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9061A -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9061A
KR20050039061A KR1020030074423A KR20030074423A KR20050039061A KR 20050039061 A KR20050039061 A KR 20050039061A KR 1020030074423 A KR1020030074423 A KR 1020030074423A KR 20030074423 A KR20030074423 A KR 20030074423A KR 20050039061 A KR20050039061 A KR 20050039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
bed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4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9061A/ko
Publication of KR20050039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7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deskewing or alig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61Aligning or deskew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용지의 스큐발생여부에 대응하게 지지베드 및 압력전달베드를 좌,우로 수평이동하여, 각 베드의 사이에 개재된 압력스프링의 탄성작용점을 변경하므로써, 샤프트에 설치된 각 스큐조정롤러의 힘의 균형을 조절하여 용지의 스큐를 보정하는 스큐보정모듈을 구비하므로써, 단수개의 구동모터를 이용함과 아울러 지지베드 및 압력전달베드를 수평이동시키는 단순동작을 통해 용지의 스큐를 보정할 수 있어, 원활한 스큐보정을 통해 안정적인 용지공급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skew compensation module}
본 발명은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소정 데이터(Data)를 용지에 인쇄해주는 장치로써, 팩스, 복합기, 복사기, 프린터 등을 일례로 포함된다.
이와같은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에 용지를 공급하는 급지부가 구비된다. 이와같은 급지부는 지지프레임의 일측에 피드롤러 및 압력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측에는 배지롤러와 배지핀치롤러가 맞물리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피드롤러의 전방에는 용지의 비틀어짐(Skew, 이하 스큐라 칭함.)을 보정하기 위한 스큐보정모듈이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스큐보정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조의 스큐조정롤러(20,20')가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설치되며, 각 스큐조정롤러(20,20')는 핀치롤러(30)와 맞물리게 구성된다. 이와같은 스큐조정롤러(20,20')가 축고정된 회전축(40)은 기어뭉치(50)에 의해 구동모터(60,60')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다. 또한, 용지가 공급되는 소정부에는 용지의 스큐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센서(70)가 설치되고, 이러한 감지센서(70)의 감지값을 전달받는 제어부(80)는 상기 구동모터(60,6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스큐보정모듈(10)은 감지센서(70)에서 용지의 스큐여부를 감지한 후 제어부(80)에 그 감지값을 전달하고, 제어부(80)는 스큐보정을 위해 해당하는 구동모터(60,60')의 작동시켜 스큐조정롤러(20,20')를 구동시키므로써 스큐조정롤러(20,20')를 경유하는 용지의 스큐를 보정하게 된다.
하지만, 기존의 스큐보정모듈(10)은 스큐조정롤러(20,20')를 선택구동시키기 위해 각 스큐조정롤러(20,20')에 대응하는 구동모터(60,60')를 구비해야하고, 또한, 스큐조정롤러(20,20')를 정밀하게 회전시키기 위해 스큐조정롤러(20,20')가 축고정된 회전축(40)이 복잡한 구성을 갖는 기어뭉치(50)에 의해 구동모터(60,60')와 연결됨에 따라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가 난해하고, 제조비용또한 많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스큐보정모듈이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원활한 스큐보정을 통해 안정적인 용지공급을 수행할 수 있는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부가적으로,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급지부의 피드롤러 전방에 구비되며, 용지의 스큐감지값을 전달받는 제어부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연장 설치되는 스크류축;
상기 스크류축이 관통 설치되도록 상판과 하판이 이격설치되는 가이드체;
상기 가이드체의 상판과 하판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스크류축이 중앙을 관통하도록 축결합되는 지지베드;
상기 가이드체의 상판과 하판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지베드의 일면에 결합되는 압력전달베드; 및
