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050A - 전동칫솔 - Google Patents

전동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8050A
KR20050038050A KR1020030073236A KR20030073236A KR20050038050A KR 20050038050 A KR20050038050 A KR 20050038050A KR 1020030073236 A KR1020030073236 A KR 1020030073236A KR 20030073236 A KR20030073236 A KR 20030073236A KR 20050038050 A KR20050038050 A KR 20050038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othbrush
power
electric toothbrush
brist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3092B1 (ko
Inventor
은상태
김영호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7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092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04Additional brush head
    • A46B5/0012Brushes with two or more heads on the same end of a handle for simultaneous use, e.g. cooperating with each-oth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전동칫솔에 관한 것으로, 양치 동작시 전동칫솔에 가해지는 동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상기 각 식모부가 구강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여 양치시간동안의 운동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양치시 사용자가 잡는 칫솔대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에 연결된 넥부 및 넥부의 선단 칫솔 헤드부, 헤드부 중 필라멘트 칫솔모가 식모되는 식모부, 그리고 식모부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장치를 갖는 전동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부는 두 개 이상의 식모부로 구성되고, 상기 각 식모부가 서로 다른 메카니즘에 의해 독립적으로 각각 구동되는 구동부를 구비한 전동칫솔을 제공하여, 식모부가 1개인 전동칫솔은 물론이고 식모부가 2개인 전동칫솔에 비해 동일한 양치시간동안 월등한 프라그 제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세정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전동칫솔{Electric toothbrush}
본 발명은 독립 구동되는 2개 이상의 식모부를 갖는 전동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르게 움직이는 두 개 이상의 식모부를 칫솔 헤드부에 구비하여 양치시 탁월한 세정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전동칫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치아의 효과적인 프라그 제거를 위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의 하나로 여러 종류의 전동칫솔이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전동칫솔은 치아와 잇몸의 프라그 세정 및 음식물 잔사를 제거하는 개인 위생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양치시 사용자가 잡는 칫솔대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에 연결된 넥부, 및 넥부 선단에 연결된 칫솔 헤드부, 헤드부 중 칫솔모가 식모되는 식모부, 그리고 식모부의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전동칫솔의 사용상 이점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으며, 구체적인 동작으로는 동력장치를 이용하여 식모부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칫솔 자체의 움직임과 상기 동력장치에 의한 식모부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치아의 프라그를 일반 칫솔에 비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특히, 상기 전동칫솔의 헤드부 구성 및 디자인은 세정력과 직접적인 관련을 가지고 있어서 기술혁신의 과제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동칫솔의 헤드부는 오랜 기간동안 다양한 형태로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최근 몇 년 동안에는 다양한 형태의 칫솔모가 식모되어 있는 헤드부가 소개되고 있으며, 몇몇 알려진 공개기술들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127992호, 특허등록번호 제10-0236404호, 특허등록번호 제10-0304175호, 특허등록번호 제 10-0333137호에 잘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들 기술들을 포함하여 종래 실용 가능한 기술들의 조사결과 좀 더 효과적으로 치아를 세정하는 칫솔 헤드부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상업적 실현 가능성이 없는 기술들이 대부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들이 갖는 과제의 극복을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동칫솔의 식모부에 두 개 이상의 식모부를 구비하고 양치 동작시 전동칫솔에 가해지는 힘을 최대한 활용하여 상기 각 식모부가 구강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게 하여 양치시간동안의 운동효과를 배가시킴으로써, 식모부가 1개인 전동칫솔은 물론이고 식모부가 2개인 전동칫솔에 비해 동일한 양치시간동안 월등한 프라그 제거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세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전동칫솔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치시 사용자가 잡는 칫솔대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에 연결된 넥부, 및 상기 넥부의 선단에 위치하여 칫솔모가 식모되기 위한 식모부를 갖는 칫솔 헤드부, 그리고 식모부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장치를 갖는 전동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 헤드부에 칫솔모가 각각 구분되어 식모되는 두 개 이상의 식모부를 구비하고, 서로 다른 메카니즘에 의해 독립적으로 각각 구동되는 구동부를 상기 각 식모부에 구비한 전동칫솔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의 제 1실시예는, 상기 각 식모부에 작용되는 메카니즘의 종류가 서로 다르게 하여 각 구동부가 구성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다른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사용자의 양치 동작으로 유발되는 힘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의 제 2실시예는, 상기 각 식모부에 작용되는 메카니즘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하여 각 구동부가 구성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제 1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다른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제 1동력과는 다른 크기로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제 2동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의 제 3실시예는, 상기 각 식모부에 작용되는 메카니즘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하여 각 구동부가 구성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제 1방향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다른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방향으로(보더 더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제 2방향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전동칫솔은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2개의 