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400A - 자동 취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취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8400A
KR20050038400A KR1020030073736A KR20030073736A KR20050038400A KR 20050038400 A KR20050038400 A KR 20050038400A KR 1020030073736 A KR1020030073736 A KR 1020030073736A KR 20030073736 A KR20030073736 A KR 20030073736A KR 20050038400 A KR20050038400 A KR 20050038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er
water
discharge
grain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6729B1 (ko
Inventor
오상만
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3-0073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729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7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곡류가 수납되며, 곡류인출수단(130)에 의해 곡류가 인출되는 곡류수납용기(100)와, 커버(210)에 의해 개폐되는 내측공간의 바닥에 테이블회전모터(221)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220)이 설치되고, 곡류인출수단(130)에 의해 인출되어 내측으로 공급되는 곡류가 채워지는 취사용기(230)가 턴테이블(220)과 함께 회전하도록 턴테이블(220)상에 설치되며, 상측에 취사용기(23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240)이 설치되고, 내측에 취사용기(230)에 채워지는 곡류와 물의 양을 감지하는 양감지부(250)와 내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260)와 취사용기(230)를 가열하는 히터(270)가 각각 설치되고, 취사용기(230)의 하측에 취사용기(230) 내측의 물을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291)를 통해 배출시키는 배출수단(280)이 설치되는 밥솥(200)과, 양감지부(250)와 온도감지부(260)로부터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으며, 밥솥(20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조작패널(310)의 조작에 따라 곡류인출수단(130), 테이블회전모터(221), 급수수단(240), 히터(270), 그리고 배출수단(280)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곡류의 인출로부터 곡류의 세정과 취사는 물론 취사후 설거지까지 취사에 관계되는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토록 함으로써 취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가사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자동 취사 장치{AUTOMATIC CEREALS COOKER}
본 발명은 자동 취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곡류의 인출로부터 곡류의 세정과 취사는 물론 취사후 설거지까지 취사에 관계되는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 취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밥솥 등과 같은 취사장치를 이용하여 밥을 취사하기 위해서는 쌀통으로부터 적당량의 곡류를 인출하여 밥솥 또는 소정의 용기에 담는 과정과, 쌀통으로부터 인출된 곡류에 부착되거나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물로 세정하는 과정과, 세정을 마친 곡류를 밥솥에 투입하여 가열에 의해 밥을 취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취사를 마친 밥솥으로 밥을 새로이 취사할 경우 밥솥을 설거지하는 과정을 더불어 거치게 된다.
이러한 전기 밥솥은 사용자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취사전의 과정들을 한가한 시간에 미리 수행함으로써 필요한 시간에 맞추어 취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예약 취사 기능이 부여된 다양한 종류의 전기 밥솥 등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밥솥 등과 같은 취사장치는 여전히 사용자가 쌀통으로부터 적당량의 곡류를 인출하여 세정하여 밥솥에 담거나 취사를 위해 밥솥을 설거지하는 취사 사전 과정들을 직접 수행하여야 하므로 취사는 여전히 번거로우며, 시간의 소비를 가져오게 됨으로써 가사 부담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류의 인출로부터 곡류의 세정과 취사는 물론 취사후 설거지까지 취사에 관계되는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토록 함으로써 취사에 대한 번거로움을 없애며, 취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가사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취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곡류의 인출, 세정 및 취사와 설거지를 실시하는 취사 장치로서, 내측에 곡류가 수납되며, 곡류인출수단에 의해 곡류가 인출되는 곡류수납용기와,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내측공간의 바닥에 테이블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곡류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되어 내측으로 공급되는 곡류가 채워지는 취사용기가 턴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도록 턴테이블상에 설치되며, 상측에 취사용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이 설치되고, 내측에 취사용기에 채워지는 곡류와 물의 양을 감지하는 양감지부와 내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와 취사용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각각 설치되고, 취사용기의 하측에 취사용기 내측의 물을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이 설치되는 밥솥과, 양감지부와 온도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으며, 밥솥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조작패널의 조작에 따라 곡류인출수단, 테이블회전모터, 급수수단, 히터, 그리고 배출수단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의 밥솥의 커버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의 배출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의 제어를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는 곡류를 수납하여 인출시키는 곡류수납용기(100)와, 곡류수납용기(100)로부터 인출된 곡류를 세정, 취사 및 설거지를 하는 밥솥(200)과, 곡류 인출과 인출된 곡류를 세정, 취사 및 설거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곡류수납용기(100)는 밥솥(2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몸체(110)내의 상측에 곡류가 수납되도록 곡류수납공간(120)이 형성되고, 곡류수납공간(120)의 하측에 내측의 곡류를 인출시키는 곡류인출수단(130)이 설치된다.
