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885A - 다수의 전화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 Google Patents

다수의 전화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8885A
KR20050038885A KR1020030074195A KR20030074195A KR20050038885A KR 20050038885 A KR20050038885 A KR 20050038885A KR 1020030074195 A KR1020030074195 A KR 1020030074195A KR 20030074195 A KR20030074195 A KR 20030074195A KR 20050038885 A KR20050038885 A KR 20050038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
state
phone
fre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8885A/ko
Publication of KR2005003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8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전화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로서, 다수의 전화단말에 접속되며, 제1 전화단말로 통화하고 있는 중에 제2 전화단말로 호출이 온 경우, 제1 전화단말과의 연결을 유지한 상태로 제2 전화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어장치; 오디오를 사용하는 오디오 모드 및 전화단말로 연결시키는 핸즈프리 모드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핸즈프리 모드가 선택된 경우 다수의 전화단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다수의 전화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VEHICULAR HANDS-FREE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PHONES}
차량 내에 설치된 핸즈프리 장치는, 차량 내에서 휴대폰으로 통화할 필요가 있는 경우 휴대폰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핸즈프리 장치는 하나의 휴대폰만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핸즈프리 장치는, 현재에는 차량 내에 통화할 수 있는 수단이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 하나인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별다른 문제없이 사용되고 있으나, 차량 내에서 통화하는 수단이 증가하여 2대 이상의 전화기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현재의 핸즈 프리 장치로는 이러한 두 대 이상의 전화기를 제어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전화기를 제어할 수 있는 핸즈 프리 장치가 요청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하나의 핸즈 프리 장치로서 다수의 전화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두 대의 전화기가 각각 사용될 때는 물론, 두 대의 전화기가 동시에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도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 전화를 선택할 수 있고, 사용되고 있는 전화단말의 음성 레벨을 인식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전화 사용을 종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핸즈프리 장치로서, 다수의 전화단말에 접속되며, 제1 전화단말로 통화하고 있는 중에 제2 전화단말로 호출이 온 경우, 제1 전화단말과의 연결을 유지한 상태로 제2 전화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어장치; 오디오를 사용하는 오디오 모드 및 전화단말로 연결시키는 핸즈프리 모드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핸즈프리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다수의 전화단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핸즈프리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어장치는 통화하고 있는 전화단말로부터 소정시간 동안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통화를 자동적으로 종료시키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장치에는 두 대의 전화단말에 접속되며, 하나의 전화단말은 휴대폰이고, 다른 하나의 전화단말은 휴대폰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CDMA 칩인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먼저, 제어장치(20)는 전화단말의 연결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 제어장치(20)에는 외부폰(30)과 내부폰(40)이 연결되어 있다. 외부폰(30)은 차량 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 등의 전화단말이 이에 해당하며, 내부폰(30)은 예를 들면, 단말기 자체에 내장되어 있는 CDMA 칩을 통화가 가능한 하나의 전화단말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전화단말이 이에 해당한다.
입력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전화단말 사용 또는 오디오 사용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입력장치(10)를 통해, 사용자는 오디오 장치를 사용하는 오디오 모드와 전화단말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핸즈프리 모드를 전환 및 선택할 수 있고, 또한 핸즈프리 모드가 선택된 경우 외부폰을 사용할 것인지 내부폰을 사용할 것인지를 전환 및 선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장치(20)로 입력되는 각종 입력신호와 입력신호를 수신받아 이로부터 모드선택 및 전화단말 선택을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 입력되는 입력신호 및 입력된 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출력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장치(20)에는 핸즈 프리 모듈의 사용 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그(FLAG)가 설치되어 있다.
먼저, 제어장치(20)로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외부폰(30)에서 제어장치(20)로 입력되는 신호로는, 핸즈프리 모듈의 상태 신호를 나타내며 핸즈프리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활성화되는 USE_H_F, 외부폰 제어신호로서 외부폰 송신/발신/종료 기능을 수행하는 KEY_H_F, 사용자의 외부폰 사용 종료를 나타내는 UIKEY_H_F, 오디오/핸즈프리 전환을 나타내는 CHNG_MODE, 내부폰/외부폰 전환을 나타내는 CHNG_PHONE, 및 제어장치(20)를 초기화시키고 사용자가 CHNG_MODE 사용시 USE_H_F 신호를 로우 레벨로 천이시키는 RESET_STATUS 신호 등이 있다.
