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7613A - Method for setting user mode of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tting user mode of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7613A
KR20050037613A KR1020030072834A KR20030072834A KR20050037613A KR 20050037613 A KR20050037613 A KR 20050037613A KR 1020030072834 A KR1020030072834 A KR 1020030072834A KR 20030072834 A KR20030072834 A KR 20030072834A KR 20050037613 A KR20050037613 A KR 2005003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uthorit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8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병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7613A/en
Publication of KR2005003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613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를 통해 사용자모드를 설정하여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메뉴중에서 사용자모드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단계, 사용자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단계, 사용자를 선택하면, 선택된 사용자모드와 사용자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에 따라 사용권한을 설정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mode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user sets a user mode through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use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selecting,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the first step of displaying a screen on which the user mode can be select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user mode is selected, the second step of displaying a screen on which the user can be select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third step of storing the selected user mode and the user in the memory and setting the usage rights accordingly.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 {Method for setting user mode of mobile phone} How to set user mode of mobile terminal {Method for setting user mode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메뉴를 통해 사용자모드를 설정하여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mode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llowing a user to use a sing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etting a user mode through a user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relates to a user mode setting method.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상대방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데 주로 이용되지만, 최근에는 통신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서 다양한 부가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의 제공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에는 전화부, 단축다이얼 지정기능, 잠금기능 등과 같은 다양한 메뉴항목이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가 없거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급한 일이나 위급한 상황에서 많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In genera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inly us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but recently,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re provid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ovision of the additional service, various menu items such as a phone book, a speed dial designation function, and a lock function are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issing or does not ha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feels a lot of inconvenience in an urgent or emergency situation.

한편,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 메뉴를 통해 사용자모드를 선택하고 사용자기능을 설정하여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attempt to use a sing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ultiple users. However, a function that allows a user to use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multiple users by selecting a user mode and setting a user function through the user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not been proposed yet.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를 통해 사용자모드를 설정하여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provides a user mode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user sets a user mode through a user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a user can use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urpose i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모드를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뉴중에서 사용자모드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단계, 사용자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단계, 사용자를 선택하면, 선택된 사용자모드와 사용자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모드를 변경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etting a user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 selects a user mode setting menu from a menu,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screen on which a user mode can be selected. In the first step of displaying, when the user mode is selected, the second step of displaying a screen on which the user can be select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user is selected, the second step of storing the selected user mode and the user in the memory and changing the user mode accordingly Includes three step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단말기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메모리(130), 제어부(140), 무선회로부(150), 기저대역처리부(160), 보코더(170),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80) 등으로 구성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display unit 120, a memory 130, a control unit 140, a wireless circuit unit 150, a baseband processor 160, a vocoder 170, an analog voice processor 180, and the like. It is composed.

입력부(110)는 키패드, 조그셔틀, 포인트스틱,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된다. The input unit 110 may use various devices such as a keypad, a jog shuttle, a point stick, and a touch screen, and is used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function or inputs information.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된다.The display unit 120 is for showing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is mainly used.

메모리(130)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The memory 130 stores programs and data necessary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operate, and various devices such as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nd flash memory may be used.

제어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14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를 통해 사용자모드를 설정하면 이를 메모리(130)에 저장하게 하고 선택된 사용자모드로 변경한다.The controller 14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 140 may be a microprocessor or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ets the user mode through the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ler 140 stores it in the memory 130 and changes the selected user mode.

무선회로부(150)는 무선으로 기지국과 음성 및 제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로이다.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가 발송하는 전화통화나 단문메시지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전송하거나, 메모리(130)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터를 안테나를 통해 발신자의 전화기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adio circuit unit 150 is a circu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and control information with a base station wirelessly. Receives a telephone call or a short message sent by an exter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n antenna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40 or transmits data stored in the memory 130 to the caller's telephone through the antenna. do.