몸체(110)는 밥솥(200)의 커버(210)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방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일측에 홈(111)이 형성된다.
곡류수납공간(120)은 몸체(110)의 상단 일측에 힌지결합됨과 아울러 일측에 손잡이(122)가 구비되는 덮개(121)에 의해 개폐되며, 곡류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바닥면이 곡류인출수단(130)이 설치되는 하측의 인출구(131)를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곡류인출수단(130)은 곡류수납공간(120)의 하측에 곡류의 인출을 위한 인출구(131)가 형성되고, 인출구(131) 내측에 서로 마주보는 양쪽면이 곡면을 이루는 장착공간(132)이 형성되며, 장착공간(13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33a)의 외측면에 복수의 인출날개(133b)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회전시 장착공간(132)의 곡면에 교대로 접하면서 회전하는 인출날개(133b)가 곡류수납공간(120)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곡류를 인출구(131)를 통해 하측으로 인출시키는 인출회전체(133)와, 인출회전체(133)를 회전시키는 인출모터(134)와, 인출구(131)를 통해 인출되는 곡류를 밥솥(200)의 커버(210) 내측에 형성되는 곡류공급로(213)를 통해 취사용기(230)로 공급시키는 곡류공급관(135)을 포함한다.
밥솥(200)은 상측에 내측공간을 개폐시키는 커버(210)가 일측에 힌지결합되며, 내측공간의 바닥에 턴테이블(220)이 설치되며, 턴테이블(220)의 상측에 취사용기(230)가 설치되고, 상측에 급수수단(240)이 설치되며, 내측에 양감지부(250)와 온도감지부(260)와 히터(270)가 각각 설치되고, 취사용기(230)의 하측에 배출수단(280)이 설치된다.
커버(210)는 일측에 힌지결합됨과 아울러 스프링(212)에 의해 복원력을 제공받는 개방손잡이(211) 끝단이 밥솥(200)의 상단에 후크 결합됨으로써 개방손잡이(211)의 회전에 의해 후크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상방으로 회전하여 밥솥(200)으로부터 개방된다.
커버(210)는 곡류인출수단(130)으로부터 인출되는 곡류가 취사용기(230)로 공급되도록 곡류인출수단(130)의 곡류공급관(135)과 연결되는 곡류공급로(213)가 내측에 수직되게 형성되며, 곡류공급로(213)는 공급로개폐밸브(214)에 의해 개폐된다.
턴테이블(220)은 밥솥(200)의 내측공간의 바닥에 테이블회전모터(221)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밥솥(200)의 내측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베어링(223)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턴테이블(220) 하단의 회전중심에 형성되는 벨트풀리(221a)와 테이블회전모터(221)의 축에 결합되는 벨트풀리(221b)는 벨트(222)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테이블회전모터(221)의 구동에 의해 턴테이블(220)은 그 상측에 놓여진 취사용기(230)와 함께 회전한다.
취사용기(230)는 곡류인출수단(130)에 의해 곡류공급로(213)를 통해 공급되는 곡류가 채워지고, 턴테이블(220)과 함께 회전하도록 턴테이블(220)상에 설치되며,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밥솥(200)의 내측공간에 설치되는 베어링(224)에 의해 회전 지지된다.
