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895B1 -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895B1
KR101226895B1 KR1020110113675A KR20110113675A KR101226895B1 KR 101226895 B1 KR101226895 B1 KR 101226895B1 KR 1020110113675 A KR1020110113675 A KR 1020110113675A KR 20110113675 A KR20110113675 A KR 20110113675A KR 101226895 B1 KR101226895 B1 KR 101226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roviding
broadcast receiving
account
receiving device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현
윤홍수
김철민
김기남
Original Assignee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895B1/ko
Priority to PCT/KR2011/008714 priority patent/WO201306589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1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accounts, e.g. accounts for childr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6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users' prefer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방송수신장치를 통해 환경설정과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에 대해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별로 개인화하기 위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방송수신장치를 통해 환경설정과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에 대해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별로 개인화하여 개인정보에 따른 메인화면 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패턴 분석에 따른 UI 화면 구성을 최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using account management of broadcasting receiver of Android platfor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방송수신장치를 통해 환경설정과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에 대해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별로 개인화하기 위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구글(Google) 사가 주도하는 OHA(Open Handset Alliance)에서 공개한 소프트웨어 스택으로, 리눅스(Linux) 커널, 가상머신(VM : virtual machine), 프레임워크(framework),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모두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의미한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주로 해상도 800×480의 WVGA(wide VGA)급 이상의 큰 화면의 디스플레이와 터치스크린 입력을 제공하는 고사양의 스마트폰 단말기 및 스마트TV 등에서 적용이 가능하다.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단말장치에 안드로이드 전체 소프트웨어 스택을 적용해야 한다. 안드로이드 소프트웨어 스택은 리눅스 커널을 포함하고 있으며, 시스템 데몬과 같은 기본 서비스를 다수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고사양의 단말에 적합한 플랫폼이다.
한편, 스마트TV와 같은 방송수신장치의 본래 사용 목적은 사람들이 방송을 시청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과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예: 셋톱박스)가 개발되면서 이를 개인화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 여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방송수신장치에서 개인 별로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 사용에 따른 화면구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어플리케이션 관리기기의 연동시스템 그 방법(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342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된 이미지에 의해 로그인을 수행한 뒤, 개인정보에 따른 메인화면 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로그인된 사용자의 사용패턴 분석에 따른 UI 화면 구성을 최적화하여 제공하기 위한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그리고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은, 방송수신장치에 대해 사용자 계정에 따른 로그인을 제공하는 제 1 단계; 서비스 제공서버가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의 개인정보에 적응적인 UI 화면 서비스를 방송수신장치로 제공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2 단계는, 서비스 제공서버가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해당하는 개인정보의 스펙에 따른 메인화면의 구성 추천을 방송수신장치로 제공하여 출력부 상에 구현하도록 하는 단계(2a); 서비스 제공서버가 방송수신장치에서의 인터넷 사용현황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아이콘화하여 생성한 Favorate Website Icon 데이터를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여 출력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2b); 서비스 제공서버가 Favorate Channel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방송수신장치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APP), 웹사이트의 채널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생성한 Favorate Channel 데이터를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여 출력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제 2 단계는, 서비스 제공서버가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의 개인정보로부터 연령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연령 데이터를 기초로 계정 사용자의 연령이 미리 설정된 연령 이하인 경우에는 차일드 프로텍션 기능을 수행하여 방송수신장치에 의한 컨텐츠 제공서버의 기설정된 연령을 초과하여야 관람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단계(2d); 서비스 제공서버가 Favorate Genre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방송수신장치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APP), 웹사이트의 장르를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생성한 Favorate Genre 데이터를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여 출력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2e); 서비스 제공서버가 로그인한 계정으로 동영상 및 포털 웹사이트에 대한 검색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SNS서버에 액세스하고 로그인한 계정에 해당하는 SNS 계정을 함께 검색하여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여 출력부에 멀티 UI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2f);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2d)는 서비스 제공서버가 차일드 프로텍션 기능 수행시 방송수신장치의 메인화면을 교육 APP 또는 교육 장르/채널로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제 1 단계는, 방송수신장치가 사용자를 촬영한 원본-개인이미지와 개인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단계(1a);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원본-개인이미지와 개인정보에 따른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여 방송수신장치로 제공하는 단계(1b); 방송수신장치가 사용자를 재촬영하여 생성한 로그인용-개인이미지를 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단계(1c); 서비스 제공서버가 로그인용-개인이미지와 원본-개인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인 인정 여부에 따라 로그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1d); 서비스 제공서버가 로그인 결정 결과를 방송수신장치로 제공하는 단계(1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와 같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방송수신장치를 통해 환경설정과 어플리케이션 및 컨텐츠에 대해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별로 개인화하여, 개인정보에 따른 메인화면 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로그인된 사용자의 사용패턴 분석에 따른 UI 화면 구성을 최적화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제 1 방송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을 적용한 시스템의 일 실시예로서 셋톱박스를 이용하여 구성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이러한 시스템에서 제 1 셋톱박스(2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사용하는 방송수신장치의 계정 시스템은 다수의 스마트TV(10-1 내지 10-n, n은 자연수), 다수의 셋톱박스(20-1 내지 20-n, n은 자연수), 통신망(30), 서비스 제공서버(40), 맞춤형 DB서버(50), 컨텐츠 제공서버(60), SNS서버(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제 1 셋톱박스(20-1)의 구성을 중심으로 안드서비스 제공서버(40)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셋톱박스에서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되는 시스템을 살펴보도록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셋톱박스(20-1)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제 2 셋톱박스(20-2) 내지 제 n 셋톱박스(20-n)도 공통적인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명확히 한다.