기저대역처리부(160)는 기저대역(baseband)에서의 채널코딩을 위한 신호처리부이다.The baseband processor 160 is a signal processor for channel coding in baseband.

보코더(170)는 압축되지 않은 디지털 음성신호를 압축하고, 압축된 디지털 음성신호의 압축을 푸는 역할을 한다. 보코더(170)는 하드웨어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수도 있다.The vocoder 170 compresses the uncompressed digital voice signal and decompresses the compressed digital voice signal. The vocoder 17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in software.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80)는 보코더로부터의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증폭하고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The analog voice processor 180 converts and amplifies the digital voice signal from the vocoder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SP, or amplifies the voice signal from the microphone MIC and converts the digital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user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에 사용자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가 미리 추가되어 있다. First, a menu for setting a user mode is added in advance to 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가 메뉴중에서 사용자모드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00, S202).When the user selects a user mode setting menu from the menu,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screen on which the user mode can be selected on the display unit 120 (steps S200 and S202).

사용자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부(120)에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04, S206).When the user mode is selected, a screen for selecting a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20 (steps S204 and S206).

사용자를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사용자모드와 사용자를 메모리(130)에 저장하고 이에 따라 사용권한을 설정한다(단계 S208).When the user is selected, the controller 140 stores the selected user mode and the user in the memory 130 and sets the usage rights accordingly (step S208).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각 사용자모드의 권한유무를 보여주는 도표이다.5 is a diagram show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uthority of each user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사용자 모드는 부모-자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부모-자녀 모드는 사용자가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다.First, the user mode includes a parent-child mode, where the user is composed of a parent and a child.

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부모일 경우 관리자권한, 전화번호부공유권한, 비밀정보접근권한, 부관리자권한이 설정되고, 사용자가 자녀일 경우 상기 어떤 권한도 설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자녀일 경우는 이동통신단말기상의 단축버튼을 이용하여 가족, 경찰, 학교 등에 통화가 가능하게 하거나 비상시에 경찰에 호출이나 문자메시지로 알리게 하는 기능이 부가된다.In this mode, if the user is a parent, the administrator authority, telephone directory sharing authority, secret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and sub administrator authority are set. If the user is a child, none of the above authority is set. When the user is a child, a function of enabling a call to a family, the police, a school, etc. using a shortcut butt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notifying the police by a call or a text message in an emergency is added.

이 모드는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어떠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설정을 변경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자녀에게 임시로 전화(착발신)를 이용하게 하기 위하여 많은 제약이 있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상의 단축버튼 등을 이용하여 가족, 경찰, 학교 등에만 임시로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비상시에 경찰에 호출이나 문자메시지 등의 방법을 통하여 알리게 하는 기능이 부가된다.This mode has many limitations in order to allow a child to temporarily use a telephone (incoming / outgoing call) rather than trying to use services or change settings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by using a shortcut butt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family, police, school, etc. can temporarily make a call, and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a function such as a call or text message is added to the police.

둘째, 사용자모드는 부부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부부 모드는 사용자가 주인과 배우자로 구성된다.Second, the user mode includes a married couple mode, wherein the married couple mode includes a user and a spouse.

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주인일 경우 상기 관리자권한,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 상기 비밀정보접근권한이 설정되고, 사용자가 배우자일 경우 상기 관리자권한,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 상기 비밀정보접근권한이 설정된다.In this mode, when the user is the owner, the administrator authority, the telephone directory sharing authority, and the secret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are set, and when the user is the spouse, the administrator authority, the telephone directory sharing authority, and the secret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are set. .

이 모드는 주인과 배우자 간의 아무런 제한 없이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든 기능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mode is to allow all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used without any restriction between the owner and the spouse.

셋째, 사용자모드는 커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 모드는 사용자가 주인과 애인으로 구성된다.Third, the user mode includes a couple mode, where the user is composed of a master and a lover.