급수수단(240)은 곡류의 세정, 취사 및 설거지시 취사용기(23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도관이나 정수공급관 등과 같은 외부의 물공급부(미도시)에 급수호스(241)가 연결되고, 급수호스(241)에 연결되는 분사관(242)이 끝단을 취사용기(230) 내측을 향하도록 밥솥(200)의 커버(210) 내측에 설치되며, 급수호스(24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일정 압력 이상으로 취사용기(230) 내측에 분사하도록 분사관(242)의 끝단에 분사노즐(243)이 설치되고, 분사관(242)에 개폐를 위한 분사밸브(245)가 설치되며, 급수호스(241)에 연결되는 급수관(244)의 끝단이 취사용기(230) 내측을 향하도록 밥솥(200)의 커버(210) 내측에 설치되어 급수호스(241)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취사용기(230) 내측으로 공급하고, 급수관(244)에 개폐를 위한 급수밸브(246)가 설치된다.
분사관(242)은 분사노즐(243)이 도 3에서 나타내 바와 같이, 밥솥(200)의 커버(210) 하측면에 복수로 설치되도록 복수로 분기된다.
양감지부(250)는 취사용기(230)내에 채워지는 곡류와 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취사용기(230)의 중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300)로 출력하는 중량센서(미도시)이거나, 도 2에서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취사용기(230) 내측에 설치되어 곡류와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300)로 출력하는 레벨센서(250)임이 바람직하다.
온도감지부(260)는 일종의 온도센서로서 밥솥(200) 내측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300)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히터(270)는 취사용기(230)에 채워진 곡류의 취사시 취사용기(230)를 가열하기 위해 열을 공급하며, 취사용기(230)의 설거지시 불림을 위하여 열을 공급할 수도 있다.
히터(270)는 턴테이블(220) 내측에 나선을 그리도록 설치됨으로써 턴테이블(220)과 접하는 취사용기(230)의 바닥을 골고루 가열시킨다.
배출수단(280)은 취사용기(230) 내측의 물을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291)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취사용기(230) 하측에 설치된다.
배출수단(2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솥(200) 하측에 형성되는 배출구(291)와 통하도록 턴테이블(220)에 배출홀(226)을 형성시켜서 배출홀(226)과 연결되도록 취사용기(230)의 바닥면에 배출로(281)를 형성하고, 배출로(281)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메인차단판(282a)을 왕복이동시킴으로써 배출로(281)를 개폐시키는 메인배출밸브(282)가 배출로(281)상에 설치되며, 배출로(281)에 설치됨과 아울러 곡류의 통과를 차단함으로써 물만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배수홀(283a)이 형성되는 곡류세정용차단판(283b)을 왕복이동시키는 서브배출밸브(283)가 메인배출밸브(282)의 하측에 설치된다.
배출수단(280)은 곡류의 세정후 물을 배출시 메인배출밸브(282)만을 개방시킴으로써 서브배출밸브(283)의 곡류세정용차단판(283b)에 의해 곡류가 배출로(281)를 따라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며, 설거지후 물을 배출시 메인배출밸브(282)와 서브배출밸브(283)를 함께 개방시켜 배출로(281)를 통한 물의 배출을 원활하게 한다.
메인배출밸브(282)와 서브배출밸브(283)는 취사용기(230) 하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232)와 결합되는 커버(284)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취사용기(230) 하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돌기(285)와 커버(284) 내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돌기(284b)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커버(284)는 취사용기(230) 하측면에 결합시 취사용기(230)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출로(281)가 끼워지도록 홀(284a)이 형성된다.
취사용기(230)가 턴테이블(220)에 안착시 하측에 결합되어 돌출되는 커버(284)가 삽입되도록 턴테이블(220)에 장착홈(225)이 형성되며, 취사용기(230)의 돌출된 커버(284)를 턴테이블(220)의 장착홈(225)에 장착함으로써 후술하는 접속커넥터(227,231)간의 접속을 쉽게 할 뿐만 아니라 배출로(281)와 턴테이블(220)의 배출홀(226)을 서로 쉽게 일치시킨다.
