹색-청색 및 근자외선영역의 광을 더욱 잘 흡수할 수 있게 되고, 이는 광전송기로서의 기판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그러므로 광의 출력과 순방향전압 사이의 절충은 피할 수 없다. 따라서, 개선된 광 출력을 제공하는 LED아키텍처가 필요하다.
도 1은 기존의 LED의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LED의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LED의 개략적인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LED는 광스펙트럼의 약 400~500㎚ 영역의 광을 방출하고 소자구동전류와 출력광에너지 사이에 에너지변환효율이 높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LED는 기판측에 실질적으로 비도전성의 SiC기판, 기판상에 배치된 핵생성버퍼구조를 구비하며, 에피텍셜층 측에 n형층, 활성영역 및 p형층을 포함한다. 활성영역은 이중헤테로구조(double heterostructure; DH), 단일양자우물(single quantum well; SQW), 또는 다중양자우물(multiple quantum well; MQW)구조일 수 있다. n형층 및 n형층은 n도핑되고 p도핑된 AlxInyGa1-x-y(0≤x,y ≤1)일 수 있다. 버퍼구조에 맞닿는 에피텍셜층측은 LED의 p쪽 및 n쪽의 각각에 전기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가진다.
에피텍셜층측은 GaN을 함유한 복수의 층들을 구비하며 기판의 상부표면에 배치되고, LED로부터 방출된 광의 대부분은 기판의 하부, 또는 발광면을 통해 나온다.
비도핑된(undoped) SiC기판이 저항성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LED는, 동일 측(즉, LED의 에피텍셜층 측)에 위치되고 기판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필요한 2개의 전극들을 구비한다. 전류가 버퍼구조 또는 기판을 통과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순방향전압은 버퍼재료 또는 기판의 높은 저항률에 의해 악화되지 않는다. 또, 전류가 기판을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기판은 실질적으로 비도핑된 채로 유지될 수 있고, 기판측으로부터의 광의 방출은 낮은 바이어싱전압의 악화 없이 향상된다. 게다가, 활성영역에서 발생된 광이 LED칩의 다른 면들로부터 나오는 것보다 기판측에서부터 더 쉽게 나오므로, 반사체가 에피텍셜층 측에 형성될 수 있어 에피/에폭시계면 쪽으로 원래 전파되는 실질적으로 모든 광은 기판 측을 향해 반사될 수 있고, 그러므로 더 많은 광이 LED로부터 방출된다. SiC기판은 실질적으로 비도핑이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09Ω㎝ 정도의 저항률을 가지고, 이 기판은 400㎚보다 큰 영역의 파장들을 갖는 출력광에너지를 최소로 흡수한다.
그에 더하여, 기판의 발광면은 기계적 처리에 의해 거칠게(울퉁불퉁하게) 될 수 있어, 기판에서부터 에폭시패키징재료를 통해 개방공간으로의 광의 전달을 개선한다.
본 발명에 따른 LED에서 소자의 에피텍셜층 측에 전극들을 설치함으로써 광의 방출은 추가적으로 극대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과 효과들 및 충분한 이해는 첨부 도면들에 관련한 다음의 설명과 청구범위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하게 되고 또 제대로 알게 될 것이다.
도 2는 참조번호 100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LED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 LED는 기판(101)상에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기판(101)은 비도핑된 것이고 0.09Ω㎝보다 큰 저항률을 갖는 단결정SiC이다. SiC는 그것의 높은 굴절률과 질화갈륨과 비슷한 그것의 격자정합성(3.5%의 부정합) 때문에 선택되고 III-V족질화물의 화합물들에 관계된다. SiC의 특성들에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들에게 알려진 다른 기판들도 사용될 수 있다.