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주인일 경우 상기 관리자권한,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 상기 비밀정보접근권한이 설정되고, 사용자가 애인일 경우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이 설정되고 상기 관리자권한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임의로 설정된다는 것은 사용자에 따라 설정될 수도 있고 설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mode, the administrator authority, the telephone book sharing authority, and the secret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are set when the user is the owner, and the telephone book sharing authority is set, and the administrator authority may be arbitrarily set when the user is a lover. The arbitrarily set means that it may or may not be set according to the user.

이 모드와 부부모드의 큰 차이는 관리자권한 및 비밀정보접근권한을 제한함으로써 적절한 비밀 유지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단, 애인과의 친밀한 정도에 따라 애인에게 관리자권한을 부여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다.The big difference between this mode and the married couple mode is that proper confidentiality can be achieved by limiting administrator and confidential information access rights. However, you can choose to give your manager the manager's authority based on his or her intimacy.

넷째, 사용자모드는 친구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친구 모드는 사용자가 주인과 친구로 구성된다.Fourth, the user mode includes a friend mode, and the friend mode includes a user and a friend.

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주인일 경우 상기 관리자권한,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 상기 비밀정보접근권한, 부관리자권한이 설정되고, 사용자가 친구일 경우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이 설정되고 상기 관리자권한, 상기 비밀정보접근권한, 상기 부관리자권한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In this mode, when the user is the owner, the administrator authority, the telephone book sharing authority, the secret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the sub administrator authority are set, and when the user is a friend, the telephone directory sharing authority is set and the administrator authority, the secret. The information access right and the sub administrator right may be arbitrarily set.

이 모드는 친한 친구들간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친밀한 정도에 따라 자유롭게 권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친구는 1명이상이 될 수 있다.This mode is a function that can be used between close friends, allowing you to freely set permiss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imacy. In this case, you can have more than one friend.

다섯째, 사용자모드는 사용자 정의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정의 모드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된다.Fifth, the user mode includes a user defined mode, and the user defined mode is arbitrarily set by the user.

이 모드에서는 상기 관리자권한,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 상기 비밀정보접근권한, 상기 부관리자권한이 임의로 설정된다. 이 모드는 사용자 정의 모드란 말 그대로 사용자의 임의대로 권한을 설정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mode, the administrator authority, the telephone book sharing authority, the secret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and the sub administrator authority are arbitrarily set. In this mode, the user-defined mode literally sets a user's authority to u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상기 관리자권한은 특정한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잠금기능을 포함한다. 잠금기능에는 국제전화발신 항목, 무선인터넷사용 항목을 포함한다. 이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경우 유용한 기능이다.On the other hand, the administrator authority includes a lock function that prevents the use of a specific function. The locking function includes international call origination items and wireless internet use items. This is a useful function when len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nother person.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3A to 3C are screen examples showing a process of setting a user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부모-자녀 모드중 사용자를 자녀로 선택하는 예이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selecting a user as a child among parent-child modes.

도 3a 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화면예이다. 이 화면에서 사용자는 "사용자모드설정"을 선택한다.3A is a menu screen examp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is screen, the user selects "Set user mode".

도 3b 는 사용자모드설정의 화면예이다. 이 화면에서 사용자는 "부모-자녀 모드"를 선택한다.3B is a screen example of a user mode setting. In this screen, the user selects "Parent-child mode".

도 3c 는 부모-자녀 모드를 선택한 화면예이다. 이 화면에서 사용자로서 "자녀"를 선택한다.3C is a screen example of selecting a parent-child mode. Select "Child" as the user on this screen.

상기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모드중 부모-자녀 모드의 사용자로 자녀를 선택함으로써, 부모는 안심하고 부모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자녀에게 사용하게 할 수 있다.By selecting the child as a user of the parent-child mode of the user mode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parent can make the child u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arent with confidence.

본 실시예에서는 부모-자녀 모드를 예로 들었으나, 부부 모드, 커플 모드, 친구 모드에서도 마찬가지 과정으로 사용자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ent-child mode is taken as an example, but the user mode may be selected in the same manner in the couple mode, the couple mode, and the friend mode.