제 1 셋톱박스(20-1)는 송수신부(21), I/O 인터페이스(22), 카메라(23), 제어부(24), 저장부(25)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1)는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40) 및 맞춤형 DB서버(50)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I/O 인터페이스(22)는 제 1 스마트TV(10-1)와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주변 기기 접속 인터페이스로 일 실시예로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BS)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계정 설정수단(24a), 계정 제한수단(24b), 적응적 메인화면 구현수단(24c), 멀티 검색/구현수단(24d), DB기반 장르 서비스수단(24e), DB기반 채널 서비스수단(24f)을 포함한다.
각 모듈(24a 내지 24f) 또는 각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23)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계정 어플리케이션(이하, APP) 또는 별도로 제공되는 계정관련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계정 설정수단(24a)은 카메라(23)를 제어하여 사용자를 촬영하여 원본-개인이미지를 생성한 뒤, 생성된 원본-개인이미지와 개인정보를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40)로 전송하여 계정을 설정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23)가 제 1 셋톱박스(20-1)에 구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다른 실시예로, 제 1 스마트TV(10-1)의 4각 전면 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계정 설정수단(24a)은 생성된 계정으로 로그인할 경우, 카메라(23)를 제어하여 사용자를 촬영한 뒤, 로그인용-개인이미지를 생성하여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40)로 전송함으로써, 맞춤형 DB서버(50)에 저장된 원본-개인이미지와의 비교를 통해 로그인을 수행한다.
해당 로그인에 따라, 제 1 셋톱박스(20-1)의 송수신부(21)와 서비스 제공서버(40) 간에 통신망(30)을 통해 데이터 세션이 연결된다.
계정 제한수단(24b)은 로그인 수행시 로그인용-개인이미지와 원본-개인이미지의 동일하다고 판단에 따른 매칭 신호가 수신되면, 원본-개인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여 어린이 등급에 해당하는 나이에 속하는 경우 차일드 프로텍션 기능을 제공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여기서 차일드 프로텍션(child protection) 기능은 일정 연령 이하의 가입자에 대해 예컨대 15세 또는 19세 이상 관람가능 컨텐츠(프로그램, 채널)에 대한 시청을 자체 필터링을 통해 제 1 셋톱박스(20-1)의 컨텐츠 제공서버(60)로의 액세스를 제한한다.
이에 따라, 계정 제한수단(24b)는 제 1 스마트TV(10-1)의 출력부(11) 상에 제공되는 메인화면을 바람직하게는 교육 APP 및/또는 교육 장르/채널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적응적 메인화면 구현수단(24c)은 출력부(11) 상에 제공되는 메인화면의 구성을 추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응적 메인화면 구현수단(24c)은 계정 설정수단(24a)에 의해 생성된 계정으로 로그인한 경우, 서비스 제공서버(40)로부터 계정의 개인정보 스펙에 따라 설정된 메인화면을 제공받는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서버(40)는 해당 계정의 개인정보를 추출한 뒤, 맞춤형 DB서버(50)를 검색하여 개인정보의 스펙에 따라 설정된 메인화면을 수신하여 적응적 메인화면 구현수단(24c)로 제공한다.
여기서 개인정보의 스펙은 어린이(남/여), 학생(남/여), 직장인(남/여), 주부(여)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는 서비스 제공서버(40)를 운영하는 사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적응적 메인화면 구현수단(24c)의 다른 기능으로는 출력부(11) 상의 메인화면에 계정별 Favorate Website Icon을 출력하도록 I/O 인터페이스(22)를 제어한다.