식모부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이러한 식모부는 단지 본 발명에서 예시된 각 실시예에 의한 전동칫솔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의 사시도로서, 2개의 식모부가 구비된 전동칫솔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은 양치시 사용자가 잡는 칫솔대 손잡이부(1)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된 넥부(2), 및 상기 넥부의 선단에 구비되는 칫솔 헤드부(3)와, 상기 칫솔 헤드부 중 칫솔모(5)가 두 개 영역으로 각각 나뉘어 식모되는 두 개의 식모부(4)와, 상기 식모부의 회전 또는 상하, 좌우 왕복 등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장치(6)와 동력 전달축(7), 및 상기 동력장치의 조작을 위한 작동 스위치(8)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식모부 아래에는 서로 다른 메카니즘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구동부(9a,10a,15a-18a: 도 2a 내지 도 4b 참조)가 구비되며, 그 각각의 구동부들은 상기 칫솔 헤드부(3)의 내부에 안착되어 진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은 다 수의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그 중 제 1실시예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식모부에 작용되는 메카니즘의 종류가 서로 다르게 하여 각 구동부가 구성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다른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사용자의 양치 동작으로 유발되는 힘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의 제 2실시예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식모부에 작용되는 메카니즘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하여 각 구동부가 구성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제 1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다른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제 1동력과는 다른 크기로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제 2동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의 제 3실시예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식모부에 작용되는 메카니즘의 방향이 서로 다르게 하여 각 구동부가 구성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제 1방향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다른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방향으로(보더 더 바람직하게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제 2방향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2a와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전동칫솔의 헤드부 일부를 절개하여 각 구동부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칫솔 헤드부 바닥면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의 식모부(4)가 제 1식모부(9)와 제 2식모부(10)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각 식모부(9,10)의 아래쪽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메카니즘에 의해 독립적으로 각각 구동되는 구동부(9a,10a)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식모부(10)는 구치부 세정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그 지름이 제 1 식모부(9)의 지름보다 크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 1식모부(9)에 구비되는 제 1구동부(9a)는 상기 동력전달축(7)으로부터 연장되어 편심된 축(7a)과, 상기 편심축에 직접 연결되는 제 1식모부 아래쪽의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동력장치(6)로부터 동력전달축(7)을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직접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제 1구동부(9a)는 도 2a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동력장치(6)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제 1식모부(9)를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는 반회전운동을 반복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식모부(10)에 구비되는 제 2구동부(10a)는 상기 제 2식모부(10) 아래쪽 몸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어(10c)와, 상기 제 2식모부(10)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10b), 및 상기 제 2식모부(10)가 상기 칫솔 헤드부(3)의 몸체 내부에서 직선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칫솔 헤드부(3) 내부의 가이드 대응위치에 공간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이동레일(3b)과, 상기 제 2식모부(10)가 상기 칫솔 헤드부(3)의 몸체 내부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칫솔 헤드부(3) 내부의 기어 대응위치에 상기 기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기어이동레일(3c)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이동레일(3c)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식모부(10) 몸체 하부에 형성되는 기어(10c)가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의 공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로써, 상기 제 2구동부(10a)는 양치시 사용자가 칫솔 헤드부(3)에 가하는 힘에 의해 제 2식모부(10)의 가이드(10b)와 기어(10c)가 상기 칫솔 헤드부(3)의 가이드이동레일(3b) 및 기어이동레일(3c)을 따라 이동하여 헤드 전/후 방향으로의 직선 왕복운동은 물론 도 2a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전동 칫솔에 의하면, 상기 제 1 식모부(9)는 동력장치에 의한 힘 전달시 좌,우 반회전 운동을 반복하고, 제 2식모부(10)는 사용자가 양치시 칫솔 헤드부(3)를 움직이는 동작에 따라 회전 운동 및 직선 왕복운동을 반복하여 구강의 깊숙한 곳까지 쉽게 들어가 세정이 가능하게 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동 칫솔은 동력전달부에 의한 좌우반회전 운동을 하는 제 1 식모부로는 전치와 측절치의 세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되며 동시에 제 2 식모부로는 구치부 세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세정력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종래의 전동칫솔에서는 1개의 좌우반회전 운동을 하는 식모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식모부의 크기가 구치부 안쪽까지 완벽한 세정을 하기에는 너무 크고, 구치부 안쪽 세정을 위해 식모부의 크기를 축소시키면 전치, 측절치 등의 세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양치시간이 길어지는 불합리성을 가지고 있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전동칫솔의 각 구동부 상세도이고, 도 3b와 도 3c는 각각 도 3a의 제 3식모부와 제 4식모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들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의 식모부(4)가 제 3식모부(15)와 제 4식모부(16)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각 식모부(15,16)의 아래쪽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메카니즘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제 3구동부(15a)와 제 4구동부(16a)가 구비된다.