기판(101)은 통상은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지고 여기서 추가로 논의되지는 않는 기법인 기상전사(vapor transfer)에 의해 성장된다. 이러한 기판들은 미합중국 20166-9535 버지니아주 스위트 101 스털링, 이크제크티브 드라이브 22660에 위치한 스털링세미컨덕터, 또는 16056 펜실바니아주, 색슨버그, 색슨버그블러바드 375에 위치된 II-VI Inc.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여기에 기재된 부가적인 반도체층들은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잘 알려지고 여기서 추가로 논의되지는 않는 기법인 금속유기화학적 기상성장(MOCVD)을 이용하여 성장된다. 다른 주지의 성장기법들 및 공정들도 에피텍셜층들을 기판(101) 위에 성장시키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100)는 하부 또는 발광면(130)과 상부면(132)을 구비한다. LED(100)는 바람직하게는 GaN; AlN; 화학식 AxB1-xN을 가지며 여기서 A와 B는 III족원소들이고 x는 0, 1 및 0과 1 사이의 분율(fraction)중의 하나인 3원III족질화물들; 화학식 AxByC1-x-yN을 가지며 여기서 A, B 및 C는 III족원소들이며 x와 y의 합은 0, 1 및 0과 1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이고 1은 x와 y의 합보다 큰 4원III족질화물들; 및 이러한 3원 및 4원 III족질화물들과 SiC의 합금들로부터 선택되고 기판(101)에 접하는 핵생성버퍼구조(102)를 더 구비한다.
버퍼구조(102)는 기판(101)과 발광구조(112) 사이에 배치되어 두 재료들 간의 결정격자부정합에 의해 야기된 물리적 응력을 완화시킨다. 발광다이오드(100)는 수평아키텍처의 발광구조(112)를 가지며, 버퍼구조(102)와 기판(101)의 어느 것도 전극들(110, 115) 사이에 놓이지 않아 활성화전류의 의도된 경로를 단절시키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버퍼구조(102)는 단일 비도전성 핵생성(nucleation)층을 구비하나, 다른 층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층(102)은 AlN으로 형성되지만, AlGaN 또는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그 밖의 재료들을 포함한 다른 재료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버퍼구조(102)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버퍼구조재료는 수직전류도통으로서의 비도전성일 수 있다. 단층버퍼설계는 흡수도와 내부반사를 최소화함으로써 제조상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고 다이오드(100)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은 다르거나 또는 층으로 된 핵생성재료층들을, 또는 다른 층들을 채용하여 다른 소자성능특성들을 두드러지게 한다.
버퍼구조(102)상에는 비도핑된 GaN으로 된 층이 배치되고 이 층은 발광구조(112)의 GaN기판(103)으로서 소용되도록 성장될 수 있다. GaN기판(103)은 GaN결정격자를 성립시키고 기판(103)상에 배치되는 클래드층의 형성을 위한 고품질, 저결함의 기초를 이루는 격자완충기능을 완성하는데 소용된다.
발광구조(112)는 GaN기판(103)상에 형성되고, 이 발광구조(112)는 활성 및 헤테로구조의 층들이 2원III족질화물들, 3원III족질화물들, 4원III족질화물들, 및 이러한 질화물들과 SiC와의 합금들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p-n접합을 구비한 이중헤테로구조이다.
발광구조(112)는 제1클래드층(104), 활성영역(105), 및 제2클래드층(106)을 구비한다. 제1클래드층(104)은 GaN기판(103)상에 배치된다. 클래드층들(104, 106)은 각각 p형 또는 n형 중의 다른 것들로 도핑된다. 활성영역(105)은 제1클래드층(104)상에 배치된다. 활성영역(105)은 바람직하게는 클래드층들(104, 106)중의 어느 하나의 밴드갭보다 작은 밴드갭을 가진다.
제2클래드층(106)은 활성영역(105)상에 배치된다. 도 3의 예시적인 예에서, 제1클래드층(104)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콘도핑된 GaN으로 형성되며, 활성영역(105)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콘도핑된 n형 갈륨-인듐-질화물/갈륨질화물(GaInN/GaN) 다중양자우물(MQW)구조로 형성되고, 제2클래드층은 바람직하게는 Mg도핑된 알루미늄갈륨질화물(AlGaN)로 형성된다.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제1창(window)층(107)은 Mg도핑된 GaN으로 형성되고, 제2창층(108)은 Mg도핑된 GaN층으로 형성되어 창층들(107, 108) 및 제1전극(110) 사이의 옴접촉을 가능케 한다. 제2창층(108)은 제1창층(107)상에 배치되고, 제1창층(107)은 발광영역(112)상에 배치된다.
