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702A -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7702A
KR20050037702A KR1020030072944A KR20030072944A KR20050037702A KR 20050037702 A KR20050037702 A KR 20050037702A KR 1020030072944 A KR1020030072944 A KR 1020030072944A KR 20030072944 A KR20030072944 A KR 20030072944A KR 20050037702 A KR20050037702 A KR 200500377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dditional function
login
information
logi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30072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7702A/ko
Publication of KR20050037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70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하면, 로그인 정보에 따라 사용자별로 저장되어 있는 TV의 부가기능을 설정하여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별 인적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로그인 정보 및 사용자별로 각각 지정된 TV의 부가기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TV에서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으로서, TV의 전원이 ON되는 단계;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로그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별 인적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로그인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사용자 로그인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로 지정된 TV의 부가기능 정보를 바탕으로 TV의 부가기능이 설정되는 단계 및 설정된 TV의 부가기능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METHOD FOR OPERATING ADDITIONAL FUNCTION OF TELEVISION PER USER USING LOG-IN FORMAT}
본 발명은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에 TV의 부가기능은 특정 사용자의 기호나 취향에 따라 설정된 부가기능이 한 번 설정되면, 변경되기 전 까지는 그대로 수행된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가 TV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존에 설정된 TV의 부가기능이 자신의 기호나 취향에 부합되지 않으므로, 이미 설정된 기능을 변경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하면, 상기 로그인 정보에 따라 사용자별로 저장되어 있는 TV의 부가기능을 설정하여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사용자별 인적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별로 각각 지정된 TV의 부가기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TV에서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으로서, TV의 전원이 ON되는 단계;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로그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별 인적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로그인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사용자 로그인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로 지정된 TV의 부가기능 정보를 바탕으로 TV의 부가기능이 설정되는 단계 및 설정된 TV의 부가기능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V의 부가기능은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TV 방영을 제한하는 방영 제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V의 부가기능은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채널만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TV의 부가기능은 TV의 영상 또는 음성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설정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TV의 개략 구성 블록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TV는 입력부(10), 마이콤(20), 디스플레이부(30) 및 메모리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0)는 사용자가 TV의 다양한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입력부(10)는 리모트 콘트롤러나 TV 패널에 설치된 입력 버튼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콤(20)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TV의 ON, OFF 및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30)는 TV의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부(40)에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42) 및 사용자별 TV 부가 기능 정보(44)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42)는 사용자의 인적사항(즉, 성명, 주민등록번호, 생년월일 등), 사용자의 아이디(ID), 사용자의 패스워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별 TV 부가 기능 정보(44)는 TV의 기본적인 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을 사용자마다 자신의 기호에 맞게 설정해 놓은 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TV의 부가 기능은 예를 들면,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TV 방영을 제한하는 방영 제한 기능,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채널 정보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기능 및 TV 영상이나 음성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조절하여 설정하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일 수 있다.
상기 도 1의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TV의 동작을 살펴보면, TV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로그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10)를 통하여 사용자 자신의 로그인 정보(예를 들면,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를 입력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1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는 상기 메모리부(4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로그인 정보(42)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TV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확인되면, 상기 메모리부(4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별 TV 부가기능 정보(44)에 따라 TV의 부가기능이 설정되고, 수행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의 흐름도가 도시된다.
상기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우선, TV 전원이 ON 되면(110), 마이콤이 부팅을 위하여 초기화된다(120).
마이콤이 초기화되면,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도록, TV 화면상에 로그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130). 상기 입력을 요하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될 수 있으며,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며(140),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의 입력여부를 판단한 결과, 만약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존 방식의 TV 부가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180), 로그인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는 입력된 로그인 정보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로그인 정보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하게 된다(150).
확인된 사용자 로그인 정보에 따른 사용자별 TV 부가 기능이 설정되며(160), 상기 설정된 TV 부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170).
상기 TV의 부가기능은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TV 방영을 제한하는 방영 제한 기능,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채널만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기능 및 TV의 영상 또는 음성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설정하는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하며, 상기의 기능들은 예시적인 부가기능에 불과하며, 상기 TV의 부가기능은 사용자의 기호나 취향에 따라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는 기능들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로그인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를 확인한 후에,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TV의 부가기능이 설정되어 수행되는 바, 사용자가 변경될 때마다 새로이 TV의 부가기능을 변경할 필요가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TV의 개략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부 20 : 마이콤
30 : 디스플레이부 40 : 메모리부
42 : 로그인 정보 44 : 사용자별 TV 부가기능 정보

Claims (5)

  1. 사용자별 인적 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로그인 정보 및 상기 사용자별로 각각 지정된 TV의 부가기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TV에서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TV의 전원이 ON되는 단계;
    (b) 사용자가 로그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로그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c)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별 인적사항을 포함하고 있는 로그인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확인된 사용자 로그인 정보에 따른 상기 사용자별로 지정된 TV의 부가기능 정보를 바탕으로 TV의 부가기능이 설정되는 단계; 및
    (e) 상기 설정된 TV의 부가기능이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는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TV의 부가기능은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TV 방영을 제한하는 방영 제한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TV의 부가기능은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채널만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TV의 부가기능은 TV의 영상 또는 음성을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설정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KR1020030072944A 2003-10-20 2003-10-20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KR200500377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944A KR20050037702A (ko) 2003-10-20 2003-10-20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944A KR20050037702A (ko) 2003-10-20 2003-10-20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702A true KR20050037702A (ko) 2005-04-25

Family

ID=3724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944A KR20050037702A (ko) 2003-10-20 2003-10-20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77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422B1 (ko) * 2004-08-31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채널 액세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26895B1 (ko) * 2011-11-03 2013-01-28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10444861B2 (en) 2016-01-06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422B1 (ko) * 2004-08-31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채널 액세스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226895B1 (ko) * 2011-11-03 2013-01-28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WO2013065892A1 (ko) * 2011-11-03 2013-05-10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US10444861B2 (en) 2016-01-06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9051B1 (en) Display apparatus using key signal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044507A1 (en) Picture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display appliance
CN101158882A (zh) 用于解锁便携式多媒体播放器的方法及其装置
RU2554122C2 (ru) Управление доступом пользователя к мультимедийному контенту
KR100425313B1 (ko) 사용자 인증을 통한 텔레비젼 환경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JP2000244830A (ja) 視聴制限機能付きテレビジョン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並びにそれらのリモコン装置
KR10068500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37702A (ko)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KR20030008831A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사용자별 프로그램 수신방법
JP2000152208A (ja) 視聴制限装置
JP2008042409A (ja) 受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019903B (zh) 一种电视遥控按键响应方法和装置
KR20060114261A (ko) 지문을 이용한 전자기기의 사용제한 방법
US20160342780A1 (en) Smart tv control method
KR100781249B1 (ko) 개인 휴대용 디지털 티브이 및 환경 설정 방법
JP2007074027A (ja) 画像出力装置
JP2009301208A (ja) パスワード入力装置
KR20040093753A (ko)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사용자별 멀티모드 tv 환경 설정방법
KR100260426B1 (ko) 텔레비전의시청채널제한방법
KR20020087968A (ko)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선택적 디스플레이 방법
KR100700755B1 (ko) 시청 패턴 분석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시청 제한 장치 및방법
JP2008193258A (ja) マルチ画面表示装置及びマルチ画面表示制御方法
KR2003008980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12902A (ko) Tv 프로그램 시청 제어 방법
JP2005004032A (ja) 音声認識装置及び音声認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