배출구(291)는 배출수단(280)에 의해 배출로(281)와 배출홀(226)을 통해 배출되는 곡류의 세정을 마친 물이나 설거지를 마친 물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밥솥(200)의 내측공간 바닥면에 복수로 형성된다.
밥솥(200)의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291)와 배출구(291)로부터 배출되는 물이나 곡류찌꺼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호스(292)사이에는 내측에 배출공간(293a)이 형성되는 배출용기(293)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용기(293)는 배출공간(293a)에서 배출구(291) 하측에 수거용기(294)가 설치된다.
수거용기(294)는 일측에 손잡이(294b)가 형성되고, 설거지를 마친 물이 배출구(291)를 통해 배출시 물에 포함된 곡류찌꺼기 등을 거르도록 바닥면에 메쉬(294a)가 형성되며, 배출용기(293)의 일측에 형성된 장착홀(293b)을 통해 삽입되어 걸림턱(293c)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배출공간(293a)내에 장착된다.
제어부(300)는 밥솥(200)의 양감지부(250)와 온도감지부(260)로부터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으며, 밥솥(20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조작패널(310)의 조작에 따라 곡류의 인출 및 세정, 취사 그리고 설거지를 실시하기 위하여 곡류인출수단(130)의 인출모터(134), 턴테이블(220)의 테이블회전모터(221), 급수수단(240)의 분사밸브(245) 및 급수밸브(246), 히터(270) 그리고 배출수단(280)의 메인배출밸브(282) 및 서브배출밸브(283)를 각각 제어한다.
제어부(300)로부터 메인배출밸브(282), 서브배출밸브(283), 양감지부(250), 그리고 히터(270)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턴테이블(220)의 벨트풀리(221a) 하측과 밥솥(200)의 내측공간 하측에 방수를 위해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로 턴테이블(220)이 회전함에도 서로 접속되는 회전접속커넥터(228)를 통해 턴테이블(220) 내측의 히터(270)로 전달되고, 취사용기(230)의 하측면과 턴테이블(220)의 상측에 방수를 위해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로 서로 접속되는 접속커넥터(231,227)에 의해 메인배출밸브(282), 서브배출밸브(283) 그리고, 양감지부(25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 취사 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쌀, 보리, 현미 등의 곡류를 인출하여 곡류의 세정 및 취사, 그리고 설거지를 자동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패널(310)을 조작하면, 제어부(300)는 조작패널(310)의 조작 신호에 따라 원하는 양만큼의 곡류가 곡류수납공간(120)으로부터 취사용기(230)로 공급되도록 인출모터(134)를 구동시킨다. 이 때, 제어부(300)는 인출모터(134)의 회전각을 제어함으로써 인출되는 곡류의 양을 조절한다.
인출모터(134)가 회전하면 인출회전체(133)가 회전하면서 인출구(131)상에 형성된 장착공간(132)의 밀폐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출날개(133b)에 의해 곡류를 인출구(131)와 곡률공급관(135)을 통해 하측으로 인출시키면 공급로개폐밸브(214)에 의해 개방된 곡류공급로(213)를 따라 취사용기(230)에 곡류가 채워진다.
제어부(300)는 취사용기(230)에 곡류가 채워지면 공급로개폐밸브(214)를 동작시켜서 곡류공급로(213)를 폐쇄시킨 다음 분사밸브(245)를 개방시킴과 아울러 양감지부(25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취사용기(230)에 적당량의 물이 분사되도록 함과 아울러 테이블회전모터(221)를 회전시켜서 취사용기(230)가 베어링(223,224)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취사용기(230)내의 곡류를 세정시킨다.
제어부(30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취사용기(230)의 물의 분사를 일정횟수 반복시 곡류의 세정을 마친 물을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배출수단(280)의 메인배출밸브(282)를 개방하여 곡류는 곡류세정용차단판(283b)에 받쳐진 상태에서 배출로(281), 곡류세정용차단판(283b)의 배수홀(283a), 배출홀(226), 배출구(291), 배출공간(293a) 그리고, 배출호스(292)를 통해 곡류의 세정을 마친 물만이 통과하도록 한다.