니켈산화물/금(NiO/Au)으로 형성된 반투명도전층(119)이 제2창층(108)상에 배치되어 제1전극(110)에서부터의 전류를 창층들(107, 108)의 표면 위로 더욱 퍼뜨려, 구동전류가 도달하는 것을 극대화하고 이용가능한 활성영역(105)의 사용을 최적화시킨다. 반투명도전층(119)의 상면(132)은 LED(100)의 상면이다.
제1전극(110)은 제2창층(108)의 상면에 형성된 반사성 접합패드접착층(109) 위에 고정된다. 제1전극(110)은 접착패드(109)의 상면에 배치되어 패키징공정에서의 전선접합(wire bonding)을 용이하게 한다. 제1클래드층(106)과 제2클래드층(104)의 각각은 활성영역(105)보다 큰 밴드갭을 가진다.
제1클래드층(104)에 옴접촉을 제공하기 위해, 창층들(107, 108)과 발광구조(112)의 수 개의 층들은 창층들(107, 108)과 발광구조(112)의 수 개의 층들을 통해 개구부(113)를 형성하도록 식각되어, 도 2b에 점선으로 보인 것처럼 제1클래드층(104)의 상면을 노출시킨다. 반사성 접합패드(111)는 제1클래드층(104)의 상면(150)에 배치되고, 금(Au)과 같은 도전성접촉이 접합패드(111)상에 배치되어 제2전극(115)을 형성한다.
기판(101)의 하면(130)은 화학적 또는 기계적 공정을 이용하여 거칠게(울퉁불퉁하게)되어, 기판과 LED구조 속으로 반사되어 되돌아가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이는 소자 밖으로의 광의 전송을 촉진한다. 가능성 있는 거칠게하기(roughening)기법들로는 톱질(sawing)(기계적), RIE(화학적) 및 LE4(화학적)가 있다.
III-V족반도체화합물들에 관련된 SiC와 GaN의 격자상수들의 매우 비슷한 정합 때문에, 기판(101)은 바람직하게는 SiC로 형성된다. SiC는 GaN LED구조의 건조(construction), 고성능 및 내구성요건들, 및 제조효율에 적합하다. LED소자에서의 층들 간의 격자부정합을 최소화하면 소자의 성능의 제약하는 결정결함들이 줄어든다. 측방향도통의 LED소자구조를 사용하면 비도전성버퍼구조(102)가 가능하고 그것의 제조공정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LED는 200㎃의 구동전류로 동작할 때 적어도 약 1㎽의 정격전력출력을 가진다.
SiC구조가 바람직하게 비도핑이고 적어도 0.09Ω㎝의 저항을 가질 때 본 발명에 따른 기판(101) 내의 광흡수도는 최소화된다. 전극들(110, 115)은 기판(130)의 하부표면에 반대인 소자의 에피텍셜측 상에 있으므로 반도체구조로부터 방출된 광을 현저히 차단하지 않고, 반도체구조로부터 방출된 광의 대부분은 탈출된다.
이러한 소자특징들과 세밀한 고안의 상승적인 효과의 관점에서, 고에너지변환효율의 발광소자는 본 발명에 일치한다.