한편, 내부폰(4)으로부터 제어장치(20)로 입력되는 신호로는, 내부폰 통화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인 CDMA_STATUS 신호가 있다.
다음, 상술한 입력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출력신호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장치(20)가 이러한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생성하는 제어신호로는, 내부폰 사용 또는 외부폰 사용을 선택하는 SEL_PHONE 신호, 및 오디오 모드 또는 핸즈프리 모드를 선택하는 SEL_MODE 이다. 따라서, SEL_MODE 신호로 오디오를 사용할 것인가 핸즈프리 장치를 사용할 것인가를 선택하게 되고, SEL_PHONE 신호로는 내부폰을 사용할 것인가 외부폰을 사용할 것인가를 선택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여러 상태에 대해서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각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태는, 유휴상태(S0), 외부폰 상태(S1), 내부폰 상태(S2) 및 타임체킹 상태(S3)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따라, 상술한 핸즈프리 제어장치(20)의 플래그 값은 다음의 값을 갖는다.
플래그 상 태
000 유휴 상태(초기값)
001 S1 -> S2 전환
010 S2 -> S1 전환
011 외부폰/내부폰 중 하나 사용 중
100 S1 -> S0 전환
101 S2 -> S0 전환
이하, 각 상태의 의미와, 이에 따른 플래그 및 신호 값에 대해 설명하면, 유휴상태(S0)는, 오디오 모드 및 외부폰 모드이며, 플래그값은 000/100/101, USE_H_F = 0 의 값을 갖는다. 외부폰 상태(S1)는, 외부폰을 사용하는 상태로서 핸즈프리 모드 및 외부폰 모드이며, 플래그값은 010/011, USE_H_F = 1 의 값을 갖는다. 내부폰 상태(S2)는, 내부폰을 사용하는 상태로서 핸즈프리 모드 및 내부폰 모드이며, 플래그값은 001/011, USE_H_F = 1 의 값을 갖는다. 타임체킹 상태(S3)는, KEY_H_F 버튼이 체킹되는 상태로서, 핸즈프리 모드 및 외부폰 모드이며, 플래그값은 011 의 값을 갖는다.
다음, 각 상태 전환에 따른 플래그값 및 입출력신호의 변화에 대해 도4 내지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유휴 상태에서 외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휴상태(S0)에서 USE_H_F = 1 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외부폰 상태(S1)로 전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유휴 상태에서 내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휴상태(S0)에서 USE_H_F = 1 및 CDMA_STATUS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내부폰 상태(S2)로 전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유휴 상태에서 타임체킹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유휴상태(S0)에서 KEY_H_F 의 토글(Toggle)이 발생하고 USE_H_F = 0 인 경우, 타임체킹 상태(S3)로 전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때, USE_H_F 가 타임체킹 상태인 동안 음성이 검출된다면 SEL_MODE 는 핸즈프리 모드를 유지하고, 음성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오디오 모드로 전환된다.
도7a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제1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태는, 사용자가 외부폰을 사용한 후 UIKEY_H_F/KEY_H_F를 누름으로써 전화를 종료시킨 경우에 해당한다.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제2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태는, 사용자가 외부폰을 사용한 후, 사용자가 부가적인 행동 즉, UIKEY_H_F/KEY_H_F를 누름으로써 전화를 종료시키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경우, 내부의 타임체킹에 의해 일정시간 예를 들면, 1분 후에 USE_H_F = 0 이 되어서 자동종료되고 유휴상태(S0)로 전환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7c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제3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태는, 사용자가 외부폰을 사용하고 있는 도중, 어떠한 이유로 오디오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CHNG-MODE 를 누른 경우에 해당한다.