마지막으로, 사용자 정의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Finally, the process of setting the custom mode will be described.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모드중 사용자 정의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4A to 4D are screen examples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user defined mode among user mod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는 사용자가 메뉴중에서 "사용자 정의 모드"를 선택하는 화면예이다.4A is an example of a screen in which a user selects "user defined mode" from a menu.

도 4b 는 사용자 정의 모드에서 사용자를 선택하는 화면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1, 사용자2 로 나타내었으나,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나 사용자가 설정하기에 따라서 다양한 명칭과 인원수를 제공할 수 있다.4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lecting a user in a user-defined mod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lthough the user 1 and the user 2 are represented, various names and number of peopl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user setting.

도 4c 는 각각의 권한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예이다. 본 실시예에서 "전화번호부공유권한"을 설정하는 것을 예로 든다.4C is an example of a screen for setting each authority. In this embodiment, the setting of "phonebook sharing authority" is taken as an example.

도 4d 는 전화번호부공유를 설정유무를 선택하는 화면예이다. "설정"을 선택한다. 4D is a screen example of selecting whether to set up phonebook sharing. Select "Settings".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자 정의 모드에서 전화번호부공유권한을 설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화번호부공유권한을 예로 들었으나, 관리자권한, 비밀정보접근권한, 부관리자권한도 마찬가지 과정으로 설정할 수 있다.By doing this, the telephone book sharing authority is set in the user-defined mod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e telephone book sharing authority is taken as an example, the administrator authority, the secret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and the sub administrator authority may be set in the same process.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some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다양한 사용자모드를 제공하므로 하나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는 사용자가 급한 일이나 위급한 상황시 다른 사람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할 경우 매우 유용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various user modes, it is easy to use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several people. This may be very useful when a user uses someone else's mobile terminal in an emergency or emergency situ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내부구성도이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user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3A to 3C are screen examples showing a process of setting a user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모드중 사용자 정의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4A to 4D are screen examples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user defined mode among user mode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각 사용자모드의 권한유무를 보여주는 도표이다.5 is a diagram show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uthority of each user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입력부 120: 표시부110: input unit 120: display unit

130: 메모리 140: 제어부130: memory 140: control unit

150: 무선회로부 160: 기저대역처리부150: wireless circuit unit 160: baseband processing unit

170: 보코더 180: 아날로그 음성처리부 170: vocoder 180: analog voice processing unit

Claims (16)