여기서, Favorate Website Icon은 상대적 빈도수가 큰 웹사이트인 예컨대 트위터나 페이스북, 구글, 네이버 등일 수 있으며, 적응적 메인화면 구현수단(24c)은 계정별로 상대적 검색하는 빈도수가 큰 웹사이트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된 순위를 계정정보과 함께, 통신망(30)을 통해 맞춤형 DB서버(50)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적응적 메인화면 구현수단(24c)은 계정별로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한 인터넷 사용현황을 파악하여 통신망(30)을 통해 맞춤형 DB서버(50)로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지속적 계정관리를 수행한다.
멀티 검색/구현수단(24d)은 기 로그인한 계정을 통해 사용자가 동영상 및 포털 웹사이트를 검색하는 경우에 통신망(30)을 통해 SNS서버(70)에 액세스하도록 송수신부(21)를 제어한다.
이후, 멀티 검색/구현수단(24d)은 로그인한 계정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트위터, 페이스북, 그 밖의 SNS 계정을 함께 검색하여 출력부(11)에 멀티 UI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I/O 인터페이스(22)를 제어한다.
DB기반 장르 서비스수단(24e)은 로그인한 계정의 사용자가 직접설정하여 저장부(25)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DB기반 장르 서비스수단(24e)은 직접 로그인한 계정별로 임계치 이상의 빈도수를 갖는 장르를 파악한 뒤, 통신망(20)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40)를 거쳐 맞춤형 DB서버(50)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빈도수를 파악할 때에는 컨텐츠 및 APP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DB기반 장르 서비스수단(24e)은 로그인한 계정별로 사용자의 요청 또는 자동적으로 출력부(11)의 화면상으로 Favorate Genre 패널을 구현하여 출력하도록 I/O 인터페이스(22)를 제어한다.
DB기반 채널 서비스수단(24f)은 전술하였던 DB기반 장르 서비스수단(24e)와 동일한 매커니즘으로 출력부(11)의 화면상으로 Favorate Channel 패널을 구현하도록 I/O 인터페이스(22)를 제어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계정별 맞춤식 설정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셋톱박스(20-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카메라(23)를 제어하여 사용자를 촬영하여 원본-개인이미지를 생성한 뒤, 생성된 원본-개인이미지와 개인정보를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40)로 전송함으로써, 로그인을 위한 계정 설정을 수행한다(S1).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서버(40)는 생성된 계정에 원본-개인이미지 및 개인정보를 매칭하여 맞춤형 DB서버(50)에 저장한다.
단계(S1) 이후, 제 1 셋톱박스(20-1)는 생성된 계정으로 서비스 제공서버(40)로 로그인할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카메라(23)를 이용해 사용자를 촬영한 뒤, 로그인용-개인이미지를 생성하여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4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서버(40)는 수신된 로그인용-개인이미지와 맞춤형 DB서버(50)에 저장된 원본-개인이미지와의 비교를 통해 동일한 사용자로 인정시 로그인을 수용한다(S2).
해당 로그인에 따라, 제 1 셋톱박스(20-1)는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40)와 데이터 세션을 연결한다.
단계(S2) 이후, 서비스 제공서버(40)는 로그인된 계정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에서 연령 데이터를 맞춤형 DB서버(50)에서 추출한다(S3).
단계(S3) 이후, 서비스 제공서버(40)는 단계(S3)에서 추출된 연령 데이터를 기초로 로그인된 계정 사용자의 연령이 기설정된 연령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서비스 제공서버(40)는 제 1 셋톱박스(20-1)에서 로그인용-개인이미지를 전송하면서 사용자 로그인을 수행하는 경우에, 그 전송된 로그인용-개인이미지와 기저장된 원본-개인이미지의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원본-개인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열람하여 어린이 등급에 해당하는 나이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앞서 단계(S4)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기설정된 연령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서비스 제공서버(40)는 차일드 프로텍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기설정된 연령 이하의 사용자에 대해 예컨대 15세 또는 19세 이상 관람가능 컨텐츠에 대한 시청을 자체적인 필터링을 통해 제 1 셋톱박스(20-1)의 컨텐츠 제공서버(60)로의 액세스를 제한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서버(40)는 제 1 셋톱박스(20-1)와 연결된 제 1 스마트TV(10-1)의 출력부(11) 상에 제공되는 메인화면을 교육 APP 및/또는 교육 장르/채널로 제공하도록 제어한다(S5).