도8a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S1)에서 내부폰 상태(S2)로 전환하는 제1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태는, 사용자가 내부폰을 사용중에 외부폰의 호출이 있어, 현재 내부폰은 연결되어 있으면서 사용자는 외부폰을 통화중에 있는 상황으로서, 플래그값이 010 이다. 이는 결국 현재의 외부폰 사용이 종료되어 사용자가 UIKEY/KEY_H_F를 누름으로써 기존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폰으로 돌아가는 것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이라고 할 수 있다.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S1)에서 내부폰 상태(S2)로 전환하는 제2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태는, 사용자가 단지 외부폰만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에서 내부폰의 호출이 온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S1)에서 내부폰 상태(S2)로 전환하는 제3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c는, 도8a에서와 동일한 상태로서 플래그값이 010이고, 외부폰이 어떤 상황에 의해 음성 신호가 일정시간 예를 들면, 1분간 검출이 되지 않아서 기존에 사용중인 내부폰으로 돌아가는 경우이다.
도8d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S1)에서 내부폰 상태(S2)로 전환하는 제4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d는, 도8a에서와 동일한 상태로서 플래그값이 010이나, 사용자가 현재 통화중인 외부폰이 계속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외부폰에서 내부폰으로 전환하기 위해 CHNG_PHONE 을 누르는 경우이다.
도9a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내부폰 상태(S2)에서 외부폰 상태(S1)로 전환하는 제1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태는, 내부폰만을 사용하고 있는 중에 외부폰이 온 경우로서, 사용자가 KEY_H_F를 누름으로써 외부폰을 사용하게 되고, 기존의 내부폰은 계속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다.
도9b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내부폰 상태(S2)에서 외부폰 상태(S1)로 전환하는 제2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태는, 외부폰을 사용하다가 내부폰의 호출이 있어 사용자가 내부폰으로 전환한 상태에서, 내부폰의 사용이 끝나서 내부의 CDMA_STATUS 가 종료되고, 다시 연결 중인 외부폰으로 돌아가는 경우이다.
도9c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내부폰 상태(S2)에서 외부폰 상태(S1)로 전환하는 제3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상태는, 내부폰을 사용하다가 기존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폰으로 통화를 하기 위해, 통화중인 내부폰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자가 CHNG_PHONE 을 누르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내부폰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내부폰 상태(S2)에서 CDMA_STATUS 가 종료되고 플래그값이 011 인 경우, 유휴 상태(S0)로 전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타임체킹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KEY-H_F 가 이미 앞에서 토글되어 타임체킹 상태(S3)로 전환되었다고 할 때, 내부폰 상태(S3)에서 TIME_CHECK = 0 인 경우, 유휴상태(S0)로 전환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내부폰 상태(S3)로 천이된 후, USE_H_F 가 일정시간 예를 들면, 1분 동안 로우레벨이 유지되어 다시 유휴상태(S0)로 전환된 것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타임체킹 상태에서 외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KEY_H_F가 이미 앞에서 토글되어 타임체킹 상태(S3)로 전환되었다고 할 때, 타임체킹 상태(S3)에서 TIME_CHECK = 1 인 경우, 외부폰 상태(S1)로 전환됨을 나타내고 있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타임체킹 상태에서 내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는, 타임체킹 상태(S3)에서 CDMA_STATUS = 1 인 경우, 내부폰 상태(S2)로 전환됨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핸즈프리 제어장치(20)는 두 대의 전화기를 일률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
다음으로, 외부폰 상태 및 내부폰 상태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일 실시예를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서 핸즈프리 모드에서의 사용자 화면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AUDIO MODE 전환' 버튼을 눌러 오디오 모드와 핸즈프리 모드를 토글링할 수 있고, 'INTERNAL PHONE 전환' 버튼을 눌러 외부폰 및 내부폰 모드를 토글링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를 갖는 본 발명은 그 실시양태에 제한받지 않으며, 그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해 하나의 핸즈 프리 장치로서 다수의 전화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전화기가 각각 사용될 때는 물론, 다수의 전화기가 동시에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도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 전화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중인 전화단말의 음성 레벨을 인식하여 소정 시간 동안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전화 사용을 종료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 입력되는 입력신호 및 입력된 신호로부터 생성되는 출력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서 사용되는 각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유휴 상태에서 외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유휴 상태에서 내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유휴 상태에서 타임체킹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a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제1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b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제2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c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제3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a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에서 내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제1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에서 