사용자가 메뉴중에서 사용자모드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1단계;When the user selects a user mode setting menu from the menu,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s a screen for selecting a user mode on a display unit; 사용자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 2단계;Selecting a user mode, displaying a screen for selecting a user on a display unit; 사용자를 선택하면, 선택된 사용자모드와 사용자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에 따라 사용권한을 설정하는 제 3단계After selecting a user, the third step of storing the selected user mode and user in memory and setting the permissions accordingly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User mode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모드는 부모-자녀 모드를 포함하고,The user mode includes a parent-child mode, 상기 부모-자녀 모드는 사용자가 부모와 자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The parent-child mode is a user mode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onsists of a parent and a chil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사용자가 부모일 경우 관리자권한, 전화번호부공유권한, 비밀정보접근권한, 부관리자권한이 설정되고, 사용자가 자녀일 경우 상기 어떤 권한도 설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Administrator rights, telephone book sharing rights, secret information access rights, sub-administrator rights are set if the user is a parent, the user mode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not set any rights when the user is a child.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사용자가 자녀일 경우, 이동통신단말기상의 단축버튼을 이용하여 가족, 경찰, 학교 등에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If the user is a child, the user mode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all to the family, police, school, etc. using a shortcut button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사용자가 자녀일 경우, 비상시에 이동통신단말기상의 단축버튼을 이용하여 경찰에 호출이나 문자메시지로 알리는 것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If the user is a child, the user mode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all or text message to the police using a shortcut button on the mobile terminal in an emergenc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모드는 부부 모드를 포함하고,The user mode includes a couple mode, 상기 부부 모드는 사용자가 주인과 배우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The couple mode is a user mode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composed of the owner and the spous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사용자가 주인일 경우 상기 관리자권한,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 상기 비밀정보접근권한이 설정되고, 사용자가 배우자일 경우 상기 관리자권한,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 상기 비밀정보접근권한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The administrator authority, the telephone book sharing authority, the secret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is set when the user is the owner, the administrator authority, the telephone book sharing authority, the secret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is set when the user is a spouse How to set the user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모드는 커플 모드를 포함하고,The user mode includes a couple mode, 상기 커플 모드는 사용자가 주인과 애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The couple mode is a user mode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composed of the owner and the lover.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사용자가 주인일 경우 상기 관리자권한,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 상기 비밀정보접근권한이 설정되고, 사용자가 애인일 경우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이 설정되고 상기 관리자권한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The administrator authority, the telephone book sharing authority, the secret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is set when the user is the owner, the telephone book sharing authority is set and the administrator authority can be arbitrarily set if the user is a lover How to set user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모드는 친구 모드를 포함하고,The user mode includes a friend mode, 상기 친구 모드는 사용자가 주인과 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The friend mode is a user mode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composed of a master and a friend.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사용자가 주인일 경우 상기 관리자권한,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 상기 비밀정보접근권한, 부관리자권한이 설정되고, 사용자가 친구일 경우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이 설정되고 상기 관리자권한, 상기 비밀정보접근권한, 상기 부관리자권한은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If the user is the owner, the administrator authority, the telephone book sharing authority, the secret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the sub-administrator authority is set, if the user is a friend, the telephone book sharing authority is set and the administrator authority, the secret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And, the sub-administrator rights can be arbitrarily set.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1, wherein 상기 친구는 1명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The friend is a user mode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on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자모드는 사용자 정의 모드를 포함하고,The user mode includes a user defined mode, 상기 사용자 정의 모드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The user defined mode is a user mode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arbitrarily set. 제 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사용자 정의 모드는 상기 관리자권한, 상기 전화번호부공유권한, 상기 비밀정보접근권한, 상기 부관리자권한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The user mode setting method of the user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dministrator authority, the telephone book sharing authority, the secret information access authority, the sub-administrator authority can be set arbitrarily. 제 3항, 제 7항, 제 9항, 제 11항 또는 제 1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7, 9, 11 or 14, 상기 관리자권한은 특정한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잠금기능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The administrator authority is a user mode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lock function to prevent the use of a specific function.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잠금기능은 국제전화발신 항목, 무선인터넷사용 항목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모드 설정 방법.The locking function is a user mode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n international call origination item, a wireless Internet use item.
KR1020030072834A 2003-10-20 2003-10-20 Method for setting user mode of mobile phone KR200500376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834A KR20050037613A (en) 2003-10-20 2003-10-20 Method for setting user mode of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834A KR20050037613A (en) 2003-10-20 2003-10-20 Method for setting user mode of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613A true KR20050037613A (en) 2005-04-25