단계(S6) 이후, 서비스 제공서버(40)는 그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의 개인정보 스펙에 따라 제 1 셋톱박스(20-1)와 연결된 제 1 스마트TV(10-1)의 출력부(11) 상에 제공되는 메인화면의 구성 추천에 따라 사용자에 적응적으로 구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S6).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서버(40)는 해당 계정의 개인정보를 추출한 뒤, 맞춤형 DB서버(50)를 검색하여 개인정보의 스펙에 따른 적응적 메인화면을 설정하여 통신망(20)을 통해 제 1 셋톱박스(20-1)로 전송한다.
여기서 개인정보의 스펙은 어린이(남/여), 학생(남/여), 직장인(남/여), 주부(여)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는 서비스 제공서버(40)를 운영하는 사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단계(S6) 이후, 서비스 제공서버(40)는 각 사용자 계정별로 인터넷 브라우저를 이용한 인터넷 사용현황을 파악하여 맞춤형 DB서버(50)에 저장된 Favorate Website Icon을 통신망(20)을 통해 제 1 셋톱박스(20-1)로 전송하여 출력부(11)로 출력되도록 한다(S7).
여기서, Favorate Website Icon은 상대적 빈도수가 큰 웹사이트인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네이버 등일 수 있으며, 제 1 셋톱박스(20-1)는 계정별로 상대적 검색하는 빈도수가 큰 웹사이트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된 순위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계정정보과 함께, 통신망(30)을 통해 맞춤형 DB서버(50)에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빈도수 파악시 컨텐츠 및 APP를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분석할 수 있다.
단계(S7) 이후, 서비스 제공서버(40)는 통신망(30)을 통해 제 1 셋톱박스(20-1)로부터 Favorate Genre 요청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8).
단계(S8)의 판단결과 Favorate Genre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서비스 제공서버(40)는 계정별로 상대적으로 실행하는 빈도수가 큰 컨텐츠 및 APP웹사이트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모니터링하여 맞춤형 DB서버(50)에 저장된 장르 데이터를 제 1 셋톱박스(20-1)로 전송하여 출력부(11)로 출력되도록 한다(S9).
한편, 앞서 단계(S8)의 판단결과 Favorate Channel 요청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라면 서비스 제공서버(40)는 Favorate Channel 요청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10).
단계(S10)의 판단결과 Favorate Channel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서비스 제공서버(40)는 계정별로 상대적으로 실행하는 빈도수가 큰 컨텐츠 및 APP웹사이트를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모니터링하여 맞춤형 DB서버(50)에 저장된 채널 데이터를 제 1 셋톱박스(20-1)로 전송하여 출력부(11)로 출력되도록 한다(S11).
한편, 단계(S10)의 판단결과 Favorate Channel 요청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라면 서비스제공서버(40)는 로그인한 계정으로 동영상 및 포털 웹사이트에 대한 검색 요청 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12).
단계(S12)의 판단결과 검색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서비스 제공서버(40)는 로그인한 계정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트위터, 페이스북, 그 밖의 SNS 계정을 함께 검색하여 통신망(30)을 통해 제 1 셋톱박스(20-1)로 전송하여 출력부(11)에 멀티 UI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한다(S13).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컨대,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는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 10-n: 제 1 내지 제 n 스마트TV
20-1 ~ 20-n: 제 1 내지 제 n 셋톱박스
21: 송수신부
22: I/O 인터페이스
23: 카메라
24: 제어부
24a: 계정 설정수단
24b: 계정 제한수단
24c: 적응적 메인화면 구현수단
24d: 멀티 검색/구현수단
24e: DB기반 장르 서비스수단
24f: DB기반 채널 서비스수단
25: 저장부
30: 통신망
40: 서비스 제공서버
50: 맞춤형 DB서버
60: 컨텐츠 제공서버
70: SNS서버

Claims (7)

  1. 방송수신장치에 대해 사용자 계정에 따른 로그인을 제공하는 제 1 단계;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의 개인정보에 적응적인 UI 화면 서비스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제공하는 제 2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에 해당하는 개인정보의 스펙에 따른 메인화면의 구성 추천을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제공하여 출력부 상에 구현하도록 하는 단계(2a);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방송수신장치에서의 인터넷 사용현황을 모니터링한 결과를 아이콘화하여 생성한 Favorate Website Icon 데이터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여 출력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2b);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Favorate Channel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수신장치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APP), 웹사이트의 채널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생성한 Favorate Channel 데이터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여 출력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2c);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로그인된 사용자 계정의 개인정보로부터 연령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연령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계정 사용자의 연령이 미리 설정된 연령 이하인 경우에는 차일드 프로텍션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의한 컨텐츠 제공서버의 상기 기설정된 연령을 초과하여야 관람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는 단계(2d);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2d)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차일드 프로텍션 기능 수행시 상기 방송수신장치의 메인화면을 교육 APP 또는 교육 장르/채널로 설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Favorate Genre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방송수신장치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어플리케이션(APP), 웹사이트의 장르를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생성한 Favorate Genre 데이터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여 출력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2e);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로그인한 계정으로 동영상 및 포털 웹사이트에 대한 검색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SNS서버에 액세스하고 상기 로그인한 계정에 해당하는 SNS 계정을 함께 검색하여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전송하여 출력부에 멀티 UI 화면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2f);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방송수신장치가 사용자를 촬영한 원본-개인이미지와 개인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단계(1a);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상기 원본-개인이미지와 개인정보에 따른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여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제공하는 단계(1b);