내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제2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c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에서 내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제3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d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외부폰 상태에서 내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제4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a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내부폰 상태에서 외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제1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b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내부폰 상태에서 외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제2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c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내부폰 상태에서 외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제3의 경우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내부폰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타임체킹 상태에서 유휴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타임체킹 상태에서 외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의 상태 중 타임체킹 상태에서 내부폰 상태로 전환하는 방식에 대한 타이밍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핸즈프리 장치에서 핸즈프리 모드에서의 사용자 화면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4)

  1. 차량에 설치되는 핸즈프리 장치로서,
    다수의 전화단말에 접속되며, 제1 전화단말로 통화하고 있는 중에 제2 전화단말로 호출이 온 경우, 상기 제1 전화단말과의 연결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2 전화단말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어장치;
    오디오를 사용하는 오디오 모드 및 전화단말로 연결시키는 핸즈프리 모드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핸즈프리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다수의 전화단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통화하고 있는 전화단말로부터 소정시간 동안 음성신호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통화를 자동적으로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시간은 1분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는 두 대의 전화단말에 접속되며,
    하나의 전화단말은 휴대폰이고, 다른 하나의 전화단말은 상기 휴대폰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CDMA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장치.
KR1020030074195A 2003-10-23 2003-10-23 다수의 전화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KR200500388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195A KR20050038885A (ko) 2003-10-23 2003-10-23 다수의 전화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195A KR20050038885A (ko) 2003-10-23 2003-10-23 다수의 전화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885A true KR20050038885A (ko) 2005-04-29

Family

ID=3724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195A KR20050038885A (ko) 2003-10-23 2003-10-23 다수의 전화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88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193B1 (ko) * 2004-07-16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핸즈프리 장치의 통화전환 시스템
KR100782083B1 (ko) * 2006-10-11 200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소리 재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193B1 (ko) * 2004-07-16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핸즈프리 장치의 통화전환 시스템
KR100782083B1 (ko) * 2006-10-11 200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소리 재생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US8045921B2 (en) 2006-10-11 2011-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16978A (ja) 送受信機
CN101739374A (zh) 信号传输路径选择电路及应用该电路的电子装置
KR20050038885A (ko) 다수의 전화단말을 제어할 수 있는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US20140148215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switching between different antenna modes
KR19990016463A (ko) 차량내 이동전화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KR100638203B1 (ko) 다중 오디오 신호 입력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425490B1 (ko) 핸드셋전화기의오디오신호절환장치
KR100594176B1 (ko) 사용자 접촉감지를 통한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0589193B1 (ko) 핸즈프리 장치의 통화전환 시스템
KR200356181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와 음악 기기를 겸용으로 사용하기위한 다기능 이어폰 장치
KR200266290Y1 (ko) 휴대폰의 핸즈프리키트
KR200289994Y1 (ko) 전화기의 온훅 다이얼링 장치
KR1005408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이어_핸즈프리 신호 처리 장치
KR100617791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581287B1 (ko) 핸즈프리 자동 모드전환 장치
KR200167068Y1 (ko) 보조 송·수화기용 단자를 가진 유선 전화기
KR1006907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장형 진동 모터 회로
KR20010048817A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를 통해 음성 다이얼을수행하기위한 방법
JPH09275433A (ja) 携帯電話装置
JPH03777Y2 (ko)
KR200143411Y1 (ko) 별도 특정 버튼을 구비한 키패드
KR200204457Y1 (ko) 컴퓨터 글자판 전화기
KR200184595Y1 (ko) 알람기능이 부가된 휴대폰용 이어마이크
JPH1127378A (ja) 無線電話機のハウリング防止回路
JPH037025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