취사용기(230)로부터 곡류의 세정을 마친 물이 배출되면 제어부(300)는 급수밸브(246)를 개방시켜 양감지부(25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취사에 필요한 양만큼의 물을 취사용기(230)에 채운다.
취사용기(230)에 취사에 알맞은 물이 채워지면 제어부(300)는 히터(270)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온도감지부(26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취사용기(230)에 채워진 곡류가 취사가 되도록 가열시킨다.
제어부(300)는 취사를 마치면 취사용기(230)내에 취사된 곡류를 일정온도로 보온되도록 온도감지부(26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를 수신받음과 아울러 히터(270)를 구동시킨다.
취사용기(230)가 비워지거나 사용자의 조작패널(310)의 조작에 의해 취사용기(230)를 설거지시 제어부(300)는 분사밸브(245)를 개방시켜 분사노즐(243)을 통해 취사용기(230)내에 물을 분사시킴과 아울러 테이블회전모터(221)를 구동시켜서 턴테이블(220)과 함께 취사용기(23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분사노즐(243)의 분사압력과 턴테이블(22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취사용기(230)는 물의 원심력에 의해 깨끗하게 세척되도록 한다.
취사용기(230)내에 물을 분사시 제어부(300)는 양감지부(25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취사용기(230)에 물이 넘치지 않도록 한다.
제어부(300)는 일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취사용기(230)의 물의 분사를 일정횟수 반복함으로써 취사용기(230)의 설거지를 마치면 배출수단(280)의 메인배출밸브(282)와 서브배출밸브(283)를 동시에 개방하여 배출로(281), 배출홀(226), 배출구(291), 배출공간(293a) 그리고, 배출호스(292)를 통해 설거지를 마친 물을 외측으로 배출시킨다.
설거지를 마친 물을 외측으로 배출시 물에 포함되는 곡류 찌꺼기 등은 수거용기(294)의 메쉬(294a)에 걸리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수거용기(294)를 분리시켜서 곡류 찌꺼기를 따로 배출시키게 됨으로써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곡류의 인출로부터 곡류의 세정과 취사는 물론 취사후 설거지까지 취사에 관계되는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토록 함으로써 취사에 대한 번거로움을 없애며, 취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가사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는 곡류의 인출로부터 곡류의 세정과 취사는 물론 취사후 설거지까지 취사에 관계되는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토록 함으로써 취사에 대한 번거로움을 없애며, 취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가사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의 밥솥의 커버를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의 배출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취사 장치의 제어를 위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곡류수납용기 110 : 몸체
120 : 곡류수납공간 121 : 덮개
122 : 손잡이 130 : 곡류인출수단
131 : 인출구 132 : 장착공간
133 : 인출회전체 133a : 회전축
133b : 인출날개 134 : 인출모터
135 : 곡류공급관 200 : 밥솥
210 : 커버 213 : 곡류공급로
214 : 공급로개폐밸브 220 : 턴테이블
221 : 테이블회전모터 225 : 장착홈
226 : 배출홀 227 : 접속커넥터
228 : 회전접속커넥터 230 : 취사용기
231 : 접속커넥터 232 : 결합돌기
240 : 급수수단 241 : 급수호스
242 : 분사관 243 : 분사노즐
244 : 급수관 245 : 분사밸브
246 : 급수밸브 250 : 양감지부
260 : 온도감지부 270 : 히터
280 : 배출수단 281 : 배출로
282 : 메인배출밸브 282a : 메인차단판
283 : 서브배출밸브 283a : 배수홀
283b : 곡류세정용차단판 284 : 커버
284a : 홀 285 : 지지돌기
291 : 배출구 292 : 배출호스
293 : 배출용기 293a : 배출공간
293b : 장착홀 293c : 걸림턱
294 ; 수거용기 294a : 메쉬
294b : 손잡이 300 : 제어부

Claims (5)

  1. 자동으로 곡류의 인출, 세정 및 취사와 설거지를 실시하는 취사 장치로서,
    내측에 곡류가 수납되며, 곡류인출수단에 의해 곡류가 인출되는 곡류수납용기와,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내측공간의 바닥에 테이블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곡류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되어 내측으로 공급되는 곡류가 채워지는 취사용기가 상기 턴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상에 설치되며, 상측에 상기 취사용기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이 설치되고, 내측에 상기 취사용기에 채워지는 곡류와 물의 양을 감지하는 양감지부와 내측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취사용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취사용기의 하측에 상기 취사용기 내측의 물을 하측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이 설치되는 밥솥과,
    상기 양감지부와 상기 온도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으며, 상기 밥솥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조작패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곡류인출수단, 상기 테이블회전모터, 상기 급수수단, 상기 히터,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동 취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은,