본 발명이 수 개의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수많은 대체, 변형 및 개조가 명백할 것이라는 것이 분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의 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 내에 드는 모든 그러한 대체, 변형 및 개조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Claims (34)

  1. 가시스펙트럼의 400~550㎚부분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에 있어서,
    비도핑된 SiC기판;
    상기 SiC기판 상에 배치된 질화물핵생성 버퍼구조;
    상기 버퍼구조 상에 배치되며, 제1클래드층 및 제2클래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클래드층 및 상기 제2클래드층은 2원III족질화물들 및 3원III족질화물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
    상기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의 상기 제1클래드층에의 옴접촉; 및
    상기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의 상기 제2클래드층에의 옴접촉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구조는, 갈륨질화물; 인듐질화물; 화학식 AxB1-xN을 가지며 여기서 A와 B는 III족원소들이고 x는 0, 1 및 0과 1 사이의 분율(fraction)중의 하나인 3원III족질화물들; 화학식 AxByC1-x-yN을 가지며 여기서 A, B 및 C는 III족원소들이며 x와 y는 0, 1 및 0과 1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이고 1은 x와 y의 합보다 큰 4원III족질화물들; 및 이러한 3원 및 4원 III족질화물들과 SiC의 합금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발광다이오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는 이중헤테로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헤테로구조는 활성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활성층은 2원III족질화물, 2원III족질화물들, 3원III족질화물들, 4원III족질화물들, 및 이러한 질화물들과 SiC의 합금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상기 제1클래드층과 상기 제2클래드층은 4원III족질화물들 및 이러한 질화물들과 SiC의 합금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발광다이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구조는 알루미늄질화물로 된 단일 층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구조와 상기 이중헤테로구조 사이에 배치된 갈륨질화물에피텍셜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옴접촉들은 전극들이고, 20㎃의 상기 전극들 사이의 구동전류로 구동할 때 정격전력출력은 적어도 1㎽인 발광다이오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는 이중헤테로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헤테로구조는,
    활성층; 및
    상기 활성층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갈륨질화물, 알루미늄질화물, 인듐질화물, 화학식 AxB1-xN을 가지며 여기서 A와 B는 III족원소들이고 x는 0, 1 및 0과 1 사이의 분율(fraction)중의 하나인 3원III족질화물들, 화학식 AxByC1-x-yN을 가지며 여기서 A, B 및 C는 III족원소들이며 x는 0, 1 및 0과 1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이며 y는 0, 1 및 0과 1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이고 x와 y의 합은 1보다 작은 4원III족질화물들, 및 이러한 3원III족질화물들과 갈륨질화물의 합금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조성물로 형성된 제1 및 제2클래드층들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는 이중헤테로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헤테로구조는,
    갈륨질화물; 알루미늄질화물; 인듐질화물; 화학식 AxB1-xN을 가지며 여기서 A와 B는 III족원소들이고 x는 0, 1 및 0과 1 사이의 분율(fraction)중의 하나인 3원III족질화물들; 이러한 3원III족질화물들과 갈륨질화물의 합금들; 화학식 AxByC1-x-y N을 가지며 여기서 A, B 및 C는 III족원소들이며 x는 0, 1 및 0과 1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이며 y는 0, 1 및 0과 1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이고 x와 y의 합은 1보다 작은 4원III족질화물들; 및 이러한 4원III족질화물들과 갈륨질화물의 합금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층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클래드층들의 각각은 화학식 AlxGa1-xN에 부착되고 여기서 x는 0, 1 및 0과 1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인 발광다이오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클래드층들의 각각은 상기 활성층보다 큰 밴드갭을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래드층은 상기 제2클래드층과는 반대의 도전형을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래드층은 p형이고 상기 활성층 및 상기 제2클래드층은 n형인 발광다이오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래드층은 n형이고 상기 활성층 및 상기 제2클래드층은 p형인 발광다이오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x가 0과 1사이의 분율인 조성물 InxGa1-xN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iC구조의 발광면은 마모(abraded)되거나 질감표현된(textured) 것인 발광다이오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면의 반대측에 배치된 에피텍셜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래드층에의 옴접촉과 상기 제2클래드층에의 상기 옴접촉은 각각 상기 에피텍셜층의 일 측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래드층은 실리콘도핑된 갈륨질화물로 형성된 것인 발광다이오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은 실리콘도핑된 n형갈륨인듐질화물/갈륨질화물 다중양자우물구조로 형성된 것인 발광다이오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래드층은 마그네슘도핑된 알루미늄갈륨질화물로 형성된 것인 발광다이오드.
  21. 제1항에 있어서, 제1창(window)층과 제2창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창층은 마그네슘도핑된 갈륨질화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창층은 상대적으로 고농도로 도핑된 마그네슘갈륨질화물로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창층 상에 배치된 도전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니켈산화물/금(Au)으로 형성된 발광다이오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래드층 상에 배치된 반사성 접합패드를 더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0.09Ω㎝보다 큰 저항률을 가지는 발광다이오드.