상기 압력전달베드의 중앙에 관통설치되며, 그 양단에는 상기 피드롤러와 접하는 스큐조정롤러가 설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를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압력전달베드와 지지베드의 사이에는 압력스프링이 개재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스크류축과 수평된 위치에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체의 상판과 하판에는 상기 지지베드와 상기 압력전달베드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큐보정모듈를 설명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의 급지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급지부(10)는 지지프레임(110)의 일측에 피드롤러(120) 및 압력롤러(130)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타측에는 배지롤러(140)와 배지핀치롤러(150)가 맞물리게 구성된다. 이와같은 급지부(100)는 픽업롤러(도면에 미도시됨.)에 의해 단수장씩 공급되는 용지를 인쇄부(도면에 미도시됨.)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용지의 스큐를 보정하기 위해 상기 피드롤러(120)의 전방에 스큐보정모듈(1)을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큐보정모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큐보정모듈에 있어, 가이드체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큐보정모듈(1)은 기존과 같이 용지의 스큐를 감지함과 아울러 이러한 스큐를 보정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됨.)에 의해 전체적인 구동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2)는 상기 급지부(100)의 피드롤러(120) 전방에 설치된다. 이와같은 구동모터(2)의 축에는 스크류축(21)이 연장설치되며, 이러한 스크류축(21)은 가이드체(3)에 관통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체(3)는 도 4에서와 같이 상판(31)과 하판(32)이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설치되는데, 이와같은 가이드체(3)에 관통설치되는 상기 스크류축(21)은 공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체(3)에 베어링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판(31)과 하판(32)의 사이에는 지지베드(4)가 개재된다. 이와같은 지지베드(4)는 그 중앙에 상기 스크류축(21)이 관통설치되어 스크류축(21)이 회전함에 따라 수평이동된다. 이때, 상기 지지베드(4)의 일면에는 압력전달베드(5)가 결합되는데, 이와같은 압력전달베드(5)와 지지베드(4)의 결합구조는 도 4에서와 같이 통상의 암수끼움돌기를 구비하여, 이러한 암수끼움돌기를 통해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압력전달베드(5)와 지지베드(4)의 사이에는 압력스프링(6)이 개재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전달베드(5)는 상기 지지베드(4)와 연동하여 수평이동되며, 상기 압력스프링(6)은 상기 지지베드(4)를 기준으로 상기 압력전달베드(5)에 소정의 탄성을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체(3)의 상판(31)과 하판(32)에는 상기 지지베드(4)와 압력전달베드5)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33)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베드(4)를 관통하는 스크류축(21)과 상기 압력전달베드(5)를 관통하는 샤프트(21)는 상호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력전달베드(5)의 중앙에는 샤프트(7)가 관통설치된다. 이와같은 샤프트(7)는 그 양단에 상기 피드롤러(120)와 접하는 스큐조정롤러(71,72)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7)에 설치되는 스큐조정롤러(71,72)는 상기 압력전달베드(5)의 위치에 따라 상기 피드롤러(120)와 접하는 항력이 변경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큐보정모듈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큐보정모듈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의 급지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모터(2)는 용지의 스큐를 감지함과 아울러 이를 보정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도면에 미도시됨.)에 의해 구동되는데, 급지부(100)에 공급되는 용지에 스큐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상기 스큐값에 따라 구동모터(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다.
이와같이 구동모터(2)가 회전하면, 이와 대응하게 스크류축(21)이 정,역회전하는데, 스크류축(21)에 축결합된 지지베드(4)는 스크류축(21)의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로 수평이동되고, 이러한 지지베드(4)와 연동하여 압력전달베드(5)또한 샤프트(7)를 따라 좌,우로 수평이동된다.
이렇게 압력전달베드(5)가 이동하면, 샤프트(7)의 양단에 설치된 각 스큐조정롤러(71,72)와 피드롤러(120)간의 마찰력이 변경되는데, 이는 샤프트(7)의 중앙에 위치하던 압력전달베드(5)가 좌,우로 수평이동하여 중심점이 변환되고, 이와 아울러 압력전달베드(5)에 작용하던 압력스프링(6)의 탄성은 압력전달베드(5)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편향되게 작용함에 따라 각 스큐조정롤러(71,72)와 피드롤러(120)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차이가 발생된다.