상기 제 3식모부(15)에 구비되는 제 3구동부(15a)는 상기 동력전달축(7)으로부터 소정 길이(A)만큼 편심되고 그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1편심축(7b)과, 상기 제 1편심축에 직접 연결되는 제 3식모부 아래쪽의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축(7) 및 제 1편심축(7b)을 통해 전달되는 제 1동력에 의해 직접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4식모부(16)에 구비되는 제 4구동부(16a)는 상기 동력전달축(7)으로부터 상기 제 1편심축(7b)의 길이와는 다른 길이(B)만큼 편심되고 그로부터 연장 형성된 제 2편심축(7c)과, 상기 제 2편심축에 직접 연결되는 제 4식모부 아래쪽의 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동력전달축(7) 및 제 2편심축(7c)을 통해 전달되는 제 2동력에 의해 직접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구동부(15a)와 제 4구동부(16a)는 하나의 동력장치(6)로부터 동력전달축(7)을 통해 정해진 크기의 동력이 전달될 때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동력(제 1동력 및 제 2동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식모부(제 3식모부와 제 4식모부)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반회전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3a 내지 도 3c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전동칫솔은 2개의 식모부(15,16)가 동일한 동력장치(6) 및 동력 전달축(7)으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운동을 하지만, 동력 전달시 편심축의 길이(A,B)를 달리하여 전달되는 동력의 크기에 차이를 발생시킴으로써, 제 3구동부와 제 4구동부에는 각각 다른 크기의 동력이 가해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2개의 식모부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이유로 2개 식모부의 회전 속도에 차이를 줌으로 해서 상아질로 구성된 치면에 부착된 프라그와 피부 조직인 치은에 부착된 프라그를 동시에 제거하여 세정 효과를 높여줄 수 있게 된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구동부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전동칫솔의 각 구동부 상세도이고, 도 4b는 칫솔 헤드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안내판 상세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1의 식모부(4)가 제 5식모부(17)와 제 6식모부(18)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각 식모부(17,18)의 아래쪽에는 서로 다른 방향의 메카니즘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제 5구동부(17a)와 제 6구동부(18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 식모부(17,18)의 몸체 하부에는 지지축(17b,18b)을 형성하고, 그 지지축의 하단에는 스토퍼(17c,18c)가 체결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구동부(17a,18a)의 하부 공간에는 각 식모부의 이동 방향을 특정 방향(본 발명에서는 칫솔대의 길이방향과 그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정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으로 지정해주기 위한 가이드 홈(20a,20b)을 형성한 방향 안내판(20)이 구비되며, 상기 두 개의 가이드 홈(20a,20b)에는 제 5구동부(17a)와 제 6구동부(18a)의 각 지지축(17b,18b)이 각각 삽입된 후 그 끝단 스토퍼(17c,18c)에 의해 가이드 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하며, 상기 방향 안내판은 상기 칫솔 헤드부(3)의 몸체 측면에 견고히 고정(도면에 의한 설명은 생략함)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5식모부(17)에 구비되는 제 5구동부(17a)는 상기 동력전달축(7)으로부터 편심된 축(7a)을 통해 전달되는 제 1방향(칫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도 4b 참조)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제 6식모부(18)에 구비되는 제 6구동부(18a)는 상기 동력전달축(7)의 끝단에 부착된 두개의 방향 전환기어(19a,19b)와 또 하나의 편심축(7d)에 의해 상기 제 1방향의 동력과는 다른 방향으로 방향전환되어 상기 동력장치(6)에서 전달되는 제 2방향(칫솔의 길이방향: 도 4b 참조)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 4a 및 도 4b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전동칫솔은 2개의 식모부(17,18)가 동일한 동력전달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운동을 하지만, 그 운동 방향이 제 5 식모부(17)는 칫솔대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고, 제 6 식모부(18)는 칫솔대 길이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구성되어 있어 칫솔 사용시 횡마법과 종마법 잇솔질이 동시에 이루어져 치면, 치간 프라그 제거 기능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본 발명은 선택된 전동칫솔의 예를 들어 설명되었으며 이에 대한 변형 및 변경은 이 명세서를 이해하고 읽음으로 인해 생길 수 있으며, 지금까지의 모든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첨부하는 청구항의 범위 안에 포함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해 만든 전동칫솔과 기존의 전동칫솔을 이용하여 프라그 제거 효과에 대한 비교 평가 실험과 사용성에 대한 소비자 평가를 실시해 보았다.