  27. 가시스펙트럼의 400~550㎚에서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에 있어서,
    에피텍셜층 측과 발광 측을 가지는 저농도도핑된 SiC기판;
    상기 기판상의 상기 에피텍셜층 측에 배치된 핵생성버퍼구조;
    상기 버퍼층 상에 배치된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로서, 제1클래드층과 제2클래드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1클래드층과 상기 제2클래드층은 2원III족질화물들, 3원III족질화물들, 및 4원III족질화물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들인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
    상기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의 상기 제1클래드층에의 옴접촉;
    상기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의 상기 제2클래드층에의 옴접촉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구조는, 갈륨질화물; 인듐질화물; 화학식 AxB1-xN을 가지며 여기서 A와 B는 III족원소들이고 x는 0, 1 및 0과 1 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인 3원III족질화물들; 화학식 AxByC1-x-yN을 가지며 여기서 A, B 및 C는 III족원소들이며 x와 y는 0, 1 및 0과 1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이고 1은 x와 y의 합보다 큰 4원III족질화물들; 및 이러한 3원 및 4원 III족질화물들과 SiC와의 합금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발광다이오드.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는 이중헤테로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헤테로구조는, 2원III족질화물, 2원III족질화물들, 3원III족질화물들, 4원III족질화물들, 및 이러한 질화물들과 SiC와의 합금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클래드층과 상기 제2클래드층은 이러한 질화물들과 SiC와의 합금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발광다이오드.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구조는 알루미늄질화물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는 이중헤테로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헤테로구조는,
    활성층; 및
    상기 활성층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갈륨질화물, 알루미늄질화물, 인듐질화물, 화학식 AxB1-xN을 가지며 여기서 A와 B는 III족원소들이고 x는 0, 1 및 0과 1 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인 3원III족질화물들, 이러한 3원III족질화물들과 갈륨질화물과의 합금들, 화학식 AxByC1-x-yN을 가지며 여기서 A, B 및 C는 III족원소들이며 x는 0, 1 및 0과 1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이며 y는 0, 1 및 0과 1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이고 x와 y의 합은 1보다 작은 4원III족질화물들, 및 이러한 4원III족질화물들과 갈륨질화물과의 합금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조성물로 형성된 제1 및 제2클래드층들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는 이중헤테로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헤테로구조는,
    갈륨질화물; 알루미늄질화물; 인듐질화물; 화학식 AxB1-xN을 가지며 여기서 A와 B는 III족원소들이고 x는 0, 1 및 0과 1 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인 3원III족질화물들; 이러한 3원III족질화물들과 갈륨질화물과의 합금들; 화학식 AxByC1-x-y N을 가지며 여기서 A, B 및 C는 III족원소들이며 x는 0, 1 및 0과 1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이며 y는 0, 1 및 0과 1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이고 x와 y의 합은 1보다 작은 4원III족질화물들; 및 이러한 4원III족질화물들과 갈륨질화물과의 합금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활성층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클래드층들의 각각은 x가 0, 1 및 0과 1사이의 분율 중의 하나인 화학식 AlxGa1-xN에 접착되는 발광다이오드.