이와같은 마찰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스큐조정롤러(71,72)와 피드롤러(120)간에 마찰력이 크면 그 사이를 지나는 용지는 슬립이 발생하지 않아 정확하게 이송되고, 반대로 스큐조정롤러(71,72)와 피드롤러(120)간에 마찰력이 작으면 그 사이를 지나는 용지는 슬립이 발생되므로 원하는 만큼 이송되지 않아 용지의 스큐를 보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스큐보정모듈(1)은 용지의 스큐발생여부에 대응하게 지지베드(4) 및 압력전달베드(5)를 좌,우로 수평이동하여, 각 베드(4,5)의 사이에 개재된 압력스프링(6)의 탄성작용점을 변경하므로써, 샤프트(7)에 설치된 각 스큐조정롤러(71,72)의 힘의 균형을 조절하여 용지의 스큐를 보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는 단수개의 구동모터를 이용함과 아울러 지지베드 및 압력전달베드를 수평이동시키는 단순동작을 통해 용지의 스큐를 보정할 수 있어, 원활한 스큐보정을 통해 안정적인 용지공급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화상형성장치의 스큐보정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큐보정모듈를 설명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의 급지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큐보정모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큐보정모듈에 있어, 가이드체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큐보정모듈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화상형성장치의 급지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큐보정모듈 2 : 구동모터
3 : 가이드체 4 : 지지베드
5 : 압력전달베드 6 : 압력스프링
7 : 샤프트 21 : 스크류축
31 : 상판 32 : 하판
33 : 가이드홈 71,72 : 스큐조정롤러
100 : 화상형성장치의 급지부 110 : 지지프레임
120 : 피드롤러 130 : 압력롤러
140 : 배지롤러 150 : 배지핀치롤러

Claims (4)

  1. 급지부의 피드롤러 전방에 구비되며, 용지의 스큐감지값을 전달받는 제어부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연장설치되는 스크류축;
    상기 스크류축이 관통설치되도록 상판과 하판이 이격설치되는 가이드체;
    상기 가이드체의 상판과 하판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스크류축이 중앙을 관통하도록 축결합되는 지지베드;
    상기 가이드체의 상판과 하판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지베드의 일면에 결합되는 압력전달베드; 및
    상기 압력전달베드의 중앙에 관통설치되며, 그 양단에는 상기 피드롤러와 접하는 스큐조정롤러가 설치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베드와 상기 지지베드의 사이에는 압력스프링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스크류축과 수평된 위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체의 상판과 하판에는 상기 지지베드와 상기 압력전달베드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30074423A 2003-10-23 2003-10-23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KR20050039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423A KR20050039061A (ko) 2003-10-23 2003-10-23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423A KR20050039061A (ko) 2003-10-23 2003-10-23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061A true KR20050039061A (ko) 2005-04-29

Family

ID=37241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423A KR20050039061A (ko) 2003-10-23 2003-10-23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906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3872B2 (en) 2006-10-20 2010-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eet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3872B2 (en) 2006-10-20 2010-03-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eet feed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6537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EP1220047B1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heet feeding device
US7591467B2 (en) Sheet detecting device for image recording apparatus
US10616427B2 (en) Medium feeding device, image reading apparatus, and recording apparatus
JPH1152744A (ja) プリンタの用紙加圧力調節装置
US7658382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that supports conveying roller via rolling bearing
US78832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390898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8023879B2 (en) Auto documen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9980023204A (ko) 잉크-젯 프린터의 기록용지 자동 급지장치 및 그 방법
US6183151B1 (en) Sheet feeding apparatus
KR20050039061A (ko) 개선된 스큐보정모듈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KR20070120394A (ko) 화상형성장치의 감열프린트헤드 어셈블리
US20230276003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20130333494A1 (en) Scan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that reduces the tilting of a moving unit
US20050189709A1 (en) Media detection
US20140232778A1 (en) Star Wheel with Adjustable Directional Biaser
JP4911182B2 (ja) 画像記録装置
US20070059085A1 (en) Printer
US10308454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JP2003012171A (ja) 給紙装置
US9004488B2 (en)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92092B1 (ko)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장치
JP2009113887A (ja) 原稿搬送装置
JP2000158780A (ja) 印刷装置における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