    상기 방송수신장치가 사용자를 재촬영하여 생성한 로그인용-개인이미지를 서비스 제공서버로 전송하는 단계(1c);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로그인용-개인이미지와 상기 원본-개인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인 인정 여부에 따라 로그인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1d);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가 상기 로그인 결정 결과를 상기 방송수신장치로 제공하는 단계(1e);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0113675A 2011-11-03 2011-11-03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226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75A KR101226895B1 (ko) 2011-11-03 2011-11-03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CT/KR2011/008714 WO2013065892A1 (ko) 2011-11-03 2011-11-15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3675A KR101226895B1 (ko) 2011-11-03 2011-11-03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895B1 true KR101226895B1 (ko) 2013-01-28

Family

ID=47842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3675A KR101226895B1 (ko) 2011-11-03 2011-11-03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6895B1 (ko)
WO (1) WO20130658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781A1 (ko) * 2013-09-16 2015-03-1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 그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방송 수신 장치
US10444861B2 (en) 2016-01-06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702A (ko) * 2003-10-20 2005-04-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KR20050122417A (ko) *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사용자 인증용 텔레비전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49798A (ko) * 2008-11-04 2010-05-13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개인 프로필 기능을 이용한 iptv의 개인화 방송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923A (ko) * 2008-09-11 2010-03-19 박상규 방송 시스템에서의 안심 채널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7702A (ko) * 2003-10-20 2005-04-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로그인을 이용한 사용자별 tv의 부가기능 수행 방법
KR20050122417A (ko) * 2004-06-24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사용자 인증용 텔레비전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49798A (ko) * 2008-11-04 2010-05-13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개인 프로필 기능을 이용한 iptv의 개인화 방송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7781A1 (ko) * 2013-09-16 2015-03-1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 그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및 방송 수신 장치
US10444861B2 (en) 2016-01-06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65892A1 (ko)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9855B2 (en) Optically readable codes in a content delivery system
JP6055769B2 (ja) Ip利用の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ーを使用して顧客構内設備にコンパニオン・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3541043B1 (en) Account login method and apparatus
EP26481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real-time collection of a feedback from the audience of a television or radio show
JP6430656B6 (ja) コンテンツアイテムを表示するシステム、方法、及び装置
US20150156257A1 (en) Appli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and related device
US20140310741A1 (en) System for sharing data via cloud server and method thereof
US20120081615A1 (en) Remote control
CN107329717B (zh) 一种屏幕显示信息的处理方法、显示方法和显示系统
CN104918105B (zh) 媒体文件的多屏播放方法、设备及系统
CN103632332A (zh) 题目问答方法、装置及系统
CN104270404A (zh) 一种基于终端标识的登录方法及装置
CN103514219A (zh) 一种在多个终端间分享Web内容的方法及系统
MX2014003452A (es) Aparato de visualizacion para proveer informacion de recomendacion y metodo del mismo.
KR101226895B1 (ko)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방송수신장치의 계정관리를 이용한 개인별 맞춤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WO2014187201A1 (zh) 一种机顶盒的控制方法及装置
US2018017663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second screen experience
WO2016119610A1 (zh) 一种网页加载方法及用户设备
CN111654753B (zh) 一种应用程序启动方法及显示设备
US100429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o provide content on demand
CN104735538A (zh) 提供第二屏信息的方法
KR101865822B1 (ko) 채널 시청 분석 데이터 실시간 시각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7806844A (zh) 一种服务器及基于用户集群的调查问卷群发方法
CN103702231A (zh) 一种通过外部设备输入字符的方法和系统
CN116320564A (zh) 显示设备、终端设备和设备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