  34. 가시스펙트럼의 400~550㎚부분에서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다이오드에 있어서,
    비도핑된 SiC기판;
    상기 SiC기판 상에 배치된 질화물핵생성 버퍼구조;
    상기 버퍼구조 상에 배치되고, 활성층, 제1클래드층 및 제2클래드층을 포함하는 발광구조로서, 상기 활성층, 상기 제1클래드층 및 상기 제2클래드층은 2원III족질화물들 및 3원III족질화물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들인 발광구조;
    상기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의 상기 제1클래드층에의 옴접촉; 및
    상기 p-n접합다이오드헤테로구조의 상기 제2클래드층에의 옴접촉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KR1020047018527A 2002-05-17 2003-05-19 탄화실리콘기판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KR101076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47,078 2002-05-17
US10/147,078 US6919585B2 (en) 2002-05-17 2002-05-17 Light-emitting diode with silicon carbide substr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753A true KR20050039753A (ko) 2005-04-29
KR101076726B1 KR101076726B1 (ko) 2011-10-27

Family

ID=2941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8527A KR101076726B1 (ko) 2002-05-17 2003-05-19 탄화실리콘기판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19585B2 (ko)
EP (1) EP1540744B1 (ko)
KR (1) KR101076726B1 (ko)
CN (1) CN1663055B (ko)
AT (1) ATE453213T1 (ko)
AU (1) AU2003233556A1 (ko)
DE (1) DE60330683D1 (ko)
ES (1) ES2337038T3 (ko)
HK (1) HK1082594A1 (ko)
WO (1) WO20030987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634A1 (en) * 2009-12-30 2011-07-07 Newport Corporation Led device architecture employing novel optical coat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476671B2 (en) 2010-05-18 2013-07-02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4598C (zh) * 2004-06-01 2009-01-2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
US20060002442A1 (en) * 2004-06-30 2006-01-05 Kevin Haberern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current blocking structur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current blocking structures
US7795623B2 (en) 2004-06-30 2010-09-14 Cree, Inc.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current reducing 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current reducing structures
CN1860621A (zh) * 2004-07-12 2006-11-08 罗姆股份有限公司 半导体发光元件
US7557380B2 (en) 2004-07-27 2009-07-07 Cree, Inc.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a reflective bond pad and methods of fabricating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reflective bond pads
US7335920B2 (en) * 2005-01-24 2008-02-26 Cree, Inc. LED with current confinement structure and surface roughening
KR100638819B1 (ko) * 2005-05-19 2006-10-27 삼성전기주식회사 광추출효율이 개선된 수직구조 질화물 반도체 발광소자
CN100372137C (zh) * 2005-05-27 2008-02-27 晶能光电(江西)有限公司 具有上下电极结构的铟镓铝氮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
US20060289891A1 (en) * 2005-06-28 2006-12-28 Hutchins Edward L Electronic and/or optoelectronic devices grown on free-standing GaN substrates with GaN spacer structures
KR100706952B1 (ko) * 2005-07-22 2007-04-12 삼성전기주식회사 수직 구조 질화갈륨계 발광다이오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860398B2 (en) * 2005-09-15 2010-12-28 Finisar Corporation Laser drivers for closed path optical cables
US7876989B2 (en) 2006-04-10 2011-01-25 Finisar Corporation Active optical cable with integrated power
US8083417B2 (en) 2006-04-10 2011-12-27 Finisar Corporation Active optical cable electrical adaptor
US20080197378A1 (en) * 2007-02-20 2008-08-21 Hua-Shuang Kong Group III Nitride Diodes on Low Index Carrier Substrates
US8769171B2 (en) 2007-04-06 2014-07-01 Finisar Corporation Electrical device with electrical interface that is compatible with integrated optical cable receptacle
US8244124B2 (en) 2007-04-30 2012-08-14 Finisar Corporation Eye safety mechanism for use in optical cable with electrical interfaces
US8278679B2 (en) * 2008-04-29 2012-10-02 Tsmc Solid State Lighting Ltd. LED device with embedded top electrode
US20100244539A1 (en) * 2009-03-30 2010-09-30 Chris Kardassilaris Vehicle seating material with hydrographic design
CN104157776A (zh) * 2009-04-07 2014-11-19 裕星企业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结构
US8502192B2 (en) * 2010-01-12 2013-08-06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LED with uniform current spreading and method of fabrication
WO2012103543A2 (en) * 2011-01-28 2012-08-02 University Of South Florida Optical neuron stimulation prosthetic using sic (silicon carbide)
US9105469B2 (en) 2011-06-30 2015-08-11 Piquant Research Llc Defect mitigation structures for semiconductor devices
KR20130011767A (ko) * 2011-07-22 2013-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US9419194B2 (en) 2013-08-13 2016-08-16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Transparent electron blocking hole transporting layer