Family

ID=37240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834A KR20050037613A (en) 2003-10-20 2003-10-20 Method for setting user mode of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7613A (en)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547B1 (en) * 2007-05-08 2009-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strict method of using thereof
WO2009139986A3 (en) * 2008-05-12 2010-01-07 Microsoft Corporation Owner privacy in a shared mobile device
US8732822B2 (en) 2011-12-16 2014-05-20 Microsoft Corporation Device locking with hierarchical activity preservation
US8874162B2 (en) 2011-12-23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safe driving
US9230076B2 (en) 2012-08-30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child share
US9325752B2 (en) 2011-12-23 2016-04-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ivate interaction hubs
US9363250B2 (en) 2011-12-23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ub coordination service
US9420432B2 (en) 2011-12-23 2016-08-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s control
US9467834B2 (en) 2011-12-23 2016-10-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emergency service
US9569603B2 (en) 2011-10-18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US9665702B2 (en) 2011-12-23 2017-05-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tricted execution modes
US9820231B2 (en) 2013-06-14 2017-11-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alescing geo-fence events
US9880604B2 (en) 2011-04-20 2018-0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ergy efficient location detection
US9998866B2 (en) 2013-06-14 2018-06-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geo-fence events using varying confidence levels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547B1 (en) * 2007-05-08 2009-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strict method of using thereof
WO2009139986A3 (en) * 2008-05-12 2010-01-07 Microsoft Corporation Owner privacy in a shared mobile device
CN102090094A (en) * 2008-05-12 2011-06-08 微软公司 Owner privacy in a shared mobile device
US8549657B2 (en) 2008-05-12 2013-10-01 Microsoft Corporation Owner privacy in a shared mobile device
CN102090094B (en) * 2008-05-12 2014-10-08 微软公司 Owner privacy in a shared mobile device
US9066234B2 (en) 2008-05-12 2015-06-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wner privacy in a shared mobile device
US9773123B2 (en) 2008-05-12 2017-09-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wner privacy in a shared mobile device
US9880604B2 (en) 2011-04-20 2018-01-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ergy efficient location detection
US10042991B2 (en) 2011-10-18 2018-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US9569603B2 (en) 2011-10-18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US8732822B2 (en) 2011-12-16 2014-05-20 Microsoft Corporation Device locking with hierarchical activity preservation
US9467834B2 (en) 2011-12-23 2016-10-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emergency service
US9736655B2 (en) 2011-12-23 2017-08-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safe driving
US9491589B2 (en) 2011-12-23 2016-1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safe driving
US9363250B2 (en) 2011-12-23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ub coordination service
US9665702B2 (en) 2011-12-23 2017-05-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tricted execution modes
US9680888B2 (en) 2011-12-23 2017-06-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ivate interaction hubs
US9710982B2 (en) 2011-12-23 2017-07-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ub key service
US9420432B2 (en) 2011-12-23 2016-08-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s control
US9325752B2 (en) 2011-12-23 2016-04-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ivate interaction hubs
US10249119B2 (en) 2011-12-23 2019-04-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ub key service
US8874162B2 (en) 2011-12-23 2014-10-28 Microsoft Corporation Mobile device safe driving
US9230076B2 (en) 2012-08-30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child share
US9998866B2 (en) 2013-06-14 2018-06-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geo-fence events using varying confidence levels
US9820231B2 (en) 2013-06-14 2017-11-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alescing geo-fence ev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70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changing setting with the position of that
US7375730B2 (en) Graphic entries for interactive directory
EP341354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coming and outgoing cal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80051072A1 (en) Data Privacy O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37613A (en) Method for setting user mode of mobile phone
JP2003032353A (en)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access restriction method therefor
JP2005115492A (en) Cellular phone and mail security processing method
WO2004093415A1 (en) Electronic device
JP2007020063A (en) Cellular telephone system and control system thereof
JP409427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2003244280A (en) Portable telephone set
JP2000307706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history display method
JP2002229719A (en) Touch panel type cellphone and operating method for changing its function
KR2007001621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rotecting personal privacy in the terminal
KR100630199B1 (en) Terminal for canceling lock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2005348038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ivacy protecting method
KR100692754B1 (en) Method for editing telephone directory in mobile phone
KR100560903B1 (en) Method for activating functions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telephone
JP2005202644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0595667B1 (en) Input method for phone book of mobile phone
KR100592179B1 (en) Method for managing SMS messages in mobile phone
JP433438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82366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ssages using call list in mobile phone
JP4522374B2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34899A (en) Method for managing call list in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