<실시예 및 비교예>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전동칫솔을 실험 칫솔로 제작하여 실시예로 하였으며, 기존의 1개의 회전부로 구성된 전동칫솔을 비교예1로, 전동칫솔이 아닌 기존 일반칫솔을 비교예2로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프라그 제거 효과에 대한 비교 평가 실험(실험예 1)과 소비자의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 평가실험(실험예 2)을 각각 실시하였다.
<실험예 1 : 프라그 제거 효과에 대한 비교 평가 실험>
실시예와 비교예로 제조된 칫솔을 이용하여 잇솔질을 하였을 때 치면 프라그 감소 효과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30명의 임상 대상자를 선정하여 각각 10명씩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칫솔을 일정 기간(30일) 동안 사용하게 한 후 제 0일을 기준으로 하여 제 14일 후, 제 30일 후의 프라그지수(Plaque Index)를 측정하여 그 감소율(%)을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프라그 감소율(%)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14일 사용후 5.2 ±0.3 3.9 ±0.2 1.6 ±0.3
30일 사용후 9.8 ±0.2 5.6 ±0.3 3.4 ±0.2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칫솔의 경우는 30일 사용 후의 치면의 프라그지수 감소율이 5.6%, 3.4%로 나타나서 기존 수동 칫솔인 비교예 2에 비해서 기존 전동칫솔인 비교예 1이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조된 전동칫솔은 9.8%의 값으로 프라그 제거 효과가 더욱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 소비자의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 평가실험>
실시예와 비교예1로 제조된 칫솔을 이용하여 칫솔의 사용성에 대한 평가를 다음과 같은 평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30명의 패널 리스트를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 1 전동칫솔을 일정 기간(30일) 동안 사용하게 한 후 비교 패널 테스트를 통하여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를 5점 비교법을 이용하여 그 평균값을 측정한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1
치면 프라그 감소효과 4.0 3.5
어금니 프라그 감소효과 3.9 3.5
양치후 세정감 4.1 3.3
전반적인 만족도 3.9 3.4
(단, 5점은 매우 양호, 4점은 양호, 3점은 보통, 2점은 불량, 1점은 매우불량임을 나타냄)
상기 표 2의 결과와 같이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하여 치면 프라그 감소효과, 양치후 세정감, 전반적인 만족도 등에 대한 선호도 면에서 훨씬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한 전동칫솔은 치면 프라그 제거효과를 측정한 임상 비교 평가 실험에서 기존 전동칫솔 및 전동칫솔이 아닌 일반칫솔보다 프라그 제거 감소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치면 프라그 감소효과, 어금니 프라그 감소효과, 전반적 만족도 등의 소비자 선호도 조사에 있어서도 기존 전동칫솔보다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신규의 전동칫솔은 기존의 고안과 비교할 때 효과나 상업적 실현 가능성면에서 더 훌륭한 결과를 낼 수 있도록 발전시킨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칫솔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전동칫솔의 헤드부 일부를 절개하여 각 구동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2b는 도 2a의 칫솔 헤드부 바닥면을 도시한 상세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전동칫솔의 각 구동부 상세도
도 3b와 도 3c는 각각 도 3a의 제 3식모부와 제 4식모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전동칫솔의 각 구동부 상세도
도 4b는 도 4a의 칫솔 헤드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안내판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부 2 : 넥부
3 : 칫솔 헤드부 3b : 가이드이동레일
3c : 기어이동레일 4,9,10,15-18 : 식모부
6 : 동력장치 7 : 동력전달축
7a-7d : 편심축 8 : 작동 스위치
9a,10a,15a-18a : 구동부 10b : 가이드
10c : 기어 17b,18b : 지지축
17c,18c : 스토퍼 19a,19b : 방향전환기어
20 : 방향 안내판 20a,20b : 가이드 홈

Claims (8)

  1. 양치시 사용자가 잡는 칫솔대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에 연결된 넥부, 및 상기 넥부의 선단에 위치하여 칫솔모가 식모되기 위한 식모부를 갖는 칫솔 헤드부, 그리고 식모부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력장치를 갖는 전동칫솔에 있어서,