    외부의 물공급부에 연결되는 급수호스와,
    상기 급수호스에 연결되어 끝단이 상기 취사용기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밥솥의 커버 내측에 설치되는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의 끝단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일정 압력이상으로 상기 취사용기 내측에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관에 설치되어 상기 분사관을 개폐시키는 분사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은,
    상기 급수호스에 연결되어 끝단이 상기 취사용기 내측을 향하도록 상기 밥솥의 커버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상기 취사용기 내측으로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개폐시키는 급수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감지부는,
    상기 취사용기 내측에 설치되어 곡류와 물의 높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레벨센서이거나, 상기 턴테이블상에 설치되어 상기 취사용기의 중량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중량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밥솥 하측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통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에 배출홀을 형성시키고,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도록 상기 취사용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출로와,
    상기 배출로를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메인차단판을 왕복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배출로를 개폐시키는 메인배출밸브와,
    상기 메인배출밸브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로에 설치됨과 아울러 곡류의 통과를 차단함으로써 물만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배수홀이 형성되는 곡류세정용차단판을 왕복이동시키는 서브배출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취사 장치.
KR10-2003-0073736A 2003-10-22 2003-10-22 자동 취사 장치 KR100516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736A KR100516729B1 (ko) 2003-10-22 2003-10-22 자동 취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736A KR100516729B1 (ko) 2003-10-22 2003-10-22 자동 취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400A true KR20050038400A (ko) 2005-04-27
KR100516729B1 KR100516729B1 (ko) 2005-09-22

Family

ID=3724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736A KR100516729B1 (ko) 2003-10-22 2003-10-22 자동 취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117B1 (ko) * 2006-10-11 2007-11-29 주식회사 바퍼텍 무인 자동 취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117B1 (ko) * 2006-10-11 2007-11-29 주식회사 바퍼텍 무인 자동 취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6729B1 (ko)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1790B2 (en) Obstacle sensing spray arm for a dishwashing machine
KR102145671B1 (ko) 쌀 세척장치
EP0087566A1 (en) Cleaning machine
US20030029478A1 (en) Dishwasher pressurized fine filter drain apparatus and method
CA2534126A1 (en) Multiple spray arm dishwas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JPWO2004023946A1 (ja) 全自動炊飯装置
US6641058B2 (en) Dishwasher spray arm hub and conduit assembly
EP0842614A2 (en) An improved method of washing fruit or vegetables
KR100937424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51356B1 (ko) 자동 취사 장치
KR100551358B1 (ko) 자동 취사 장치
JPH10234565A (ja) 水流による洗米装置付き炊飯器
KR100551360B1 (ko) 자동 취사 장치
KR100516729B1 (ko) 자동 취사 장치
KR100551357B1 (ko) 자동 취사 장치
KR100551359B1 (ko) 자동 취사 장치
KR100551361B1 (ko) 자동 취사 장치
KR100551355B1 (ko) 자동 취사 장치
CN209091289U (zh) 清洗设备
KR100444194B1 (ko) 무인 자동 취사기의 구동 장치
CN208573653U (zh) 水槽洗碗机
KR100516728B1 (ko) 자동 취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74140B1 (ko) 무인 자동 취사기의 교반익 구동 장치
KR100555974B1 (ko) 자동 취사 장치의 곡류 세척 공정 제어방법
CN108968868A (zh) 清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