CN106025013A (zh) * 2016-07-28 2016-10-12 合肥彩虹蓝光科技有限公司 一种高亮度led芯片的制备方法
CN108717945B (zh) * 2018-05-24 2022-01-07 西安理工大学 一种具有NiO/SiC异质发射结的SiC光触发晶闸管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33411A1 (de) * 1983-09-16 1985-04-04 Bayer Ag, 5090 Leverkusen Fungizide mittel
JP2650730B2 (ja) * 1988-08-08 1997-09-03 シャープ株式会社 炭化珪素半導体を用いたpn接合型発光ダイオード
KR100225612B1 (en) * 1993-04-28 1999-10-15 Nichia Kagaku Kogyo Kk Gallium nitride-based iii-v group compound semiconductor
EP1450415A3 (en) * 1993-04-28 2005-05-04 Nichia Corporation Gallium nitride-based III-V group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JP3771952B2 (ja) * 1995-06-28 2006-05-10 ソニー株式会社 単結晶iii−v族化合物半導体層の成長方法、発光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5900647A (en) * 1996-02-05 1999-05-04 Sharp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device with SiC and GaAlInN
US5786233A (en) * 1996-02-20 1998-07-28 U.S. Philips Corporation Photo-assisted annealing process for activation of acceptors in semiconductor compound layers
US5779924A (en) * 1996-03-22 1998-07-14 Hewlett-Packard Company Ordered interface texturing for a light emitting device
US5834331A (en) * 1996-10-17 1998-11-10 Northwestern University Method for making III-Nitride laser and detection device
CN100485985C (zh) * 1997-01-09 2009-05-06 日亚化学工业株式会社 氮化物半导体元器件
EP0933450B1 (en) * 1998-01-19 2002-04-1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Method of making SiC single crystal and apparatus for making SiC single crystal
US6064078A (en) * 1998-05-22 2000-05-16 Xerox Corporation Formation of group III-V nitride films on sapphire substrates with reduced dislocation densities
US6306675B1 (en) * 1998-10-09 2001-10-23 Arizona Board Of Regents Acting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Method for forming a low-defect epitaxial layer in the fabrication of semiconductor devices
JP2000208874A (ja) * 1999-01-12 2000-07-28 Sony Corp 窒化物半導体と、窒化物半導体発光装置と、窒化物半導体の製造方法と、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6133589A (en) * 1999-06-08 2000-10-17 Lumileds Lighting, U.S., Llc AlGaInN-based LED having thick epitaxial layer for improved light extraction
TW465123B (en) * 2000-02-02 2001-11-21 Ind Tech Res Inst High power white light LED
US6420736B1 (en) 2000-07-26 2002-07-16 Axt, Inc. Window for gallium nitride light emitting diod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1634A1 (en) * 2009-12-30 2011-07-07 Newport Corporation Led device architecture employing novel optical coat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476671B2 (en) 2010-05-18 2013-07-02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0744A4 (en) 2007-02-28
CN1663055B (zh) 2012-05-30
ES2337038T3 (es) 2010-04-20
EP1540744B1 (en) 2009-12-23
EP1540744A1 (en) 2005-06-15
KR101076726B1 (ko) 2011-10-27
WO2003098713A1 (en) 2003-11-27
US6919585B2 (en) 2005-07-19
HK1082594A1 (en) 2006-06-09
DE60330683D1 (de) 2010-02-04
US20030214807A1 (en) 2003-11-20
CN1663055A (zh) 2005-08-31
AU2003233556A1 (en) 2003-12-02
ATE453213T1 (de)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726B1 (ko) 탄화실리콘기판을 갖는 발광다이오드
JP6722221B2 (ja) 発光ダイオード
US9472739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1356271B1 (ko) Led 반도체 바디 및 led 반도체 바디의 이용
US8581295B2 (en)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iode
KR101007139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0676367B (zh) 发光二极管
US20060273335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7791100B2 (en) Vertical gallium nitride based light emitting diode with multiple electrode branches
US20130015465A1 (en) Nitride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KR101154750B1 (ko)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902562B2 (en) Light emitting diode device that includes a three dimensional clou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601992B1 (ko) 반사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화합물 반도체 발광소자
US20050098801A1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0812737B1 (ko) 플립칩용 질화물계 발광소자
KR20140013249A (ko) 자외선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0642522B1 (ko) 패터닝된 투명기판을 채택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제조하는 방법
KR20170095675A (ko) 발광 소자
KR20120016831A (ko) 반도체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90642B1 (ko) 수직구조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69719B1 (ko) 질화물계 반도체 발광소자
US20140054544A1 (en) Light emitting device
KR101171360B1 (ko) 발광 다이오드
KR102014172B1 (ko) 자외선 발광 소자 및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550951B1 (ko)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