    상기 칫솔 헤드부에 칫솔모가 각각 구분되어 식모되는 두 개 이상의 식모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식모부에는 서로 다른 메카니즘에 의해 독립적으로 각각 구동되는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식모부는,
    작용되는 메카니즘의 종류가 서로 다른 구동부를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다른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사용자의 양치 동작으로 유발되는 힘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식모부는,
    작용되는 메카니즘의 크기가 서로 다른 구동부를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제 1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다른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제 1동력과는 다른 크기로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제 2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식모부는,
    작용되는 메카니즘의 방향이 서로 다른 구동부를 각각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제 1방향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고, 다른 1개의 식모부에 구비되는 구동부는 상기 제 1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동력장치에서 전달되는 제 2방향의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되는 메카니즘의 방향이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칫솔.
KR1020030073236A 2003-10-21 2003-10-21 전동칫솔 KR101063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36A KR101063092B1 (ko) 2003-10-21 2003-10-21 전동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236A KR101063092B1 (ko) 2003-10-21 2003-10-21 전동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050A true KR20050038050A (ko) 2005-04-27
KR101063092B1 KR101063092B1 (ko) 2011-09-07

Family

ID=3724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236A KR101063092B1 (ko) 2003-10-21 2003-10-21 전동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258A (ko) 2018-11-14 2020-05-22 이제인한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전동칫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339Y1 (ko) 2003-10-10 2004-04-28 박선주 전동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6258A (ko) 2018-11-14 2020-05-22 이제인한 잇몸 마사지구를 구비한 전동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092B1 (ko) 201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6866B2 (en) Modular electric toothbrushes
US8091170B2 (en) Oral care implement
US7836539B2 (en) Oral care implement
CA2676034C (en) Powered toothbrush with multi-action movement
EP2114293B1 (en) Toothbrush with powered head
AU2008216414B2 (en) Powered toothbrush with two-sided moving head
JPH04231010A (ja) 電動歯ブラシ
GB2342571A (en) Bristled toothbrush with means for scraping between teeth
MXPA04012317A (es) Cepillos dentales electricos modulares remision a una solicitud relacionada.
US5974614A (en) Triple brush gum blaster
JP3069418B2 (ja) 電動歯ブラシ
KR20100056578A (ko) 세개의 회전칫솔부재를 갖는 전동칫솔
KR101063092B1 (ko) 전동칫솔
JPWO2004112536A1 (ja) 電動歯ブラシ
KR200434930Y1 (ko) 3개의 칫솔모가 있는 전동칫솔
KR101060846B1 (ko) 저소음 구동방식 전동칫솔
KR20210030445A (ko) 구강 케어 기구를 위한 헤드 및 이러한 헤드를 포함하는 키트
CN214318202U (zh) 一种可往复运动的电动刷机构
KR20050043127A (ko) 간편한 구조의 전동칫솔
JP2005124878A (ja) 電動歯ブラシ
CN115530518A (zh) 一种前牙舌侧专用牙刷刷头及牙刷
US20040226120A1 (en) Powered toothbrush with curved neck, flexible shaft and tapered head
AU2013270548A1 (en) Toothbrush with powered head
MXPA06006627A (en) Modular electric toothbrus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